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589A -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589A
KR20220089589A KR1020200180360A KR20200180360A KR20220089589A KR 20220089589 A KR20220089589 A KR 20220089589A KR 1020200180360 A KR1020200180360 A KR 1020200180360A KR 20200180360 A KR20200180360 A KR 20200180360A KR 20220089589 A KR20220089589 A KR 20220089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film attachment
jig
electronic device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712B1 (ko
Inventor
곽동근
송인용
김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8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7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layers or sheathings having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 B29C66/7232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consisting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B29C66/72321 - B29C66/72322
    • B29C66/72326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29C66/8362Rollers, cylinders or drums 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2063/027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applied by a squeeg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가 구비된 필름부착부; UV 살균기 및 지그; 필름부착부를 가압 시가 아니면 필름부착부를 항상 준비위치로 올라가게 하는 수직볼베어링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전자기기(T) 및 보호필름(F)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감염원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전자기기들을 사용할 수가 있고,
곡면진 코너를 포함하는 다양한 크기의 글라스 표면에 보호필름 부착 시 글라스 표면의 기포발생을 방지하면서 기밀하며,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보호필름의 적절한 부위에 적절한 동작과 힘을 주어 더욱 용이하고 편리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STERILIZATION PROTECTIVE FILM ATTACHMEN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에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부착시키고, 보호필름 및 전자기기의 전후면을 살균하여 유해한 병원균들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의 전자기기는 화면을 나타내는 글라스 표면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을 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보호필름은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된 후지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고, 대부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보호필름을 후지로부터 떼어내어 대상물인 전자기기의 글라스 표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보호필름을 수작업으로 대상물에 부착하게 되면 아무리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그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고, 보호필름을 정확한 위치에 균일하게 부착하지 못하게 되어 불량이 다량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양측 코너에 곡면이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글라스를 채용하는 전자기기가 증가함에 따라 작업자가 글라스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 시 기포 등의 불량이 더욱 쉽게 발생되며, 기밀하게 부착되지 못하게 되고, 달라진 크기의 글라스의 보호필름 부착을 위하여 매번 글라스의 크기에 맞는 로울러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된 휴대폰의 빈번한 조작으로 휴대폰의 표면에 존재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병원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650호 (공고일자: 2014년 12월 23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가 구비된 필름부착부, 수직 볼베어링 및 스프링, 지그를 이용하여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크기의 글라스 표면에 보호필름을 기밀하고 신속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상부선반부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전면 UV 살균기; 하우징 상부선반부의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는 후면 UV 살균기; 하우징의 상부선반에 고정설치되어 보호필름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1고정부; 제1고정부의 일측에 분리되어 제1가이드 면과 제2가이드 면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지그; 지그를 중심으로 제1고정부의 반대편 일측 및 하우징의 일측에 지그와 분리 설치되어 보호필름의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탄성지게 지지될 수 있는 그리퍼; 하우징에 지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호필름을 전자기기의 글라스 표면에 가압하여 부착시킬 수 있는 필름부착부; 하우징의 상부선반에는 지그의 양측에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 필름부착부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일정 길이의 관통구; 및 필름부착부를 가압 시가 아니면 필름부착부를 항상 준비위치로 올라가게 하는 수직볼베어링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있어 전면 UV 살균기의 전면에는 전자기기의 상면 및 보호필름에 UV-C광선을 발하는 다수의 UV-C LED; 전면 UV 살균기의 일측면에는 샤프트에 의하여 힌지와 연결되는 전면 UV 살균기 지지부가 형성된 전자장치커버; 하우징의 상판 일측면에는 힌지가 형성된 전면 UV 살균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있어 지그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의 화면에 보호필름 부착 및 필요 시에 전자기기의 후면에 UV-C 광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몸체의 중앙에 하나 또는 복수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있어 필름부착부는 상단연결바 하단 양단에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 상단연결바 하단 중앙 측면부에는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자성체를 접착시키는 접착부; 중간연결바아에는 하단연결바아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기이드샤프트;와 수직볼베어링 및 스프링을 가이드하는 상하플레이트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있어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는 양단에 가이드홈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돌출부;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의 일측면에는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를 자력에 의하여 필름부착부의 접착부에 부착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있어 전자장치커버의 내부에는 UC-C LED CHIP 및 LAMP 등 전기장치 및 기타 전선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의하면,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를 구비한 필름부착부, 수직 볼베어링 및 스프링, UV 살균기 및 지그를 이용하므로써, 코로나 19 및 여러 가지 병원균인 감염원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항상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고, 곡면진 코너를 포함하는 다양한 크기의 글라스 표면에 보호필름 부착시 글라스 표면의 기포발생을 방지하면서 기밀하고 신속하며,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 UV 살균기를 닫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전면 UV 살균기를 열어 보호필름을 전자기기에 부착하는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2의 지그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1,2의 후면 UV 살균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의 탈부착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7은 도5의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의 앞,뒤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1,2의 필름부착부의 구성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 UV 살균기를 닫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전면 UV 살균기를 열어 보호필름을 전자기기에 부착하는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2의 지그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1,2의 후면 UV 살균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의 탈부착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7은 도5의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의 앞,뒤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1,2의 필름부착부의 구성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다.
다만, 도면들에서는 하우징(5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후술할 일측의 측부판넬만 남기고 도시 생략된 바와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전자기기(T)가 안착되는 지그(10); 제1고정부(20); 그리퍼(30); UV 살균기(40, 90); 하우징(50); 필름부착부(60);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 레일(8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T)는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을 아우르며, 양측으로 곡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용 글라스(G)가 일면에 형성된다. 글라스(G)의 곡면은 코너를 각각 형성하여 글라스(G)의 평면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지그(10)에는 전자기기(T)의 글라스(G)가 상측을 보도록 안착된다.
지그(10)에 글라스(G)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전자기기(T)의 하부를 진공 흡착하는 방법 또는 전자기기(T)의 측면을 클램핑하는 방법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호필름(F)의 양단에는 제1고정부(20)가 관통될 수 있는 제1홀(부호 생략)과, 그리퍼(30)의 제2고정부(부호생략)가 관통될 수 있는 제2홀(부호 생략)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50)은 지그(10)가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상부선반(51)과, 상부선반(51)의 각 테두리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되는 두 쌍의 측부판넬(부호생략)과, 두 쌍의 측부판넬(생략)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판넬(부호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5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정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하우징(50)의 상부선반(51)의 중앙에는 지그의 몸체에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 홈(13)을 통하여 전자기기(T)의 후면에 UV-C 광선을 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후면 UV 살균기(90)가 설치되고, 또한 지그(10)의 양측에 지그(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관통구(52)가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필름부착부(60)의 한 쌍의 기립바아(63)가 이를 통과하여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그(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0)와 그리퍼(30)와 각각 분리되게 설치되어 스마트폰, 테블릿PC 등 전자기기(T)의 크기에 따른 지그(10) 교체 시, 지그(10)만 교체하여 그에 따른 비용절감 및 제1고정부(20)와 그리퍼(30)의 제2고정부(부호생략)의 평행을 잡기 위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어, 편리함과 경제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지그(10)는 지그(10)의 몸체 가운데 후면 UV 살균기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홈(13)을 형성하여 스마트폰, 테블릿PC 등 전자기기(T)의 보호필름 부착 및 필요 시에 후면 UV 살균기(90)를 작동하여 스마트폰, 테블릿PC 등 전자기기(T)의 후면을 살균처리하여 사용하므로써 코로나 19,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감염원으로부터 항상 자유로울 수 있다.
더불어, 현대인의 하루 평균 스마트 폰 터치 횟수는 2600번이라고 할만큼 빈번하다.
그리고,‘코로나19’바이러스와 같은 종류인 사스 바이러스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재질인 유리에 붙으면 최장 96시간동안 지속 된다.
이러한, 병원균들을 살균하기 위하여 UV 살균기(40,90)를 사용하는데,
자외선에는 UV-A, UV-B, UV-C가 있고, 이중 살균은 100∼280 nm 파장 영역을 가지는 UV-C 자외선으로서 가장 안정적이고 강력한 차세대 살균 방법으로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 살균에 효과적이고, 열권과 중간권에서 대부분 흡수된다. 특히, 파장에 속하는 UV-C는 미생물과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DNA배열구조를 파괴하고 불활성화시켜 살균 및 멸균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 UV 살균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UV 살균기 지지부(43)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전면 UV 살균기 지지부(43)는 샤프트(46)에 의하여 힌지(44)와 연결되어 샤프트(46)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힌지(44)는 하우징(50)의 상부선반(51) 일측면에 설치되는 전면 UV 살균기 브라켓(45)에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면 UV 살균기(40)는 샤프트(4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보호필름(F) 부착 준비상태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열고, 보호필름(F) 부착 후에 전자기기(T)를 살균하고자 할 때는 도 1과 같이 닫고 스마트폰, 테블릿PC 등 전자기기(T)의 전면 및 부착되는 보호필름 전면에 UV-C 광선을 발하여 물체 표면에 빛을 골고루 닿게 함으로써 살균력을 높여준다. 이때, 전자기기(T)의 밑에서는 상부선반(51)에 설치된 후면 UV 살균기(90)로부터 UV-C 광선을 발하여 전자기기(T)의 후면을 동시에 살균하여 주므로써, 전자기기(T)에 대한 살균효과를 더욱 높여준다.
한편, 필름부착부(60)는 하우징(50)에 지지되고 지그(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호필름(F)을 전자기기(T)의 글라스(G) 표면에 가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필름부착부(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하우징(50)의 관통구(52)를 통해 기립되는 한 쌍의 기립바아(63)와, 한쌍의 기립바아(63)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연결바아(62)와, 기립바아(63)의 상단을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상단연결바아(61)와, 상단연결바아(61)의 하부 일측에 상단연결바아(61)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와,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의 하부 일측 내부에 양단이 지지 설치되고 보호필름(F)의 상면을 가압시킬 수 있는 제1로울러(73)와,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의 하부 타측 내부에 양단이 지지설치되고 양측이 보호필름(F)의 상면 가장자리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외경이 곡면 형상으로 확장된 제2로울러(74)와, 상단연결바아(61)의 하부 일측 전면부 양측에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의 돌출부(72)가 가이드 되는 가이드홈(65)이 양측에 구비되고, 상단연결바아(61)의 하부 타측 내면에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 탈착 시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의 몸체에 형성된 자성체(M)와 맞닿는 접착부(64)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필름부착부(60)는 상부선반(51)의 하부에 지그(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80)과, 각 레일(8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이동체(81)와, 한 쌍의 이동체(81)에 일체로 고정되는 중간바아(87)와, 중간바아(87)와 하단연결바아(62) 사이에 설치되어 하단연결바아(62)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사프트(86)와, 후술하는 수직 볼베어링(84)을 상하로 가이드하는 상하플레이트사프트(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이동체(81)는 그 양측이 레일(80)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수직 볼베어링(84)은 하단연결바아(6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상단이 중간바아(87)에 고정되고 하부는 수직 볼베어링(84)에 삽입되는 상하플레이트사프트(85)와, 상하플레이트사프트(85)의 외주에 설치되어 중간바아(87)와 하단연결바아(62) 사이에 개재되고 수직 볼베어링(84)내에 위치하고 상하플레이트사프트(85) 끝단부의 고정와셔(83)에 의해 고정된 스프링(82)으로 이루어져, 수직 볼베어링(84)내에 위치하는 스프링(82)의 작용에 의하여 필름부착부(60)는 항상 준비위치인 일정 높이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전면 UV 살균기(40)를 회전시켜 열고 지그(10)의 상면에 전자기기(T)의 글라스(G)가 상측을 보도록 전자기기(T)를 안착시킨 후, 전자기기(T)에 부착할 보호필름(F)의 일측 및 타측을 제1고정부(20)와 그리퍼(30)에 각각 결합시켜 고정하고,그리퍼(30)의 일측에 설치된 필름커버(31)를 덮는다.
이후 필름부착부(60)의 하단연결바(6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수직 볼베어링(84)내에 위치하는 스프링(82)의 작용으로 전체적으로 일정높이의 준비위치로 들어 올려진 필름부착부(60)를 필름부착 시작위치로 이동시킨 후 아래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하우징(50)의 관통구(52) 끝단으로 필름 부착이 완료되기까지 이동시켜 준다.
계속해서 필름부착부(60)를 지그(10)의 종단부 제2가이드면(12)까지 이동을 하여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필름부착부(60)는 상승한다.
필름부착부(60)를 준비위치로 이동시킨 후 필름누름 커버(31)를 열고 보호필름(F)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 전면 UV 살균기(40)를 닫고 이어서,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ON하면 UV 살균기(40,90)에서 UV-C 전자파를 발생하여 전자기기(T) 전후면과 보호필름(F)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전자기기(T)는 지그(10)로부터 분리하므로써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글라스(G) 표면에 보호필름(F)을 균일하게 부착하면서 동시에 전자기기(T)의 전후면을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전자기기(T)의 화면크기에 따라 부착코자하는 보호필름(F)의 폭이 달라지면, 보호필름(F)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1로울러(73)와 제2로울러(74)의 크기도 달라진다. 이때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의 원터치부(71)를 누르면 필름부착부(60)의 상단연결바아(61)의 하부 타측 내면에 형성된 접착부(64)와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의 몸체에 형성된 자성체(M)와의 자력에 의해 필름부착부(60)의 상단연결바아(61)에 부착되었던 제1,2로울러(73, 74)를 내부에 포함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70)를 필름부착부(60)의 상단연결바아(61)로부터 쉽고 효과적으로 이탈시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의하면, 전자기기(T) 및 보호필름(F)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감염원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고, 곡면진 코너를 포함하는 글라스 표면에 보호필름 부착 시 글라스 표면의 기포발생을 방지하면서 기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보호필름(F)을 부착코자하는 다양한 전자기기(T)의 화면크기에 따라 글라스 크기에 맞는 로울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하여 보호필름(F)을 글라스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보호필름(F)을 전자기기(T)에 부착한 후에 보호필름(F)을 고정부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수동으로 작동하여 보호필름(F)의 적절한 부위에 적절한 동작과 힘을 주어 보호필름(F) 부착 시 더욱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지그
11: 제1가이드면
20: 제1고정부
30: 그리퍼
31: 필름누름 커버
40: 전면 UV 살균기
41: UV-C LED
50: 하우징
60: 필름부착부
61: 상단연결바
62: 하단연결바
70: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
71 : 원터치부
80: 레일
81: 이동체
84: 수직 볼베어링
82,83: 스프링 및 와셔
90: 후면 UV 살균기
F: 보호필름
M: 자성체
T: 전자기기
G: 글라스

Claims (4)

  1. 곡면진 코너가 형성된 전자기기의 글라스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는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선반부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전면 UV 살균기;
    상기 하우징 상부선반부의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는 후면 UV 살균기;
    상기 하우징의 상부선반에 고정설치되어 보호필름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1고정부;
    제1고정부의 일측에 분리되어 제1가이드 면과 제2가이드 면을 구비한 전자기기가 안착되는 지그;
    상기 지그를 중심으로 상기 제1고정부의 반대편 일측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지그와 분리 설치되어 상기 보호필름의 타측이 상하방향으로 탄성지게 지지될 수 있는 그리퍼;
    상기 하우징에 상기 지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호필름을 상기 전자기기의 글라스 표면에 가압하여 부착시킬 수 있는 필름부착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선반에는 상기 지그의 양측에 상기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필름부착부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일정 길이의 관통구; 및
    상기 필름부착부를 가압 시가 아니면 상기 필름부착부를 항상 준비위치로 올라가게 하는 수직볼베어링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UV 살균기의 전면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면 및 보호필름에 UV-C광선을 발하는 다수의 UV-C LED;
    상기 전면 UV 살균기의 일측면에는 샤프트에 의하여 힌지와 연결되는 전면 UV 살균기 지지부가 형성된 전자장치커버;
    상기 하우징의 상판 일측면에는 상기 힌지가 형성된 전면 UV 살균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의 화면에 보호필름 부착 및 필요 시에 전자기기의 후면에 UV-C 광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몸체의 중앙에 하나 또는 복수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착부는
    상단연결바 하단 양단에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
    상기 상단연결바 하단 중앙 측면부에는 상기 원터치 탈부착식 로울러 유니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자성체를 접착시키는 접착부;
    중간연결바아에는 하단연결바아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기이드샤프트;와
    수직볼베어링 및 스프링을 가이드하는 상하플레이트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0200180360A 2020-12-21 2020-12-21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41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360A KR102416712B1 (ko) 2020-12-21 2020-12-21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360A KR102416712B1 (ko) 2020-12-21 2020-12-21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89A true KR20220089589A (ko) 2022-06-28
KR102416712B1 KR102416712B1 (ko) 2022-07-05

Family

ID=8226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360A KR102416712B1 (ko) 2020-12-21 2020-12-21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7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50B1 (ko) 2014-01-14 2014-12-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정 필름 부착기
KR101702313B1 (ko) * 2016-08-23 2017-02-06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하측 uv조사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용 라미네이팅 장치
KR101978166B1 (ko) * 2018-12-24 2019-05-14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190103830A (ko) * 2018-02-28 2019-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50B1 (ko) 2014-01-14 2014-12-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정 필름 부착기
KR101702313B1 (ko) * 2016-08-23 2017-02-06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하측 uv조사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용 라미네이팅 장치
KR20190103830A (ko) * 2018-02-28 2019-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1978166B1 (ko) * 2018-12-24 2019-05-14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712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166B1 (ko) 보호필름 부착장치
EP2450626A3 (en) Surface light source assembly
KR20160030650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살균 장치
AR039520A1 (es) Equipo para transportar y almacenar piezas alargadas
DE112014001301T5 (de) Ladegerät für Mobiltelefone mit Ultraviolett-LED zur Sterilisation
ATE349132T1 (de) Kompaktes anzeigemodul
KR102416712B1 (ko)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CN104089202B (zh) 一种杀菌照明装置
KR102233129B1 (ko) 자외선 살균 모듈이 구비된 가구
CN111416899A (zh) 一种具有防疫功能的消毒装置
DE602005026402D1 (de) Leuchtenvorrichtung
ES2108038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 corte de laminas de material plastico.
CN210078358U (zh) 一种可对板状智能设备进行消毒的装置
CN203904355U (zh) 小型可移动荧光观察室
CN109911596B (zh) 吸取搬运装置
CN203329076U (zh) 一种用于洁净手术室的新型消毒装置
KR102322655B1 (ko) 스마트 에스컬레이터 핸드 레일 살균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CN219243836U (zh) 一种新型非对称离子空气消毒杀菌处理装置
CN111494663A (zh) 一种便携式智能消毒盒及其使用方法
CN114715601B (zh) 一种带有消毒杀菌功能的输送带
EP1921489A3 (en) Portable display device
CN205608632U (zh) 电子通讯记录储存展示发布系统
WO2019079983A1 (zh) 表面消毒杀菌装置
CN215706583U (zh) 一种磁吸附的实验用置物小车
KR20210060752A (ko) 스마트 에스컬레이터 핸드 레일 살균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