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963B1 -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963B1
KR102188963B1 KR1020180122448A KR20180122448A KR102188963B1 KR 102188963 B1 KR102188963 B1 KR 102188963B1 KR 1020180122448 A KR1020180122448 A KR 1020180122448A KR 20180122448 A KR20180122448 A KR 20180122448A KR 102188963 B1 KR102188963 B1 KR 10218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ltraviolet rays
unit
steriliza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186A (ko
Inventor
정현주
Original Assignee
정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주 filed Critical 정현주
Priority to KR102018012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9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보관용기를 사용하여 액세서리(Accessory) 용품에 대한 살균을 시켜 주기 위해 보관용기의 보관실에 구비된 안착부에 액세서리 용품을 안착시켜 준 다음 UV소자에서 조사(照射)되는 자외선으로 상기 용품에 대해 살균 처리를 거쳐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바텀케이스에 탑케이스가 절첩부에 의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바텀케이스에 구비된 개폐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탑케이스가 개폐 가능한 보관용기; 상기 보관용기의 바텀케이스에는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오목한 보관실; 상기 보관실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탑케이스가 오픈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픈감지수단; 상기 탑케이스에는 안착부에 안착된 용품에 대한 자외선 조사 시에 누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에 테두리 단부가 밀착되도록 폐로 형태로 돌출 구비된 누광방지갓; 상기 누광방지갓의 안쪽에 구비된 배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UV소자; 상기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에 집중 반사시켜 주기위해 누광방지갓의 안쪽으로 구비된 광반사부재; 상기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상기 광반사부재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에 집중 확산시켜 주기 위해 누광방지갓의 안쪽으로 상기 광반사부재의 전면에 구비된 광확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면에는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에 도광시켜 주기 위해 누광방지갓의 테두리를 따라 안쪽으로 폐로 형태로 구비된 도광부; 상기 도광부에는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시켜 주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된 집광렌즈와 상기 집광렌즈의 안쪽 면에는 UV소자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광중계부 쪽으로 산란시켜 주기 위해 다수의 광산란돌기가 형성된 집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집광부에서 집광된 자외선을 광중계부를 거쳐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안착부에 확산시켜 주기 위해 다수의 광확산돌기를 표면에 형성시킨 면광원학산부가 폐로 형태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OF ACCESSORY GOODS}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보관용기를 사용하여 액세서리 용품에 대한 살균을 시켜 주기 위한 것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관용기의 보관실에 구비된 안착부에 액세서리 용품을 안착시켜 준 다음 UV소자에서 조사(照射)되는 자외선으로 상기 액세서리 용품에 대해 살균 처리를 거쳐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Ultra Violet: UV)은 파장 영역이 약 10 내지 397㎚에 이르는 전자기파의 총칭으로 1801년 독일의 화학자 J.W.Ritter가 사진작용(感光作用)에서 처음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UVA(320~400㎚)는 광촉매 활성화 에너지원 등에 사용되고, UVB(280 내지 320㎚)는 피부병 치료와 기상학 장비 등에 사용되고, UVC(200 내지 280㎚)는 오존 파괴용, 살균 및 소독용 등에 사용되고, UVV(100 내지 200㎚)는 반도체 공정에서 미량의 유기물질 제거 등 여러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은 일상 생활에 화학, 생리, 감광 및 표백작용 외에도 특히, UVC 영역에 해당하는 250㎚ 부근의 파장(예컨대, 보랏빛 광선)은 대장균, 디프테리아균, 이질균 등 세균에 대한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살균 및 소독용으로 확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A) 제10-2015-0028162호(2015년 03월 13일 공개)로 공개된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이를 '문헌 1'이라 한다.)가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문헌 1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부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 상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 다이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 1은 휴대용으로 사용은 가능하나 첫째, 살균 처리한 용품에 대해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별도로 보관이 불가하고, 둘째 살균 진행 시에는 발광 다이오드부(130a, 130b, 230a, 230b, 230c)가 휴대용 살균 장치(100, 20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용품 등에 자외선이 조사(照射)되기 때문에 자칫 사용자의 신체에 조사될 위험성을 초래할 수 있는 기술적인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탑케이스의 누광방지갓의 안쪽에 구비된 배치면에 UV소자를 배치하고, 상기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안착부에 안착시킨 용품에 대해 살균 처리를 거쳐 위생적으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는 바텀케이스에 탑케이스가 절첩부에 의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바텀케이스에 구비된 개폐버튼의 조작으로 상기 탑케이스가 개폐 가능한 보관용기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용기의 바텀케이스에는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오목한 보관실과 상기 보관실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탑케이스가 오픈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픈감지수단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케이스에는 안착부에 안착된 용품에 대한 자외선 조사 시에 누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에 테두리 단부가 밀착되도록 폐로 형태로 돌출 구비된 누광방지갓과 상기 누광방지갓의 안쪽에 구비된 배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UV소자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에 집중 반사시켜 주기위해 누광방지갓의 안쪽으로 광반사부재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상기 광반사부재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에 집중 확산시켜 주기 위해 누광방지갓의 안쪽으로 상기 광반사부재의 전면에 광확산부재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수단으로는 보관용기의 보관실에 구비된 안착부에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의 안착 상태를 감지하여 안착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안착감지수단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보관용기에 구비된 탑케이스가 임의 오픈되는 것을 감지하여 오픈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오픈감지수단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픈감지신호가 발생하면 UV전압출력부를 통해 UV소자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프로텍트부에 출력하는 제어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충전/통신포트를 통해 충전된 전원부의 전압을 저전압모니터링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부에서 설정된 UV소자의 구동전압 이하로 판별되면, 상기 UV전압출력부를 통해 UV소자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프로텍트부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수단으로는 보관용기의 보관실에 구비된 안착부에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의 안착 상태를 감지하여 안착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안착감지수단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감지신호가 발생하면 UV소자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UV전압출력부와 상기 UV전압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압에 대해 설정부에서 설정된 온/오프타임주기로 반복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스위칭부에 출력하는 제어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충전/통신포트를 통해 충전된 전원부의 전압을 저전압모니터링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부에서 설정된 UV소자의 구동전압 이하로 판별되면, 상기 UV전압출력부를 통해 UV소자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프로텍트부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보관용기의 보관실에 구비된 안착부에 용품의 안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용품에 대한 안착이 감지되면 보관 또는 살균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 모드가 선택되면, 사전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의 종류 선택에 이어 살균 프로그램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용품에 부합하는 살균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살균을 개시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을 개시한 후 보관용기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면, 프로텍트 기능을 수행하여 UV소자로 공급되는 구동전압의 셧다운에 이어 이상 상태를 경보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을 개시한 후 보관용기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용품에 대한 살균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살균을 지속한 다음 살균을 완료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품에 대한 살균이 완료되면, 살균완료 메세지의 발생에 이어 살균한 용품의 종류, 살균시간, 자외선 강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살균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보관용기의 보관실에 구비된 안착부에 용품의 안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용품에 대한 안착이 감지되면 보관 또는 살균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 모드가 선택되면, 사전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의 종류 선택에 이어 살균 프로그램을 호출하지 않고, 상기 용품에 부합하는 살균시간, 자외선 강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UV소자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살균을 개시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을 개시한 후 보관용기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면, 프로텍트 기능을 수행하여 UV소자로 공급되는 구동전압의 셧다운에 이어 이상 상태를 경보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을 개시한 후 보관용기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수동으로 설정된 살균시간 동안 살균을 지속한 다음 살균을 완료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품에 대한 살균이 완료되면, 살균완료 메세지의 발생에 이어 살균한 용품의 종류, 살균시간, 자외선 강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살균정보 생성단계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하면서 자주 착탈 사용하는 액세서리 용품에 대해 필요시 수시로 자외선으로 편리하게 살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위생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한 액세서리 용품에 대해서는 살균을 거쳐 장기적인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한 휴대용 보관용기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 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보관용기에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해 보관실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한 휴대용 보관용기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 사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보관용기에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해 보관실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한 휴대용 보관용기의 구성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3실시 사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있어서, 보관용기에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해 보관실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있어서, 도광부의 (가)부에 구비된 집광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 도 3 및 도 5에 있어서, 액세서리 용품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고 있는 보관용기의 외관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 사례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용품에 대한 살균이 완료된 보관용기의 외관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의 표면에 대한 표면처리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 사례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보관용기에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제1실시 사례 블럭도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보관용기에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제2실시 사례 블럭도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보관용기에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한 사전 준비절차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 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보관용기에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 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UV소자에 구조물이 배치된 UV소자어레이부의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 사례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UV소자에 구조물이 배치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 사례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에 있어서,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UV소자 구동전압의 온/오프 타임 주기를 나타낸 일실시 사례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일실시 사례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7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그 일실시 사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보관용기(100)를 사용하여 금속이나 가죽, 천, 옥, 진주,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과 같은 액세서리(Accessory) 용품(600)(이하 "용품"이라 함.)에 대한 살균을 시켜 주기 위해 상기 보관용기(100)의 보관실(210)에 구비된 안착부(220)에 용품(600)을 안착시켜 준 다음 UV(Ultra Violet)소자(이를 "UV LED"라고도 함.)(501)에서 조사(照射)되는 자외선으로 상기 용품(600)에 대해 살균 처리를 거쳐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또는 착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탑케이스(300)의 누광(漏光)방지갓(301)의 안쪽에 구비된 배치면(302)에 UV소자(501)를 배치하고,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안착부(220)에 안착시킨 용품(600)에 대해 살균 처리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보관용기(10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첩부(380)에 의해 바텀케이스(200)와 개폐 가능한 탑케이스(300)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기(100)는 바텀케이스(200)에 탑케이스(300)가 절첩부(380)에 의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바텀케이스(200)에 구비된 개폐버튼(Button)(240)의 눌림 조작으로 걸림부(241)가 걸림턱(370)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탑케이스(300)가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상기 바텀케이스(200)에는 살균 또는 살균완료 후 보관하고자 하는 용품(600)이 안착되는 안착부(220)가 구비된 오목한 보관실(210)과 상기 보관실(210)의 외주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되고, 상기 탑케이스(300)가 오픈(Open)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Sensor) 또는 스위치(Switch) 등으로 구비된 오픈감지수단(23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탑케이스(300)에는 안착부(220)에 안착된 용품(600)에 대한 자외선 조사(照射) 시에 누광(漏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220)에 테두리 단부(부호 생략함.)가 밀착되도록 폐로(閉路) 형태로 돌출 구비된 누광방지갓(301)을 형성하여, 상기 자외선에 대한 안착부(220) 바깥으로 누출되어 조사량(照射量)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살균 효과를 향상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누광방지갓(301)의 테두리 단부는 탑케이스(300)가 바텀케이스(200)에 닫혀진 상태에서 가능한 안착부(220)에 밀착될 수 있는 높이로 돌출 형성시켜 주되, 이를 위해 부드러운 합성수지나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시켜 주는 것이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누광방지갓(301)의 안쪽 표면에는 Mg, Al, Cu, Ti, Ag, Ni, Cr, F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PVD(Pphysical Vapor Deposition: 물리증착법)법으로 증착에 의해 광반사 가능한 물질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자외선의 조사량(照射量) 증가에 기여를 하고 용품(600)에 대한 살균력을 향상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사례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누광방지갓(301)의 안쪽에 구비된 배치면(302)에는 누광방지갓(301)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UV소자(501)가 배치된 UV소자어레이부(502)가 구성된다.
상기 UV소자어레이부(502)에는 첨부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503)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치된 UV소자(501)에서 각각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확산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오목한 형상의 구조물(540)을 상기 UV소자(501)에 각각 매칭(Matching)되게 배치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조물(540)은 기판(503)에 안착되는 베이스(Base)(541)와 상기 베이스(541)에 형성되어 UV소자(501)가 끼워지는 홀드(Hold)공(542)이 구성되고,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확산시켜 주기 위해 베이스(541)를 기점으로 외곽 프레임(Frame)(543)까지 15 내지 175˚(도)의 확산각을 가진 확산면(544)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UV소자어레이부(502)에 구비된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집중 반사시켜 주기 위한 광반사부재(5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광반사부재(510)는 자외선의 조사량(照射量)을 증가시켜 용품(600)에 대한 살균력을 향상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사례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누광방지갓(301)의 안쪽에 구비된 배치면(3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V소자(501)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배치면(302)에는 첨부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확산시켜 주기 위해 오목한 형상의 구조물(540)을 배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구조물(540)의 베이스(Base)(541)에 형성되어 UV소자(501)가 끼워지는 홀드(Hold)공(542)과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확산시켜 주기 위해 베이스(541)를 기점으로 외곽 프레임(Frame)(543)까지 15 내지 175˚(도)의 확산각을 가진 확산면(54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집중 반사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누광방지갓(301)의 안쪽으로 통공(511)을 통해 UV소자(501)가 끼워지는 즉,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자외선의 조사량을 증가시켜 주는 작용을 하는 광반사부재(5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상기 광반사부재(510)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집중 확산시켜 주기 위해 누광방지갓(301)의 안쪽으로 상기 광반사부재(510)의 전면에 구비된 광확산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확산부재(520)는 그 표면에 삼각 또는 반원 형상 등 다수의 광확산돌기(521)를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광확산부재(520)는 자외선의 조사범위를 확대시켜 사각지역을 없애줌으로써, 이 또한 용품(600)에 대한 살균력을 향상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사례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누광방지갓(301)의 안쪽에 구비된 배치면(302)의 어느 한 부위 또는 그 이상의 다수 부위에 UV소자(501)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배치면(302)에는 첨부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도광(導光)시켜 주기 위해 누광방지갓(301)의 테두리를 따라 안쪽으로 폐로(閉路) 형태로 구비된 도광부(500)를 배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도광부(500)는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는 집광부(530)와 상기 집광부(530)에서 집광된 자외선을 광중계부(533)를 거쳐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안착부(220)에 확산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그 표면에 삼각 또는 반원 형상 등 다수의 광확산돌기(521)를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형성시킨 면광원학산부(520a)가 폐로(閉路) 형태로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광부(530)는 오목한 형상의 집광렌즈(531)로 구비되고, 상기 집광렌즈(531)의 안쪽 면에는 UV소자(501)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광중계부(533) 쪽으로 산란(散亂)시켜 도광 효과를 높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삼각 또는 반원 형상 등 다수의 광산란돌기(532)를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면광원학산부(520a)에서 확산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집중 반사시켜 주기 위한 즉,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자외선의 조사량을 증가시켜 주는 작용을 하는 광반사부재(5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실시 사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탑케이스(300)에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착부(220)에 센서(Sensor) 등으로 구비된 안착감지수단(231)에 의해 감지된 용품(600)에 대한 메세지(Message)발생부(780)를 통해 출력되는 예컨대, 살균중 또는 살균완료를 나타내는 살균 진행 상태를 표시(Display)하여 주기 위한 화면부(330), 상태표시부(360)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면부(330)에는 살균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알림(781, 782)이 메세지로 표시되고, 상기 상태표시부(360)에는 표시수단 예컨대, LED램프 등으로 상태알림(361, 362)을 표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바텀케이스(200)에는 안착부(220)에 구비된 안착감지수단(231)에 의해 감지된 용품(600)에 대한 메세지발생부(780)를 통해 출력되는 살균 진행 상태를 음성으로 표시하여 주기 위한 알림수단(260)을 별도로 구비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부(220)의 표면(221)에는 첨부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수지, 반투명수지, 유색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표면보호를 위해 두께(t1) 0.04 내지 40㎛의 도막으로 제1기능층(222)을 형성시켜, 상기 표면(221)의 긁힘이나 훼손의 방지는 물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안착부(220)가 쉽게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기능층(222)은 전착도장, 수지도장, 분체도장, 정전도장, 스프레이도장 등으로 균일하게 도막 처리에 의해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기능층(222) 위에는 불소용액과 휘발용액의 혼합 비율이 10 내지 50% : 50 내지 90%로 조성된 코팅(Coating)액으로 두께(t2) 0.04 내지 40㎛의 제2기능층(223)을 형성시켜, 사용자들로 하여금 보관용기(100)의 사용 중에 특히, 여성들의 화장 중에 손가락 등에 묻은 화장품이 안착부(220)의 표면(221)에 지문 자국으로 묻을 경우에 대비하여 이를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코팅액 중에서 특히, 불소용액의 혼합 비율을 10% 이하로 너무 낮게 할 경우에는 건조과정에서 휘발용액이 휘발되고 난 후 잔류 불소용액에 의해 상기 제2기능층(223)의 두께(t2)가 0.04㎛ 이하로 너무 낮게 형성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불소용액의 혼합 비율을 50% 이상으로 너무 높게 할 경우에는 제2기능층(223)의 두께(t2)가 40㎛ 이상으로 너무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220) 자체의 표면(221)에 대한 질감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제2기능층(223)의 형성은 안착부(220)의 표면(221)에 스프레이법 등으로 코팅시켜 주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제2기능층(223)의 형성은 폴리머(Polymer) 또는 올리고머(Oligomer)수지로 앞서 언급한 스프레이법 등에 의해 안착부(220)의 표면(221)에 그 두께(t2)를 0.04 내지 40㎛로 코팅시켜 주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기능층(222)과 제2기능층(223)의 두께(t1, t2)를 0.04㎛ 이하로 너무 얇게 형성시켜 줄 경우에는 용품(600)에 기인한 자극으로부터 안착부(220)의 표면(221)이 쉽게 긁히거나 훼손될 우려가 있고, 반면에 40㎛ 이상으로 너무 두껍게 형성시켜 줄 경우에는 안착부(220) 자체의 재질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해당하는 표면(221)에 대한 질감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두께(t1, t2)를 상기 제한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기능층(222)과 제2기능층(223)은 자연건조 또는 40 내지 120℃에서 5 내지 60분간 이루어지는 열풍건조 또는 40℃ 미만에서 이루어지는 냉풍건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그 표면(221)에 박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여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기능층(222)과 제2기능층(223)은 보관용기(100)의 탑케이스(300)에 구비된 외관부(310)의 표면에도 형성시켜 줌으로써,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기능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반사부재(510)의 일면은 광반사 가능한 물질 예컨대, 박막 형태의 필름, 시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비시켜 주되, 다른 일면에는 두께 0.002 내지 0.2mm의 점착물질을 도포하여 누광방지갓(301)의 내측에 부착시킨 구성으로 된다.
상기 광반사 가능한 물질은 Mg, Al, Cu, Ti, Ag, Ni, Cr, Fe, 거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점착물질은 실리콘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합성수지계, 불소수지계, 에폭시계, 페트(PET)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조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물질의 두께를 0.002mm 이하로 너무 얇게 할 경우에는 접착력이 약하여 쉽게 박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그 두께를 0.2mm 이상으로 너무 두껍게 할경우에는 점착물질이 광반사부재(510)의 테두리 바깥으로 과다하게 노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한범위 내에서 적절한 두께로 도포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상기 광반사부재(510)는 Mg, Al, Cu, Ti, Ag, Ni, Cr, F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PVD(Pphysical Vapor Deposition: 물리증착법)법으로 누광방지갓(301)의 내측에 구비된 배치면(302)에 증착에 의해 형성시켜 주는 것도 기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로적인 구성수단에 대한 제1실시 사례로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살균을 개시하기 위한 전원스위치(280)가 온(On)되고, 보관용기(100)의 보관실(210)에 구비된 안착부(220)에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600)에 대한 안착 상태를 감지하여, 안착감지신호(S1)를 발생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센서 등으로 구비된 안착감지수단(23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감지신호(S1)가 발생하면 보관용기(100)에 구비된 탑케이스(300)가 사용자의 부주의로 떨어뜨림 등에 의해 임의 오픈(Open)되는 것을 감지하여, 오픈감지신호(S2)를 발생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 구비된 오픈감지수단(232)이 바텀케이스(200)에 구비된 보관실(210)의 외주에 구성된다.
상기 오픈감지신호(S2)가 발생하면 UV(Ultra Violet)전압출력부(760)를 통해 UV소자(501)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UV소자(501)에서 발(發)하는 자외선이 자칫 사용자의 신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한 제어신호(CS1)를 프로텍트(Protect)부(750)에 출력하는 제어부(71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CS1)가 출력되면 메세지(Message)발생부(780)를 통해 탑케이스(300)가 임의 오픈(Open)된 것을 외부에 알림수단(260)으로 예컨대, 삐~삐 등과 같은 음으로 경보하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10)는 바텀케이스(200)에 구비된 충전/통신포트(270)를 통해 충전된 전원부(720)의 전압(Vo)을 저전압모니터링부(73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조절버튼(이를 "조절부"라고도 함.)(250)을 통해 설정부(770)에서 설정된 UV소자(501)의 구동전압(Vd)(이를 "정격전압"이라고도 함.) 이하로 판별되면(Vo<Vd), 즉 UV소자(501)의 구동전압(Vd) 부족(예컨대, 3.4V 미만일 경우)으로 인해 용품(600)에 대한 살균 동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언급된 구동전압(Vd) 부족(예를 들면, 3.4V 미만)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UV소자(501) 즉, UV LED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정격전압(Forward Voltage)은 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LG이노텍사의 LEUVA33U70UL01 제품을 사양으로 할 때 광출력 1,100 내지 1,210㎽에서 정격전압은 3.4 내지 3.6V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전압(Vd)의 예를 들어보면, 정격전압 범위대비 이보다 낮은 즉, 3.4V 미만으로 될 경우에는 UV소자(501)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강도(이를 "광출력"이라고도 함.)가 1㎠당 100μW 이하로 될 수 있어 바람직한 살균 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UV전압출력부(760)를 통해 UV소자(501)에 공급되는 구동전압(Vd)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CS2)를 프로텍트부(750)에 출력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로적인 구성수단에 대한 제2실시 사례로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살균을 개시하기 위한 전원스위치(280)가 온(On)되고, 보관용기(100)의 보관실(210)에 구비된 안착부(220)에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600)의 안착 상태를 감지하여, 안착감지신호(S1)를 발생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센서 등으로 구비된 안착감지수단(23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감지신호(S1)가 발생하면 UV소자(501)에 구동전압(Vd)을 공급하는 UV(Ultra Violet)전압출력부(760)가 구성된다.
상기 UV전압출력부(760)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압(Vd)에 대해 조절버튼(250)을 통해 설정부(770)에서 온타임구간(Ta)이 오프타임구간(Tb)보다 짧게 설정된 온/오프타임(On/Off-Time)주기(週期)(T1)로 반복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CS3)를 스위칭(Sitching)부(790)에 출력하는 제어부(710)가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칭부(790)는 UV전압출력부(760)의 앞단에 구비하여 주는 것에 의해서도 앞에서 언급한 온/오프타임(On/Off-Time)주기(T1)에 대한 반복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온/오프타임주기(T1)에서 온타임(On-Time)구간(Ta)은 첨부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분 즉, 60초를 기준으로 하여 오프타임(Off-Time)구간(Tb)보다 60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80배로 설정부(770)를 통해 더 짧게 설정하여 반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한 적이 있는 용품(600)에 대해 일차적으로 살균하여 보관용기(100)의 보관실(210)에서 보관 중 일지라도 휴대 중에는 고온 다습한 계절 및 보관장소, 방문장소 등에 따라 온/습도 등의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세균의 번식 우려가 있어 일정한 시간 텀(Term)을 두고 반복적인 살균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1 내지 3시간 즉, 60 내지 180분 마다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된 시간 텀마다 오프타임구간(Tb)을 두고 자외선이 용품(600)에 조사되도록 UV소자(501)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온타임구간(Ta)은 적어도 60초 이상으로 조절버튼(250)을 통해 설정부(770)에서 설정하여 반복적인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온타임구간(Ta) 시에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살균시간과 강도는 용품(600)의 종류(예컨대,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와 재질의 특성(예컨대, 금속, 가죽, 천, 옥, 진주, 합성수지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부(770)에서 설정시켜 주되, 특히 상기 자외선의 강도는 적어도 1㎠당 100μW 이상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가령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600)이 가족 재질일 경우에는 금속 재질보다는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고 자외선을 가능한 표피 깊숙히 침투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살균시간은 더 길게 해야 함을 물론 자외선 강도 역시 더 강하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관용기(100)에 구비된 탑케이스(300)가 사용자의 떨어뜨림 등에 의해 임의 오픈(Open)되는 것을 감지하여, 오픈감지신호(S2)를 발생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 구비된 오픈감지수단(232)이 보관실(210)의 외주 어느 한 부위에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10)는 오픈감지신호(S2)가 발생하면 UV(Ultra Violet)전압출력부(760)를 통해 UV소자(501)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UV소자(501)에서 발(發)하는 자외선이 자칫 사용자의 신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한 제어신호(CS1)를 프로텍트(Protect)부(750)에 출력하는 구성을 포함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텀케이스(200)에 구비된 충전/통신포트(270)를 통해 충전된 전원부(720)의 전압(Vo)을 저전압모니터링부(73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조절버튼(250)을 통해 설정부(770)에서 설정된 UV소자(501)의 구동전압(Vd) 이하로 판별되면(Vo<Vd), 제어부(710)는 UV전압출력부(760)를 통해 UV소자(501)에 공급되는 구동전압(Vd)을 차단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CS2)를 프로텍트부(750)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UV전압출력부(760)를 통해 공급되는 UV소자(501)의 구동전압(Vd) 부족으로 인해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용품(600)에 대한 살균 동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710)에서 제어신호(CS1)가 출력되면 메세지(Message)발생부(780)를 통해 탑케이스(300)가 임의 오픈(Open)된 것을 외부에 알림수단(260)으로 예컨대, 삐~삐 등과 같은 음으로 경보하는 구성으로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일실시 사례로 첨부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첨부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가능한 보관용기(100)에서 용품(600)의 살균을 위한 준비절차로 사전정보를 DB(데이터베이스)로 생성하여 저장부(740)에 등록시켜 주는 단계(S801)가 구비된다.
상기 사전정보로는 첫째,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600)의 종류 예컨대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 종류에 대한 정보를 비롯한 용품(600)의 재질 예컨대 금속, 가죽, 천, 옥, 진주, 합성수지 등 재질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DB로 생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둘째 상기 보관용기(100)를 사용하여 용품(600)을 살균하거나 살균처리 후 용품(600)을 그대로 보관하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신체적 영상정보 즉, 아바타(Avatar)를 충전/통신포트(270)를 통해 피씨(PC),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받아 사전에 DB로 생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용품(600)의 종류 내지는 재질 별로 살균처리에 부합하는 예컨대 살균시간, 자외선 강도 등에 대한 사전정보를 토대로 살균 프로그램을 DB로 생성하여 저장부(740)에 등록시켜 주는 단계(S802)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사전에 준비절차를 거쳐 사전정보가 생성된 본 발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자동 프로그램으로 용품(600)을 살균 처리하는 경우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용품(600)을 살균 처리하는 경우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프로그램으로 용품(600)을 살균 처리하는 경우 대해 살펴보면, 보관용기(100)의 보관실(210)에 구비된 안착부(220)에 용품(600)의 안착 상태를 안착감지수단(231)을 통해 감지하는 단계(S901)가 구비된다.
상기 용품(600)에 대한 안착이 감지되면, 보관 또는 살균 모드(Mode)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90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살균 모드가 선택되면(S902), 사전정보 생성단계(S801)에서 생성된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600)의 종류에 대한 선택에 이어 살균 프로그램 생성단계(S802)에서 생성하여 저장부(740)에 등록된 상기 용품(600)에 부합하는 살균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UV소자(501)에서 조사(照射)되는 자외선으로 살균을 개시하는 단계(S903 내지 S90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살균을 개시한 후 보관용기(100)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면(S906), 프로텍트(Protect) 기능을 수행하여 UV소자(501)로 공급되는 구동전압(Vd)의 셧다운(Shutdown)에 이어 메세지(Message)발생부(780)를 통해 이를 외부에 알림수단(260)으로 예컨대, 삐~삐 등과 같은 음으로 경보하는 단계(S951 내지 S953)가 구비된다.
상기 이상 상태는 보관용기(100)의 과열을 비롯하여 탑케이스(300)의 임의 오픈(Open), 앞에서 언급된 UV소자(501)의 구동전압(Vd) 부족(예를 들면, 3.4V 미만일 경우) 등으로 인해 용품(600)에 대한 살균 동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음을 의미하게 되다.
또한, 만약에 살균을 개시한 후 보관용기(100)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지 않으면(S906), 상기 용품(600)에 대한 살균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살균을 지속한 다음 살균을 완료하는 단계(S907 내지 S90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품(600)에 대한 살균이 완료되면(S908), 메세지발생부(780)를 통해 살균완료 메세지의 발생에 이어(S954) 살균한 용품(600)의 종류, 살균날짜, 살균시간, 자외선 강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살균정보 생성단계(S909)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수동에 의해 용품(600)을 살균 처리하는 경우 대해 살펴보면, 앞서와 마찬가지로 보관용기(100)의 보관실(210)에 구비된 안착부(220)에 용품(600)의 안착 상태를 안착감지수단(231)을 통해 감지하는 단계(S901)가 구비된다.
상기 용품(600)에 대한 안착이 감지되면, 보관 또는 살균 모드(Mode)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90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살균 모드가 선택되면(S902), 사전정보 생성단계(S801)에서 생성된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600)의 종류 예컨대,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에 대한 선택에 이어(S903) 저장부(740)에 등록된 살균 프로그램을 호출하지 않고(S904), 상기 용품(600)에 부합하는 살균시간, 자외선 강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화면부(330)에 구비된 설정메뉴(340)에서 수동으로 선택하거나 설정부(770)를 통해 설정하여, UV소자(501)에서 조사(照射)되는 자외선으로 살균을 개시하는 단계(S941, S90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살균을 개시한 후 보관용기(100)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면(S906), 프로텍트(Protect) 기능을 수행하여 UV소자(501)로 공급되는 구동전압(Vd)의 셧다운(Shutdown)에 이어 메세지(Message)발생부(780)를 통해 이를 외부에 알림수단(260)으로 예컨대, 삐~삐 등과 같은 음으로 경보하는 단계(S951 내지 S953)가 구비된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상 상태는 보관용기(100)의 과열을 비롯하여 탑케이스(300)의 임의 오픈, UV소자(501)의 구동전압(Vd) 부족 등으로 용품(600)에 대한 살균 동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음을 의미하게 되다.
만약에 상기 살균을 개시한 후 보관용기(100)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지 않으면(S906), 상기 수동으로 설정된 살균시간 동안 살균을 지속한 다음 살균을 완료하는 단계(S907 내지 S90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품(600)에 대한 살균이 완료되면(S908), 메세지발생부(780)를 통해 살균완료 메세지의 발생에 이어(S954) 살균한 용품(600)의 종류, 살균날짜, 살균시간, 자외선 강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살균정보 생성단계(S909)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보관 또는 살균 모드 중에서 보관 모드가 선택되면(S902), 사전정보 생성단계(S801)에서 생성하여 저장부(740)에 등록된 사용자의 아바타(Avatar)(350)가 화면부(330)에 구현되어, 상기 용품(600)이 살균을 위해 대기 보관 중이거나 살균 완료하여 보관하고 있음을 표시하거나 알려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보관용기(100)에 구비된 탑케이스(300)가 임의 오픈되어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S906), 프로텍트(Protect)부(750)에서 UV전압출력부(760)를 통해 UV소자(501)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상기 UV소자(501)에서 발(發)하는 자외선이 자칫 사용자의 신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보관용기(100)에 구비된 충전/통신포트(270)를 통해 충전된 전원부(720)의 전압(Vo)이 설정부(770)에서 설정된 UV소자(501)의 구동전압(Vd) 이하(Vo<Vd)로 되어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S906), 상기 UV소자(501)에서 발(發)하는 자외선의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 정상적인 살균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프로텍트(Protect)부(750)에서 UV전압출력부(760)를 통해 UV소자(501)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진행 중인 살균을 중단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용품(600)에 대한 정상적인 살균을 위해서는 UV소자(501)에서 발(發)하는 자외선의 강도는 적어도 1㎠당 100μW 이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보관용기(100)를 사용하여 여성들이 자주 착탈 사용하는 액세서리(Accessory) 용품(600)에 대한 살균 처리를 거쳐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하거나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유익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 보관용기
200 : 바텀케이스(Bottom Case)
210 : 보관실
220 : 안착부
221 : 표면
222 : 제1기능층
223 : 제2기능층
231 : 안착감지수단
232 : 오픈감지수단
240 : 개폐버튼(Button)
241 : 걸림부
250 : 조절버튼
260 : 알림수단
270 : 충전/통신포트
280 : 전원스위치
300 : 탑케이스(Top Case)
301 : 누광방지갓
302 : 배치면
310 : 외관부
330 : 화면부
340 : 설정메뉴
350 : 아바타(Avatar)
360 : 상태표시부
361, 362 : 상태알림
370 : 걸림턱
380 : 절첩부
500 : 도광부
501 : UV(Ultra Violet)소자
502 : UV소자어레이(Array)부
503 : 기판
510 : 광반사부재
511 : 통공
520 : 광확산부재
520a : 면광원학산부
521 : 광확산돌기
530 : 집광부
531 : 집광렌즈
532 : 광산란돌기
533 : 광중계부
540 : 구조물
541 : 베이스(Base)
542 : 홀드(Hold)공
543 : 외곽 프레임(Frame)
544 : 확산면
600 : 용품
710 : 제어부
720 : 전원부
730 : 저전압모니터링(Monitoring)부
740 : 저장부
750 : 프로텍트(Protect)부
760 : UV전압출력부
770 : 설정부
780 : 메세지(Message)발생부
781, 782 : 상태알림
790 : 스위칭(Switching)부

Claims (14)

  1. 바텀케이스(200)에 탑케이스(300)가 절첩부(380)에 의해 상호 체결되고, 상기 바텀케이스(200)에 구비된 개폐버튼(240)의 조작으로 상기 탑케이스(300)가 개폐 가능한 보관용기(100);
    상기 보관용기(100)의 바텀케이스(200)에는 살균하고자 하는 용품(600)이 안착되는 안착부(220)가 구비된 오목한 보관실(210);
    상기 보관실(210)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탑케이스(300)가 오픈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픈감지수단(232);
    상기 탑케이스(300)에는 안착부(220)에 안착된 용품(600)에 대한 자외선 조사 시에 누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220)에 테두리 단부가 밀착되도록 폐로 형태로 돌출 구비된 누광방지갓(301);
    상기 누광방지갓(301)의 안쪽에 구비된 배치면(30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UV소자(501);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집중 반사시켜 주기위해 누광방지갓(301)의 안쪽으로 구비된 광반사부재(510);
    상기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상기 광반사부재(510)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집중 확산시켜 주기 위해 누광방지갓(301)의 안쪽으로 상기 광반사부재(510)의 전면에 구비된 광확산부재(5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면(302)에는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안착부(220)에 도광시켜 주기 위해 누광방지갓(301)의 테두리를 따라 안쪽으로 폐로 형태로 구비된 도광부(500);
    상기 도광부(500)에는 UV소자(50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시켜 주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된 집광렌즈(531)와 상기 집광렌즈(531)의 안쪽 면에는 UV소자(501)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광중계부(533) 쪽으로 산란시켜 주기 위해 다수의 광산란돌기(532)가 형성된 집광부(530)가 구비되고,
    상기 집광부(530)에서 집광된 자외선을 광중계부(533)를 거쳐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안착부(220)에 확산시켜 주기 위해 다수의 광확산돌기(521)를 표면에 형성시킨 면광원학산부(520a)가 폐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122448A 2018-10-15 2018-10-15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KR10218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448A KR102188963B1 (ko) 2018-10-15 2018-10-15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448A KR102188963B1 (ko) 2018-10-15 2018-10-15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739A Division KR20200110273A (ko) 2020-09-11 2020-09-11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86A KR20200042186A (ko) 2020-04-23
KR102188963B1 true KR102188963B1 (ko) 2020-12-09

Family

ID=7047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448A KR102188963B1 (ko) 2018-10-15 2018-10-15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9588A1 (en) * 2021-04-30 2022-11-03 Salupont Consulting Limited Portable sanitisation device for sanitising flexible face masks
KR20230083658A (ko) * 2021-12-03 2023-06-12 이성호 광범위 소독이 가능한 소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3969B (zh) * 2020-11-09 2023-05-12 深圳市孔明科技有限公司 移动净化灯
JP2022177596A (ja) * 2021-05-18 2022-12-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給紙トレ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081A (ja) * 2004-12-30 2008-07-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ルオロポリマーナノ粒子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812247B1 (ko) * 2016-07-08 2017-12-27 손원국 Uv 광반도체를 이용한 화장품 케이스용 살균 장치
KR101896245B1 (ko) * 2018-02-21 2018-09-07 (주)주심글로벌 살균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89B1 (ko) * 2012-12-20 2015-01-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머의 표면 강화용 코팅제, 표면 강화된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2971A (ko) * 2013-07-26 2015-02-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081A (ja) * 2004-12-30 2008-07-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ルオロポリマーナノ粒子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1812247B1 (ko) * 2016-07-08 2017-12-27 손원국 Uv 광반도체를 이용한 화장품 케이스용 살균 장치
KR101896245B1 (ko) * 2018-02-21 2018-09-07 (주)주심글로벌 살균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9588A1 (en) * 2021-04-30 2022-11-03 Salupont Consulting Limited Portable sanitisation device for sanitising flexible face masks
KR20230083658A (ko) * 2021-12-03 2023-06-12 이성호 광범위 소독이 가능한 소독장치
KR102623430B1 (ko) * 2021-12-03 2024-01-09 이성호 광범위 소독이 가능한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86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963B1 (ko)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US10456487B2 (en) Device treatment
JP7049295B2 (ja) 紫外線照射を放出する装置
US10456488B2 (en) Ultraviolet transparent structure for ultraviolet illumination using scattered and focused radiation
US10556026B2 (en) Ultraviolet transparent structure for ultraviolet illumination
KR102490733B1 (ko) 사용자의 손 소독 및 소독 품질 제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00110273A (ko) 액세서리 용품의 살균장치 및 그 방법
US9974877B2 (en) Electronic gadget disinfection
JP4690322B2 (ja) 薬物容器の内蔵型照射装置
US8142713B2 (en) Hand sanitizer/sterilizer
US20220072169A1 (en) Ultraviolet Disinfection for a Water Bottle
US67301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or disinfecting a region through a bandage
CA3069276C (en) Antibacterial door knob
TW201200168A (en) Germicidal bulb disinfection base for ophthalmic lenses
US20210386409A1 (en) Health care mirror
KR102209815B1 (ko)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CA3131647A1 (fr) Procedes de detection d&#39;un instrument medical dans un systeme de desinfection et systemes de desinfection mettant en oeuvre les procedes
CN108025175A (zh) 美容器具
KR101951643B1 (ko) 노리개 젖꼭지 살균기
KR20170107801A (ko) 휴대용 전자장치 케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케이스 동작 방법
JP2022531746A (ja) 感光性フォトクロミックコンタクトレンズ実演デバイス及び関連方法
KR20220007795A (ko) 자외선 살균기
LU101957B1 (fr) Porte équipée d&#39;une poignée dotée d&#39;un dispositif de désinfection
TWM524715U (zh) 可攜式紫外光殺菌裝置
KR20220087973A (ko) 살균모듈 및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