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973A -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 Google Patents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973A
KR20220087973A KR1020200178555A KR20200178555A KR20220087973A KR 20220087973 A KR20220087973 A KR 20220087973A KR 1020200178555 A KR1020200178555 A KR 1020200178555A KR 20200178555 A KR20200178555 A KR 20200178555A KR 20220087973 A KR20220087973 A KR 20220087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sterilization module
providing unit
light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철
Original Assignee
배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철 filed Critical 배성철
Priority to KR102020017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973A/ko
Publication of KR20220087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살균모듈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살균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살균광 제공부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살균광 제공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살균광 제공부와 살균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기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살균광을 제공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의 내면은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은 살균광 제공부와 살균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이격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살균모듈을 들고 있을 필요 없이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장치는 살균모듈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살균모듈의 접촉감지센서를 활용함으로써 살균모듈이 용기에 장착된 경우에만 살균광 제공부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sterilizing module and sterilization box includ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기술은 대체로 살균광을 이용한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균모듈 자체로 휴대용 살균기로서 기능을 하며, 동시에 살균모듈을 용기에 부착하여 살균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가전제품, 장난감, 침구류 등은 사용과정에서 바이러스나 세균 등 유해물질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공공시설에 비치된 물품은 불특정 다수에 의한 빈번한 사용에 의해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쉽게 노출되며, 이로 인해 유행성 전염병 확산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위생상의 이유로 물품에 번식하거나 물품에 묻어있는 유해물질을 살균하거나 비활성화시키는 살균장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살균장치로는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해 자외선 등 광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광을 이용한 살균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의 내부에 살균하고자 하는 물품을 수납한 후 덮개나 도어를 닫고 본체에 고정형으로 마련된 자외선 램프를 통하여 자외선 광을 물품에 조사하여 유해물질을 살균하는 방식을 주로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광을 이용한 살균장치는 본체에 수납할 수 없는 물품은 살균이 어려운 점, 자외선 램프가 고정형으로 마련되어 있어 휴대용 살균장치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광을 이용한 살균장치는 내부에 수납된 물품에 골고루 광을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광을 이용한 살균장치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KR 제10-2017-0111046호 “냉장보관실이 포함된 유아용품 살균기” 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살균기의 하부에 냉장보관실이 추가 설치된 것으로 상측에는 젖병, 이유식용기 및 장난감을 살균하여 보관하고 하부에는 유축한 모유나 이유식 등을 보관 가능하여 음식물과 용기간의 이동거리가 짧아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냉장보관실이 포함된 유아용품 살균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상하기 쉬운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냉장보관실을 살균기에 마련한 특징은 있으나 살균부가 고정형으로 마련되어 휴대용 살균장치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 및 수납된 물품에 골고루 광을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휴대가 가능하며 살균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살균이 가능한 살균광을 이용한 살균모듈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살균모듈의 착탈이 가능하며 수납공간 내부에 마련되는 물품에 골고루 광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살균모듈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살균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살균광 제공부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살균광 제공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일면에 마련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광 제공부는 상기 함몰부의 안쪽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벽면은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각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일면에 마련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광 제공부는 상기 함몰부의 안쪽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각조절부는 상기 함몰부의 개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광학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살균광 제공부와 살균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몸체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의 일측은 상기 몸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의 타측은 자유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는 상기 이격부의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안팎이 뒤집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이격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상기 일면 또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기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살균광을 제공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살균광 제공부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살균광 제공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에는 상기 살균모듈을 지지하는 개방된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센서는 상기 뚜껑에 접촉시 상기 살균광 제공부의 동작을 온오프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내면은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살균모듈의 상기 몸체의 상기 일면, 상기 용기의 수납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뚜껑의 일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광반사면이라 함-는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상기 내면 중 내측벽면, 상기 용기의 상기 내면 중 바닥면 및 상기 광반사면은 서로 평행하지 아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는 상기 용기의 상기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의 외면에는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는 굴곡 형상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은 휴대가 가능하며, 접촉감지센서를 활용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통하여 살균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살균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은 광각조절부를 통하여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어 살균대상물에 골고루 살균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은 살균광 제공부와 살균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이격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살균모듈을 들고 있을 필요 없이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장치는 살균모듈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살균모듈의 접촉감지센서를 활용함으로써 살균모듈이 용기에 장착된 경우에만 살균광 제공부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장치는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용기의 내면을 마련함으로써 용기의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물품에 골고루 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장치는 외면에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는 굴곡 형상이 마련되는 받침대를 용기의 수납공간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상기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물품에 골고루 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의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의 광각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의 이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의 받침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제공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살균모듈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살균모듈을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의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의 광각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광반사면으로 마련되는 함몰부의 벽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c)는 광각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의 이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이격부로서 탄성이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이격부가 살균모듈의 몸체에 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이격부가 몸체의 외면에 마련된 이격부의 일측을 기준으로 안팎이 뒤집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이격부로서 지지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이격부가 살균모듈의 몸체에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회동동작을 통해 이격부가 살균모듈의 몸체에서 노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의 받침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의 용기에 받침대가 수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의 용기에 받침대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살균모듈(100)은 몸체(110), 살균광 제공부(120) 및 접촉감지센서(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살균모듈(100)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광각조절부(140), 이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에는 상태표시부(a), 동작모드선택부(b), 전원스위치(c), 외부전원연결부(d), 내장배터리(미도시),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몸체(110)의 소재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상태표시부(a)는 살균모듈(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표시부(a)는 색상변화, 점멸 등과 같은 시각적 방식, 단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소리 등과 같은 청각적 방식 및 이들의 조합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살균모듈(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모드선택부(b)를 통해 살균모듈(100)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모드선택부(b)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동작모드는 제공되는 살균광의 세기, 지속시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스위치(c)를 통해 살균모듈(100)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전원스위치(c)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LED 발광 소자 등과 같은 시각적 표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외부전원연결부(d)를 통해 살균모듈(10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거나 후술하는 내장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면에는 외부전원연결부(d)로서 USB 단자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장배터리(미도시)를 통해 살균모듈(100)을 휴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태표시부(a), 동작모드선택부(b), 전원스위치(c), 외부전원연결부(d), 내장배터리(미도시), 살균광 제공부(120) 또는 접촉감지센서(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살균광 제공부(120)는 몸체(110)의 일면에 마련된다. 살균광 제공부(120)는 살균광을 제공하며, 상기 살균광을 통하여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은 UV-C 파장(약 200 내지 약 280nm) 등을 포함하는 자외선 광일 수 있으나, 인체 노출시 사람에게 유해하지 않은 약 405nm 내지 약 461nm 파장의 광일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는 한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의 파장에는 제한이 없다. 살균광 제공부(120)로는 예로서 UV-C 파장(약 200 내지 약 280nm)의 LED 살균기, 약 405nm 내지 약 461nm 파장의 LED 살균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감지센서(130)는 몸체(110)에 마련되며 접촉을 감지하여 살균광 제공부(120)의 동작을 온오프한다. 접촉감지센서(130)는 전원스위치(c)를 통해 살균모듈(100)이 온 되더라도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살균광 제공부(120)의 동작을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를 통하여 유아나 어린이 등이 살균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촉감지센서(130)로는 압력감지센서, 무게감지센서, 마그네틱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의 센서가 접촉감지센서(130)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몸체(110)의 일면에 마련되는 함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살균광 제공부(120)는 함몰부(112)의 안쪽에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112)의 벽면(112a)은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110)를 금속소재로 제조하는 경우,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은 함몰부(112)의 벽면(112a)의 금속면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몸체(110)를 광반사 특성이 낮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소재로 제조하는 경우, 함몰부(112)의 벽면(112a)에 금속박막 등과 같은 반사층을 마련함으로써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은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될 수도 있다.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할 수 있는 함몰부(112)의 벽면(112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112)의 벽면(112a)이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경우, 함몰부(112)의 벽면(112a)의 각도에 따라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이 방사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112)의 벽면(112a)이 테이퍼 형상과 평행한 형상의 조합으로 이뤄진 경우에는 테이퍼 형상의 각도, 길이 등과 평행한 형상의 길이 등을 조절함으로써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이 방사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함몰부(112)의 벽면(112a)은 상술한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각조절부(140)는 몸체(110)에 마련되며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는 몸체(110)의 일면에 마련되는 함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광 제공부(120)는 함몰부(112)의 안쪽에 마련될 수 있다. 광각조절부(140)는 함몰부(112)의 개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광학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광각조절부(140)로서 볼록렌즈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오목렌즈, 프레넬 렌즈 등 다양한 렌즈가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함몰부(112)의 벽면(112a) 및 광각조절부(140)를 통하여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이 살균대상물의 특정 위치에 집중되도록 하거나 살균대상물에 골고루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격부(150)는 몸체(1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살균광 제공부(120)와 살균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이격부(150)는 몸체(1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100)은 휴대가 가능하므로 살균대상물의 크기, 형상 등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다만, 살균모듈(100)을 사용자가 직접 손에 들고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경우에 신체의 피로도 등에 의해 장시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이격부(1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살균모듈(100)을 들고 있지 않더라도 살균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3에는 이격부(150)로서 탄성이격부(150a)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부(150a)는 몸체(110)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격부(150a)의 일측은 몸체(1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격부(150a)의 타측은 자유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격부(150a)는 이격부(150a)의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안팎이 뒤집어질 수 있다. 이격부(150a)로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탄성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격부(150a)는 도 3의 (a)와 같이 초기에는 몸체(1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다가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경우에 도 3의 (b)와 같이 이격부(150a)의 안팎을 뒤집을 수 있다. 이격부(150a)의 안팎을 뒤집고 이격부(150a)에 둘러싸인 공간에 열쇠, 신용카드 등 크기가 작은 살균대상물을 위치시키거나, 크기가 큰 살균대상물의 특정 부위를 위치시킴으로써 살균광 제공부(120)는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이때, 살균광 제공부(120)와 살균대상물까지의 거리는 이격부(150a)의 높이로 확보할 수 있다.
일례로, 몸체(110)에 마련되는 이격부(150a)의 일측에는 이격부(150a)의 상기 일측의 테두리를 따라 와이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격부(150a)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몸체(110)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와 상기 레일의 결합을 통하여 이격부(150a)의 상기 일측은 몸체(110)에 안정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접촉감지센서(130)는 이격부(150a)의 상기 일측에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격부(150a)의 안팎이 뒤집어 진 후 이격부(150a)의 타측이 살균대상물이 위치하는 바닥면에 닿을 때 접촉감지센서(130)는 몸체(110)의 하중에 의해 이격부(150a)의 상기 일측과 접촉하여 살균광 제공부(120)의 동작을 온 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은 접촉감지센서(130)의 동작시에만 살균모듈(10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어 유아나 어린이 등이 살균모듈(100)을 가지고 놀더라도 살균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격부(150)로서 지지대(150b)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부(150)로서 지지대(150b)는 일단이 몸체(110)의 일면 또는 몸체(110)의 타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이격부(150)로서 몸체(110)의 타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대(150b)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격부(150b)는 도 4의 (a)와 같이 초기에는 몸체(110)의 외면에 삽입되어 있다가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경우에 도 4의 (b)와 같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격부(150b)를 돌출시켜 살균모듈(100)을 지지한 후 살균광 제공부(120)를 향하여 살균대상물 또는 살균대상물의 특정 부위를 위치시킴으로써 살균광 제공부(120)는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이격부(150)로서 몸체(110)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대(150b)를 사용할 경우, 살균광 제공부(120)와 살균대상물까지의 거리는 이격부(150b)의 길이, 이격부(150b)와 몸체(110)가 이루는 각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몸체(110)의 일면 또는 몸체(110)의 타면에는 지지대(150b)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14)가 마련될 수 있다. 삽입구(114)에는 지지대(150b)의 최대 회동을 제한하는 리미터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50b)의 일단에 인접한 삽입구(114)의 측벽이 예로서 상기 리미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접촉감지센서(130)는 지지대(150b)의 상기 일단에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50b)가 펼쳐진 후 지지대(150b)의 타단이 바닥면에 닿을 때 접촉감지센서(130)는 몸체(110)의 하중에 의해 지지대(150b)의 상기 일단과 접촉하여 살균광 제공부(120)의 동작을 온 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은 접촉감지센서(130)의 동작시에만 살균모듈(10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어 유아나 어린이 등이 살균모듈(100)을 가지고 놀더라도 살균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몸체(110)의 상기 일면 또는 상기 타면의 삽입구(114)에는 삽입구(114)의 폭 방향으로 축(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50b)의 상기 일단에는 상기 축이 통과하고 상기 축에 가이드되어 지지대(150b)가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채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50b)를 펼친 후 몸체(110)를 바닥면에 놓을 때, 지지대(150b)는 상기 채널을 따라 상승하여 지지대(150b)의 상기 타단은 접촉감지센서(130)와 접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200)는 용기(210) 및 살균모듈(10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200)는 선택적으로 받침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2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다.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한 용기(210)의 소재 및 형상에는 그 제한이 없다.
살균모듈(100)은 용기(210)의 개방된 상기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살균광을 제공한다. 살균모듈(100)은 몸체(110), 살균광 제공부(120) 및 접촉감지센서(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살균모듈(100)은 선택적으로 광각조절부(140), 이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220)는 용기(210)의 상기 수납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살균모듈(100)에 대해서는 앞서 상술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한정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용기(210)는 뚜껑(212)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212)에는 살균모듈(100)을 지지하는 개방된 안착부(212a)가 마련될 수 있다. 접촉감지센서(130)는 뚜껑(212)에 접촉시 살균광 제공부(120)의 동작을 온오프할 수 있다.
도 1에는 뚜껑(212)에 접촉시 살균광 제공부(120)의 동작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일면 가장자리에 마련된 접촉감지센서(13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살균모듈(100)이 뚜껑(212)에 지지될 때 뚜껑(212)에 접촉할 수 있는 한 접촉감지센서(130)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접촉감지센서(130)은 예로서 마그네틱 센서일 수 있으나 압력감지센서, 무게감지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등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센서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용기(210)의 내면은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용기(210)를 금속소재로 제조하는 경우,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은 용기(210)의 상기 내면의 금속면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용기(210)를 광반사 특성이 낮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소재로 제조하는 경우, 용기(210)의 상기 내면에 금속박막 등과 같은 반사층을 마련함으로써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은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용기(210)의 내면을 통하여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용기(210)의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살균대상물 표면에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이 골고루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살균모듈(100)의 몸체(110)의 일면, 용기(210)의 수납공간에 대향하는 뚜껑(212)의 일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광반사면이라 함-는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살균모듈(100)의 몸체(110)의 일면과 뚜껑(212)의 일면은 앞서 용기(210)의 내면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금속소재로 제작하거나 반사판을 마련함으로써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210)의 상기 내면 중 내측벽면, 용기(210)의 상기 내면 중 바닥면 및 상기 광반사면은 서로 평행하지 아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살균광 제공부(120)에서 제공되는 살균광은 용기(210)의 상기 내면 중 상기 내측벽면, 용기(210)의 상기 내면 중 상기 바닥면 및 상기 광반사면 사이에서 정체 또는 고립되지 아니하고 지속적으로 반사될 수 있어 용기(210)의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살균대상물 표면에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이 골고루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받침대(220)는 용기(210)의 수납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받침대(220)의 외면에는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는 굴곡 형상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굴곡 형상은 도 6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를 통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대(220)는 앞서 용기(210)의 내면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금속소재로 제작하거나 반사판을 마련함으로써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용기(210)의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살균광을 반사하는 굴곡 형상이 마련되는 받침대(220)를 통하여 받침대(220) 위에 마련되는 살균대상물의 아래 부분까지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살균대상물에 상기 살균광이 골고루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100)은 휴대가 가능하며, 접촉감지센서(130)를 활용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통하여 살균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살균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100)은 광각조절부(140)를 통하여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어 살균대상물에 골고루 살균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100)은 살균광 제공부(120)와 살균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며, 몸체(110)를 지지하는 이격부(15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살균모듈(100)을 들고 있을 필요 없이 살균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장치는 살균모듈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살균모듈의 접촉감지센서를 활용함으로써 살균모듈이 용기에 장착된 경우에만 살균광 제공부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장치(200)는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용기(210)의 내면을 마련함으로써 용기(210)의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물품 즉, 살균대상물에 골고루 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장치(200)는 외면에 살균광 제공부(120)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는 굴곡 형상이 마련되는 받침대(220)를 용기(210)의 수납공간에 마련함으로써 용기(210)의 상기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물품에 골고루 광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a: 상태표시부
b: 동작모드선택부
c: 전원스위치
d: 외부전원연결부
100: 살균모듈
110: 몸체
112: 함몰부
112a: 함몰부 벽면
114: 삽입구
120: 살균광 제공부
130: 접촉감지센서
140: 광각조절부
150: 이격부
150a: 탄성이격부
150b: 지지대
200: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210: 용기
212: 뚜껑
212a: 안착부
220: 받침대

Claims (12)

  1.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살균광 제공부;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살균광 제공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살균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일면에 마련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광 제공부는 상기 함몰부의 안쪽에 마련되며, 상기 함몰부의 벽면은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되는 살균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각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일면에 마련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광 제공부는 상기 함몰부의 안쪽에 마련되며,
    상기 광각조절부는 상기 함몰부의 개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광학렌즈를 포함하는 살균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살균광 제공부와 살균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는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몸체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격부의 일측은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이격부의 타측은 자유단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이격부의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안팎이 뒤집어질 수 있는 살균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상기 일면 또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살균모듈.
  8.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기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살균광을 제공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모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살균광 제공부;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살균광 제공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접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살균모듈을 지지하는 개방된 안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접촉감지센서는 상기 뚜껑에 접촉시 상기 살균광 제공부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면은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의 상기 몸체의 상기 일면, 상기 용기의 수납공간에 대향하는 상기 뚜껑의 일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광반사면이라 함-는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상기 살균광을 반사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용기의 상기 내면 중 내측벽면, 상기 용기의 상기 내면 중 바닥면 및 상기 광반사면은 서로 평행하지 아니하도록 마련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기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외면에는 상기 살균광 제공부가 제공하는 살균광을 반사하는 굴곡 형상이 마련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KR1020200178555A 2020-12-18 2020-12-18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KR20220087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55A KR20220087973A (ko) 2020-12-18 2020-12-18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555A KR20220087973A (ko) 2020-12-18 2020-12-18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973A true KR20220087973A (ko) 2022-06-27

Family

ID=8224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555A KR20220087973A (ko) 2020-12-18 2020-12-18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9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1970B2 (en) Sanitiz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519356B2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a container
US20120305804A1 (en) Doorknob sterilization apparatus
US2022002347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point of contact
US11523715B2 (en) Touchless sanitizer combination device
KR20200002082A (ko) Uv led를 이용한 밀폐용기 자외선살균기
KR102188963B1 (ko)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GB2458373A (en) Hygienic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130094474A (ko) 살균램프를 구비한 변기 커버
US11344641B2 (en) Appliance disinfection
KR20220087973A (ko)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US20210330830A1 (en) Ultraviolet Light Germicidal System
DK1636111T3 (en) CONTAINER WITH LIGHT GENERATOR
JP6710031B2 (ja) 自動販売機
CN212546478U (zh) 具有自动灭菌功能的容器
KR20220050269A (ko) 스마트 약 상자
NL2022365B1 (nl) Inrichting voor toepassing bij medische producten die middels een UV-C licht behandeling te desinfecteren zijn
KR20120010462A (ko) 위생 수저통이 구비된 테이블
KR102527264B1 (ko) 빨대 디스펜서
KR20210156127A (ko) 도난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uv-led 수저통 살균 장치
KR20200008369A (ko) 섭취물용기 살균장치
KR100523533B1 (ko) 자외선 살균 장치
KR102285930B1 (ko) 칫솔 소독기
US118717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drink sterilization unit
KR102555563B1 (ko) 실시간으로 자동 반복 살균이 가능한 음료 저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