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708A -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708A
KR20220088708A KR1020227014064A KR20227014064A KR20220088708A KR 20220088708 A KR20220088708 A KR 20220088708A KR 1020227014064 A KR1020227014064 A KR 1020227014064A KR 20227014064 A KR20227014064 A KR 20227014064A KR 20220088708 A KR20220088708 A KR 20220088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maging device
oral cavity
ligh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야스미
아키호 사쿠마
Original Assignee
아이리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리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리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8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electrical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4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3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providing two or more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69Endoscope light sources at proximal end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61B1/00009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extracting biological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61B1/00009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6Op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ndoscop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구강 내를 촬상(撮像)하여 얻어진 피사체 화상을 이용한 진단을 행하는데 적합한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단(基端)과 선단(先端)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선단을 구강에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단과 상기 선단과의 사이가 소정 길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구강을 향하게 하여 확산시키도록 구성된 확산판과,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판으로부터 확산되고 상기 구강에 반사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피사체 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본 개시는, 대상자의 구강 내를 촬상(撮像)하기 위한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사에 의하여, 대상자의 구강의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여, 예를 들어 바이러스성의 감기 등의 진단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비특허 문헌 1은, 구강 내에 위치하는 인두(咽頭)의 최심부(最深部)에 출현하는 림프 여포에는 인플루엔자에 특유의 패턴이 있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이 특유의 패턴을 가지는 림프 여포는 인플루엔자 여포로 불리고, 인플루엔자에 특징적인 사인이고, 발증(發症) 후 2시간 정도에서 출현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여포의 적절한 확정은, 많은 증례를 통한 집중적인 훈련을 필요로 하고, 일반 의사에게 있어서 결코 용이하지 않다.
미야모토·와타나베 저 「인두의 진찰 소견(인플루엔자 여포)의 의미와 가치의 고찰」니치다이 이시(日大醫誌) 72(1):11~18(2013)
그래서, 상기와 같은 기술을 바탕으로, 본 개시에서는, 다양한 실시 형태에 의하여, 구강 내를 촬상하여 얻어진 피사체 화상을 이용한 진단을 행하는데 적합한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態樣)에 의하면, 「기단(基端)과 선단(先端)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선단을 구강에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단과 상기 선단과의 사이가 소정 길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구강을 향하게 하여 확산시키도록 구성된 확산판과,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판으로부터 확산되고 상기 구강에 반사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피사체 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피사체 화상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구강 내를 촬상하여 얻어진 피사체 화상을 이용한 진단을 행하는데 적합한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효과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임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인 건은 아니다. 상기 효과에 더하여, 또는 상기 효과에 대신하여,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떠한 효과나 당업자라면 분명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 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 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상면(上面)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측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정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보조구(300)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보조구(300)의 측면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와 보조구(3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단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대상자(7)의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덧붙여, 도면에 있어서의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제1 실시 형태>
1. 촬상 시스템(1)의 개요
본 개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은, 주로 피험자의 구강의 내부를 촬상하고 피사체 화상을 얻기 위하여 이용된다. 특히, 당해 촬상 시스템(1)은, 구강의 목구멍 안쪽 주변, 구체적으로는 인두를 촬상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본 개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을 인두의 촬상에 이용하였을 경우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다만, 인두는 촬상 부위의 일례이고, 당연히, 구강 내이면 다른 부위여도, 본 개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을 호적(好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은, 일례로서, 구강의 인두를 촬상하여 대상자의 인플루엔자로의 이환의 가능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당해 촬상 시스템(1)을 인플루엔자의 이환의 가능성의 판정에 이용하였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인플루엔자의 이환의 가능성의 판정은 일례이고, 당연히, 이환하는 것에 의하여 구강 내의 소견에 차이가 나타나는 질환의 판정이면, 어느 것이어도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질환의 일례로서는, 용련균 감염증,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EB 바이러스 감염증, 미코플라스마 감염증, 고혈압증 등을 들 수 있다.
덧붙여, 본 개시에 있어서, 질환에 대한 「판정」이나 「진단」 등의 용어를 이용하지만, 이것들은 의사에 의한 확정적인 판정이나 진단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촬상 시스템(1)을 촬상 대상자 스스로 사용하거나, 의사 이외의 사용자가 사용하여, 촬상 시스템(1)에 포함되는 처리 장치(100)에 의하여 판정 또는 진단되는 것도 당연히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개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은, 처리 장치(100)와 촬상 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대상자의 구강에 보조구(300)를 삽입하고, 삽입된 보조구(300)로 피복되도록, 그 내부에 촬상 장치(200)를 삽입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200)는, 구강의 내부를 촬상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촬상 시스템(1)의 촬상 장치(200)가, 사용자(대상자(700) 자신인 경우도 있다면, 대상자(700)와는 다른 사람인 경우도 있다)에 의하여 보조구(300)가 구강 내에 삽입된다. 이 때 보조구(300)의 선단은, 앞니(711)를 통과하여 연구개(713) 부근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구강 내에 보조구(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보조구(300) 내에 촬상 장치(200)를 선단으로부터 삽입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200)는, 앞니(711)를 통과하여 연구개(713) 부근까지 삽입된다. 이 때, 보조구(300)(설압자로서 기능한다.)에 의하여, 혀(714)가 하방(下方)으로 밀려나고 혀(714)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과 함께, 보조구(300)의 선단에 의하여 연구개(713)가 상방(上方)으로 밀려난다. 이것에 의하여, 촬상 장치(200)의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여, 촬상 장치(200)의 전방(前方)에 위치하는 인두(715)가 촬상된다.
촬상된 피사체 화상(인두(715)의 화상)은, 촬상 장치(200)로부터 유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처리 장치(100)로 송신된다. 피사체 화상을 수신한 처리 장치(100)의 프로세서가 처리 장치(100)의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피사체 화상에 기초하여 인플루엔자로의 이환의 가능성이 판정된다. 그리고,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 등에 출력된다.
2. 촬상 시스템(1)의 구성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촬상 시스템(1)은, 처리 장치(100)와, 당해 처리 장치(100)에 유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촬상 장치(200)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여, 촬상 장치(200)에 의한 촬상을 제어한다. 또한, 처리 장치(100)는, 촬상 장치(200)에 의하여 촬상된 피사체 화상을 처리하여, 대상자의 인플루엔자로의 이환의 가능성을 판정한다. 나아가, 처리 장치(100)는, 판정된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 대상자 등에 그 결과를 통지한다.
촬상 장치(200)는, 그 적어도 선단이 대상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강 내, 특히 인두를 촬상한다. 그 구체적인 촬상 처리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촬상된 피사체 화상은,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처리 장치(100)로 송신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촬상 시스템(1)은, 프로세서(111), 메모리(112), 입력 인터페이스(113), 및 디스플레이(114)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100)와, 카메라(211) 및 광원(212)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것들의 각 구성 요소는, 서로, 제어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덧붙여, 촬상 시스템(1)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 요소의 모두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일부를 생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구성 요소를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촬상 시스템(1)은, 각 구성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 촬상 시스템(1)에서 처리한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지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촬상 시스템(1)의 다른 구성 요소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카메라(211)의 구동, 광원(212)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과 함께, 촬상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피사체 화상을 메모리(112)에 기억하고, 기억된 피사체 화상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11)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인터페이스(113)로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고, 광원(212)을 온으로 하고 카메라(211)에 의한 촬상을 지시하는 처리,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판정에 이용되는 정지 화상을 추출하는 처리, 추출된 화상에 소정의 처리를 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질환일 것 같음을 판정하는 처리, 판정 결과를 디스플레이(114) 등에 출력하는 처리 등을, 메모리(1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행한다. 프로세서(111)는, 주로 하나 또는 복수의 CPU에 의하여 구성되지만, 적의(適宜) GPU 등을 조합하여도 무방하다.
메모리(112)는, RAM, ROM, 불휘발성 메모리, HDD 등으로 구성되고, 기억부로서 기능한다. 메모리(1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의 다양한 제어를 위한 지시 명령을 프로그램으로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112)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인터페이스(113)로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고, 광원(212)을 온으로 하고 카메라(211)에 의한 촬상을 지시하는 처리,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판정에 이용되는 정지 화상을 추출하는 처리, 추출된 화상에 소정의 처리를 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질환일 것 같음을 판정하는 처리, 판정 결과를 디스플레이(114) 등에 출력하는 처리 등 프로세서(111)가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메모리(112)는, 당해 프로그램 외에, 촬상 장치(200)의 카메라(211)로 촬상된 피사체 화상, 프로세서(111)에 의한 질환일 것 같음의 판정 결과, 대상자(700)를 포함하는 대상자의 각종 정보 등을 기억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13)는, 처리 장치(100) 및 촬상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로서 기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13)의 일례로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200)에 의한 녹화의 개시·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녹화 버튼」, 각종 선택을 행하기 위한 「확정 버튼」, 전(前) 화면으로 되돌아가거나 입력한 확정 조작을 캔슬하기 위한 「되돌아감/캔슬 버튼」,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된 아이콘 등의 이동을 하기 위한 십자 키 버튼, 처리 장치(100)의 전원의 온 오프를 하기 위한 온·오프 키 등을 포함한다. 덧붙여,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입력 인터페이스(113)에는, 디스플레이(114)에 중첩하여 설치되고, 디스플레이(114)의 표시 좌표계에 대응하는 입력 좌표계를 가지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패널에 의한 사용자의 지시 입력의 검출 방식은, 정전 용량식, 저항막식 등 어떠한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디스플레이(114)는, 촬상 장치(200)에 의하여 촬상된 피사체 화상을 표시하거나, 프로세서(111)에서 판정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액정 패널에 의하여 구성되지만, 액정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 디스플레이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카메라(211)는, 처리 장치(100)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구동되고, 피사체인 구강에 반사한 반사광을 검출하여 피사체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로서 기능한다. 카메라(211)는, 그 광을 검출하기 위하여, 일례로서 CMOS 이미지 센서와, 소망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렌즈계와 구동계를 구비한다. 이미지 센서는, CMOS 이미지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CCD 이미지 센서 등의 다른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211)는,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렌즈의 정면에 초점이 특정 부위에 맞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211)는, 줌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인두 또는 인플루엔자 여포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배율로 촬상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211)는, 대상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고, 그 구강의 안쪽에 있는 인두의 촬상에 이용되기 때문에, 카메라(211)와 피사체와의 거리가 비교적 가깝다. 따라서, 카메라(211)는, [(카메라(211)의 선단부로부터 인두 후벽(後壁)까지의 거리)*tanθ]에 의하여 산출되는 값이 수직 20mm 이상 및 수평 40mm 이상이 되는 화각(2θ)을 가진다. 이와 같은 화각을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카메라(211)와 피사체가 근접하고 있었다고 하여도, 보다 광범(廣範)한 범위의 촬상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211)는, 통상(通常)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른바 광각 카메라나 초광각 카메라로 불리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메라(211)에 의하여 촬상되는 인플루엔자 여포는 구강 내의 인두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인두는 깊이 방향으로 안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피사계 심도가 얕으면 인두 전부(前部)와 인두 후부(後部)의 사이에서 초점이 어긋나, 처리 장치(100)에서의 판정에 이용하는데 적절한 피사체 화상을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211)는 적어도 2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mm 이상의 피사계 심도를 가진다. 이와 같은 피사계 심도를 가지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인두 전부로부터 인두 후부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도 초점이 맞은 피사체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원(212)은, 처리 장치(100)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구동되고, 구강 내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로서 기능한다. 광원(2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원(2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고, 각 LED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광이 구강 방향으로 조사된다. 광원(212)에는, 자외광 대역, 가시광 대역, 적외광 대역 중에서 소망하는 대역을 가지는 광, 또는 그것들의 조합이 이용된다. 특히, 자외광 대역의 단파장 대역의 광이 인플루엔자 여포에 조사되는 것에 의하여, 인플루엔자 여포의 특정 성분이 반응하기 때문에, 질환일 것 같음의 판정을 보다 확실히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장치(100)와 촬상 장치(200)가, 유선 케이블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연히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양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접속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3.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 플로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 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는, 처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11)가 메모리(1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소정 주기로 실행하는 처리 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200)에서 촬상된 피사체 화상(동화상) 중에서,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1매(枚)의 화상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0)에서 촬상된 동화상에는,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정지 화상이 포함된다. 그 정지 화상에는, 촬상 조건이 좋은 것과 나쁜 것이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촬상된 동화상 중에서 촬상 조건이 좋은 수매(數枚)의 프레임(정지 화상)을 골라낸다. 예를 들어, 미리 많은 마찬가지의 화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의 촬영 각도, 특정의 광원의 조사 상태, 특정의 시야의 넓이, 특정 부위(예를 들어, 인두 등)의 추출 위치, 특정 부위로의 초점의 정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충족하면 특정 질환(예를 들어, 인플루엔자)의 진단 판정의 정도(精度)가 높다고 하는 조건을 찾아내어 두고, 이것을 촬상 조건의 좋음과 나쁨의 판단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이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추출된 수매의 정지 화상을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질환일 것 같음을 판정한다. 덧붙여, 추출 처리에는, 딥 러닝(심층 학습) 기능 등의 기계 학습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화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을 추출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복수매의 정지 화상을 촬상하고 그것으로부터 적절한 수매의 정지 화상을 추출하여도 무방하고, 판정에 이용하는 매수의 정지 화상만을 촬상하고 추출 처리를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 4에 의하면, 프로세서(111)는, 입력 인터페이스(113)의 녹화 버튼이 압하(押下)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1). 녹화 버튼이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11)는 이후의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당해 처리 플로를 종료한다. 한편, 프로세서(111)는, 녹화 버튼의 압하가 되었다고 판정하면, 촬상 장치(200)의 광원(212)을 구동하는 것과 함께, 촬상 장치(200)의 카메라(211)에 의한 동화상의 촬상을 개시하도록 촬상 장치(200)를 제어한다(S112). 그리고, 사용자는 이 사이, 대상자의 구강 내(712)에 보조구(300)를 장착하고, 장착된 보조구(300)에 촬상 장치(200)를 삽입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인두의 피사체 동화상을 촬상하도록 촬상 장치(20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11)는, 취득한 동화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지 화상 중에서, 판정에 적절한 정지 화상 중에서, 판정을 위하여 적절한 정지 화상을 추출한다(S113). 이 때, 추출된 정지 화상은,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추출된 정지 화상 및 판정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특정의 질환일 것 같음(예를 들어, 인플루엔자일 것 같음)을 판정한다(S114).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판정된 결과를 디스플레이(114) 등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15). 이것에 의하여 일련의 처리 플로가 종료한다.
덧붙여, S114에 있어서의 판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판정에는, 일례로서 기계 학습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의료 기관 등에 있어서 인플루엔자의 환자의 인두 화상과, 그것에 부속하는 인플루엔자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라벨을 수집한다. 이 때, 정해(正解) 라벨은, 환자가 받은 스왑(swab)에 의한 인플루엔자 신속 검사, PCR 검사, 바이러스 분리 배양 검사의 결과 등에 기초하여 부여된다. PCR 검사 및 바이러스 분리 배양 검사는, 결과의 판명까지 수주간(數週間)을 필요로 하지만, 극히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결과는 정해 라벨로서 호적하다.
다음으로, PCR 검사 또는 바이러스 분리 배양 검사의 판정 결과를 정해로서 라벨을 붙임인 교사(敎師)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교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을 행하고, 판정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이 판정 알고리즘은, 화상을 제공하면 그 화상이 인플루엔자일 것 같은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이것에 의하여, 인플루엔자일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예를 들어 「98.5%」라고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그 가능성은, 예를 들어, 「양성」과 「음성」의 판정, 고중저 등의 단계 평가 등을 적의 조합하여 나타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 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는, 처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11)가 메모리(1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도 4의 S113에서 행하여지는 추출 처리의 구체적인 처리 플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의하면, 프로세서(111)는, 촬상 장치(200)에서 촬상된 동화상 중에서, 촬상 대상의 추출 위치에 기초하여 화상을 순위 매김한다(S211). 다음으로, 프로세서(111)는, 당해 동화상 중에서, 특정 부위로의 포커스의 정도에 기초하여 화상을 순위 매김한다(S212). 다음으로, 프로세서(111)는, 당해 동화상 중에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조사 상태에 기초하여 순위 매김한다(S213). 그리고, 프로세서(111)는, 종합 순위에 있어서 상위인 수매의 화상을 골라낸다(S214). 덧붙여, 당해 추출 처리는 일례이고, 시야의 넓이, 촬영 각도 등의 기준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촬상 장치(200)의 구성
본 개시에 관련되는 촬상 시스템(1)은,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하기 위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의하면, 촬상 장치(200)는, 그 내면에 카메라(211)가 수용되는 것과 함께, 그 내부에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도광(導光)하는 것이 가능한 본체(214)와, 본체(214)의 기단(220)에 접속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把持)되는 그립(213)과, 본체(214)의 선단에 배치되는 확산판(219)과, 그립(213)의 단부(端部)에 배치되는 I/O 인터페이스(222)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222)는, 일단(一端)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된 유선 케이블의 타단(他端)이 접속되고, 당해 I/O 인터페이스(222)를 통하여 처리 장치(100)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여진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200)가 녹화 버튼(215)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처리 장치(100)의 입력 인터페이스(113)의 녹화 버튼에 의하여도 촬상의 개시와 종료의 지시를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당해 녹화 버튼(215)을 사용하여 촬상의 개시와 종료의 지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상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측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 7a 및 도 7b에 의하여, 촬상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 의하면, 본체(214)는, 기단(220) 및 선단(221)을 구비하고, 광원(212)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기둥 형상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14)의 적어도 선단(221)은, 구강에 삽입된다.
본체(214)는, 단면이 진원(眞圓)이 되는 중공(中空)의 원통형을 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벽부(224)는, 그 내부에 광을 도광 가능한 재료이면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고, 일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이 이용된다. 즉, 본체(214)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구강 내 또는 확산판 방향으로 도광하기 위한 도광체로서 기능한다.
본체(214)는, 중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벽부(224)에 의하여 그 내면에 수용 공간(223)이 형성된다. 이 수용 공간(223)에는, 카메라(211)가 수용된다. 덧붙여, 본체(214)는, 수용 공간(223)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223)은, 단면이 진원의 원통형을 가질 필요는 없고, 단면이 타원이거나 다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체(214)는, 반드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필요도 없다.
여기서, 본체(214)의 길이는, 일례로서는, 대상자의 앞니와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정하여진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대상자(7)의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대상자(7)의 구강 부근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의하면, 대상자(7)는, 앞니(711)로부터 목구멍 안쪽 방향을 향하여 구강을 형성하고, 그 최심부에 피사체가 되는 인두(715)를 가진다. 따라서, 촬상 장치(200)는 인두(715)를 촬상하기 위하여, 그 선단을 연구개(713) 부근까지 삽입된다. 대상자(7)는, 앞니(711)로부터 연구개(713)까지의 거리 d1을 가진다. 거리 d1은,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에 있어서의 상기도 내경(內徑)의 측정(오오타니 노부오)」J. Jpn. Bronchoesophagol. Soc. (닛끼쇼쿠(日氣食) 회보), Vol.40, No.5, pp, 396-402에 의하면, 일반적으로는, 100mm ~ 200mm 정도이다.
다시 도 7a 및 도 7b로 되돌아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214)는, 선단(221)으로부터 기단(220)의 길이로서, 거리 D1을 가진다. 이 거리 D1은, 앞니(711)로부터 연구개(713)까지의 거리 d1의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의 길이로 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목구멍 안쪽으로 이물이 삽입되면 구토감을 일으키는 한편으로, 본체(214)가 짧으면 카메라(211)와 피사체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진다. 상기의 거리 D1이면, 구토감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으로, 피사체와의 거리감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립(213)은, 그 선단이 본체(214)의 기단(220)에 접속된다. 사용자는 당해 그립(213)을 파지하여 촬상 장치(200)의 빼고 꽂음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립(213)은,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파지할 때의 형상에 맞추어, 본체(214)에 접속되는 선단 측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가늘어지고, 본체(214)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기단 측을 향하여 만곡(彎曲)하여 불룩해지는 형상을 가진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면이 진원이 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지만, 진원일 필요는 없고, 타원이거나 다각형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본체(214)의 선단(221)과 기단(220)을 잇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214)의 폭(거리 D2)은, 일례로서는, 대상자의 입의 상하 방향의 개구 폭과의 관계에 대하여 정하여진다. 도 13에 의하면, 대상자(7)는, 입의 상하 방향의 개구 폭으로서 거리 d2를 가진다. 거리 d2는, 「일본인 성인 악관절 정상인에 있어서의 최대 개구량에 관한 통계학적 검토(츠카하라 히로야스 등)」일본 구강외과 학회 잡지, Vo.44, No.2, pp159-167에 의하면, 일반적인 성인 남성의 경우, 평균으로 3.5cm ~ 4.0cm이다.
도 7a 및 도 7b로 되돌아가,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200)는, 이 거리 d2의 폭에 보조구(300)와 함께 삽입되지만, 사용자는 각각이 삽입된 간극(間隙)으로부터 구강 내를 관찰하면서 촬상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촬상 장치(200)가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유익하다. 따라서, 본체(214)의 거리 D2는, 입의 상하 방향의 개구 폭인 거리 d2의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의 폭, 또는 3.2cm 이하, 바람직하게는 2.4cm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립(213)은, 본체(214)의 기단(220) 근방에, 보조구(30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계합(係合) 돌기(217)와, 위치 결정 돌기(218)를 가진다. 계합 돌기(217)는, 보조구(300)에 설치된 계합 돌기(318)와 서로 계합한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218)는, 보조구(300)에 설치된 삽입 구멍(321)에 삽입되어, 촬상 장치(200)와 보조구(300)를 서로 위치 결정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214)의 계합 돌기(217)는, 합계 4개의 계합 돌기(계합 돌기(217-1 ~ 217-4))가, 그립(213)의 표면이고, 본체(214)의 기단(220) 근방의 위치에, 등간격(等間隔)으로 배치된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218)는, 그립(213)의 표면의 계합 돌기(217)의 사이이고, 본체(214)의 기단(220) 근방의 위치에, 하나 배치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계합 돌기(217)와 위치 결정 돌기(218) 중 어느 일방(一方)을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무방하다. 또한, 그 개수(個數)도, 계합 돌기(217) 및 위치 결정 돌기(218)의 모두, 하나 또는 복수의 개수이면, 몇 개여도 무방하다.
확산판(219)은, 본체(214)의 선단(221)에 배치되고,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되고, 본체(214)를 통과한 광을 구강 내를 향하게 하여 확산한다. 확산판(219)은, 본체(214)의 도광 가능하게 구성된 부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214)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확산판(219)의 단면도, 그 형상에 대응하여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카메라(211)는, 확산판(219)으로부터 확산되어 구강 내에 조사되고, 피사체에 반사하여 온 반사광을 검출하여, 피사체 화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카메라(211)는, 본체(214)의 벽부(224)의 내면, 즉 본체(214)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223)에 배치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211)는 한 개만 기재하고 있지만, 촬상 장치(200)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 화상을 생성하는 것에 의하여, 인플루엔자 여포의 입체 형상에 관한 정보를 피사체 화상이 포함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판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보다 정확하게, 인플루엔자 여포를 검출하고, 인플루엔자로의 이환의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211)는, 본체(214)의 수용 공간(223)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체(214)의 선단(221) 또는 본체(214)(본체(214)의 내부여도 본체(214)의 외주(外周) 상(上)이어도 무방하다)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정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은, 도 7a에서 도시된 촬상 장치(200)를 본체(214)의 선단(221)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도면이다. 도 8에 의하면, 상기대로, 촬상 장치(200)는, 폭으로서 거리 D2를 가지는 그립(213)을 가진다. 그리고, 그 바로 앞쪽 방향에 본체(214)가 배치된다. 또한, 정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 확산판(219)의 원 내의 안쪽에, 카메라(21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립(213)의 선단 측에는, 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한 대로, 4개의 계합 돌기(217-1 ~ 217-4)와, 1개의 위치 결정 돌기(218)가 배치된다. 이 중, 계합 돌기(217-1 ~ 217-4)는, 그립(213)의 선단 부분의 외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218)는, 계합 돌기(217-1 및 217-2)의 사이에 배치된다.
확산판(219) 및 본체(214)의 안쪽, 즉 그립(213)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는, 광원(212)이 배치된다. 당해 광원(212)으로부터 본체(214)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고, 본체(214)를 통과한 광이 확산판(219)으로부터 구강 내로 확산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원(212)은, 본체(214)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4개의 광원(광원(212-1 ~ 212-4))이, 본체(214)의 기단(220)을 향하도록 배치된 기판(225)(도 8에 있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5. 보조구(300)의 구성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보조구(300)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보조구(300)는, 대상자(7)의 구강 내의 촬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조적인 도구이다. 따라서, 촬상 장치(200)에서 구강 내를 촬상하는 경우에,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 또는 대상자의 소망에 따라 사용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당해 보조구(300)에는, 촬상 장치(200)의 적어도 선단 측의 일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보조구(300)는, 촬상 장치(200)의 방해가 되지 않고 양호한 시야를 확보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투광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조구(300)는 수지의 일체(一體)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종이나 천, 금속 등의 다른 소재나 그것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보조구(300)는, 일회용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이용 가능한 타입이어도 무방하다.
도 9에 의하면, 보조구(300)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된 본체(312)와, 본체(312)의 기단(316)에 배치된 파지판(311)과, 본체(312)의 선단(314)의 근방에 배치된 설압자(315)를 포함한다.
본체(312)는, 그 내부에 촬상 장치(200)의 본체(214)의 선단(221) 측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14)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 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기단(316) 측에는 촬상 장치(200)를 삽입하기 위한 기단 측 개구(320)를, 선단(314) 측에는 촬상 장치(200)의 광원(212)으로부터의 조사광과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선단 측 개구(313)를 가진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조구(300)는, 선단(314)으로부터 구강 내에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200)의 본체(214)는, 기단(220)으로부터 선단(221)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내경 및 외경(外徑)을 가진다. 따라서, 보조구(300)의 본체(312)도, 이 형상에 대응하여, 내경 및 외경이 긴쪽 방향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된다. 덧붙여, 본체(312)의 단면 형상은, 촬상 장치(200)의 본체(214)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삽입 가능하면 어느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진원, 타원, 다각형 등의 어느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파지판(311)은, 본체(312)의 기단(316)을 따라 배치된다. 당해 파지판(311)은, 사용자가 대상자의 구강 내에 보조구(300)를 삽입할 때에, 손으로 파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파지판(311)은, 보조구(300)가 구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선단 측의 면이 대상자의 입술 등에 당접(當接)하는 것으로, 그 이상의 보조구(300)의 삽입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파지판(311)은, 본체(312)의 기단(316) 측에 상하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파지판을 배치하였지만, 본체(312)의 기단(316)을 따라 도넛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그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설압자(315)는 본체(312)의 하부(구강 내의 혀 방향의 측)에 배치되고, 혀 방향을 향하여 브레이드 상에 형성된다. 촬상 장치(200)에서 촬상할 때에, 대상자의 혀가 촬상 장치(200)의 전방에서 움직이는 것에 의하여, 구강 내의 촬상이 저해된다. 설압자(315)는, 혀를 하방으로 밀어내 혀의 구강 내에 있어서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혀가 촬상 장치(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설압자(315)를 브레이드 상에 형성하고 있지만, 이 기능을 실현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보조구(300)의 측면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에 의하면, 상기대로, 보조구(300)는, 본체(312)의 선단(314) 측 근방에 설압자(315)와 기단(316) 측에 파지판(311)을 구비한다.
또한, 본체(312)의 기단(316) 측에는, 촬상 장치(200)가 기단(316) 측으로부터 삽입되었을 때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312)는, 본체(312)의 외주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한 쌍의 홈(319)과, 한 쌍의 홈(319)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317)과, 영역(317)에 배치되고 촬상 장치(200)의 그립(213)의 선단에 배치된 계합 돌기 217에 계합하도록 구성된 계합 돌기 318과, 그립(213)의 위치 결정 돌기(218)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321)을 가진다.
계합 돌기 318은, 촬상 장치(200)의 그립(213)에 배치된 계합 돌기 217에 대응하는 위치이고, 본체(312)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계합 돌기 217-1 ~ 217-4에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계합 돌기 318-1 ~ 318-4가 배치된다. 또한, 삽입 구멍(321)은, 촬상 장치(200)의 그립(213)에 배치된 위치 결정 돌기(218)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위치 결정 돌기(218)에 대응하는 위치에, 1개의 삽입 구멍(321)이 배치된다.
여기서,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와 보조구(3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 10의 본체(312)의 기단(316)에 배치되는 각 기구에 관하여,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촬상 장치(200)가 보조구(300)의 기단(316)에 삽입되고, 선단(314) 근방까지 이르면, 촬상 장치(200)의 그립(213)의 외방향(外方向)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계합 돌기(217)와, 보조구(300)의 본체(312)의 내면을 향하여 형성된 계합 돌기(318)가 당접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312)의 계합 돌기(318-1 ~ 318-4)는, 한 쌍의 홈(319-1a 및 319-1b ~ 319-4a 및 319-4b)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317-1 ~ 317-4)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200)의 계합 돌기(217)와 보조구(300)의 계합 돌기(318)가 당접한 상태로 한층 더 촬상 장치(200)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면, 한 쌍의 홈(319)으로 형성된 영역(317)이 들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하여, 촬상 장치(200)의 계합 돌기(217)가, 보조구(300)의 계합 돌기(318)를 넘어 한층 더 삽입된다.
그 다음에, 보조구(300)의 계합 돌기(318)를 넘어 촬상 장치(200)가 삽입되면, 촬상 장치(200)의 그립(213) 상에 외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위치 결정 돌기(218)가, 보조구(300)의 삽입 구멍(321)에 삽입된다. 그리고, 선단(314) 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구멍(321)의 벽면에 촬상 장치(200)의 위치 결정 돌기(218)가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촬상 장치(200)가 보조구(300)의 선단(314) 방향으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 규제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200)가 보조구(3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2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촬상 장치(200)의 이동은 위치 결정 돌기(218)와 삽입 구멍(321)에 의하여 규제되고, 당해 방향과 반대 방향, 즉 촬상 장치(200)가 떼어내지는 방향으로의 촬상 장치(200)의 이동은 계합 돌기 217과 계합 돌기 318에 의하여 규제된다.
6. 광원(212)의 구성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의 단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에 의하면, 광원(212)은, 그립(213)의 선단 측에 배치된 기판(225) 상에, 합계 4개의 광원(212-1 ~ 212-4)이 배치된다. 광원(212)은, 일례로서는, 각각 LED로 구성되고, 각 LED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광이 구강의 방향을 향하여 조사된다. 구체적으로는,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본체(214)의 기단(220)에 입광하고, 본체(214)의 벽부(224)에 의하여, 확산판(219) 방향으로 도광된다. 확산판(219)에 도달한 광은, 확산판(219)에 의하여 구강 내로 확산된다. 그리고, 확산판(219)에 의하여 확산된 광은, 피사체인 인두(715) 등에 반사한다. 이 반사광이 카메라(211)에 도달하는 것으로, 피사체 화상이 생성된다.
덧붙여, 광원(212-1 ~ 212-4)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광원(212-1 ~ 212-4) 중 일부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하여, 입체 형상을 가지는 인플루엔자 여포의 그림자를 피사체 화상에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인플루엔자 여포의 입체 형상에 관한 정보를 피사체 화상이 포함하게 되기 때문에, 판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보다 정확하게, 인플루엔자 여포를 검출하고, 인플루엔자로의 이환의 가능성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원(212-1 ~ 212-4)은, 본체(214)의 기단(220)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체(214)의 선단(221) 또는 본체(214)(본체(214)의 내부여도 본체(214)의 외주 상이어도 무방하다)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확산판(219)은,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구강 내의 일부만을 비추는 것을 방지하고, 일양(一樣)한 광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따라서, 일례로서는, 확산판(219)의 표면에 미세한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고, 임의의 확산 각도를 가지는 렌즈 형상의 확산판이 이용된다. 또한, 이것 대신에, 표면에 랜덤으로 배치된 미세한 요철에 의하여 광 확산 기능을 실현하는 확산판 등, 다른 방법에 의하여 광을 확산하는 것이 가능한 확산판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확산판(219)은 본체(214)와 일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본체(214)의 선단 부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확산판(219), 본체(214)의 선단(221)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212)과 그 조사 대상이 되는 구강 내의 사이이면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본체(214)의 선단(221) 또는 본체(214)(본체(214)의 내부여도 본체(214)의 외주 상이어도 무방하다)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촬상 장치(200)는, 대상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여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것에 의하여 얻어진 피사체 화상을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질환일 것 같음을 적절히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처리 장치(100)와 촬상 장치(200)가,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통신에 의하여 양자가 접속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0)에서 촬상된 피사체 화상을 원격에 설치된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서버 장치를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것으로 질환일 것 같음을 판정하거나, 원격에 설치된 의사용 단말 장치로 송신하고, 당해 장치를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것으로, 의사의 소견과 함께 판정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처리 장치(100)와 촬상 장치(200)가,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촬상 장치(200) 자체에 처리 장치(100)의 판정 기능을 탑재시키고, 질환일 것 같음을 판정시켜도 무방하다. 이 경우, 그 판정 결과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0)에 구비된 출력부로부터 출력하여도 무방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출력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200)와 보조구(300)를 별체(別體)로서 구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를 일체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0)는, 구강의 혀 측에 위치하도록, 본체(214)의 혀 측의 면에, 구강 내에 있어서의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설압자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보조구(300)를 이용하지 않아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촬상 시스템
100: 처리 장치
200: 촬상 장치
211 카메라
212, 212-1 ~ 212-4: 광원
213: 그립
214: 본체
215: 녹화 버튼
217, 217-1 ~ 217-4: 계합 돌기
218: 위치 결정 돌기
219: 확산판
220: 기단
221: 선단
222: I/O 인터페이스
223: 수용 공간
224: 벽부
225: 기판
300: 보조구
311: 파지판
312: 본체
313: 선단 측 개구
314: 선단
315: 설압자
316: 기단
317, 317-1 ~ 317-4: 영역
318, 318-1 ~ 318-4: 계합 돌기
319, 319-1a 및 319-1b ~ 319-4a 및 319-4b: 한 쌍의 홈
320: 기단 측 개구
321: 삽입 구멍

Claims (13)

  1. 기단(基端)과 선단(先端)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선단을 구강에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단과 상기 선단과의 사이가 소정 길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구강을 향하게 하여 확산시키도록 구성된 확산판과,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판으로부터 확산되고 상기 구강에 반사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피사체 화상을 촬상(撮像)하는 카메라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화상은 인두(咽頭)를 촬상한 화상인, 촬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 대역은 자외광 대역인, 촬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20mm 이상의 피사계 심도를 가지는, 촬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길이는, 대상자의 앞니로부터 연구개까지의 거리 이하인, 촬상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기단과 상기 선단을 잇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의 폭은, 대상자의 상하 방향의 개구(開口) 폭의 80% 이하인, 촬상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기 기단 측에, 상기 촬상 장치의 사용자가 파지(把持)하기 위한 그립을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기 기단과 상기 선단을 잇는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통상(筒狀)의 보조구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피복되는, 촬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보조구의 계합(係合) 돌기와 계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계합 돌기를 가지는, 촬상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보조구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보조구를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돌기를 가지는, 촬상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확산판까지 도광(導光)하기 위하여 도광체로서 기능하는, 촬상 장치.
  12. 기단과 선단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선단을 구강에 삽입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단과 상기 선단과의 사이가 소정 길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광을 상기 구강을 향하게 하여 조사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본체의 기단 측 혹은 선단 측, 또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고 상기 구강에 반사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피사체 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구강의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설압자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피사체 화상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
KR1020227014064A 2019-10-31 2020-10-27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KR202200887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98736 2019-10-31
JPJP-P-2019-198736 2019-10-31
PCT/JP2020/040329 WO2021085443A1 (ja) 2019-10-31 2020-10-27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708A true KR20220088708A (ko) 2022-06-28

Family

ID=7571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064A KR20220088708A (ko) 2019-10-31 2020-10-27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09035A1 (ko)
EP (1) EP4052633A4 (ko)
JP (1) JPWO2021085443A1 (ko)
KR (1) KR20220088708A (ko)
CN (1) CN114650765A (ko)
WO (1) WO2021085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0788A1 (ja) * 2022-03-08 2023-09-14 アイリス株式会社 補助具、撮影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WO2023181417A1 (ja) * 2022-03-25 2023-09-28 アイリス株式会社 撮影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2520B (zh) * 2009-06-17 2015-04-01 3形状股份有限公司 聚焦扫描设备
US20110134234A1 (en) * 2009-12-09 2011-06-09 Omega Vision Co., Ltd. Electronic microscope
US11523741B2 (en) * 2017-12-28 2022-12-13 Aillis Inc. Intraoral imaging apparatus, medical apparatus, and program
US11896461B2 (en) * 2018-06-22 2024-02-13 Align Technology, Inc. Intraoral 3D scanner employing multiple miniature cameras and multiple miniature pattern projecto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Study on the Meaning and Value of Pharyngeal Examination Findings (Influenza Follicles)" by Miyamoto Watanabe, Nichidai Ishi 72(1): 11-18(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2633A4 (en) 2024-02-21
US20220409035A1 (en) 2022-12-29
WO2021085443A1 (ja) 2021-05-06
JPWO2021085443A1 (ko) 2021-05-06
EP4052633A1 (en) 2022-09-07
CN114650765A (zh)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7709A1 (en) Intraoral Imaging Apparatus, Medical Apparatus, And Program
US11058286B2 (en) Ear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subject's ear
CN107708523B9 (zh) 用于咽喉成像的系统和方法
US9931021B2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KR20220088708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US20150351607A1 (en)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US10172513B2 (en) Otoscope
TWI461174B (zh) 口腔插入器及咽喉鏡裝置
US20100142210A1 (en) Auxiliary Positioning Device For Ultrasonic Apparatus
WO2022009285A1 (ja) 処理装置、処理プログラム、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KR20240004380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JP2011056154A (ja) 口腔内カメラ
JP2021040666A (ja) 口内撮影補助具、及びその口内撮影補助具を含む医療装置
EP2787333A1 (en) Ear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subject's ear
EP2762055B9 (en) Otoscope
KR20210120332A (ko) 부비동 진단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해 수행되는 부비동 상태 판단 방법
CN117545414A (zh) 口腔内组织体或附着物的检查装置和检查辅助构件
JP2005218672A (ja) 自家蛍光観察可能な電子内視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