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816A -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 Google Patents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816A
KR20220087816A KR1020200178227A KR20200178227A KR20220087816A KR 20220087816 A KR20220087816 A KR 20220087816A KR 1020200178227 A KR1020200178227 A KR 1020200178227A KR 20200178227 A KR20200178227 A KR 20200178227A KR 20220087816 A KR20220087816 A KR 20220087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oor
storage chamber
light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149B1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to KR102020017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1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고저장실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여 도난여부를 판단하는 스마트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저장실을 촬영하는 영상취득부, 도어의 회전동작에 따른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회전감지부,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실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외부로 빛 또는 소리를 송출하는 경보장치 및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영상취득부를 통해 획득하고, 복수의 영상이 합성되도록 보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금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Smart Safe Having Alarm Device}
본 발명은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고저장실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여 도난여부를 판단하는 스마트 금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장치는 귀중품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서류, 금전 등과 같은 사유물에 대한 보관을 목적으로 이용되며, 그에 따라 금고장치는 외부인이 쉽게 열 수 없도록 하는 보안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금고장치는 갑작스런 화재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보관물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우수한 내화성 및 내열성을 구비하여 기업체의 중요한 서류 또는 개인의 귀중품 및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금고장치는 개폐 가능한 금고장치의 도어의 일측부에 열쇠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열쇠로 금고장치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귀중품 및 금전 등을 보관하였다.
하지만, 열쇠식 금고장치는 열쇠 손실 시 금고장치를 개폐할 수 없고, 열쇠를 복사만 하면 누구나 쉽게 금고장치를 개폐할 수 있는 등의 미흡한 부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10-2020-0048466에서와 같이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마련되는 입력 수단이 도어의 전면에 내장되어 도어가 결합된 본체와 조화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입력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인으로 하여금 입력 수단의 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가 등장하였다.
하지만 외부인에 의한 도난의 우려로부터 완전하지 않으며, 특히 사용자 외출 시 도난이 발생하거나 도난의 우려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알 수 없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48466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금고의 도난이 발생하거나 도난의 우려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기능이 있는 금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단말기와 연동되어 사용자로 하여금경보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금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촬영하는 영상취득부; 상기 도어의 회전동작에 따른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회전감지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외부로 빛 또는 소리를 송출하는 경보장치; 및 상기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영상취득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이 합성되도록 보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금고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회전감지부가 상기 도어의 회전동작 중 개방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가 일정한 회전 각도만큼 회전동작을 완료할 때마다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상기 저장실을 촬영하도록 영상취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개방동작영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회전감지부가 상기 도어의 회전동작 중 폐쇄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가 일정한 회전 각도만큼 회전동작을 완료할 때마다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상기 저장실을 촬영하도록 영상취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폐쇄동작영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회전감지부가 상기 도어의 회전동작 중 폐쇄동작의 완료를 감지하면, 상기 개방동작영상과 상기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일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개방동작영상과 상기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일치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개방동작영상과 상기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중첩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본체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동안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상기 저장실을 촬영하도록 영상취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폐쇄정지영상으로 보정하되, 상기 접근감지부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폐쇄정지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금고의 도난이 발생하거나 도난의 우려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기와 연동되어 사용자로 하여금경보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를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0)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0)는 내부에 저장실(13)이 구비되는 본체(11), 저장실(13)을 개폐하도록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2), 도어(12) 내측에 구비되어 저장실(13)을 촬영하는 영상취득부(300), 도어(12)의 회전동작에 따른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회전감지부(200), 본체(11)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실(13)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700), 외부로 빛 또는 소리를 송출하는 경보장치(60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본체(11)는 견고한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내부에 귀금속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13)이 구비되며, 전면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본체(11)는 개방된 전면을 통해 저장실(13)이 외부와 연통된다.
저장실(13)은 본체(11) 내부에 구비되며, 귀금속 등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선반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12)는 본체(1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본체(11)에 힌지 결합한다. 이에 따라 도어(12)는 본체(11)의 저장실(13)을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시킨다.
도어(12) 내측에는 저장실(13)을 촬영하여 저장실(13)의 영상을 취득하도록 하는 영상취득부(300)가 구비된다. 영상취득부(300)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며, 도어(12) 내측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영상취득부(310) 및 도어(12) 내측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영상취득부(320)를 포함한다.
도어회전감지부(200)는 일 예로 홀 센서(hall sensor)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어(12)의 회전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도어회전감지부(200)는 도어(12)에 의해 저장실(13)의 개폐여부와, 도어(12)의 회전운동의 방향과, 회전운동에 따른 위치 즉, 도어(12)의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회전감지부(200)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하는 도어(12)의 개방동작의 회전각도 또는 개폐동작의 회전각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한국등록특허 10-1280241 등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보장치(600)는 사용자에게 금고(10)의 상황을 알려주는 일종의 알림부(600)이며, 본체(11)의 상면, 측면, 전면 및 후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이 안되도록 본체(11)의 하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저장실(13)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영상취득부(300)를 통해 획득하고, 복수의 영상이 합성되도록 보정하여 사용자 단말기(PT)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PT)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경보장치(600)를 작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금고(10)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0)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금고(10)를 제어하는 구성은 상술한 도어(12)의 회전을 감지하는 도어회전감지부(200), 상술한 제1영상취득부(310) 및 제2영상취득부(320), 금고(10)의 외부로부터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감지부(400), 사용자 단말기(PT)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500), 외부로 빛 또는 소리, 음성을 송출하는 알림부(600), 저장실(13)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700), 사용자 단말기(PT)가 수신할 수 있는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800) 및 이를 구성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도어회전감지부(200)는 도어(12) 회전에 의한 저장실(13) 개방을 감지하고, 도어(12)의 회전방향 정보와 함께 도어(12)의 개방동작에 의한 회전각을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수신한 회전각도를 도어(12)의 개방동작에 의한 회전각도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러한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도어(12)의 회전동작에 따른 위치를 판단하고, 도어(12)가 일정한 회전 각도만큼 회전동작을 완료할 때마다 상기 저장실(13)에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700)을 제어하고, 저장실(13)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저장실(13)을 촬영하도록 제1영상취득부(310) 및 제2영상취득부(320)를 제어하여, 저장실(13)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개방동작영상으로 보정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개방동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PT)로 전송되도록 신호 송출부(800)를 제어한다.
이러한 개방동작영상은 기존의 보정 전의 영상보다 선명도가 높다. 따라서, 개방동작영상이 사용자 단말기(PT)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저장실(13)에 저장된 저장품(미도시)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어회전감지부(200)는 도어(12)의 회전방향 정보와 함께 도어(12)의 저장실(13)을 폐쇄하는 폐쇄동작에 의한 회전각을 감지하고, 도어(12) 회전에 의한 저장실(13) 폐쇄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수신한 회전각도를 도어(12)의 폐쇄동작에 의한 회전각도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러한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도어(12)의 회전동작에 따른 위치를 판단하고, 도어(12)가 일정한 회전 각도만큼 회전동작을 완료할 때마다 저장실(13)에 빛이 조사되도록 광원(700)을 제어하고, 저장실(13)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저장실(13)을 촬영하도록 제1영상취득부(310) 및 제2영상취득부(320)를 제어하여, 저장실(13)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폐쇄동작영상으로 보정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폐쇄동작영상을 사용자 단말기(PT)로 전송되도록 신호 송출부(800)를 제어한다.
이러한 폐쇄동작영상은 기존의 보정 전의 영상보다 선명도가 높다. 따라서, 폐쇄동작영상이 사용자 단말기(PT)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PT)를 통해 저장실(13)에 저장된 저장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어회전감지부(200)가 도어(12)의 회전동작 중 폐쇄동작의 완료를 감지하면, 제어부(100)는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일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PT)로 전송한다.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일치 여부에 대한 정보는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중첩된 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상호 중첩시켜 상호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색을 다르게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PT)에 전송되도록 신호 송출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쉽게 저장실(13)에 있는 저장품의 분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영상취득부(310) 및 제2영상취득부(320)는 저장실(13)을 촬영하여 제어부(100)를 신호를 전달한다.
근접감지부(400)는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플라스틱 형태의 대상에 적합한 정전식 감응 센서나 광전감지 센서이거나, 금속 물질에 적합한 유도형 센서일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전자기장이나 전자기파(예: 적외선)을 방출하며 그 전기장과 돌아오는 신호를 찾는다. 감응을 받는 물체는 근접 센서의 대상으로 간주된다. 한편, 초단거리의 근접 센서는 터치 스위치로 사용된다.
근접감지부(400)는 접근하는 대상을 감지하면, 해당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외출모드 등 소정의 모드로 미리 설정한 경우,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0)는 알림부(600)가 작동하도록 알림부(60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알림부(600)를 제어하는 동시에 근접 대상 존재에 대한 신호가 사용자 단말기(PT)에 전달되도록 신호 송출부(8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외출모드 등 소정의 모드로 미리 설정하지 않은 경우, 일 예로 제어부(100)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0)는 사용자 단말기(PT)에 해당 신호가 전달되도록 신호 송출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도어(12)가 저장실(13)을 폐쇄하는 동안 일정한 주기로 저장실(13)에 빛이 조사되도록 광원(700)을 제어하고, 저장실(13)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저장실(13)을 촬영하도록 제1영상취득부(310) 및 제2영상취득부(320)를 제어하여, 저장실(13)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폐쇄정지영상으로 보정한다.
근접감지부(400)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제어부(100)는 폐쇄정지영상이 회득된 경우에 한하여 폐쇄정지영상을 사용자 단말기(PT)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가 외출모드 등 소정의 모드로 미리 설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폐쇄정지영상을 전달함과 동시에, 알림부(600)가 작동되도록 알림부(600)를 제어하고, 근접 대상 존재에 대한 신호가 사용자 단말기(PT)에 전달되도록 신호 송출부(8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0)를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0)를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외출모드 등 소정의 모드로 미리 설정한 경우를 전제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0)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계는 일부가 생략되고 나머지 일부가 임의적으로 선택되어 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외출모드 등 소정의 모드로 미리 설정하지 않은 경우 이하 설명하는 단계 중 일부가 임의적으로 선택되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어(12)의 개방동작 감지 단계가 반드시 물체접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필요는 없다.
우선 도어(12)에 의해 저장실(13)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영상취득부(310) 및 제2영상취득부(320)에 의해 저장실(13)이 촬영되고 제어부(100)의 영상 보정에 의한 폐쇄정지영상이 획득된다(S310).
근접감지부(400)에 의해 물체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단계(S320)가 수행된다.
근접감지부(400)에 의해 물체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S320-Y), 알림부(600)가 작동하여 소리나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제1알림을 외부로 전송한다(S330).
이 경우 물체 접근 감지 신호 및 폐쇄정지영상이 사용자 단말기(PT)에 전달될 수 있다. 물체 접근 감지 신호 및 폐쇄정지영상은 제1알림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알림에 포함되는 소리나 빛은 금고(10) 주변으로 퍼지도록 전송되며, 사용자 단말기(PT)에 전송되지 않으나, 제1알림에 포함되는 물체 접근 감지 신호 및 폐쇄정지영상은 사용자 단말기(PT)에 전달되도록 외부로 전송된다.
근접감지부(400)에 의해 물체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지 않으면(S320-N), 폐쇄정지영상이 획득이 계속해서 수행된다(S310).
도어(12)의 개방동작 감지단계(S340)가 수행된다.
도어(12)의 개방동작이 감지되면(S340-Y), 도어(12)의 개방동작 중에 저장실(13)의 영상이 복수 개 획득되어 하나의 개방동작영상으로 보정된다(S350). 개방동작영상은 필요에 따라 둘 이상으로 보정될 수 있으나 적어도 보정 이전에 획득된 영상보다는 개수가 작다.
도어(12)의 개방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S340-N), 폐쇄정지영상이 획득이 계속해서 수행된다(S310).
도어(12)의 폐쇄동작 감지단계(S360)가 수행된다.
도어(12)의 폐쇄동작이 감지되면(S360-Y), 도어(12)의 폐쇄동작 중에 저장실(13)의 영상이 복수 개 획득되어 하나의 폐쇄동작영상으로 보정된다(S370). 폐쇄동작영상은 필요에 따라 둘 이상으로 보정될 수 있으나 적어도 보정 이전에 획득된 영상보다는 개수가 작다.
도어(12)의 폐쇄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S360-N), 폐쇄동작 감지단계가 계속해서 수행된다(S360). 다만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폐쇄동작 감지단계(S360)가 중단되고, 사용자 단말기(PT)로 경고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 유무판단이 수행된다(S380).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으면(S380-Y), 제2알림을 외부로 전송한다(S390). 구체적으로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사용자 단말기(PT)에 전달한다. 이 경우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중첩시킨 영상일 수 있다.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이 없으면(S380-N), 폐쇄정지영상이 획득이 계속해서 수행된다(S310).
제2알림은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비교하여 차이점이 유무에 관계 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방동작영상과 폐쇄동작영상을 중첩시킨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PT)에 전달된다.
사용자는 제1알림을 전송 받은 후 도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알림을 전송 받은 후, 도난여부를 원 거리에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일종의 경보장치(600)인 알림부(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금고(10) 근처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경보장치(600)인 알림부(600)를 작동시키지 않고 보안업체 등 외부 기관에 도난 상황을 신고하여 대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에 내장된 시간 기능을 통해 도난 시간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범죄자 특정이 비교적 용이하다. 나아가 도난을 유발한 범죄자는 저장실(13)에 저장된 저장품을 무단으로 반출하는 동안 검거나 보안에 관련되는 어떠한 위협적인 신호를 알아차릴 수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스마트 금고
100: 제어부
200: 도어회전감지부
300: 영상취득부
400: 근접감지부
500: 신호 수신부
600: 알림부
700: 광원
800: 신호 송출부

Claims (6)

  1.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촬영하는 영상취득부;
    상기 도어의 회전동작에 따른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회전감지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외부로 빛 또는 소리를 송출하는 경보장치; 및
    상기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영상취득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이 합성되도록 보정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금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회전감지부가 상기 도어의 회전동작 중 개방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가 일정한 회전 각도만큼 회전동작을 완료할 때마다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상기 저장실을 촬영하도록 영상취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개방동작영상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금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회전감지부가 상기 도어의 회전동작 중 폐쇄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가 일정한 회전 각도만큼 회전동작을 완료할 때마다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상기 저장실을 촬영하도록 영상취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폐쇄동작영상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금고.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회전감지부가 상기 도어의 회전동작 중 폐쇄동작의 완료를 감지하면, 상기 개방동작영상과 상기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일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금고.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동작영상과 상기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일치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개방동작영상과 상기 폐쇄동작영상의 상호 중첩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금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동안 일정한 주기로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실에 빛이 조사될 때 마다 상기 저장실을 촬영하도록 영상취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실을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 폐쇄정지영상으로 보정하되, 상기 접근감지부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폐쇄정지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금고.
KR1020200178227A 2020-12-18 2020-12-18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KR10259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227A KR102592149B1 (ko) 2020-12-18 2020-12-18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227A KR102592149B1 (ko) 2020-12-18 2020-12-18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816A true KR20220087816A (ko) 2022-06-27
KR102592149B1 KR102592149B1 (ko) 2023-10-23

Family

ID=8224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227A KR102592149B1 (ko) 2020-12-18 2020-12-18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1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2022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선일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KR20160008897A (ko) * 2014-07-15 2016-01-25 김광섭 금고 촬영장치 및 금고 내부 촬영 시스템
KR20200048466A (ko) 2018-10-30 2020-05-08 (주)신성금고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2022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선일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KR20160008897A (ko) * 2014-07-15 2016-01-25 김광섭 금고 촬영장치 및 금고 내부 촬영 시스템
KR20200048466A (ko) 2018-10-30 2020-05-08 (주)신성금고 도어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149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635B1 (ko)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36079B2 (en) Secure package deliver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8964037B2 (en) Luggage security device
US9407882B2 (en)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for permitting access
KR101778069B1 (ko)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금고 동작 감시 시스템
CN107077217A (zh) 用于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533421B1 (ko)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CN207458269U (zh) 一种智能防盗系统
CN104966359B (zh) 防盗报警系统和方法
KR20120057779A (ko) 디지털 사물함을 장착한 서랍장
KR200481554Y1 (ko) 접근자 자동 감지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스마트 금고 시스템
KR20220087816A (ko)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WO2021092432A1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system
CN108961540A (zh) 一种无人售货机以及一种报警方法
US10373455B1 (en) Theft detection system
US20200051411A1 (en) Theft Detection System
JP6666199B2 (ja) セキュリティドアシステム
TR201617852A2 (tr) Alarmlı kapı kilidi
KR20210017737A (ko) 낯선사람을 감지해 녹화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
CN109801455B (zh) 快递柜的控制方法、快递柜及计算机可读介质
CN104314414A (zh) 全自动保管箱智能看物间
US11466506B2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US11321980B1 (en) Security system
JP2011132799A (ja) 自動ドア開閉システム
US11403926B2 (en) Interactive security system for a stationary sto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