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650B1 - 액정 필름 부착기 - Google Patents

액정 필름 부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650B1
KR101475650B1 KR1020140004484A KR20140004484A KR101475650B1 KR 101475650 B1 KR101475650 B1 KR 101475650B1 KR 1020140004484 A KR1020140004484 A KR 1020140004484A KR 20140004484 A KR20140004484 A KR 20140004484A KR 101475650 B1 KR101475650 B1 KR 10147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crystal film
roller unit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상
최웅걸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layers or sheathings having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이형지가 부착된 액정 필름이 삽입되는 투입구와, 투입된 액정 필름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 본체의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액정 필름의 타면을 접촉 지지하는 필름롤러부, 필름롤러부의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본체의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이형지를 권취하는 이형지롤러부 및 필름롤러부와 이형지롤러부를 서로 연결하여, 필름롤러부의 회전력을 이형지롤러부로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액정 필름을 필름롤러부로 휴대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압하면서 필름롤러부를 회전 이동시키면, 액정 필름은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고 이형지는 이형지롤러부에 의하여 액정 필름으로부터 떼어지면서 이동 배출되는 액정 필름 부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액정 필름 부착 시 기포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기포로 인한 가시성의 악영향이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UI의 방해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법이 간단하여 숙련자가 아니어도 액정 필름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고, 필름롤러부로 액정 필름을 눌러가면서 단번에 부착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액정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필름 부착기 {Apparatus for adhering of liquidcrystal display film}
본 발명은 액정 필름 부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필름을 휴대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기포 없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액정 필름 부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통신기기인 모바일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널리 보급 및 애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PC의 유행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UI(User interface)가 보편화됨에 따라 상기한 디스플레이부의 파손 또는 스크래치(Scratch)를 방지하기 위한 액정 보호필름을 부착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액정 보호필름은, 사용자가 모바일폰에 부착하는 데 있어서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착할 시 디스플레이부 표면에 기포가 생성되면서 가시성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UI를 방해할 수 도 있어, 액정 보호필름을 올바른 위치에 기포 없이 깨끗하게 부착하는 것은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라면 매우 어려웠다.
이에 상기한 액정 보호필름을 숙련자의 도움 없이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액정 필름 부착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8861호에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보호필름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턱이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붙지 않고 이격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보호필름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보호필름 부착용 모듈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액정 필름 부착기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액정 필름을 부착 시 사용자가 가압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생길수도 있어, 사용자가 기포 없이 용이하게 액정 필름을 부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액정 필름을 기포 등이 생기지 않게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액정 필름 부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면에 이형지가 부착된 액정 필름이 삽입되는 투입구와, 투입된 상기 액정 필름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상기 액정 필름의 타면을 접촉 지지하는 필름롤러부; 상기 필름롤러부의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이형지를 권취하는 이형지롤러부; 및 상기 필름롤러부와 상기 이형지롤러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필름롤러부의 회전력을 상기 이형지롤러부로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액정 필름을 상기 필름롤러부로 휴대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압하면서 상기 필름롤러부를 회전 이동시키면, 상기 액정 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고 상기 이형지는 상기 이형지롤러부에 의하여 상기 액정 필름으로부터 떼어지면서 이동 배출되는 액정 필름 부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롤러부와, 상기 이형지롤러부는, 동일한 각속도에 대하여 동일한 원주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롤러부는, 상기 액정 필름을 탄력적으로 접촉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형지롤러부는, 그 사이로 상기 이형지가 끼워져 회전에 따라 이형지가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이형지롤러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이형지롤러는, 상기 이형지롤러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필름 부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액정 필름 부착 시 기포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기포로 인한 가시성의 악영향이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UI의 방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사용법이 간단하여 숙련자가 아니어도 액정 필름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셋째, 필름롤러부를 통하여 액정 필름을 눌러가면서 단번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액정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넷째, 액정 필름을 누르는 필름롤러부가 탄성재질이기 때문에 부착 시 스크래치와 같은 액정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액정 필름 부착 시 이형지롤러부를 통하여 이형지를 자동적으로 떼어져 분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
여섯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 부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필름 부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필름 부착기의 본체에 형성된 투입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액정 필름 부착기의 본체에 형성된 배출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액정 필름 부착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 부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정 필름 부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액정 필름 부착기의 본체에 형성된 투입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액정 필름 부착기의 본체에 형성된 배출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액정 필름 부착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필름 부착기(500)는, 본체(100)와, 필름롤러부(200)와, 이형지롤러부(300)와, 연결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일측면에 이형지(20)가 부착된 액정 필름(10)이 삽입되는 투입구(110)와, 하면 일측으로 투입된 상기 액정 필름(10)이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투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를 서로 연통하여 상기 액정 필름(1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110)는 상기 액정 필름(10)의 종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대략 폭이 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액정 필름(10)과 상기 이형지(20)가 분리되어 각각이 상기 필름롤러부(200)와 상기 이형지롤러부(300)에 권취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과공간은 상기 액정 필름(10)의 이동이 원활하고 내부에서 상기 액정 필름(10)의 들뜸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폭이 비교적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상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50)는 사용자가 상기 필름롤러부(200)를 따라 상기 본체(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절곡된 봉 형상인 것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필름롤러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의 배출구(120)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배출되는 상기 액정 필름(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액정 필름(10) 부착 시 상기 액정 필름(10)의 타면을 접촉 지지한다.
상세하게, 상기 필름롤러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 양단부에 돌출된 결합부(130)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된 제1회전축(201)과, 상기 제1회전축(201)과 결합하여 상기 제1회전축(201)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필름롤러(2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201)은 양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400)가 연결될 수 있는 제1끼움부(20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롤러부(200)는, 상기 액정 필름(10)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액정 필름(10)을 탄력적으로 접촉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액정 필름(10)과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탄성재질은 취급이 용이한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고무재질 외에 실리콘 재질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형지롤러부(300)는, 상기 필름롤러부(200)의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배출구(120)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이형지(20)를 이동 배출시킨다.
상세하게, 상기 이형지롤러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한 상의 롤러결합부(330)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어 그 사이로 상기 이형지(20)가 끼워져, 회전에 따라 상기 이형지(20)가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이형지롤러(310,320)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이형지롤러(310,320)는 양단부가 상기 롤러결합부(330)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된 제2회전축(311)과 상기 제3회전축(3321)에 각각 결합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311)과 상기 제3회전축(3321) 중 어느 하나는 양단부에 상기 연결부재(400)가 연결될 수 있는 제2끼움부(312)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필름롤러부(200)와 근접한 상기 제2회전축(311)의 상기 제2끼움부(312)가 구비되는 것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제1끼움부(202)와 상기 제2끼움부(3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각각 대응되며 상기 연결부재(400)가 감겨 상기 연결부재(40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구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이형지롤러(310,320)는, 상기 이형지(20)와의 슬립을 방지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이형지(20)가 원활하게 이동 배출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필름롤러부(200)와, 상기 이형지롤러부(300)는, 동일한 각속도에 대하여 동일한 원주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착 시 부착되는 상기 액정 필름(10)이 부착되는 정도와 상기 액정 필름(10)으로부터 상기 이형지(20)가 떼어져 배출 되는 정도를 동일하게 하여 액정 필름(10)의 부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필름롤러부(200)와 상기 이형지롤러부(300)는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통형 롤러를 적용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기 제1회전축(201) 및 상기 제2회전축(311)의 지름과 필름롤러(210) 및 이형지롤러(310)의 지름 등의 설계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필름롤러부(200)와 상기 이형지롤러부(30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필름롤러부(200)의 회전력을 상기 이형지롤러부(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400)는 사용자가 상기 필름롤러부(200)를 회전이동 시키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형지롤러(310,320)도 회전하게 하여 상기 이형지(20)가 자동으로 액정 필름(10)으로부터 떼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400)는, 공지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밸트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정 필름 부착기(500)는, 부착하는 액정 필름(10)에 대하여 휴대통신기기(30)의 디스플레이부(31)에 부착되는 것을 적용예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휴대통신기(30)의 디스플레이부 외에 필름과 이형지가 부착된 다른 구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액정 필름 부착기(50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 필름 부착기(500)는, 사용자가 투입구(110)로 액정 필름(10)을 투입한 후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액정 필름(10)과 이형지(20)의 일측 일부분을 서로 떼어 분리시킨 후 상기 액정필름은 상기 필름롤러부(200)의 하측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이형지(20)는 상기 이형지롤러(310,320)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상기 필름롤러부(200)로 상기 액정 필름(10)의 접착제가 부착된 일면을 휴대통신기기(30)의 디스플레이부(31)에 접촉 가압하면서 상기 손잡이부(15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필름롤러부(20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형지롤러부(300)도 상기 연결부재(40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액정 필름(10)은 사용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31)에 부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형지(20)는 상기 이형지롤러부(300)에 잡아당겨 지면서 이동하여 상기 액정 필름(10)으로부터 자동으로 떼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액정 필름 부착기(500)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액정 필름(10)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정 필름(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필름롤러부(200)를 이동시켜 정확한 위치에 단번에 부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착 시 액정 필름(10)에 먼지 또는 지문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필름 부착기(500)는, 손상 없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하면서 부착하기 때문에 부착 시 공기기포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액정 필름 부착기(500)는, 부착 시 이형지(20)를 별도로 떼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상기 이형지롤러부(300)를 통하여 상기 이형지(20)가 자동으로 떼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게 액정 필름(10)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액정 필름 20... 이형지
30... 휴대통신기기 31... 디스플레이부
100... 본체 110... 투입구
120... 배출구 130... 결합부
150... 손잡이부 200... 필름롤러부
201... 제1회전축 202... 제1끼움부
210... 필름롤러 300... 이형지롤러부
310, 320... 이형지롤러 312... 제2끼움부
311.. 제2회전축 321... 제3회전축
330... 롤러결합부 400... 연결부재
500... 액정 필름 부착기

Claims (6)

  1. 일면에 이형지가 부착된 액정 필름이 삽입되는 투입구와, 투입된 상기 액정 필름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상기 액정 필름의 타면을 접촉 지지하는 필름롤러부;
    상기 필름롤러부의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이형지를 이동시키는 이형지롤러부; 및
    상기 필름롤러부와 상기 이형지롤러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필름롤러부의 회전력을 상기 이형지롤러부로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액정 필름을 상기 필름롤러부로 휴대통신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가압하면서 상기 필름롤러부를 회전 이동시키면, 상기 액정 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고 상기 이형지는 상기 이형지롤러부에 의하여 상기 액정 필름으로부터 떼어지면서 이동 배출되는 액정 필름 부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는 액정 필름 부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롤러부와, 상기 이형지롤러부는,
    동일한 각속도에 대하여 동일한 원주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액정 필름 부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롤러부는,
    상기 액정 필름을 탄력적으로 접촉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액정 필름 부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롤러부는,
    서로 대면하여 그 사이로 상기 이형지가 끼워져 회전에 따라 이형지가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이형지롤러들로 이루어진 액정 필름 부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롤러는,
    상기 이형지롤러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액정 필름 부착기.
KR1020140004484A 2014-01-14 2014-01-14 액정 필름 부착기 KR10147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84A KR101475650B1 (ko) 2014-01-14 2014-01-14 액정 필름 부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484A KR101475650B1 (ko) 2014-01-14 2014-01-14 액정 필름 부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650B1 true KR101475650B1 (ko) 2014-12-23

Family

ID=5267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484A KR101475650B1 (ko) 2014-01-14 2014-01-14 액정 필름 부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65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63B1 (ko) 2016-09-04 2017-12-14 (주)서원인텍 박막시트지 부착기용 테이프형 롤원단의 고효율 피딩장치
KR101978166B1 (ko) 2018-12-24 2019-05-14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015330B1 (ko) 2019-05-05 2019-08-28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200004951A (ko)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200012070A (ko) 2018-07-26 2020-02-05 양원태 밀폐형 액정보호필름 부착기기
KR20210079124A (ko)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자동 및 반자동 보호필름 부착장치
JP2021529710A (ja) * 2018-11-14 2021-11-04 ジアンメン・イクアダー・エレクトロニ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離型層剥離方法
KR20220089589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436B1 (ko) * 2011-10-21 2012-01-10 박재영 디스플레이창 보호필름 부착도구
KR101135144B1 (ko) * 2011-10-18 2012-04-16 박광준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KR101252750B1 (ko) * 2012-08-03 2013-04-09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용 시트, 및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방법
KR20130083542A (ko) * 2012-01-13 2013-07-23 김승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부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44B1 (ko) * 2011-10-18 2012-04-16 박광준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KR101103436B1 (ko) * 2011-10-21 2012-01-10 박재영 디스플레이창 보호필름 부착도구
KR20130083542A (ko) * 2012-01-13 2013-07-23 김승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부착기
KR101252750B1 (ko) * 2012-08-03 2013-04-09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용 시트, 및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63B1 (ko) 2016-09-04 2017-12-14 (주)서원인텍 박막시트지 부착기용 테이프형 롤원단의 고효율 피딩장치
KR20200004951A (ko)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200012070A (ko) 2018-07-26 2020-02-05 양원태 밀폐형 액정보호필름 부착기기
JP2021529710A (ja) * 2018-11-14 2021-11-04 ジアンメン・イクアダー・エレクトロニ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離型層剥離方法
US11541632B2 (en) 2018-11-14 2023-01-03 Jiangmen Iguarder Electronic Co., Ltd.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peeling release layer thereof
KR101978166B1 (ko) 2018-12-24 2019-05-14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015330B1 (ko) 2019-05-05 2019-08-28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210079124A (ko)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자동 및 반자동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220024230A (ko) 2019-12-19 2022-03-03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자동 및 반자동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220089589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디엠티솔루션 Uv 살균 보호필름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650B1 (ko) 액정 필름 부착기
US11357143B2 (en)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0399315B2 (en)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10710294B1 (en) Screen protector installation machine
JP6159451B1 (ja) 保護フィルム貼着用器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保護フィルムの貼着方法
EP2489495B1 (en)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918418B2 (en)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8905107B2 (en)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US9641209B2 (en) Applicator
US9092195B1 (en) Glass touch screen protector
KR101510202B1 (ko) 휴대폰 보호필름 구조체
US11084204B2 (en) Screen protector laminate applicator
TW201604621A (zh) 光學板片貼合方法與裝置及使用於該貼合方法與裝置之黏接板片
KR20170071886A (ko) 간편한 액정 필름 부착기기
KR101563712B1 (ko)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구조체
US20220111625A1 (en) Protective material applicator device
WO2018006533A1 (zh) 贴膜器
CN216514760U (zh) 一种粘毛辊筒的便捷取拿结构及粘毛辊筒
CN105635353A (zh) 多层可抛型手机屏幕贴膜
CN204490181U (zh) 一种胶带贴附装置
CN205792832U (zh) 一种手机保护装置
CN206663912U (zh) 一种镜片钢化膜组件
TW200831292A (en) Apparatus for removing protection film of polarizer and method thereof
KR20210002809A (ko) 테이프 부착기
TWM492135U (zh) 可重覆黏著式清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