KR20220090074A -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074A
KR20220090074A KR1020200180908A KR20200180908A KR20220090074A KR 20220090074 A KR20220090074 A KR 20220090074A KR 1020200180908 A KR1020200180908 A KR 1020200180908A KR 20200180908 A KR20200180908 A KR 20200180908A KR 20220090074 A KR20220090074 A KR 20220090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subject
signal
rssi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환
박상욱
서수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20018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0074A/ko
Publication of KR2022009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triangulation other than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은 자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한 비콘으로서, 대상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배치된 송신기로부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비콘 신호를 상기 실내 공간 내의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된 상기 RSSI 신호에 따른 수신신호강도(RSSI) 값에 대한 정보가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BEACON AND SYSTEM FOR EMERGENCY NOTIFICATION}
본 발명은 비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 등의 대상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알리는 비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때, 사물인터넷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지칭한다.
또한, BLE는 기존 블루투스 기술에서 전력소모를 줄인 기술이므로, 다양한 기기 간의 통신을 무선으로 연결하면서 장기간의 배터리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BLE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과 쉽게 호환 가능하며,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신속한 연결 등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고유 식별자정보(ID)를 보내주는 신호발생장치인 비콘(Beacon)이 부상하면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사물인터넷기술이 출현하고 있다. 특히, 비콘은 BLE를 이용하여 주변에 있는 기기들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로서, 저전력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디바이스들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NFC의 경우 10cm 이내에서만 작동이 가능한 반면, 비콘은 수십 미터 이상까지도 커버가 가능하다.
한편, 환자 등의 대상자의 경우, 응급 상황에 대비하여, 의료인 또는 보호자가 상시 대기하여 대응해야 하나, 현실적으로 이는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비콘을 이용하여 환자 등의 대상자에 대한 응급 상황을 알리는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시스템의 경우, 다양한 센서를 병실 등에 별도로 설치한 후 해당 센서와 비콘 간의 통신을 이용한 방식이었다. 이에 따라, 고성능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므로, 종래 시스템은 그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20-0068260 A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대상자의 응급 상황 알림이 가능한 비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은 자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한 비콘으로서, 대상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배치된 송신기로부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비콘 신호를 상기 실내 공간 내의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된 상기 RSSI 신호에 따른 수신신호강도(RSSI) 값에 대한 정보가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는 복수개가 상기 실내 공간에서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되 상기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수신된 각 RSSI 값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적어도 서로 다른 3개의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은 각 RSSI 값을 기반으로 삼각측량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체온 정보가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수신된 상기 체온 정보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대상자의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은, 회로 기판, 제1 자석 및 홈 형상의 끼움홈을 각각 구비한 본체; 및 제2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의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하는 고정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본체에 끼움 결합 시, 상기 제1 및 제2 자석 간에 인력 작용으로 상기 의류에 대한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대상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배치되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자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한 비콘과, 상기 실내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각각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콘은, 상기 RSSI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된 상기 RSSI 신호에 따른 수신신호강도(RSSI) 값에 대한 정보가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대상자의 응급 상황 알림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자석 고정형 부착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상자의 의류에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방향의 BLE 통신인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되 실제 위치 정보 파악을 위한 연산은 비콘이 아닌 단말에서 수행되므로, 비콘의 적은 소비 전력 구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저렴한 단가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자의 위치 정보 파악 시, 위성 GPS 통신을 이용하지 않고 실내 공간에 배치된 송신기의 RSSI 신호를 이용하므로, 외부 전자파가 차단된 실내에서도 해당 위치 정보의 파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이 대상자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므로,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한 대상자의 낙상 외에도 대상자의 체온을 모니터링하여, 대상자의 응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RSSI 송신기(40)가 배치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동작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체(100)와 고정부(200) 간의 분리 상태의 비콘(10)을 나타낸다.
도 5는 본체(100)와 고정부(200) 간의 끼움 결합된 상태의 비콘(10)을 나타낸다.
도 6은 비콘(1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비콘(10)의 회로 기판(120)에서 신호 처리를 위한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RSSI 송신기(40)가 배치된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동작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환자 등의 대상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간편하게 파악하여 알리는 시스템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10), 제1 단말(20), 제2 단말(30) 및 RSSI 송신기(40)를 포함한다.
먼저, RSSI 송신기(이하, “송신기”라 지칭함)(40)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이다. 이때, RSSI 신호는 수신신호강도(RSSI)를 파악하기 위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즉, 전파)이며, 그 주파수 대역 종류 및 세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RSSI 신호를 수신하는 측에서는 해당 RSSI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대상자에 대한 위치 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해당 연산은 연산량이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송신기(40)로부터 RSSI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10)의 연산 부담을 줄이도록 구성된다. 즉, 비콘(10)은 해당 연산을 수행하지 않고, 단지 해당 RSSI 신호에 따른 RSSI 값만을 제1 단말(20)로 전달하며, 이후 제1 단말(20)에서 해당 연산을 수행한다. 이때, RSSI 값은 RSSI 신호(즉, 수신 전파 신호)에 대한 세기이다. 예를 들어, RSSI 값은 수신 전력(단위: dBm)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체(100)와 고정부(200) 간의 분리 상태의 비콘(10)을 나타내고, 도 5는 본체(100)와 고정부(200) 간의 끼움 결합된 상태의 비콘(10)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비콘(1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비콘(Beacon)(10)은 고유 식별자정보(ID)를 포함한 비콘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로서, 자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하다. 특히, 비콘(10)은 BLE를 이용하여 주변에 있는 제1 단말(20)에게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비콘(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100)에 끼움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즉, 본체(100)와 고정부(200)의 사이에 의류의 일부분(예를 들어, 바지 춤 등)이 위치한 상태에서, 본체(100)에 고정부(200)가 끼움 결합함으로써, 비콘(10)이 대상자의 의류에 부착될 수 있다. 반면, 비콘(10)이 대상자의 의료에 부착된 상태에서, 해당 끼움 결합을 해제하면 비콘(10)이 대상자의 의류에서 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하부 하우징(110), 회로 기판(120), 상부 하우징(130) 및 제1 자석(140)을 포함한다.
하부 및 상부 하우징(110, 130)은 회로 기판(120)과 제1 자석(140)을 하우징(housing)하는 케이스이다. 즉, 하부 하우징(110)에 마련된 수용 공간(111)에 회로 기판(120)이 안착되며, 상부 하우징(130)이 안착된 회로 기판(120)을 상을 덮도록 마련된다. 물론, 하부 및 상부 하우징(110, 130)에는 회로 기판(120)의 일부 구성, 가령 충전용 포트(122) 및 발광부(123) 등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홀(112, 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30)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 끼움홈(131) 및 제1 자석용 홈(13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끼움홈(131)은 고정부(200)가 끼움 결합되는 부위로서, 상부 하우징(130)의 상측에 마련된다. 또한, 제1 자석용 홈(132)은 제1 자석(140)이 안착되는 부위로서, 상부 하우징(130)의 하측에 마련된다.
또한, 고정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칩(210)과 제2 자석(220)을 포함합니다.
고정칩(210)은 본체(100)의 끼움홈(131)에 끼움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고정칩(210)은 끼움홈(13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특히 그 상측에 형성된 홈 형상의 제2 자석용 홈(211) 또는 그 내부 공간에 제2 자석(220)이 안착된다. 즉, 고정칩(210)은 대상자의 의류를 사이에 두고 끼움홈(1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끼울 결합 시, 제1 및 제2 자석(140, 220) 간에 인력 작용으로 해당 의류에 대한 고정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자석(140, 220)는 각 홈(132, 211)에 고정 설치되므로, 이러한 고정력을 안전히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비콘(10)의 회로 기판(120)에서 신호 처리를 위한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한편, 회로 기판(120)은 다양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가령, IC칩, 회로 선로 등)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특히, 회로 기판(120)은 발광부(121), 충전용 포트(122), 측정부(123), 통신부(124), 메모리(125) 및 제어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20)은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용 포트(122)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포트이다. 가령, 직류 전류를 인가하는 충전 단자가 충전용 포트(122)에 연결되면, 해당 전류에 따라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측정부(123)는 발광부(121)를 통해 송수신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한다. 가령, 체온 측정은 기 설정된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124)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송신기(40)에서 수신된 RSSI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BLE를 이용하여 제1 단말(20)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비콘 신호는 송신기(40)에서 수신된 RSSI 신호에 따른 RSSI 값에 대한 정보와,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5)는 비콘(100)의 신호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메모리(125)는 제어부(126)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26)는 비콘(100)의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processor)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26)는 비콘(100)의 회로 기판(120)의 나머지 구성, 즉 발광부(121), 충전용 포트(122), 측정부(123), 통신부(124)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6)는 송신기(40)로부터 수신부에 수신된 RSSI 신호에 따른 수신신호강도(RSSI) 값의 도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6)는 비콘 신호가 도출된 RSSI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비콘 신호가 송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26)는 측정부(123)가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6)는 측정부(123)에서 측정된 대상자에 대한 체온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비콘 신호가 송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제1 단말(20)은 비콘(10)으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고유식별자정보(ID)를 확인하여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10)을 특정하며, 해당 비콘 신호에 포함된 RSSI 값에 대한 정보 또는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응급 상황 여부를 판단한다. 가령, 응급 상황은 대상자의 낙상 발생 상황, 또는 대상자가 비정상적인 체온(고열 등)인 상황 등일 수 있다.
즉, 제1 단말(20)은 비콘(10)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 내의 RSSI 값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자와 송신기(40) 간의 물리적인 거리(즉,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송신기(40)는 복수개(40-1, ... 40-n)(단, n은 2이상의 자연수)가 병실 내부 등의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데, 해당 실내 공간에서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내 공간에서 서로 다른 3개의 면(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에 해당하는 3개의 면)에 적어도 하나씩 송신기(40-1, 40-2, 40-m)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면에서 송출된 각 RSSI 신호에 따른 RSSI 값에 대해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면,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비콘(10)의 연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콘(10)은 단지 각 RSSI 신호에 따른 RSSI 값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10)로 전송한다. 이후, 제1 단말(10)에서는 수신한 해당 RSSI 값을 기반으로 삼각 측량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대상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대상자가 일정 시간 내에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 변동이 있는 경우, 대상자가 낙상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실내 공간의 z축에 해당하는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40-3)가 배치되는게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대상자가 낙상하는 경우, 대상자가 해당 바닥면으로 급격하게 위치 변동하므로, 바닥면의 송신기(40-3)에서 송출되는 RSSI 신호에 따른 RSSI 값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즉 제1 단말(10)에서는 이러한 급격한 RSSI 값의 변동을 파악함으로써 대상자의 낙상을 보다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20)은 비콘(10)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 내의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자가 현재 정상적인 범위의 체온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20)은 대상자의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로서, 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이거나, 해당 실내 공간 내에 배치된 단말일 수 있다.
만일, 비콘 신호 내의 RSSI 값에 대한 정보 또는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1 단말(20)은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2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30)은 실내 공간 외에 있는 전자 장치로서, 의료인 또는 보호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말(20, 30)은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또는 휴대폰(mobile pho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대상자의 응급 상황 알림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자석 고정형 부착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상자의 의류에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방향의 BLE 통신인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되 실제 위치 정보 파악을 위한 연산은 비콘이 아닌 단말에서 수행되므로, 비콘의 적은 소비 전력 구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저렴한 단가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자의 위치 정보 파악 시, 위성 GPS 통신을 이용하지 않고 실내 공간에 배치된 송신기의 RSSI 신호를 이용하므로, 외부 전자파가 차단된 실내에서도 해당 위치 정보의 파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이 대상자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므로,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한 대상자의 낙상 외에도 대상자의 체온을 모니터링하여, 대상자의 응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시스템 10: 비콘
20: 제1 단말 30: 제2 단말
40: 송신기 100: 본체
110: 하부 하우징 111: 수용 공간
112, 133: 홀 120: 회로 기판
121: 충전용 포트 122: 발광부
123: 측정부 124: 통신부
125: 메모리 126: 제어부
130: 상부 하우징 131: 끼움홈
132, 211: 자석용 홈 140: 제1 자석
200: 고정부 210: 고정칩
220: 제2 자석

Claims (9)

  1. 자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한 비콘으로서,
    대상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배치된 송신기로부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비콘 신호를 상기 실내 공간 내의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된 상기 RSSI 신호에 따른 수신신호강도(RSSI) 값에 대한 정보가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복수개가 상기 실내 공간에서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되 상기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비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된 각 RSSI 값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비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적어도 서로 다른 3개의 면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은 각 RSSI 값을 기반으로 삼각측량법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상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비콘.
  5. 제1항에 있어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체온 정보가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비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수신된 상기 체온 정보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비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대상자의 단말인 비콘.
  8. 회로 기판, 제1 자석 및 홈 형상의 끼움홈을 각각 구비한 본체; 및
    제2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의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하는 고정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본체에 끼움 결합 시, 상기 제1 및 제2 자석 간에 인력 작용으로 상기 의류에 대한 고정력이 증가하는 비콘.
  9. 대상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에 배치되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자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한 비콘과, 상기 실내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을 각각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콘은,
    상기 RSSI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된 상기 RSSI 신호에 따른 수신신호강도(RSSI) 값에 대한 정보가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00180908A 2020-12-22 2020-12-22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 KR20220090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08A KR20220090074A (ko) 2020-12-22 2020-12-22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08A KR20220090074A (ko) 2020-12-22 2020-12-22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074A true KR20220090074A (ko) 2022-06-29

Family

ID=8227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908A KR20220090074A (ko) 2020-12-22 2020-12-22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00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922B1 (ko) 2022-12-02 2023-02-23 주식회사 엔키텍 비상 상황 알람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260A (ko) 2018-12-05 2020-06-15 (주)에프에스알엔티 환자 및 의료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260A (ko) 2018-12-05 2020-06-15 (주)에프에스알엔티 환자 및 의료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922B1 (ko) 2022-12-02 2023-02-23 주식회사 엔키텍 비상 상황 알람 및 모니터링 방법, 장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869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wireless power using receiver device sensor inputs
US10262515B2 (en) Tracking system
US20140152442A1 (en) Wireless bedwetting alarm and disposable diaper product
KR20170084253A (ko) 전자 디바이스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US10089846B2 (en) Monitoring device
US10992025B2 (en) Antenna with extended range
KR101764816B1 (ko)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KR101545212B1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4361B1 (ko) 멀티 센싱이 가능한 패치형 센서모듈
KR20200052611A (ko)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393662A (zh) 基于uwb的养老院用智能胸牌
KR20220090074A (ko) 응급 상황 알림용 비콘 및 시스템
KR20160005977A (ko) 체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온 측정 방법
EP3433796B1 (en) Wearable device and system
FI120989B (fi) RF-tekniikalla toteutettava alueiden tunnistaminen ja rajaus
KR20160045429A (ko) 반려동물을 위한 이동식 측정 장치
US10463258B2 (en) Controlling measurement of one or more vital signs of a living subject
KR20160044779A (ko) 단말의 협력 센싱 방법 및 협력 센싱을 수행하는 단말
KR20180135673A (ko) 패치형 센서모듈
US1155385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occurrence of hypotension
US20220216739A1 (en) Power feed system
RU2760564C1 (ru) Мобильное носимое устройство гео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CN206745363U (zh) 智能皮带
TW202027435A (zh) 數位無線電警示系統
CN114614523A (zh) 充电方法、充电底座、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