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206A -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206A
KR20220088206A KR1020200179016A KR20200179016A KR20220088206A KR 20220088206 A KR20220088206 A KR 20220088206A KR 1020200179016 A KR1020200179016 A KR 1020200179016A KR 20200179016 A KR20200179016 A KR 20200179016A KR 20220088206 A KR20220088206 A KR 2022008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type
manufacturing sys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새연
김하경
윤주혜
이지현
정제원
Original Assignee
유새연
김하경
윤주혜
이지현
정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새연, 김하경, 윤주혜, 이지현, 정제원 filed Critical 유새연
Priority to KR102020017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206A/ko
Publication of KR2022008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urg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sme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화장품 제조시스템은, 사용자 피부의 유수분 수치를 측정하여 피부타입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하는 피부 진단기기; 및 상기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형을 선택하고, 상기 피부상태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과 이의 혼합배율을 설정하며, 상기 화장품 원재료들을 상기 화장품 제형에 대응하는 혼합 방식 및 혼합 속도로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화장품 제조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THE COSMETIC 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의 피부특성과 피부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뷰티 시장의 가장 뚜렷한 트렌드는 개인 맞춤형 화장품이다. 이는 소비의 가치가 사용자의 욕구로 맞춰지게 되면서, 소비자는 더 이상 획일적인 제품이 아닌 차별화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커스터마이징 제품에 대한 니즈가 늘어남에 따라, 화장품 시장도 제조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제조 이전의 피부 진단 과정은 제공하지 않고 있어, 보다 전문적인 화장품 제조를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화장품 제조 시, 피부특성이나 피부상태에 따른 원재료의 종류나 이의 배합비율은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분야로서, 일반인이 이를 정확하게 알기가 어렵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제조 장치는 이에 대한 가이드를 하고 있지 않으며, 단순히 사용자가 투입한 재료들을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65534호(2020.10.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장품을 제작하기에 앞서 개인의 피부특성과 피부상태를 진단하고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원재료의 종류와 혼합비율을 정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제조시스템은, 사용자 피부의 유수분 수치를 측정하여 피부타입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하는 피부 진단기기; 및 상기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형을 선택하고, 상기 피부상태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과 이의 혼합배율을 설정하며, 상기 화장품 원재료들을 상기 화장품 제형에 대응하는 혼합 방식 및 혼합 속도로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화장품 제조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제조기기는, 상기 피부타입을 확인하여 상기 피부타입과 맞지 않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를 제외하고 상기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부타입은, 지성 타입, 중성 타입 및 건성 타입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제조기기는,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지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스킨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중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로션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건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크림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는, 모공, 주름, 여드름, 반점 및 잡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단기기는,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눈가 및 입 주위의 에지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에지 영역에서의 윤곽선의 수를 검출하여 상기 주름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단기기는,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G 채널의 평균값과 G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크고, B 채널의 평균값과 B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작은 픽셀을 상기 잡티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피부의 유수분 수치를 측정하여 피부타입을 분석하는 단계; 와,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와, 상기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형을 선택하는 단계; 와, 상기 피부상태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과 이의 혼합배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품 원재료들을 상기 화장품 제형에 대응하는 혼합 방식 및 혼합 속도로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타입을 확인하여 상기 피부타입과 맞지 않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를 제외하고 상기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타입은, 지성 타입, 중성 타입 및 건성 타입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지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스킨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중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로션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건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크림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는, 모공, 주름, 여드름, 반점 및 잡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눈가 및 입 주위의 에지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에지 영역에서의 윤곽선의 수를 검출하여 상기 주름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G 채널의 평균값과 G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크고, B 채널의 평균값과 B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작은 픽셀을 상기 잡티로 추출하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간적 및 공간적 제약없이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자신의 피부특성 및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중에 판매되는 기성 화장품과는 다르게 사용자 개인의 피부에 최적화된 재료들로 구성된 맞춤형 화장품을 직접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진단기기 및 화장품 제조 기기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뷰티 테크 시장의 전문 서비스 영역과 경계를 대중화하고 사용자가 맞춤형 피부진단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이 원재료의 배합 비율을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모공 검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모공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이 수행하는 반점 검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반점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은, 피부 진단기기(100)와 화장품 제조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부 진단기기(100)는 사용자의 피부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진단기기(100)는 사용자의 피부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부 진단기기(100)는 유수분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진단기기(100)는 유수분 측정 센서가 사용자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 피부의 유 수분 수치를 측정하여 피부타입을 분석할 수 있다. 피부타입은, 지성 타입, 중성 타입 및 건성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의 유분 수치 또는 수분 수치에 따라, 피부타입을 지성, 건성, 중성, 민감성 및 복합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피부 진단기기(100)는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상태는 모공, 주름, 여드름, 반점 및 잡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부 진단기기(1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근접한 사용자 피부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 진단기기(100)는 촬영 이미지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피부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 정도와 피부 청결도(여드름), 잡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 진단기기(100)는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눈가 및 입 주위의 에지 영역을 검출하고, 에지 영역에서의 윤곽선의 수를 검출하여 주름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 진단기기(100)는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G 채널의 평균값과 G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크고, B 채널의 평균값과 B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작은 픽셀을 잡티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피부 진단기기(100)는 딥 러닝을 사용하여 피부 이미지의 채도, 밝기, 선명도 등을 정규화 하여 이미지 화질을 개선한 후 피부 상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 진단 결과의 분석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화장품 제조기기(150)는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형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타입이 지성 타입인 경우에는 화장품 제형을 스킨 타입으로 설정하고, 피부 타입이 중성 타입인 경우에는 화장품 제형을 로션 타입으로 설정하며, 피부 타입이 건성 타입인 경우에는 화장품 제형을 크림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기기(150)는 피부상태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과 이의 혼합배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품 제조기기(150)는 피부타입을 확인하여 상기 피부타입과 맞지 않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를 제외하고 상기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기기(150)는 화장품 원재료들을 상기 화장품 제형에 대응하는 혼합 방식 및 혼합 속도로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제조기기(150)는 원재료 종류에 따라 혼합 방식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성이 높은 꿀, 올리브, 달팽이 등의 원재료는 워터펌프의 추출 시간을 늘리고 휘핑기 작동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점성이 높은 원료가 들어가면 휘핑기의 고장을 고려하여 적정 속도 미만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기기(150)는 화장품 제형에 따라 휘핑기의 동작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션은 더 많이 혼합하고, 스킨은 덜 혼합되도록 휘핑기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피부 진단기기(100)의 좌측측면에는 유수분 측정 센서(111), 카메라 모듈(112)이 배치되고, 정면에는 디스플레이(113)가 배치되며, 우측 하단에는 측정버튼(114)과 전원버튼(115)이 배치된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피부 진단기기(100)의 내부에는 구성요소들 및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피부 이미지에 대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피부상태를 분석하는 영상처리부 및 화장품 제조기기(15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화장품 제조기기(150)는 복수개의 재료 저장조(151), 휘핑기(152), 보관용기(153) 및 워터펌프(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저장조(151) 각각에는 화장품 원재료가 저장될 수 있다.
휘핑기(152)는 화장품 원재료들을 믹싱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휘핑기(152)는 상하 운동, 수평 운동, 회전 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면서, 화장품 원재료들을 혼합할 수 있다.
보관용기(153)는 제조된 화장품이 보관될 수 있다.
워터펌프(154)는 화장품 원재료들을 추출하여 혼합이 수행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화장품 추천 배합 알고리즘에서 유수분 및 주름, 잡티, 청결의 비율을 세 단계로 나누어 구성하여, 각 단계마다 재료의 추출양이 다르고 제형(로션/스킨) 선택에 따른 기본 베이스의 추출 양 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워터펌프(154)는 추출 양 조절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워터펌프(154)는 전압이 주어지면 모듈 내부의 임펠러가 회전해 몸체 내부의 공기를 밀어내어 액체가 펌프로 들어가고 압력을 받아 방출되며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워터펌프(154)를 전압과 시간, 속도 조절되는 pwm 신호의 차이 이용해 추출 양의 조절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제조기기(150)의 상층부에는 원재료가 저장된 복수개의 재료 저장조(151)가 배치된다. 이 경우, 화장품 원재료는 기본 원료와 추가 원료 및 향료로 분류될 수 있다. 기본 원료는 글리세린과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원료는 꿀, 알로에, 병풀, 녹차, 달팽이, 올리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티트리, 로즈마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층부에 있는 화장품 원재료가 모이는 통에는 냉각 기능을 더하여 재료 믹싱이 끝나면, 중층부가 냉각을 시작해서 혼합물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부 진단기기(100)는 사용자의 피부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유수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피부의 유수분 값을 측정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이미지를 획득한다. 피부 이미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에서 분석되어 분석 결과가 피부 진단기기(1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피부 진단기기(100)에서 직접 분석될 수도 있다.
피부 진단기기(100)는 피부 타입, 즉 유수분 측정값과, 피부 이미지를 분석하여 얻어진 피부 상태에 기초하여 화장품 재료를 조합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장품 재료를 선택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피부 진단기기(100)가 적합한 화장품 재료를 조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과정에 의하면, 사용자 피부의 유수분 수치를 측정하여 피부타입을 분석하는 단계; 와,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와, 상기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형을 선택하는 단계; 와, 상기 피부상태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과 이의 혼합배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품 원재료들을 상기 화장품 제형에 대응하는 혼합 방식 및 혼합 속도로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피부 진단기기(100)는 피부 상태를 측정한다(S301). 이 경우, 피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S302), 피부 진단결과를 생성한다(S303).
피부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화장품 원재료의 추천 배합을 생성한다(S304).
배합 방식을 선택한다(S305).
만일, 직접 배합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화장품 원재료의 종류 및 배합 비율을 입력 받는다(S306).
반면, 추천 배합이 선택되면, 피부 진단결과를 반영하여 화장품의 제형을 결정하고, 제조에 투입될 화장품의 원재료 및 배합 비율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S307), 이에 대응하여 원료를 투입한 후(S308), 화장품을 제조한다(S309).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이 원재료의 배합 비율을 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장품 제조시스템은 수분 상태, 유분 상태, 붉은기 등의 3가지 인자에 기초하여 원재료의 종류 및 혼합 비율을 달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피부 진단 데이터에서 피부 나이 및 유수분 비율과 여드름 비율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 케어 항목 비율은 0~100까지 총 3단계로 나누어 재료 배합률을 조정한다. 재료는 해당 케어 항목에 맞추어 사전에 정의할 수 있다.
케어 항목 비율 0~30까지는 재료 배합률 60%, 31~65는 재료 배합률 30%, 66~100은 해당 케어 항목에 대한 재료를 넣지 않는다.
여기서, 케어 항목은, 수분, 각질, 진정, 탄력, 미백 및 잡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모공 검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원본 이미지가 입력되면, L 공간을 추출한다(S501). 이 경우 그레이스케일 이미지가 얻어진다.
메디안 필터링을 수행한다(S502). 이에 의해 잡음 제거 영상을 얻은 후, contrast stretching을 수행한다(S503). 명암 대비 영상을 얻으면, 이에 대해 Black-hat 연산을 수행한다(S504). 이 경우, 특이점이 추출된 영상에 대해 라벨링을 수행한다(S505). 특이점의 위치와 경계를 검출하면, 이를 모공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검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S50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이 여드름과 잡티를 추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제조시스템은 주름 검출 알고리즘, 잡티 검출 알고리즘, 잡티 검출, 여드름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잡티의 경우,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G(Green)과 B(Blue) 채널을 이용하여, G와 B 채널에서 어두운 부분을 잡티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영역에서 잡티는 일반적으로 어둡게 나타나는 것을 이용하여, (G 채널의 평균값 - G 채널의 표준편차)보다 작고 (B 채널의 평균값 - B 채널의 표준편차)보다 작은 픽셀을 잡티로 추출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1영상(610)은 여드름을 나타낸다. 제1영상(610)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영역(615)이 여드름이다.
제2영상(620)은 잡티를 나타낸다. 제2영상(620)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되는 영역(625, 626)은 잡티이며, 영역이 클수록 잡티의 크기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이 수행하는 반점 검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원본 이미지가 입력되면, L 공간을 추출한다(S701). 이 경우 그레이스케일 이미지가 얻어진다.
Bilateral 필터링을 수행한다(S702). 이에 의해 잡음 제거 영상을 얻은 후, Differentiated equalization을 수행한다(S703). 명암 대비 영상을 얻으면, 이에 대해 Adaptive threshold값을 추출한다(S704). 이 경우, 반점 의심 영역에 대해 K-mean 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S705). 최종 영역 및 경계를 검출하면, 검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S706).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시스템이 주름을 추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름 검출 알고리즘의 경우, 주름에 해당하는 픽셀을 탐색하는 단계, 해당 픽셀을 중심으로 하는 너비 n 픽셀의 정사각형 윈도우를 생성하는 단계, 윈도우 픽셀값과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단계에 따라 주름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을 측정하는 경우 영상에서 눈 부위는 사각형 박스로 가린 후 눈 주름을 측정할 수 있다. Canny Edge를 통해 에지를 검출한 이미지에서 findcontours 함수를 사용해 컨투어를 검출하여 컨투어의 수를 알 수 있다. 전체에서 네모난 박스의 컨투어는 제외하기 위해 1을 빼주면 주름의 수치를 알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영상에는 검은색의 배경 상에 하얀색 선(810)들이 나타나는데, 이와 같은 하얀색 선(810)들이 주름에 해당한다. 하얀색 선(810)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름 개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하얀색 선(810)의 두께가 굵을수록 주름 두께가 두껍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화장품 제조시스템 일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피부 진단기기 111: 유수분 측정 센서
112: 카메라 모듈 113: 디스플레이
114: 측정버튼 115: 전원버튼
150: 화장품 제조기기 151: 재료 저장조
152: 휘핑기 153: 보관용기
154: 워터펌프

Claims (12)

  1. 화장품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피부의 유수분 수치를 측정하여 피부타입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하는 피부 진단기기; 및
    상기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형을 선택하고, 상기 피부상태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과 이의 혼합배율을 설정하며, 상기 화장품 원재료들을 상기 화장품 제형에 대응하는 혼합 방식 및 혼합 속도로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화장품 제조기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제조기기는,
    상기 피부타입을 확인하여 상기 피부타입과 맞지 않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를 제외하고 상기 화장품을 제조하는, 화장품 제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타입은, 지성 타입, 중성 타입 및 건성 타입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 제조기기는,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지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스킨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중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로션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건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크림 타입으로 설정하는, 화장품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는,
    모공, 주름, 여드름, 반점 및 잡티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단기기는,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눈가 및 입 주위의 에지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에지 영역에서의 윤곽선의 수를 검출하여 상기 주름의 정도를 판단하는, 화장품 제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진단기기는,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G 채널의 평균값과 G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크고, B 채널의 평균값과 B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작은 픽셀을 상기 잡티로 추출하는, 화장품 제조 시스템.
  7.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피부의 유수분 수치를 측정하여 피부타입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를 획득 및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화장품 제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피부상태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재료들과 이의 혼합배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품 원재료들을 상기 화장품 제형에 대응하는 혼합 방식 및 혼합 속도로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타입을 확인하여 상기 피부타입과 맞지 않는 상기 화장품 원재료를 제외하고 상기 화장품을 제조하는,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타입은, 지성 타입, 중성 타입 및 건성 타입을 포함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지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스킨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중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로션 타입으로 설정하고, 상기 피부 타입이 상기 건성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화장품 제형을 크림 타입으로 설정하는,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상태는,
    모공, 주름, 여드름, 반점 및 잡티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눈가 및 입 주위의 에지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에지 영역에서의 윤곽선의 수를 검출하여 상기 주름의 정도를 판단하는,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피부의 이미지에서, G 채널의 평균값과 G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크고, B 채널의 평균값과 B 채널의 표준편차 간의 차이보다 작은 픽셀을 상기 잡티로 추출하는, 화장품 제조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00179016A 2020-12-18 2020-12-18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88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16A KR20220088206A (ko) 2020-12-18 2020-12-18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16A KR20220088206A (ko) 2020-12-18 2020-12-18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06A true KR20220088206A (ko) 2022-06-27

Family

ID=8224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016A KR20220088206A (ko) 2020-12-18 2020-12-18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82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34B1 (ko) 2018-06-25 2020-10-14 김태민 화장품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34B1 (ko) 2018-06-25 2020-10-14 김태민 화장품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9562B1 (en) Method for obtaining care information, method for sharing care inform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JP2022109314A (ja) カスタマイズ化粧品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JP7248820B2 (ja) 美容的皮膚属性を決定するための機器及び方法
US9525867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skin images
US114169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visually imperceivable cosmetic skin attributes
JP6715810B2 (ja) スキンケア製品適合方法及び適合用電子装置
US20080304736A1 (en) Method of estimating a visual evaluation value of skin beauty
CN209074574U (zh) 手背、手指甲、脚皮肤诊断及健康检测装置
CN108024719B (zh) 肌肤的光泽评价装置、光泽评价方法及记录介质
KR20210084102A (ko) 전자 장치, 두피 케어 시스템 및 그들의 제어 방법
US202001466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a cosmetic skin treatment
CN108537026A (zh) 应用程序控制方法、装置和服务器
KR20150098130A (ko) 사용자 피부 정보 기반 화장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20088206A (ko)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39575B1 (ko) 피부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30144089A1 (en) Smart system for skin testing and customised formulation and manufacturing of cosmetics
CN108292418B (zh) 信息提供装置及信息提供方法
KR20230052341A (ko) 민감성 피부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82810B1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WO2023217626A1 (en) Detection and visualization of cutaneous signs using a heat map
CN116206351A (zh) 信息提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05222405A (ja) ファンデーションの推奨方法
KR20210042966A (ko) 각질 표면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상기 각질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KR20240015413A (ko)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