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995A -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995A
KR20220087995A KR1020200178591A KR20200178591A KR20220087995A KR 20220087995 A KR20220087995 A KR 20220087995A KR 1020200178591 A KR1020200178591 A KR 1020200178591A KR 20200178591 A KR20200178591 A KR 20200178591A KR 20220087995 A KR20220087995 A KR 20220087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rotation
plate
housing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995A/ko
Priority to EP21906796.4A priority patent/EP4184902A4/en
Priority to PCT/KR2021/012586 priority patent/WO2022131491A1/ko
Priority to US17/449,369 priority patent/US11815932B2/en
Publication of KR2022008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회동축에 평행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연동 조립체(interlocking assembly),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및 상기 제2 연동 조립체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힌지 모듈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통신 기능과 아울러, 음향 재생 기기, 촬상 기기 또는 전자 수첩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설치를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 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 자체에 탑재된 기능(예: 어플리케이션)이나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검색, 선별하여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함에 있어, 직접 접속 방식(예: 유선 통신)은 빠르고 안정된 통신 수립을 제공할 수 있지만, 활용 영역이 고정된 위치 또는 일정 정도의 공간으로 제한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함에 있어, 무선 통신 방식은 위치나 공간의 제약이 적고, 전송 속도나 안정성은 점차 직접 접속 방식과 동등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에는 직접 접속 방식보다 더 빠르고 안정된 통신 수립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용,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성과 사용의 편의성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화면, 예컨대,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이면서, 물리적인 입력 장치(예: 키패드)를 대체하는 가상의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 장치는 소형화되면서도 동일한 또는 더욱 향상된 활용성(예: 더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에는 유연성을 가진(flexible), 예를 들어, 접혀질 수 있는(foldable) 또는 말아질 수 있는(rollable)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면서, 전자 장치의 휴대성과 사용의 편의성은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전자 장치를 소형화 및/또는 경량화함으로써, 휴대성을 높일 수 있지만, 단순히 소형화하는 것만으로는 화면이 작아지거나 배터리 용량이 제한되어,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 장치의 두께를 줄이면서, 접혀질 수 있는 또는 말아질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및/또는 전자 장치가 접혀지거나 말아지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물(예: 힌지나 롤러)은 전자 장치의 소형화에 또 다른 장애가 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의 변형(예: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변형)을 가능하게 하면서 소형화된 힌지 모듈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충분한 크기의 화면 제공을 가능하게 사용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힌지 모듈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회동축에 평행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연동 조립체(interlocking assembly),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및 상기 제2 연동 조립체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1 회동축에 평행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연동 조립체(interlocking assembly),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및 상기 제2 연동 조립체에 의해 연동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은 평판 형상의 회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하우징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플레이트는 하우징들의 동작을 연동시키면서 전자 장치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이로써 힌지 모듈 및/또는 전자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의 전자 장치라면 각종 회로 장치나 배터리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고, 휴대 상태에서보다 확장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힌지 모듈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A-A'을 따라 힌지 모듈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에서, 회전 플레이트와 힌지 플레이트(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에서, 힌지 플레이트(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에서, 연동 조립체(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에서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에서, 슬라이더의 변위(displacemen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모듈에서, 슬라이더의 변위를 이용한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또는 후술될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한 쌍의 하우징 구조(또는, '하우징'이라 함)가 힌지 구조(또는, '힌지 모듈'이라 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에 관해 예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세개 이상의 하우징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하는 실시예의 "한 쌍의 하우징 구조"는 "세개 이상의 하우징 구조 중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두개의 하우징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의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 및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가 서로 마주보게 접철된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나란하게 펼쳐진 위치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1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 면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는 센서 영역(131d)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110), 제2 하우징 구조(120),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1 후면 커버(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120)와 제2 후면 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110)는 제1 후면 커버(140)를 포함하며,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제2 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제1 축, 예를 들면 폴딩 축(A)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다른 폴딩 축을 중심으로 상기 힌지 구조(164) 또는 상기 힌지 커버(165)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상기 힌지 구조(164) 또는 상기 힌지 커버(165)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폴딩 축(A)에 대하여 또는 서로 다른 폴딩 축에 대하여 각각 회동함으로써, 서로 접철된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 또는 서로에 대하여 나란하게 펼쳐진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또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다"라 함은 두 구조물(예: 하우징 구조들(110, 1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의 옆에 위치된 상태 또는 적어도 서로의 옆에 위치된 부분들이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라 함은 두 구조물이 서로의 옆에 위치되면서 평행한 방향 또는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나란하게", "평행하게" 등의 표현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고하여 구조물의 형상이나 배치 관계에 따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펼침 상태(exteded state, flat state 또는 open state)인지, 접힘 상태(folding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구조(110)는 제2 하우징 구조(120)와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131d)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거나 대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110)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 면(111), 제1 면(1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112), 및 제1 면(111)과 제2 면(11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재(113)는 폴딩 축(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측면(113a), 제1 측면(11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113b) 및 제1 측면(11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측면(113c)을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측면들의 배치 관계에 관해 "평행하게" 또는 "수직하게" 등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이는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수직하게"라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평행하게" 또는 "수직하게" 등의 표현은 10도 이내의 각도 범위에서 경사진 배치 관계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120)는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 면(121), 제3 면(1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 면(122), 및 제3 면(121) 및 제4 면(12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측면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부재(123)는 폴딩 축(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 측면(123a), 제4 측면(12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측면(123b) 및 제4 측면(12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 측면(123c)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면(121)은 접힘 상태에서 제1 면(11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형상에서 일부 차이가 있기는 하나 상기 제2 측면 부재(123)는 상기 제1 측면 부재(1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또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의 구조적 형상 결합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01)는 디스플레이(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131d)으로 인해, 리세스(101)는 폴딩 축(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01)는 제2 하우징 구조(120) 중 폴딩 축(A)에 평행한 제1 부분(120a)과 제1 하우징 구조(110) 중 센서 영역(131d)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부분(110a) 사이의 제1 폭(W1),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제2 부분(120b)과 제1 하우징 구조(110) 중 센서 영역(131d)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A)에 평행한 제2 부분(11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101)는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제1 부분(110a)으로부터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제1 부분(120a)까지 형성되는 제1 폭(W1)과,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제2 부분(110b)으로부터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제2 부분(120b)까지 형성되는 제2 폭(W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제1 부분(110a) 및 제2 부분(110b)은 폴딩 축(A)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01)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131d)의 형태 또는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101)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3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재질(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가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을 이용하여 무선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 또는 통신 모듈은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131d)의 배치, 형상, 또는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 하우징 구조(11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에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 영역(131d)을 통하거나, 또는 센서 영역(131d)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된 부품들(component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들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영역(131d)에 배치된 부품들은,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장치,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140)는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제2 면(112)에 배치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14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 구조(1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후면 커버(150)는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제4 면(1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120)에 의해 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는 폴딩 축(A)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후면 커버(140)는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면 커버(150)는 제2 하우징 구조(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140), 제2 후면 커버(150),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결합된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회로 기판, 안테나 모듈, 센서 모듈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면 커버(140)의 제1 후면 영역(141)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후면 카메라 장치 및/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후면 커버(150)의 제2 후면 영역(151)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152)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예: 도 1의 리세스(1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130) 및 디스플레이(13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은 제1 후면 커버(140), 제1 후면 커버(14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제2 후면 커버(150) 및 제2 후면 커버(150)에 인접한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폴딩 영역(131c), 폴딩 영역(131c)을 기준으로 일측(예: 폴딩 영역(131c)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131a) 및 타측(예: 폴딩 영역(131c)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131a)은 제1 하우징 구조(110)의 제1 면(111)에 배치되고, 제2 영역(131b)은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제3 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30)는 제1 면(111)으로부터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지나 상기 제3 면(12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적어도 힌지 구조(164)와 대응하는 영역(예: 폴딩 영역(131c))은 평판 형태에서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영역(flexible regio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13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131c)은 폴딩 축(A)에 평행한 세로축(예: 도 3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폴딩 영역(131c)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13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다른 폴딩 영역(예: 가로축(예: 도 3의 X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도 3의 X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의한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디스플레이(130)는 하나의 전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131a)과 제2 영역(131b)은 폴딩 영역(131c)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131a)은, 제2 영역(131b)과 달리, 센서 영역(131d)을 제공하는 노치(notch) 영역(예: 도 3의 노치 영역(1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2 영역(131b)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31a)과 제2 영역(131b)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힌지 커버(165)는,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펼침 상태(extended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예: 펼침 상태(extended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13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extended state)(예: 도 1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는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131a) 및 제2 영역(131b)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131c)은 제1 영역(131a) 및 제2 영역(131b)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131a)과 제2 영역(131b)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폴딩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를 이루게, 예를 들면, 90도 또는 120도 각도를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중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131a)과 제2 영역(131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 기판(170), 제1 하우징 구조(110), 제2 하우징 구조(120),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display)(130)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와,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의 일면(예: 도 3의 Z 방향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32)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노치 영역(1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는 제1 지지 부재(161), 제2 지지 부재(162), 제1 지지 부재(161)와 제2 지지 부재(16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164), 힌지 구조(164)를 외부에서 볼 때, 이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 및 제1 지지 부재(161)와 제2 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배선 부재(163)(예: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는 플레이트(1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 기판(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지지 부재(161)는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131a)과 제1 인쇄회로 기판(1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62)는 디스플레이(130)의 제2 영역(131b)과 제2 인쇄회로 기판(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163)와 힌지 구조(16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제1 지지 부재(161)와 제2 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폴딩 영역(131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구조(164)는 힌지 모듈(164a), 제1 힌지 플레이트(164b) 및/또는 제2 힌지 플레이트(164c)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힌지 모듈(164a)이 제1 힌지 플레이트(164b)와 제2 힌지 플레이트(164c)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힌지 플레이트(164b)는 제1 하우징 구조(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164c)는 상기 제2 하우징 구조(1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힌지 플레이트(164b)는 제1 지지 구조(161)에 직접 장착되고, 제2 힌지 플레이트(164c)는 제2 지지 구조(162)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힌지 플레이트(164b)(또는 제2 힌지 플레이트(164c))는 제1 하우징 구조(110)(또는 제2 하우징 구조(120))의 내부에서 다른 구조물(예: 제1 회전 지지면(114) 또는 제2 회전 지지면(124))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 구조(110)(또는 제2 하우징 구조(120))의 내부에서 제1 힌지 플레이트(164b)(또는 제2 힌지 플레이트(164c))가 장착되는 구조물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모듈(164a)은 제1 힌지 플레이트(164b)와 제2 힌지 플레이트(164c)에 장착되어 제2 힌지 플레이트(164c)를 제1 힌지 플레이트(164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모듈(164a)에 의해 폴딩 축(예: 도 1의 폴딩 축(A))이 형성되며,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또는 제1 지지 구조(161)와 제2 지지 구조(162))는 실질적으로 폴딩 축(A)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 기판(170)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161) 측에 배치되는 제1 인쇄회로 기판(171)과 제2 지지 부재(162) 측에 배치되는 제2 인쇄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회로 기판(171)과 제2 인쇄회로 기판(172)은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 제1 하우징 구조(110), 제2 하우징 구조(120), 제1 후면 커버(140) 및 제2 후면 커버(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 기판(171)과 제2 인쇄회로 기판(172)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110) 및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에 디스플레이(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지지 부재 어셈블리(160)의 양 측에,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161)와 제2 지지 부재(162)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61)와 제2 지지 부재(162)는 실질적으로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110)는 제1 회전 지지면(1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120)는 제1 회전 지지면(114)에 대응되는 제2 회전 지지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면(114)과 제2 회전 지지면(124)은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상태)인 경우, 제1 회전 지지면(114)과 제2 회전 지지면(124)이 힌지 커버(165)를 덮어 힌지 커버(165)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 회전 지지면(114)과 제2 회전 지지면(124)이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1 하우징 구조(110), 제2 하우징 구조(120), 제1 측면 부재(113) 또는 제2 측면 부재(123) 등, 서수를 사용하여 구성요소들을 단순히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서수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센서 영역(131d)이 제1 하우징 구조(110)에 형성된 구성으로 예시하였지만, 센서 영역(131d)은 제2 하우징 구조(120)에 형성되거나 제1, 제2 하우징 구조(110, 12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영역(141)이 제1 후면 커버(140)에, 서브 디스플레이(152)가 제2 후면 커버(150)에 각각 배치된 구성이 예시되고 있지만, 센서 등을 배치하기 위한 제1 후면 영역(141)과,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서브 디스플레이(152)가 모두 상기 제1 후면 커버(140)과 상기 제2 후면 커버(15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에서 힌지 모듈(204)(예: 도 3의 힌지 구조(164) 및/또는 힌지 모듈(164a))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힌지 모듈(204)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 하우징(210)(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하우징 구조(110)), 제2 하우징(220)(예: 도 1 내지 도 3의 제2 하우징 구조(120)), 디스플레이(230)(예: 도 1 및/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130)), 힌지 모듈(204) 및/또는 힌지 커버(265)(예: 도 2 및/또는 도 3의 힌지 커버(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 커버(265)는 실질적으로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에 의해 은폐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힌지 커버(265)는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힌지 모듈(204)(예: 도 3의 힌지 구조(164) 및/또는 힌지 모듈(164a))은 힌지 커버(265)의 내부(예: 내측면)에 배치 또는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201)과 제2 하우징(220)을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힌지 모듈(204)은 도 1의 폴딩 축(A)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제1 하우징(210)의 회동축(예: 도 6 내지 도 8의 제1 회동축(P1))과 제2 하우징(220)의 회동축(예: 도 6 내지 도 8의 제2 회동축(P2))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회동축(P1)과 제2 회동축(P2)은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하나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동축(P1) 및/또는 제2 회동축(P2)이 연장된 방향은 전자 장치(200)의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204) 및/또는 힌지 커버(265)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230)의 폴딩 영역(예: 도 1의 폴딩 영역(131c))에 상응하게 위치되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은 힌지 모듈(204)에 결합되어 힌지 모듈(204)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예: 예: 도 2의 접힘 상태)와,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로 펼쳐진 위치(예: 도 1의 펼침 상태)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지정된 각도로 펼쳐진 위치"라 함은,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이 서로에 대하여 180도 각도로 펼쳐진 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 중 어느 하나가 회동할 때 힌지 모듈(204)은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 중 다른 하나를 회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210)이 제2 하우징(2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힌지 모듈(204)은 제2 하우징(220)을 제1 하우징(210)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180도 각도를 이루는 위치 사이에서 회동한다고 할 때, 제1 하우징(210)은 힌지 모듈(204)에 대하여 90도 각도 범위에서 회동하고, 제2 하우징(220)도 90도 각도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204)은,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예: 도 3의 제1 힌지 플레이트(164b))와 제2 힌지 플레이트(241b)(예: 도 3의 제2 힌지 플레이트(164a)), 회전 플레이트(245) 및/또는 연동 조립체(247)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동 조립체(247)들은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와 제2 힌지 플레이트(241b)의 회동을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과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 플레이트(241a)가 회동할 때, 연동 조립체(247)들 중 제1 연동 조립체가 회전 플레이트(245)를 회전시키며,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에 따라 제2 연동 조립체가 제2 힌지 플레이트(241a)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와 회전 플레이트(245) 사이의 연동 조립체와, 제2 힌지 플레이트(241a)와 회전 플레이트(245) 사이의 연동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힌지 모듈(204)은 힌지 브라켓(24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힌지 플레이트(241a), 제2 힌지 플레이트(241b) 및 회전 플레이트(245)는 힌지 브라켓(243)에 결합되며, 연동 조립체(247)들은 힌지 브라켓(243) 상에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을 회전 플레이트(245)에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은, 힌지 암(hinge arm)(341a)들, 링크 암(link arm)(341c)들, 및/또는 회전 안내 홈(34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와 제2 힌지 플레이트(241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에 제공되는 힌지 암(341a)들, 링크 암(341c)들, 및/또는 회전 안내 홈(341b)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제2'를 구분하지 않고 설명될 수 있다. 힌지 암(341a)은 하나의 힌지 플레이트(241a, 241b)에서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링크 암(341c)은 하나의 힌지 플레이트(241a, 241b)에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힌지 암(341a)들과 링크 암(341c)(들)은 힌지 플레이트(241a, 241b)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의 힌지 암(341a)들과 제2 힌지 플레이트(241b)의 힌지 암(341a)들은 서로 번갈아가며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링크 암(341c)(들)은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의 힌지 암(341a)과 제2 힌지 플레이트(241b)의 힌지 암(34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안내 홈(341b)은 원호 궤적을 가질 수 있으며, 힌지 암(341a)의 적어도 일면, 예를 들면, +Y 방향을 향하는 면과 -Y 방향을 향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전 안내 홈(341b)의 원호 궤적은, 지정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곡률 반경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제1 회동축(P1) 또는 제2 회동축(P2)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의 회전 안내 홈(341b)은 제1 회동축(P1)을 정의하는 구조물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힌지 플레이트(241b)의 회전 안내 홈(341b)은 제2 회동축(P2)을 정의하는 구조물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플레이트들(241a, 241b)(예: 도 3의 제1 힌지 플레이트(164b)와 제2 힌지 플레이트(164a))은 각각 힌지 브라켓(24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힌지 브라켓(243)은 힌지 암(341a)들을 수용하는 수용 홀(343a)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 암(341a)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홀(343a)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힌지 브라켓(243)은 수용 홀(343a)의 내벽, 예를 들어, +Y 방향을 향하는 면과 -Y 방향을 향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회전 레일(343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레일(343b)은 수용 홀(343a)의 내벽에서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돌출되며, 회전 안내 홈(341b)에 상응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안내 홈(341b)이 회전 레일(343b)을 수용하는 상태로, 힌지 암(341a)이 수용 홀(343a)과 결합하여 수용 홀(343a)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은, 힌지 브라켓(34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 안내 홈(341b) 및/또는 회전 레일(343b)이 제공하는 안내 구조 및/또는 원호 궤적에 의해 회동축(P1, P2)들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플레이트(245)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힌지 브라켓(2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전 플레이트(245)는 힌지 브라켓(243)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회동축(P1) 및/또는 제2 회동축(P2)에 수직하는 회전축(R)(예: 도 8의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회전축(R)은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두께 방향(예: Z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플레이트(245)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이면서, 어느 한 면이 Z축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로 힌지 브라켓(243)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와 제2 힌지 플레이트(241b), 및/또는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은, 접힘 상태일 때 실질적으로 회전축(R)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펼침 상태에서는 회전 플레이트(245)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플레이트(245)는 복수의 회전 보스(345a, 345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보스(345a, 345b)들 중, 제1 회전 보스(345a)는 회전 플레이트(245)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홀(343c)을 통해 힌지 브라켓(243)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브라켓(243)의 회전 홀(343c) 및/또는 제1 회전 보스(345a)가 조합되어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축(R)이 정의될 수 있다. 참조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이-링(E-ring)과 같은 체결 부재가 제1 회전 보스(345a)에 결속됨으로써, 회전 플레이트(245)는 힌지 브라켓(243)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보스(345a, 345b)들 중 제2 회전 보스(345b)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보스(345a)를 사이에 두고 대칭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전 보스(345b)들은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간격을 두고 회전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하여 및/또는 제1 회전 보스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전 플레이트(245)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회전 보스(345b)들은 제1 회전 보스(345a)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2 회전 보스(345b)들은 연동 조립체(interlocking assembly)(247)들과의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 조립체(247)들은, 제1 힌지 플레이트(241a)를 회전 플레이트(245)에 연결하는 제1 연동 조립체와, 제2 힌지 플레이트(241b)를 회전 플레이트(245)에 연결하는 제2 연동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 플레이트(241a)가 회동함에 따라 제1 연동 조립체는 회전 플레이트(245)를 회전시키며, 회전 플레이트(245)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연동 조립체가 제2 힌지 플레이트(241b)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힌지 플레이트(241b)가 회동하면, 회전 플레이트(245)와 연동 조립체(247)들의 연동 구조에 의해 제1 힌지 플레이트(241a)가 회동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은 힌지 모듈(204)이 제공하는 회동축(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어떤 실시예에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의 회동'은 힌지 브라켓(243)이나 회전 플레이트(245)에 대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의 상대적인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 조립체(247)들은, 슬라이더(247a), 링크(247b) 및/또는 연결 핀(247c)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247a)는 회전 플레이트(245)에, 연결 핀(247c)은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면서, 링크(247b)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의 회동이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과 연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더(247a)는 전자 장치(200)의 길이 방향, 예를 들어, Y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축(R)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일단이 회전 플레이트(2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247a)는 제2 회전 보스(345b)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회전축(R)과 평행한 제3 회동축(P3; 도 9 참조)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힌지 모듈(204) 상에서 Y축에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핀(247c)은 링크 암(341c)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며, 힌지 모듈(204) 상에서 슬라이더(247a)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핀(247c)은 슬라이더(247a)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Y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링크(247b)는 슬라이더(247a)의 일부분을 수용함과 아울러, 연결 핀(247c)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247b)는 슬라이더(247a) 및/또는 연결 핀(247c)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하며, 슬라이더(247a) 및/또는 연결 핀(247c)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슬라이더(247a)는 실질적으로 링크(247b)에 의해 Y축에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247a)는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폭 방향(예: X축 방향)에서 지정된 범위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폭 방향 이동과 동시에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축(R)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 회전 보스(345b)들 중 하나에 슬라이더(247a)가 결합됨으로써,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247b)의 위치(예: 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며, 위치가 변화되더라도 슬라이더(247a)는 링크(247b)에 의해 Y축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들)가 회동함에 따라, 연결 핀(247c)은 Y축 방향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이 회동함에 따라, 연결 핀(247c)은 제1 회동축(P1)과 제2 회동축(P2) 중 어느 하나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연결 핀(247c)의 변위(예: X축 방향 및/또는 Z축 방향의 변위)에 따라 링크(247b)는 연결 핀(247c)을 중심으로 및/또는 슬라이더(247a)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힌지 모듈(204)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는 다수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체결 부재는 슬라이더(247a)와 회전 플레이트(245), 링크(247b)와 슬라이더(247a) 및/또는 연결 핀(247c)과 링크(247b)를 서로에 대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결속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들)는, 예를 들면, 씨-링(C-ring)이나 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의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구조(164), 힌지 모듈(164a) 및/또는 도 4와 도 6의 힌지 모듈(204))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힌지 모듈(204)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A-A'을 따라 힌지 모듈(204)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힌지 모듈(203)에서, 회전 플레이트(245)와 힌지 플레이트(241a, 또는 241b))(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은 힌지 브라켓(243)에 결합하여 제1 회동축(P1) 또는 제2 회동축(P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회전 플레이트(245)는 힌지 브라켓(243)에 결합하여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회동축(P1) 또는 제2 회동축(P2)은 회전 안내 홈(341b) 및/또는 회전 레일(예: 도 5의 회전 레일(343b))의 곡률 반경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 안내 홈(341b)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힌지 모듈(204)을 형성하는 구조물(예: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의 외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축(R)은 예를 들어, 제1 회전 보스(345a)가 회전 홀(예: 도 5의 회전 홀(343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1의 펼침 상태에서, 제1 힌지 플레이트(241a)가 회동하면, 제1 힌지 플레이트(241a)(예: 링크 암(341c))에 결합된 연결 핀(247c)이 +X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링크(247b)와 슬라이더(247a)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힌지 플레이트(241a)가 회동할 때, 링크(247b)는 연결 핀(247c) 및/또는 슬라이더(247a)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X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247a)는 링크(247b)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247a)가 Y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X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24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플레이트(245)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 조립체(247)에 의해 제2 힌지 플레이트(241a)의 링크 암(341c)이 -X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및/또는 제2 회동축(P2)의 주위를 선회하면서 제2 힌지 플레이트(241b)를 제2 회동축(P2)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은 서로의 일측에 나란하게 펼쳐진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예: 도 2의 접힘 상태)로 회동 또는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이 펼쳐지는 동작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는 동작의 역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힘 상태 및/또는 펼침 상태로의 회동 동작에 관해서는 제1 힌지 플레이트(241a)가 회동함에 따라 제2 힌지 플레이트(241b)가 연동되는 구성을 예시하여 설명되지만, 힌지 플레이트(241a,241b)들 중 임의의 어느 하나가 회동함에 따라 다른 하나의 힌지 플레이트가 연동되어 접힘 동작 및/또는 펼침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의 힌지 모듈(예: 도 4와 도 5의 힌지 모듈(20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예: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힌지 모듈(204)이 '180도'로 도시되고 있으며, 전자 장치(200)의 접힘 상태(예: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힌지 모듈(204)이 '0도' 로 도시되고 있다. '120도' 및/또는 '60도'는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예: 도 1 및/또는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가 서로에 대하여 120도 각도 및/또는 60도 각도로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에서의 힌지 모듈(204)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힌지 모듈(204)을 도시하는 제2 열은, 접힘 동작 및/또는 펼침 동작에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예시하며, 제3 열은 슬라이더(247a), 링크(247b) 및/또는 연결 핀(247c)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예시하고, 제4 열은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247a)의 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 변위를 도시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의 회동 위치에 따라, 연결 핀(247c)과 링크(247b)는 X축 방향 및/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247a)는 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연결 핀(247c)의 X축 방향 이동 및/또는 Z축 방향 이동은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의 회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결 핀(247c)의 X축 방향 이동과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이 연동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연결 핀(247c)의 X축 방향 변위와 슬라이더(247a)의 X축 방향 변위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슬라이더(247a)는 Z축 방향 변위를 발생시키지 않는 반면, 연결 핀(247c)은 슬라이더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247b)는 연결 핀(247c)과 슬라이더(247a)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연결 핀(247c)과 슬라이더(247a)의 상대적인 변위 차이를 보상 또는 허용하면서, X축 방향으로 연결 핀(247c)과 슬라이더(237a)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247a)는 링크(247b)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플레이트(245)가 회전할 때, 슬라이더(247a)는 Y축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길이 방향(예: Y축 방향)을 따라 링크(247b)에 대하여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축(R)을 기준으로 할 때, Y축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회전축(R)과 슬라이더(247a)의 거리, 및/또는 회전축(R)을 중심으로 측정되는 슬라이더(247a)의 Y축 방향 좌표는,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링크(247b)는 실질적으로 회전축(R)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고정된 거리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247a)가 Y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링크(247b)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링크(247b)와 슬라이더(247a)는 Y축 방향에서 서로 고정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링크(247b)와 연결 핀(247c)이 Y축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펼침 동작 또는 접힘 동작에서 연동 조립체(247) 내에서 발생되는 Y축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변위는 링크(247b)와 슬라이더(247a) 사이의 결합 구조(예: 슬라이드 결합) 및/또는 링크(247b)와 연결 핀(247c) 사이의 결합 구조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인 이동에 따른 위치 관계에 관해 도 11 내지 도 14를 더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의 힌지 모듈(예: 도 4와 도 5의 힌지 모듈(204))에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힌지 모듈(204)에서, 연동 조립체(들)(예: 도 5의 연동 조립체(24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링크(247b)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247a)와 연결 핀(247c)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되, X축 방향을 따라 측정된 거리 및/또는 Z축 방향을 따라 측정된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 및/또는 힌지 플레이트(241a, 241b)의 회동에 의해, 연결 핀(247c)은 X축 방향 및/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연결 핀(247c)이 힌지 플레이트(241a, 241b)의 회동축(P1, P2) 들 중 어느 하나(예: 제1 회동축(P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임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힌지 브라켓(243)이나 회전 플레이트(245)는 실질적으로 제1 회동축(P1)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힌지 브라켓(243)이나 회전 플레이트(245)를 기준으로 본다면 연결 핀(247c)은 X축 방향 및/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 핀(247c)의 X축 방향 및/또는 Z축 방향 이동(또는 변위)이 도 11에서, 'DX1', 'DZ1'으로 지시된다. 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더(247a)는 Z축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회전 플레이트(245)에 고정되며,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에 따라 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에서, 슬라이더(247a)의 X축 방향 변위가 'DX2'로 지시되며, 힌지 플레이트(241a, 241b)의 회동(및/또는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에 따른 DX1 변위와 DX2 변위가 다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링크(247b)는 DZ2 변위를 발생시키면서 연결 핀(247c) 및/또는 슬라이더(247a)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DX1 변위와 DX2 변위의 차이를 보상 또는 허용할 수 있다. 이로써, 링크(247b)는 X축 방향에서 연결 핀(247c)과 슬라이더(247a)를 함께 이동하도록 연결할 수 있으며, X축 방향에서 발생되는 상대적인 변위의 차이(예: DX1 변위와 DX2 변위의 차이)는 링크(247b)의 회동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의 힌지 모듈(예: 도 4와 도 5의 힌지 모듈(204))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힌지 모듈(204)에서 슬라이더(247a)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힌지 모듈(204)에서, 슬라이더(247a)의 변위(displacemen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힌지 모듈(204) 내에서 슬라이더(247a)는 접힘 동작에 따라 또는 펼침 동작에 따라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보스(345a, 345b)들이 Y축 방향을 따라 정렬된 상태일 때와, Y축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일 때, Y축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제1 회전 보스(345a)와 슬라이더(247a) 사이의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회전 보스(345a, 345b)들이 Y축 방향을 따라 정렬된 때의 위치를 기준으로, 슬라이더(247a)의 위치를 'DY1 변위'라 칭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DY1 변위가 클수록, 회전축(R)(예: 제1 회전 보스(345a))과 슬라이더(247a) 사이의 거리(예: Y축 방향을 따라 측정된 거리)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링크(247b)는 Y축 방향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구속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슬라이더(247a)는 Y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 및/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링크(247b)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링크(247b)는 Y축 방향에서 슬라이더(247a)에 구속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247a)의 DY1 변위는 링크(247b)와 연결 핀(247c)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허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DY1 변위는 제2 회전 보스(345b)의 회전 궤적(T1, T2)이 가지는 곡률 반경 및/또는 제2 회전 보스(345b)들 사이의 간격에 반비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회전 보스(345b)가 회전 궤적(T1, T2)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는 하우징(210, 220)들이 회동하는 각도에 비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회전 보스(345b)가 회전 궤적(T1, T2)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가 동일할 때, 회전 궤적(T1, T2)의 곡률 반경이 클수록 DY1 변위는 작아질 수 있다. 후술할 디텐트 구조에서, 탄성 부재(447)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DY1 변위에 비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궤적(T1, T2)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면 회전 플레이트(245), 힌지 모듈(204) 및/또는 전자 장치(200)의 소형화가 용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 궤적(T1, T2)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면, 회전 플레이트(245)를 회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커질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245)를 회전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은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에서 가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전 보스(345b)가 형성하는 회전 궤적(T1, T2)의 곡률 반경은 전자 장치(200)의 소형화, 디텐트 구조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탄성력 및/또는 개폐 동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204)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200)는 탄성 부재(4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47)는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슬라이더(247a)를 둘러싸게 배치되면서 일단은 슬라이더(247a)의 한 단부에, 타단은 링크(247b)에 지지되며, 양단을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447)는, 슬라이더(247a)의 Y축 방향 변위와 조합되어, 접힘 동작이나 펼침 동작에서의 디텐트 구조(detent structure)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16을 더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의 힌지 모듈(예: 도 4와 도 5의 힌지 모듈(204))에서, 슬라이더(247a)의 변위를 이용한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과 함께, 도 16을 더 참조하면, 슬라이더(247a)는 일단에 제공된 플랜지부(447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부재(447) 일단이 플랜지부(447a)에 지지되고 타단이 링크(247b)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더(247a)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탄성 부재(447)는 플랜지부(447a)를 링크(247b)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180도 위치에서, 슬라이더(247a)는 힌지 브라켓(243)에 간섭된 상태일 수 있으며, 따라서 힌지 플레이트(241a, 241b)들 및/또는 하우징들(예: 도 4의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은 180도 각도를 초과하여 펼쳐지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 180도 위치일 때, 탄성 부재(447)가 제공하는 탄성력은 회전 플레이트(22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성향을 가지지만, 슬라이더(247a)는 힌지 브라켓(243)에 간섭되어 회전 플레이트(225)는 더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로써, 탄성 부재(447)는 전자 장치(200)가 180도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0도 위치일 때, 전자 장치(200)의 하우징(210, 220)들이 이미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447)는 슬라이더(247a)를 힌지 브라켓(243)에 밀착시키되, 회전 플레이트(24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성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447)는 전자 장치(200)의 하우징(210, 220)들이 서로 마주보게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0도 위치 또는 180도 위치에서, 전자 장치(200)의 하우징(210, 220)들이 먼저 접촉되어, 슬라이더(247a)는 힌지 브라켓(243)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펼침 동작이나 접힘 동작에서 탄성 부재(447)의 탄성력은 최대로 압축된 위치(예: 도 10의 120도 위치)나 0도 위치 및/또는 180도 위치에서 작동감, 예를 들어,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탄성 부재(447)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되는 클릭감을 통해 전자 장치(200)의 개폐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을 인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플레이트(241a, 241b_들 및/또는 하우징(210, 220)들이 대략 120도 각도를 이루게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 보스(345a, 345b)들이 실질적으로 Y축 방향으로 정렬되며, 탄성 부재(447)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180도 위치와 120도 위치 사이에서, 탄성 부재(447)의 탄성력은 회전 플레이트(24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245)가 회전하여 180도 위치에 이르렀을 때 슬라이더(247a)가 힌지 브라켓(243)에 접촉되어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 동작 및/또는 하우징(210,220)들의 펼침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0도 위치와 120도 위치 사이에서, 탄성 부재(447)의 탄성력은 회전 플레이트(24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245)가 회전하여 0도 위치에 이르렀을 때 슬라이더(2247a)가 힌지 브라켓(243)에 접촉되어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 동작 및/또는 하우징(210, 220)들의 접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0도 위치 또는 180도 위치에서, 전자 장치(200)의 하우징(210, 220)들이 먼저 접촉되어, 슬라이더(247a)는 힌지 브라켓(243)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 방향은 도 16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된 것이며, 회전 플레이트(245)의 회전 방향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위치(예: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예: 도 1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하우징 구조(110)와 제2 하우징 구조(120) 및/또는 도 4의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예: 도 4와 도 5의 힌지 모듈(204))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회동축(예: 도 6 내지 도 8의 제1 회동축(P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힌지 플레이트(예: 도 3 내지 도 5의 제1 힌지 플레이트(164b, 241a)),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회동축에 평행한 제2 회동축(예: 도 6 내지 도 8의 제2 회동축(P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힌지 플레이트(예: 도 3 내지 도 5의 제2 힌지 플레이트(164c, 241b)),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에 수직하는 회전축(예: 도 5 또는 도 8의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플레이트(예: 도 4 내지 도 9의 회전 플레이트(245)),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연동 조립체(interlocking assembly)(예: 도 5의 연동 조립체(247)들 중 하나),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동 조립체(예: 도 5의 연동 조립체(247)들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및 상기 제2 연동 조립체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된 제1 영역(예: 도 1의 제1 영역(131a))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된 제2 영역(예: 도 1의 제2 영역(131b))과, 상기 힌지 모듈이 배치된 영역에 상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폴딩 영역(예: 도 1의 폴딩 영역(131c))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이 곡면 형상과 평면 형상 사이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힌지 브라켓(예: 도 4 내지 도 8의 힌지 브라켓(24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가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힌지 커버(예: 도 2 내지 도 4의 힌지 커버(165, 26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브라켓이 상기 힌지 커버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 암(hinge arm)(예: 도 5의 힌지 암(341a)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 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링크 암(link arm)(예: 도 5의 링크 암(341c)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 암(예: 도 5의 힌지 암(341a)들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 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링크 암(예: 도 5의 링크 암(341c)들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힌지 암과 제2 힌지 암 사이에서 또는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 사이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연동 조립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예: 도 4 내지 도 9의 슬라이더(247a)), 상기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링크(예: 도 4 내지 도 9의 링크(247b)), 및 상기 슬라이더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된 연결 핀(예: 도 4 내지 도 9의 연결 핀(247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제2 회동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힌지 암과 상기 제2 힌지 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회전 안내 홈(예: 도 5의 회전 안내 홈(341b)), 및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제2 회동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레일(예: 도 5의 회전 레일(343b))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레일들은 상기 원호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 안내 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예: 도 4와 도 5의 힌지 모듈(204))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는, 제1 회동축(예: 도 6 내지 도 8의 제1 회동축(P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힌지 플레이트(예: 도 3 내지 도 5의 제1 힌지 플레이트(164b, 241a)), 상기 제1 회동축에 평행한 제2 회동축(예: 도 6 내지 도 8의 제2 회동축(P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힌지 플레이트(예: 도 3 내지 도 5의 제2 힌지 플레이트(164c, 241b)),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에 수직하는 회전축(예: 도 5 또는 도 8의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플레이트(예: 도 4 내지 도 9의 회전 플레이트(245)),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연동 조립체(interlocking assembly)(예: 도 5의 연동 조립체(247)들 중 하나),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동 조립체(예: 도 5의 연동 조립체(247)들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및 상기 제2 연동 조립체에 의해 연동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위치(예: 도 2에 도시된 위치 또는 도 10의 0도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예: 도 1에 도시된 위치 또는 도 10의 180도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힌지 모듈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연동 조립체와 상기 제2 연동 조립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연동 조립체와 상기 제2 연동 조립체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연동 조립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제3 회동축(예: 도 9의 제3 회동축(P3))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예: 도 4 내지 도 9의 슬라이더(247a)), 상기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링크(예: 도 4 내지 도 9의 링크(247b)), 및 상기 슬라이더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된 연결 핀(예: 도 4 내지 도 9의 연결 핀(247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간격을 두고 일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회전 보스(예: 도 5의 제2 회전 보스(345b))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회전 보스들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링크에 감싸진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힌지 모듈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면을 둘러싸게 배치된 탄성 부재(예: 도 13 및/또는 도 16의 탄성 부재(4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 또는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힌지 모듈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힌지 브라켓(예: 도 4 내지 도 8의 힌지 브라켓(24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가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힌지 모듈 및/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 암(hinge arm)(예: 도 5의 힌지 암(341a)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 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링크 암(link arm)(예: 도 5의 링크 암(341c)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 암(예: 도 5의 힌지 암(341a)들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 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링크 암(예: 도 5의 링크 암(341c)들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힌지 암과 제2 힌지 암 사이에서 또는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 사이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연동 조립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링크, 및 상기 슬라이더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된 연결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힌지 모듈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제2 회동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힌지 암과 상기 제2 힌지 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회전 안내 홈(예: 도 5의 회전 안내 홈(341b)), 및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제2 회동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레일(예: 도 5의 회전 레일(343b))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레일들은 상기 원호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 안내 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일면에서 돌출된 회전 보스(예: 도 5의 제1 회전 보스(345a))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보스가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부분(예: 도 5의 회전 홀(343c))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200: 전자 장치 110, 210: 제1 하우징
120, 220: 제2 하우징 130, 230: 디스플레이
164: 힌지 구조 204: 힌지 모듈
241a: 제1 힌지 플레이트 241b: 제2 힌지 플레이트
245: 회전 플레이트 247: 연동 조립체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제1 회동축에 평행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연동 조립체(interlocking assembly);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및 상기 제2 연동 조립체에 의해 연동되어,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배치된 제1 영역과, 상기 제2 하우징에 배치된 제2 영역과, 상기 힌지 모듈이 배치된 영역에 상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이 곡면 형상과 평면 형상 사이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힌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가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브라켓이 상기 힌지 커버의 내측에 장착된 전자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 암(hinge arm);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 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링크 암(link arm);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 암;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 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링크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힌지 암과 제2 힌지 암 사이에서 또는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 사이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연동 조립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링크; 및
    상기 슬라이더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된 연결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제2 회동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힌지 암과 상기 제2 힌지 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회전 안내 홈; 및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제2 회동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레일들은 상기 원호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 안내 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8. 힌지 모듈에 있어서,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1 회동축에 평행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힌지 플레이트;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 연동 조립체(interlocking assembly);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 연동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및 상기 제2 연동 조립체에 의해 연동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 힌지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평행하게 배치된 힌지 모듈.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연동 조립체와 상기 제2 연동 조립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연동 조립체와 상기 제2 연동 조립체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를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힌지 모듈.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연동 조립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링크; 및
    상기 슬라이더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된 연결 핀을 포함하는 힌지 모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축 또는 상기 제2 회동축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힌지 모듈.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하여 지정된 간격을 두고 일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회전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회전 보스들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모듈.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링크에 감싸진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 힌지 모듈.
  15. 제1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외주면을 둘러싸게 배치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 또는 확장되도록 구성된 힌지 모듈.
  16. 제8 항에 있어서,
    힌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가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 암(hinge arm);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 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링크 암(link arm);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 암; 및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 암과 인접하게 배치된 제2 링크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힌지 암과 제2 힌지 암 사이에서 또는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 사이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모듈.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연동 조립체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 링크; 및
    상기 슬라이더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된 연결 핀을 포함하는 힌지 모듈.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제2 회동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힌지 암과 상기 제2 힌지 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회전 안내 홈; 및
    상기 제1 회동축과 상기 제2 회동축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레일들은 상기 원호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 안내 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힌지 모듈.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일면에서 돌출된 회전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보스가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모듈.
KR1020200178591A 2020-12-18 2020-12-18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87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91A KR20220087995A (ko) 2020-12-18 2020-12-18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1906796.4A EP4184902A4 (en) 2020-12-18 2021-09-15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PCT/KR2021/012586 WO2022131491A1 (ko) 2020-12-18 2021-09-15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449,369 US11815932B2 (en) 2020-12-18 2021-09-29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91A KR20220087995A (ko) 2020-12-18 2020-12-18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995A true KR20220087995A (ko) 2022-06-27

Family

ID=8205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591A KR20220087995A (ko) 2020-12-18 2020-12-18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7995A (ko)
WO (1) WO20221314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815A1 (ko) * 2022-09-26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힌지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26938A (zh) * 2022-09-29 2024-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铰链组件及可折叠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0196A1 (zh) *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CN207782858U (zh) * 2017-06-06 2018-08-28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柔性屏移动终端
KR102397575B1 (ko) * 2017-12-01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97076B1 (ko) * 2017-12-22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14445B1 (ko) * 2017-12-27 202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한 컨버터블 타입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815A1 (ko) * 2022-09-26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힌지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491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841B2 (en) Hinge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2498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structure
CN116684509A (zh) 电子装置
US1179294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220087995A (ko)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019663A (zh) 便携式通信设备
KR102660006B1 (ko)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7294785A (zh) 便携式通信设备
EP412341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EP4290835A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EP418428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inge module
KR2022002836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5326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460136A (zh) 双转轴机构、折叠组件及电子设备
US11983047B2 (en)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4184902A1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17223277A (zh) 包括铰链盖的电子装置
US7986511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880232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49264A (ko)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6606A (ko)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4708321B2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KR2022004944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20067475U (zh) 折叠装置、壳体组件和电子设备
RU2819749C2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уплотняющи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