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146A -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146A
KR20220087146A KR1020200177563A KR20200177563A KR20220087146A KR 20220087146 A KR20220087146 A KR 20220087146A KR 1020200177563 A KR1020200177563 A KR 1020200177563A KR 20200177563 A KR20200177563 A KR 20200177563A KR 20220087146 A KR20220087146 A KR 20220087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ondition information
road condition
input
she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9427B1 (en
Inventor
이현섭
강민규
박준규
김효은
반환승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427B1/en
Publication of KR2022008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1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01C21/3694Output thereof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Abstract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를 향하는 도로 주변에 미리 설치되어 제1 도로 상황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도로 주변의 운전자에 의하여 제2 도로 상황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장치,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route to an evacuation shelter in a disaster situation are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guiding a route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n evacuation shelter,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dvance around a road toward the shelter to detect first road situ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road by a driver around the road receiving the input device to which situa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obtaining a recommended route to the shelter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erver and a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guide data on the recommended route from the server.

Description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본 발명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주체를 통하여 획득한 도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 안전하게 차량을 주행할 수 있도록 차량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oute guidance system and method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n shelter.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guiding a vehicle route so that the vehicle can be safely driven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n evacuation shelter based on road cond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plurality of entities.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An automobile may be classified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mobile, an external combustion engine automobile, a gas turbine automobile, an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according to a type of a prime mover used.

또한,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navigation terminal)는 사용자의 위치 및 도착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 등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차량, 선박, 항공 및 휴대용 네비게이션을 포함한다.Also, in general, a navigation terminal is a device that provides a user's location and route guidance from a destination to a destination, and includes a vehicle, a ship, an air, and a portable navigation device.

이 중 차량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차량에 내장되거나 장착/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체의 위치, 도로 정보, 경로 정보 및 상기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위험지역, 사고 다발지역, 단속구간 및 주변시설에 관련한 정보 등)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Among them, the vehicle navigation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vehicle or installed so that it can be mounted/detached,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road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and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danger area, accident-prone area, enforcement section, and surrounding facilities) related information, etc.) so that the user can arrive at the destination more quickly and safely.

또한, 최근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장치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portable terminal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n recent years, if an application including a navigation function is installed, the smartphone can be used in the same way as navigation.

자연재해(自然災害) 또는 천재지변(天災地變)은 폭풍, 홍수, 해일, 지진, 산사태 등 자연 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사망을 포함한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 그리고 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여 생물의 활동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한다. 특히,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자연재해는 지진일 수 있다. Natural disasters or natural disasters are natural disasters such as storms, floods, tsunamis, earthquakes, and landslides, including death, loss of life, property, and damage to living things. said to be greatly affected. In particular, a natural disaster related to driving of a vehicle may be an earthquake.

일반적으로 지진이란 탄성 에너지원으로부터 지진파가 전파되어 발생되는 지구의 진동이다. 지진의 규모는 민감한 지진계로만 검출되는 아주 작은 규모의 지진부터 광범위한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대규모의 지진까지 다양하다.In general, an earthquake is a vibration of the earth generated by the propagation of seismic waves from an elastic energy source. The magnitude of earthquakes varies from very small earthquakes detected only with sensitive seismometers to large-scale earthquakes that cause great damage to a wide area.

전 세계적으로 매일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수천 개에 이르며, 대부분의 지진은 오랜 기간에 걸쳐 대륙의 이동, 해저의 확장, 산맥의 형성 등에 작용하는 지구 내부의 커다란 힘에 의하여 발생된다.Thousands of earthquakes occur on Earth every day worldwide, and most earthquakes are caused by large internal forces acting on the movement of continents, the expansion of the sea floor, and the formation of mountain rang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최근 50년간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규모 7이상의 천발 지진은 약 500회에 이르며 지진에 대한 피해는 점점 그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2007.08.15에는 리히터 8.0 규모의 '페루 대지진'이 발생되었고, 2008.05.12에는 리히터 8.0 규모의 '중국 쓰촨 대지진'이 발생되었으며, 2010.02.27에는 리히터 8.8 규모의 '칠레 대지진'이 발생되었고, 2011.03.11에는 리히터 9.1 규모의 '일본 도호쿠 대지진'이 발생되었으며, 2015.04.25에는 리히터 7.8 규모의 '네팔 대지진'이 발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종래부토 대규모 지진이 일어나지 않았었지만, 최근, 2016.09.12에 리히터 5.8 규모의 '한국 경주 지진'과 2017.11.15에 리히터 5.4 규모의 '한국 포항 지진'이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도 지진을 감지하여, 지진을 경보하는 기술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Over the past 50 years, there have been about 500 thousand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of 7 or greater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and the damage from earthquakes is increasing. For example, on August 15, 2007, the 'Great Peruvian Earthquake' with a magnitude of 8.0 occurred in Richter, on May 12, 2008, a "Great Sichuan Earthquake with a magnitude of 8.0 in Richter occurred," and on February 27, 2010, a "Great Earthquake in Chile" with a magnitude of 8.8 in Richter occurred. On March 11, 2011, a 'Great Tohoku Earthquake' with a magnitude of 9.1 in Richter occurred, and on April 25, 2015, a 'Great Earthquake in Nepal' with a magnitude of 7.8 in Richter occurred. In Korea, there have been no large-scale earthquakes in the past, but recently, on September 12, 2016, a 5.8 magnitude earthquake in Gyeongju, Korea and a 5.4 Richter earthquake in Pohang, Korea occurred on November 15, 2017. For this reason, interest in technology for detecting earthquakes and warning earthquakes in Korea is increasing.

지진이 발생될 경우, 현재는 단순하게 지진 발생 여부를 휴대폰이나 스피커로 경보하고 가까운 대피소의 주소를 전송하는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4200호 (2015. 08. 06. 등록)에 기재된 발명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진 경보 시스템 및 지진 경보 방법"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소정 범위 내의 휴대용 단말기로 지진 경보를 일률적으로 하고 있다.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the current level is to simply alert whether an earthquake has occurred through a mobile phone or speaker and transmit the address of a nearby shelter.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inventor of "Earthquake warning system and earthquake warning method using an application" describ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44200 (registration on Aug. 06, 2015), when an earthquake occurs, an earthquake warning is provided by a portable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doing uniformly.

다만, 이와 같이 일률적으로 지진 경보를 할 경우, 지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지진 경보를 들을 경우 많이 당황하게 되어, 상황에 적합한 지진 대피를 하지 못할 확률이 매우 높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진 경보가 되었 음에도 지진에 의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an earthquake warning is issued uniformly in this way, people unfamiliar with earthquakes will be very confused when they hear the earthquake warning, and the probability that they will not be able to evacuate the earthquake appropriately may be very high.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many people may be damaged by an earthquake even when an earthquake warning has been issued.

특히, 차량에 탑승한 사람들의 경우, 차량을 이용하여 서둘러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 대피소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한 발명이 필요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ople riding in a vehicle, there is a need for an invention for using a vehicle to quickly move to an evacuation center in preparation for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KR 101544200 B1KR 10154420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재난 상황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vehicle driving route guidance system and method in a disaster situa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주변에 위치한 센서들로부터 도로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안전하게 대피소까지 도착할 수 있는 차량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a vehicle driving route that can safely arrive to an evacuation shelter by acquiring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sensors located around the roa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직접 입력하는 도로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안전하게 대피소까지 도착할 수 있는 차량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a vehicle driving route that can safely arrive to an evacuation shelter by acquiring road condition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a driv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도로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안전하게 대피소까지 도착할 수 있는 차량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a vehicle driving route that can safely arrive to an evacuation shelter by obtaining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주체들로부터 복수의 도로 상황 정보를 다양하게 획득하여 안전하게 대피소까지 도착할 수 있는 차량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a vehicle driving route that can safely arrive to an evacuation shelter by acquiring a plurality of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ubjects in various ways.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를 향하는 도로 주변에 미리 설치되어 제1 도로 상황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도로 주변의 운전자에 의하여 제2 도로 상황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장치,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a system for guiding a route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n shelter,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dvance around a road toward the shelter to detect first road situation information, the road An input device to which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is input by a nearby driver,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and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the It may include a server for obtaining a recommended route to the shelter and a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guide data on the recommended route from the server.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도로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도로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도로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침수 센서 및 상기 도로의 점유 상황을 감지하는 카메라(24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ad, a gyro sensor for detecting the shaking of the road, a immers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road is submerged, and a camera for detecting the occupancy of the road ( 240)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로 상의 과속 방지턱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nstalled inside a speed bump on the road.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도로 주변의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제3 도로 상황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내지 상기 제3 도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추천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may further receiv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around the road, and obtain the recommended route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운전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키보드일 수 있다. Also, the input device may be a wearable keyboard worn by the driver.

또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를 향하는 도로 주변에 미리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제1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로 주변의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된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guiding a route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 shelter, the step of receiving first road situ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dvance around a road toward the shelter , receiving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input by a driver around the road, obtaining a recommended route to an evacuation shelter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adding to the recommended route It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a guide message for transmission to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도로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도로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도로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침수 센서 및 상기 도로의 점유 상황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ad, a gyro sensor for detecting shaking of the road, a immers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road is submerged, and a camera for detecting the occupancy of the road. may include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로 상의 과속 방지턱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nstalled inside a speed bump on the road.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제3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내지 제3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The obtaining of the recommended route to the recommended shelter may include obtaining the recommended route based on the first to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와 연결된 웨어러블 키보드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키보드를 통하여 획득된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receiving of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mmunicating with a wearable keyboard connected to the driver and receiving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wearable keyboard.

또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술한 안내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guide method. It may be a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재난 상황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vehicle driving route guidance system and method in a disaster situa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주체들로부터 복수의 도로 상황 정보를 다양하게 획득하여 안전하게 대피소까지 도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afely arriving to the shelter by acquiring a plurality of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ubjects in various ways.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경로 중 가장 안전하게 대피소까지 도착할 수 있는 추천 경로를 재난 상황에서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quickly provide a recommended route that can reach an evacuation shelter most safely among a plurality of routes in a disaster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키보드를 활용하여 운전자가 도로 상황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긴급한 재난 상황에서 보다 신속하게 도로 상황을 서버로 전달하고, 그로 인하여 보다 신속한 대피소까지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earable keyboard to transmit road conditions to the server more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inputting road condition information by the driver, thereby providing a faster route to an evacuation center in real time. have.

본 발명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주행 경로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들이 도로 상의 방지턱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에서 입력신호로부터 출력값을 판단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에서 제 1 센싱 데이터를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주행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driving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a bump on the road.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eries of processes of determining an output value from an input signal in the wearable keyboard as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ing it to an external devic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cognizing first sensed data in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vehicle driving rout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vehicle driving route guidance system in a disaster situation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주행 경로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들이 도로 상의 방지턱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driving rout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sens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a bump on a road.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200), 입력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41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410)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40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200 , an input device 100 , a display device 410 , and a server 500 . 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avigation device 400 including a display device 410 . In this case, the navigation device 400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 which a navig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재난 상황에서의 차량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잇다. 본 발명에 복수의 센서(200)는 도로 주변에 미리 설치되어 제1 도로 상황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도로 상황 정보는 복수의 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의 종류에 따른 제1 도로 상황 정보는 이하 후술한다. 1 ,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ystem for guiding a vehicle driving route in a disaster situ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may be installed in advance around the road to detect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ensor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00)는 운전자에 의하여 제2 도로 상황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00)는 후술할 웨어러블 키보드(1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In the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he driver. The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earable keyboard 100 to be described later. Details of the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바람직하게는, 제2 도로 상황 정보는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된 도로 상황에 대한 모든 정보일 수 있다. 제2 도로 상황 정보는 미리 준비된 문답지에 운전자가 대답하는 형식으로 수집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all information on the road condition input by the driver.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in a form in which the driver answers a pre-prepared question and answer sheet.

일 예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아래와 같은 미리 준비된 질문을 표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display device 410 provided to the driver may display the following prepared questions.

(1) 현재 도로에 파손이 존재하는가? (1) Is there any damage to the current road?

(2) 도로가 파손된 상태라면, 차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가?(2) If the road is damaged, can it be driven by vehicle?

(3) 현재 주행 중인 도로가 사람들에 의하여 점유 상태인가?(3) Is the road you are currently driving on occupied by people?

(4) 현재 도로가 점유 상태라면, 차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가?(4) If the current road is occupied, can it be driven by vehicle?

이처럼, 운전자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에서 차량이 주행가능한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질문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river can focus on asking whether the vehicle is drivable on the currently driving road and collect information on the question.

운전자는 미리 준비된 입력 장치(웨어러블 키보드, 100)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작성할 수 있다. 이처럼, 긴급한 상황에서 보다 구체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음성으로 입력하는 경우, 음성 내용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게되면, 긴급한 상황에서 치명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신중을 가할 필요가 있다. The driver may writ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by using a pre-prepared input device (wearable keyboard) 100 . In this way, big data can be formed through more specific feedback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case of input by voice, if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voice content, a fatal situation may occur in an emergency situation, so it is necessary to apply caution.

도 2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200) 중 적어도 하나는 도로 상의 과속 방지턱(7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과속 방지턱(70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평상시 차량의 주행에 의하여 센서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200)들은 평상시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재난 상황 등의 긴급 상황 발생시 서버(500)로부터 트리거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활성화될 수 있다. 서버(500)는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응답이 없는 센서를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may be installed inside a speed bump 700 on a road. As such, by being installed inside the speed bump 700 , it is possible to minimize damage or failure of the sensor due to the normal driving of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are not normally used, but may be activated after receiving a trigger message from the server 500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fter transmitting the trigger message, the server 500 may determine that a sensor without a response is malfunctioning.

도 1에 따르면, 서버(500)는 복수의 차량(300)으로부터 제3 도로 상황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3 도로 상황 정보는 도로 상황을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server 500 may further receiv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vehicles 300 . In this case, th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may help to indirectly infer the road condition.

바람직하게는, 일 예로, 재난이 발생한 이후, 차량(310, 320)이 특정 경로를 통하여 주행을 하다가 갑자기 주행을 멈춘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해당 차량(310, 320)에 대한 신호가 두절된 경우, 서버(500)는 해당 차량(310, 320)이 주행한 경로를 안전하지 않은 경로로 정의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경로에서 차량(310, 320)이 주행이 멈추거나 차량과의 통신이 두절되고, 이러한 차량(310, 320)의 수가 많을수록 서버(500)는 상기 특정 경로를 보다 더 안전하지 않다고 정의할 수 있다. Preferably, for example, after a disaster occurs, it may be assumed that the vehicles 310 and 320 abruptly stop driving while driving through a specific route. When the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vehicle 310 or 320 is interrupted, the server 500 may define a path traveled by the corresponding vehicle 310 or 320 as an unsafe route. As such, the vehicles 310 and 320 on a specific path stop running or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is lost, and as the number of these vehicles 310 and 320 increases, the server 500 defines the specific path as unsafe. can

또한, 제3 도로 상황 정보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을 통하여 얻어진 도로 상황 정보일 수 있다. 자율주행 차량 또는 반자율주행 차량의 경우 도로 상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장치는 도로 상의 상황을 보다 자세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500)는 차량에 구비된 감지 장치 등을 통하여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road cond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camera, radar, lidar, etc. provided in the vehicle. In the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or a semi-autonomous vehicle, various sensing devices may be included to determine a situation on the road. Such a sensing device may detect a situation on the road in more detail. Accordingly, the server 5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road condition through a sensing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센서(200)는 압력 센서(210), 자이로 센서(220), 침수 센서(230) 및 카메라(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210)는 도로에 가햐지는 외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210)는 지진 등으로 인하여 도로에 가해진 외력을 감지하고, 서버(500)는 이를 기초로 도로의 안전도, 파손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2 , the plurality of sensor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210 , a gyro sensor 220 , an immersion sensor 230 , and a camera 240 . The pressure sensor 210 may detect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ad. Accordingly, the pressure sensor 210 detect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ad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and the server 500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safety level of the road and whether there is damage or the like based thereon.

자이로 센서(220)는 도로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다. 지진 등으로 도로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흔들리는 경우, 해당 도로는 안전하지 않거나 파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수 있다. The gyro sensor 220 may detect the shaking of the road. When the road shakes more than a preset value due to an earthquake, etc.,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oad is not safe or ha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damaged.

침수 센서(230)는 도로의 침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지진의 진원지가 바다 근처인 경우 해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해안 도로의 경우 해일에 의한 안전도에 대한 판단이 필수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방지턱(700) 내부에 침수 센서(230)가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높이만큼 도로가 침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도로는 안전하지 않거나 파손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수 있다. The submersion sensor 230 may detect whether the road is submerged. A tsunami is more likely to occur if the epicenter of an earthquake is near the sea.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astal roads, it will be necessary to judge the safety level due to tsunami. Accordingly, when the submersion sensor 230 is provided inside the bump 700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is flooded by a preset heigh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road is not safe or is highly likely to be damaged.

카메라(240)는 도로에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정 높이를 가짐으로써 카메라(240)는 도로 상황을 보다 더 많이 담을 수 있다. 카메라(240)를 통하여 도로의 점유 상태, 파손 여부 등이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로의 점유 상태는 차량 또는 피난 중인 사람들에 의하여 도로가 점유되는 상태이고, 이로 인하여 차량이 주행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camera 24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ad by a certain height. By having a certain height, the camera 240 can capture more road conditions. The occupancy state of the road, whether it is damaged, etc. may be determined through the camera 240 . The occupancy state of the roa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the road is occupied by vehicles or people who are evacuating, and thus may mean a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vehicle to travel.

이처럼, 서버(500)는 복수의 주체들로부터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종합하여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500)는 운전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지진 등 재난이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500)는 운전자의 위치 정보 및 재난 발생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여 도달할 수 있는 대피소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대피소 리스트는 운전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복수의 대피소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rver 500 may receive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ubjects, and obtain a recommended route to an evacuation shelter by synthesizing the information. The server 500 may receive the driv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n a point where a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ccurs. The server 500 may generate a list of shelters that the driver can reach by driving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er's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isaster occurrence point. The shelter lis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hel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iver.

서버(500)는 대피소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대피소들 각각에 대한 경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서버(500)는 경로 정보에 대응되는 도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 주변의 복수의 센서(200), 도로 주변의 운전자로부터 획득한 도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경로 정보들 중 추천 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추천 경로는 상기 경로 정보들 중 가장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소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일 수 있다. The server 500 may obtain rout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shelters included in the shelter list. The server 500 extracts a road corresponding to the route information, and obtains a recommended route among the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extracted road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200 around the road and a driver around the road. have. The recommended route may be a route that can reach an evacuation center safely and quickly among the route information.

서버(500)는 상기 경로 정보들에 대한 안전도를 획득하고, 서버(500)는 안전도가 가장 높은 경로를 추천 경로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경로 정보들에 대응되는 도로 중 복수의 주체에 의하여 감지된 이벤트가 존재하는 도로를 제외하는 방식으로 추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The server 500 may obtain a degree of safety for the route information, and the server 500 may select a rout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afety as a recommended route. Also, the server 500 may select a recommended route in a way that excludes a road in which an event detected by a plurality of subjects exists among roads corresponding to the route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한 쌍의 장갑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사용자가 손에 착용함으로써 입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특히, 자판이 없는 키보드를 의미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손 동작이 의미하는 문자를 인식한 출력값을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air of gloves.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is a device for performing input by being worn on the user's hand, and in particular, refers to a keyboard without a keyboard.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recognize a user's hand motion through a sensor and transmit an output value of recognizing a character meaning a hand motion to the external device 600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101)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플렉스 센서(111)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자이로센서(103)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determines an input signal for inputting the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 and virtual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 111 . It determines the position at which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in the QWERTY keyboard,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dex finger from the thir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103,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output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일 개시에 의하여 외부 장치(600)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것으로서,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external device 600 includes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includes a notebook PC, a desktop PC, an MP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tablet PCs, mobile phones, smart phones, etc. and their applications.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와 외부 장치(600)는 누가 호스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페어링을 위해 식별자 즉,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생성하고 페어링을 수락하는 단말기가 마스터가 되고, 이러한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슬레이브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마스터가 될 수도 있고 슬레이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이러한 페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온라인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5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and the external device 600 may be classified int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ccording to who serves as a host or an access point. In other words, a terminal that generates an identifier, that is, an SSID (Service Set Identifier) for pairing and accepts pairing becomes a master, and a terminal that requests pairing from such a master terminal becomes a slave.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may be a master or a slav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such a pairing function from an online marke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receive and use an application from the cloud server 500 that provides a cloud computing servic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적어도 세 종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101), 플렉스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0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고 인식한 손동작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한 문자 등을 출력값으로서 외부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recognize a user's hand gesture using at least three types of sensors. 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keyboard 100 uses the pressure sensor 101, the flex sensor 111, and the gyro sensor 103 to recognize the user's hand gesture, and from the recognized hand gesture, the user wants to input the character, etc. as an output value. may be transmitted to device 600 .

일 개시에 의하여 감압 센서(101)는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기 정해진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입력하였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all finger tips of the user,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s the virtual keyboard.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input,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inputted the virtual keyboard, and may determine the signal input by the user as the input signal.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센서(111)는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구부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으로부터 손가락의 구부림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플렉스 센서(111)는 플렉서블(flexible)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헤드 소켓의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부림 저항 측정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따라서, 플렉스센서(111)는 장갑형태의 웨어러블 키보드(100)에서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lex sensor 111 may be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joint to the third joint of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lex sensor 111 may measure the bending information of the finger from a resistance value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bending degree of the user's finger in order to measure the bending degree of the user's finger. The flex sensor 111 may be made of a flexible element, and may include a bending resistance measuring element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rminal of the head socket. Accordingly, the flex sensor 111 is easily replaceable in the glove-type wearable keyboard 100 .

일 개시에 의하여 자이로센서(103)는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자이로센서(103)는 일반적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범위가 가장 넓은 검지 손가락의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자이로센서(103)의 센싱 신호로부터, 검지 손가락의 좌우(x축)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출력값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gyro sensor 103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index finger. The gyro sensor 103 is generally us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input position of the index finger, which has the widest keyboard input range. 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output value by determining the left and right (x-axis) positions of the index finger from the sensing signal of the gyro sensor 103 .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에서 입력신호로부터 출력값을 판단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eries of processes of determining an output value from an input signal in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ing it to an external device.

일 개시에 의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는, 실제 키보드나 아닌 웨어러블 키보드(100)의 손가락 각각에 설정된 키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는 관성에 따라 손가락의 입력을 통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virtual QWERTY keyboard is a means for receiving a key set for each finger of the wearable keyboard 100 rather than an actual keyboard, and the user can input the virtual QWERTY keyboard through a finger input according to inertia. have.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1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센싱 데이터는 웨어러블 키보드(100)에서 감압 센서를 통해 인식한 압력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키보드(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평평한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감압 센서에서 가해진 압력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입력값을 제 1 센싱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제 1 센싱 데이터의 값이 임계값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키보드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가 아닌 에러값으로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입력을 분석하기 위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1 ,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corresponds to a threshold value or mor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irst sensed data represents a pressure signal recognized by the wearable keyboard 100 through a pressure sensor. For example, when a user applies pressure to a flat bottom surface while wearing the wearable keyboard 100, whe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essure sensor corresponds to a threshold value or more, the input value is converted to the first sensing data can decid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n the value of the first sensing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reduce energy for analyzing unnecessary input by determining it as an error value rather than data for inputting the keyboard. .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압력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한 임계값은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된 압력값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compare the pressure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select and recognize the input leve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threshold value by one start may be a value prese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initiation may be a pressure value customiz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profil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특정 시점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특정 시간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인식 시간에 입력된 상기 압력에 따라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50ms 내지 15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a time point when a pressure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inputted as a specific time point or a specific time period, and selects the input level according to the pressure input at a recognition time. can be characterized as Here, the recognition time may be set to a time of 50 ms to 150 ms based on a point in time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2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의 y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제 1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소정 손가락을 기준으로, 소정 손가락에 미리 설정된 예비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2,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y-axis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a preliminary output value preset to the predetermined finger based on the predetermined finger that has acquired the first sensing data.

일 개시에 의하여 예비 출력값은 미리 결정된 가상 쿼티 키보드 한줄 당 하나의 자판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영문 가상 쿼티 키보드 자판을 기준으로 왼쪽 약지 손가락은 W. S. X가 할당될 수 있으며, 왼쪽 중지 손가락은 E, D, C가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검지 손가락의 경우 가상 쿼티 키보드 한줄당 두개의 자판키를 할당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문 가상 쿼티 키보드 자판을 기준으로 오른손 검지손가락은 Y, U, H, J, N, M이 할당될 수 있으며, 왼손 검지손가락은 T, R, G, F, B, V가 할당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eliminary output value indicates one keyboard key per line of a predetermined virtual QWERTY keyboard. For example, based on the English virtual QWERTY keyboard keyboard, W. S. X may be assigned to the left ring finger, and E, D, and C may be assigned to the left middle finger.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dex finger, two keyboard keys may be assigned to each line of the virtual QWERTY keyboard. For example, Y, U, H, J, N, M may be assigned to the index finger of the right hand based on the English virtual QWERTY keyboard keyboard, and T, R, G, F, B, V may be assigned to the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can b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가 검출된 손가락의 y축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가 어떤 출력값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외부 장치(600)와 페어링을 시작한 후 문자를 입력하기 전에 y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외부 장치(600)로부터 문자 입력 시작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y축의 기준점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키보드 입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y축 기준점을 설정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output value of the signal input by the user by determining the y-axis position of the finger at which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In this cas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a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a y-axis position before inputting a character after starting pairing with the external device 600 . For exampl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receive a message requesting to start inputting text from the external device 600 , and may set a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receiving a message requesting to set a reference point on the y-axis. 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a reference point through an application for keyboard input. The method of setting the y-axis reference point is not limited.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3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으로부터 획득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인 경우, 같은 y축 위치에서 2개의 예비 출력값을 갖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판단을 위한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3 ,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obtained from the index finger. When the input signal is the index finger, since it has two preliminary output values at the same y-axis position, an additional process for accurate position determination is required.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4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에서 입력된 신호로 판단된 경우,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의 x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x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이후 소정의 시점에서 입력신호의 좌우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자이로센서에서 센싱된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점으로부터 좌측에서 검출된 신호인지, 우측에서 검출된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검지 손가락에서 획득한 입력신호의 y축 위치가 가장 상단부인 경우 예비 출력값은 Y, U 이며, 기준점을 기준으로 우측값으로 판단된경우 최종 출력값은 U이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4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signal is an input signal from the index finger,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x-axis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from the third sensing data.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preset a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an x-axis position.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a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input signal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ime after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is detected from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from the reference point u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gyro sensor. For example, when the y-axis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acquired from the right index finger is the uppermost part, the preliminary output values are Y and U,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right value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the final output value is U.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5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신호의 위치 정보로부터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신호의 위치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최종적인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가 복수개로 입력되는 경우,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조합한 값을 출력값으로서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5 ,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an output value from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put signal.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final output value by comb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signal.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are input, a value obtain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may be transmitted as an output value to an external device.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6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출력 값을 위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통신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는 NFC 방식,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바코드 인식 방식, QR 코드 인식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6 ,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transmit an output value to the upper body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module capable of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NFC method, Bluetooth, Wi-Fi, Zigbee, barcode recognition method, QR code recognition method, etc.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장갑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키보드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glove and mounted on the user's hand. In addition, the wearable keyboard may be made of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웨어러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되며, 화학식 1에 의하여 표시되는 에폭시계 에스테르 화합물 15 내지 25 중량%,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프탈레이트계 및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혼합물 및 트리멜리테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화합물 20 내지 2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 5 내지 10% 중량%, 상대점도(25℃)가 2.0 내지 2.8cP이고, 수평균분자량이 20,000 내지 200,000g/mol인 폴리 아미드 30 내지 50 중량%, 공액 디엔 고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here, the wearer polyamide resin composition is prepared by reacting vegetable oil with alcohol, and 15 to 25 wt% of an epoxy-based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 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and a tere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 20 to 25% by weight of at least one ester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thalate-based and terephthalate-based ester mixtures and trimellitate-based ester compounds,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propylene (PP), 5 to 10% of at least one olefinic rubber polymer selected from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PM),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octene copolymer, and ethylene-butadiene copolymer Vinyl containing 30 to 50 wt% of polyamide having a weight%, relative viscosity (25°C) of 2.0 to 2.8 cP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 to 200,000 g/mol, conjugated diene rubber, aromatic vinyl compound and vinyl cyanide comp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5 to 15 wt% of an aromatic compound-vinyl cyan compound copolymer.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R4는 (C8-C20)에폭시알킬이고, R5는 (C1-C10)알킬 또는

Figure pat00002
이고, 상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알킬 또는
Figure pat00003
이며, 상기 알킬은 (C1-C5)알킬 또는
Figure pat00004
이 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R41 및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C8-C20)에폭시알킬이며, 상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정수임). (Wherein R4 is (C8-C20) epoxyalkyl, R5 is (C1-C10) alkyl or
Figure pat00002
and R x and R y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1-C5)alkyl or
Figure pat00003
and wherein the alkyl is (C1-C5)alkyl or
Figure pat00004
may be further substituted, wherein R 41 and R 42 are each independently (C8-C20)epoxyalkyl, and n is an integer selected from 1 to 3).

또한, 상기 웨어러블 키보드는,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력신호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keyboard may include a coating layer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input signal generat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상기 코팅층은 보다 구체적으로 대전방지층으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방지하여, 입력신호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코팅층의 부착력이 우수하다.The coating layer is more specifically an antistatic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to prevent the adhesion of dust, and to prevent impurities such as dus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input signal. In addition, the adhesion to the polyamide resin composition is excellent, and thus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is excell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방지층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ntistatic layer is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Conductive fillers and graphite may include: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여기서,here,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m is an integer from 1 to 100,

p는 3 내지 10의 정수이며,p is an integer from 3 to 10,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R 1 to R 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deuterium, a hydroxy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 to C 3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6 to C 30 aryl group, ,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한된 알킬렌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르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실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실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Preferably, the substituted alkylene group, substituted arylene group, substituted alkyl group and substituted aryl group are hydrogen, deuterium, cyano group, nitro group, halogen group, hydroxyl group,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 cycloalkyl group,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30 carbon atoms, an alkynyl group having 2 to 24 carbon atoms, an aralkyl group having 7 to 30 carbon atoms, an ar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 heteroaryl group having 5 to 60 nuclear atoms, 6 to 30 carbon atoms of a heteroarylalkyl group, an alkoxy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n alkylamino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n arylamino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 aralkylamino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 heteroarylamino group having 2 to 24 carbon atoms, 1 to carbon atoms It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30 alkylsilyl group, an arylsil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an aryloxy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when substituted with a plurality of substituents, they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보다 바림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여기서, m 및 p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Here, m and p are as defined in Formula 2 ab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30 내지 5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a and mixtures thereof, but preferably alumina, but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e conductive filler has a particle diameter of 30 to 50 μm,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e conductive filler may exhibit electrical conductivity.

상기 그라파이트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라파이트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대전방지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The graphite may be included in a small amount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antistatic effect in the antistatic layer. Considering that graphite is an expensive conductive filler, it is included in a small amount in the antistatic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 continuous antistatic effect.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전방지층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는 소수성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ntistatic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2; By including a conductive filler and graphite, it may exhibit an antistatic effect. The polysiloxane is divided into a hydrophilic portion and a hydrophobic portion. The hydrophilic moiety is capable of hydrogen bonding with a water molecule by an oxygen atom containing a lone pair of electrons. On the other hand, the alkyl group acts as a hydrophobic group. Accordingly, the hydrophilic part i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antistatic layer, and the hydrophobic part is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by exhibiting a semi-permanent antistatic effect.

상기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방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그라파이트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For forming the antistatic layer,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more specifically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It can be prepared by mixing a conductive filler, graphite,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organic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butanol, hexane, propane, toluene, phenol, and mixtures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Preferably, the antistatic composition may include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2, 30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conductive filler,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graphi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a synergistic effect of critical significance is expressed as an antistatic synergistic effect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and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almost absen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는 1,200 내지 1,500cP이며, 상기 점도가 1,200cP 미만인 경우에는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5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More preferably, the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1,200 to 1,500 cP, and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1,200 cP,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n antistatic layer because it flows down during coating on one surface, and when it exceeds 1,500 cP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 uniform antistatic layer.

[제조예: 코팅층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1. 코팅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n antistatic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a conductive filler, and graphite in an organic solvent in which toluene and phenol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여기서, m은 10 내지 3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5의 정수이다.Here, m is an integer from 10 to 30, and p is an integer from 3 to 5.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A mor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DY1DY1 DY2DY2 DY3DY3 DY4DY4 DY5DY5 DY6DY6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폴리실록산polysiloxane 2020 3030 4040 6060 8080 100100 알루미나alumina 1010 2020 3030 4040 5050 6060 그라파이트graphite 1One 33 55 77 1010 1515

(단위 중량부)상기 알루미나는 입자 직경이 30 내지 50㎛이다.(Parts by weight) The alumina has a particle diameter of 30 to 50 μm.

2. 보호층의 제조2. Preparation of protective layer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HS 1 내지 HS 6의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 후, 열 경화시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였다.An antistatic layer was formed by applying the antistatic composition of HS 1 to HS 6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prepared using the polyamide resin, and then thermal curing.

[실험예: 대전방지 효과 실험][Experimental example: Antistatic effect test]

1. 점도 측정1. Viscosity Measurement

폴리아미드 기재층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Before forming the antistatic layer on one surface of the polyamide base layer, the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was measured.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rheometer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 The viscosity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DY1DY1 DY2DY2 DY3DY3 DY4DY4 DY5DY5 DY6DY6 점도(cP)Viscosity (cP) 620620 800800 10101010 14001400 19501950 24002400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폴리아미드 기재층의 일면에 DY 1 내지 DY 6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보호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2. Measurement of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For the protective layer in which the antistatic layer of DY 1 to DY 6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yamide base layer, use a Resistance Meter SIMCO resistor ST-4 (25°C, 50% relative humidity) for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was measured.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아미드 기재층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As a comparative exampl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polyamide base layer on which the antistatic layer was not formed was also measu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DY1DY1 DY2DY2 DY3DY3 DY4DY4 DY5DY5 DY6DY6 표면전기저항
(Ω/cm2)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Ω/cm 2 )
7.4×1011 내지 1.6×1012 7.4×10 11 to 1.6×10 12 6.4×109 내지 1.4×1010 6.4×10 9 to 1.4×10 10 1.4×109 내지 1.6×1010 1.4×10 9 to 1.6×10 10 7.2×108 내지 6.1×109 7.2×10 8 to 6.1×10 9 4.4×107 내지 2.1×108 4.4×10 7 to 2.1×10 8 6.5×107 내지 4.5×108 6.5×10 7 to 4.5×10 8 5.8×108 내지 7.8×108 5.8×10 8 to 7.8×10 8

상기 표 3에 따르면,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DY 1 내지 DY 6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3,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antistatic layer is not formed, sinc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DY 1 to DY 6 is low,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excellent,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n excellent antistatic effect is exhibited.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3. Evaluation of surface appearance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Due to the difference in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after the coating layer was prepared, a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whether a uniform surface was formed. Whether or not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was evaluated, and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균일한 코팅층 형성○: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Formation of a non-uniform coating layer

DY1DY1 DY2DY2 DY3DY3 DY4DY4 DY5DY5 DY6DY6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아미드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if the viscosity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flow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polyamide, and formation of a uniform coating layer is difficult in many cases.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lowered. In addition, even when the viscosity is too high,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composition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사용자의 열 손가락 각각의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10개의 감압 센서(101)는 손가락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센싱되는 경우, 신호가 센싱된 손가락을 판단함으로써 예비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include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101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distal ends of each of the user's ten fingers.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101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Accordingly, when the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sensed,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preliminary output value by determining the finger at which the signal is sensed.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 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구부러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 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의 편의성을 위하여 플렉스 센서(111)의 양끝 부분과 중간 부분만 장갑에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lex sensor 111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joint to the third joint of the user's finger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lex sensor 111 may be attached to the glove only at both ends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flex sensor 111 for the convenience of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일 개시에 의하여, 자이로센서(103)는 사용자의 양손 검지 손가락에 설치되어, 검지손가락이 입력된 x축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03)는 손의 방향 정보를 측정한다.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손의 회전 정보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및 지자기의 방향을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03)의 측정값은 관성 측정 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로 제공될 수 있다. 관성 측정 장치는 이동 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와, 회전 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의 총 세 가지 센서로 이루어진 하나의 통합 유닛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속도계와 자이로계 및 자계에 대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3축, 즉 피치(pitch), 롤(roll), 요(yaw)에 대한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gyro sensor 103 may be installed on the index finger of both hands of the user to determine the x-axis position to which the index finger is input. The gyro sensor 103 measures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hand. Additionally,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cceleration information, a gyro sensor for measuring rotation information of the hand, and a geomagnetic sensor for measuring the direction of the geomagnetism. The measured value of the gyro sensor 103 may be provided to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one integrated unit consisting of a total of three sensors: an accelerometer capable of measuring movement inertia, a gyrometer capable of measuring rotational inertia, and a magnetic field capable of measuring an azimuth. Rotation information on three axes, that is, pitch, roll, and yaw, may be obtained by using the measured values for the gyro and magnetic fields.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감압센서(101), 자이로센서(103) 및 플렉스센서(111)에서 인식한 사용자 입력신호의 오차율을 줄이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파라미터 범위를 20%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5 sets the hysteresis parameter range to less than 20%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rate of the user input signal recognized by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 the gyro sensor 103 and the flex sensor 111 . can

도 7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에서 제 1 센싱 데이터를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cognizing first sensed data in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L1, L2, L3은 각각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 입력 레벨의 의도하면서 서로 다른 크기의 힘을 가한 경우 압력의 증감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지칭한다. 다시 말하면 각각 약 레벨, 중 레벨, 강 레벨의 정도로 힘을 가한 경우를 지칭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바닥면에 가해지는 힘은 40~50ms 정도에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80 ~ 100ms 정도에서 피크를 나타낸 다음 110 ~ 120ms 정도에서 크기 감소가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7 , L1, L2, and L3 refer to graphs representing increases and decreases in pressure when the user intentionally applies forces of different magnitudes to the first to third input levels.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case where the force is applied to a weak level, a medium level, and a strong level, respectively. By the star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floo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tarts to increase rapidly at about 40-50 ms, peaks at about 80-100 ms, and then ends at about 110-120 ms.

바람직하게는,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상기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부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상기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50ms 내지 15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ms 내지 11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ms 보다 작거나 150ms 보다 큰 시간을 인식 시간으로 설정하면, 웨어러블 키보드에 가해지는 입력에 따라 가해진 압력의 크기를 올바르게 측정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Preferably, in consider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time is preferably set to a time of 50 ms to 150 ms based on a point in time when the pressur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started to be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unit. And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y set to a time of 70 ms to 110 ms. Here, if a time less than 50 ms or greater than 150 ms is set as the recognition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according to the input applied to the wearable keyboard cannot be measured correctly.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101)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상기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간이 인식 시간이 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time may be set based on a time when the pressure has a maximum valu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from a time when the pressure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started to be input from the pressure reduction sensor 101 . Preferably, the time when the pressure has a maximum value may be the recognition time.

여기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고정된 인식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입력되는 압력의 크기의 변화를 분석하여,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점에서의 압력의 크기를 기준으로 입력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압력값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가 의도한 압력의 크기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analyze a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input pressure without setting a fixed recognition time, and select the input level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pressure has a maximum value. In this way, when the maximum pressure value is used, there is an effect of more accurately recognizing the size of the pressure intended by the user and determining the input level accordingly.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압 센서(101)로부터 입력되는 압력의 크기를 시간 별로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들 중에서 가장 큰 압력을 이용하여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tore the amount of pressure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over time according to time, and determine the input level using the largest pressure among the stored pressures.

다만 이와 같이 최대값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값 식별을 위하여 메모리가 소요되고 신호 처리를 위한 전력이 소모될 수 있으므로, 메모리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 미리 설정된 인식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인식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인식 시간에서 입력된 압력만을 이용하여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를 절약하고 신호 처리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maximum value as described above, memory is required to identify the maximum value and power for signal processing may be consumed. Therefore, the previously set recognition time may be used to save memory and power. When the preset recognition time is us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put level can be determined using only the pressure input at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time, memory can be saved and power consumed for signal processing can be minimized.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 레벨의 인식을 위하여 사용자 별로 가장 적합한 임계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a threshold value most suitable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n order to recognize the input level.

일 개시에 의하여, 임계치는 웨어러블 키보드(100)에 의하여 구동되는 설정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복수개의 값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프로그램의 설계자는 각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을 가지는 사용자들에 대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에 대한 입력 시 가하는 힘의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 결과 통계에 따라, 내어 각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임계치 값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설정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별 임계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키보드(100)에 의하여 구동되는 설정 프로그램에서는 각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임계치 값이 미리 설정되고,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프로파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정 프로그램이 나이와 연령 대 별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가 여자, 20대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선택하면,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여자, 20대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제1 임계치 : 0.5N, 제2 임계치 3N)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lected and 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from among a plurality of values presented to the user by a setting program driven by the wearable keyboard 100 . For example, the designer of the setting program measures the degree of force applied when inputting the wearable keyboard 100 for users having each age, gender, and physic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ult of the experiment, and each age, gender, and physical condition A threshold value most suitable for a user having a condition may be determined, and accordingly, a threshold value for each user profile according to the user's age, gender, and physical condition may be set in a setting program. For example, in a setting program driven by the wearable keyboard 100, a threshold value is preset for each user profile, and a preset threshold value can be used for the selected profile by receiving a user's selection input for the user profile. . For example, if the setting program pre-stores a threshold value corresponding to a user profile for each age and age group, and the user selects a female user profile or a user profile in her twenties, the wearable keyboard 100 displays the user profile of a woman or a user in their twenties. A preset threshold value (first threshold: 0.5N, second threshold 3N) may be used.

또는 임계치는 웨어러블 키보드(100)가 각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한 압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101)로부터 입력받은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하여 비교 기준이 되는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in such a way that the wearable keyboard 100 uses pressure generated according to each user's touch input. He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a predetermined threshold as a comparison standard in order to select the input level using the pressure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

도 8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인 웨어러블 키보드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wearable keyboard, which is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센서부(105), 통신 모듈(114), 배터리(116), 제어부(115) 및 메모리(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05 , a communication module 114 , a battery 116 , a control unit 115 , and a memory 112 .

일 개시에 의하여 센서부(105)는 감압센서, 자이로센서, 플렉스센서를 포함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5)는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sensor unit 105 may include various sensors including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nd a flex senso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05 may includ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or It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일 개시에 의하여 배터리(116)는 웨어러블 키보드(100)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며, 예시적으로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battery 116 includes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required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wearable keyboard 100 ,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lithium polymer battery.

또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12) 및 메모리(112)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include a memory 112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115 that executes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2 .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15)에 연결된 웨어러블 키보드(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5)는 다른 구성요소(통신 모듈(114))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5)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5, for example, by driving software (eg, a program)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wearable keyboard 100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5 can be controlled, and various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s can be performed. The processor 115 may load a command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communication module 114 ) into a volatile memory for processing, and store the result data in a non-volatile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15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main processor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uses less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or an auxiliary specialized for a specified function. It may include a processor (eg, a graphic processing unit,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Here, the auxiliary processor may be operated separately from or embedded in the main processor.

일 개시에 의하여 통신 모듈(114)은 웨어러블 키보드(100)와 외부 장치(600)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4)은 프로세서(115)(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14)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support establishment of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wearable keyboard 100 and the external device 600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processor 115 (eg, an application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제 1 키보드 입력이 검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경우, 추가적으로 제 3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위치 및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n the first keyboard input is an input by the index finger, the processor 115 additionally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in the x-axis direction by using the third sensing data,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x-axis position and the y-axis position is determined.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센싱 데이터의 임계값을 결정하고, 감압 센서를 통해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이 감지된 손가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예비 출력값으로서 결정하고, 제 2 센싱 데이터 및 제 3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5 determines a threshold value of the first sensed data based on the user's profile, and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o the finger for which the pressure is sensed. A key of , may be determined as a preliminary output value, and any one of the preliminary output values may be determined as an output valu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nsing data and the third sensing data.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웨어러블 키보드에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매핑하고, 입력신호의 위치가 명확하기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신호를 획득한 감압 센서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5 maps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to each of the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installed on the wearable keyboar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s not clear, the input signal is mapped to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obtained The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output sig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s.

일 개시에 의하여, 메모리(112)는 프로세서(115)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장치로 입력되거나 또는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1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이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memory 112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or 115 , and may also store data input to or output from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2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where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software, not hardware, and are functionally operated modules.

메모리(11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2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where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software, not hardware, and may refer to modules that operate functionally.

[적용례][Application example]

따라서, 이하 상술한 웨어러블 키보드를 활용한 예시들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Accordingly, examples using the wearable keyboard described above may be as follows.

[제1 예시][Example 1]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감압 센서;a pressure sensor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distal end of all of the user's fingers;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플렉스 센서; a flex sensor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joint to the third joint of the user's finger;

상기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말단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a gyro sensor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user's index finger;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a memory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a processor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상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출력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키보드.The processor determines an input signal for inputting a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and determines a position where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dex finger from the thir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and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keyboard.

[제2 예시][Second example]

제 1 예시에 있어서,In the first example,

상기 프로세서는,The processor is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sensed data is detected above a threshold,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된 제 1 센싱 데이터를 제 1 키보드 입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의 y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고,The first sensing data detected above the threshold is determined as a first keyboard input, and the y-axis direction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is determined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s finger, and ,

상기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고,determining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y-axis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A wearabl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output value to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제3 예시][3rd example]

제 2 예시에 있어서, In the second example,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이 검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경우, 추가적으로 제 3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위치 및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When the first keyboard input is input by the index finger, a position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is additionally determined using third sensing data, and an x-axis position and a y-axis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are determined. Characterized in determining the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earable keyboard.

[제4 예시][4th example]

제 1 예시에 있어서, In the first example,

상기 프로세서는, The processor is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의 임계값을 결정하고, Determining a threshold value of the first sensing data based on the user's profile,

상기 감압 센서를 통해 상기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이 감지된 손가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예비 출력값으로서 결정하고,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at least one key corresponding to a finger for which the pressure is sensed is determined as a preliminary output value,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 및 제 3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nsing data and the third sensing data, any one of the preliminary output values is determined as an output value, the wearable keyboard.

[제5 예시][5th example]

제 1 예시에 있어서, In the first example,

상기 프로세서는, The processor is

상기 웨어러블 키보드에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매핑하고, mapping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to each of the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installed in the wearable keyboard;

상기 입력신호의 위치가 명확하기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를 획득한 감압 센서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s not clear,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mapped to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that obtained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The wearabl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signal is determined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제6 예시][6th example]

제 1 예시에 있어서, In the first example,

프로세서는, The processor is

상기 감압센서, 자이로센서 및 플렉스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인식한 사용자 입력신호의 오차율을 줄이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파라미터 범위를 20%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 The wearabl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hysteresis parameter range is set to less than 20%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rate of the user input signal recognized by at least one of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the gyro sensor, and the flex sensor.

[제7 예시][Seventh example]

제 1 예시에 있어서, In the first example,

상기 웨어러블 키보드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져있으며, The wearable keyboard is made of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The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omprises:

식물성 오일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되며, 화학식 1에 의하여 표시되는 에폭시계 에스테르 화합물 15 내지 25 중량%;15 to 25 wt% of an epoxy-based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which is prepared by reacting vegetable oil with alcohol;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프탈레이트계 및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혼합물 및 트리멜리테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화합물 20 내지 25 중량%;20 to 25 wt% of at least one ester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a tere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a phthalate-based and terephthalate-based ester mixture, and a trimellitate-based ester compound;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 5 내지 10% 중량%;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propylene (PP),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PM),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octene copolymer, 5 to 10% by weight of at least one olefinic rubber polymer selected from among ethylene-butadiene copolymers;

상대점도(25℃)가 2.0 내지 2.8cP이고, 수평균분자량이 20,000 내지 200,000g/mol인 폴리 아미드 30 내지 50 중량%;30 to 50 wt% of a polyamide having a relative viscosity (25°C) of 2.0 to 2.8 cP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 to 200,000 g/mol;

공액 디엔 고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A wearable keyboard comprising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5 to 15 wt% of a conjugated diene rubber,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aromatic compound including a vinyl cyan compound-vinyl cyan compound copolymer.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상기 R4는 (C8-C20)에폭시알킬이고, R5는 (C1-C10)알킬 또는

Figure pat00009
이고, 상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알킬 또는
Figure pat00010
이며, 상기 알킬은 (C1-C5)알킬 또는
Figure pat00011
이 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R41 및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C8-C20)에폭시알킬이며, 상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정수임). (Wherein R4 is (C8-C20) epoxyalkyl, R5 is (C1-C10) alkyl or
Figure pat00009
and R x and R y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1-C5)alkyl or
Figure pat00010
and wherein the alkyl is (C1-C5)alkyl or
Figure pat00011
may be further substituted, wherein R 41 and R 42 are each independently (C8-C20)epoxyalkyl, and n is an integer selected from 1 to 3).

이하, 상술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의 차량 경로 안내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 또는 서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Hereinafter, a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route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n evacuation shelt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tents is as follows. In this case, the subject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the ser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r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serv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의 차량 경로 안내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Among the descriptions of the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route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n evacuation shelter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overlapping content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차량 주행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8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 vehicle driving rout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은, 도로 주변에 미리 설치된 복수의 센서(200)로부터 제1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00),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된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00),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제2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S1300) 및 추천 경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10)에 전송하는 단계(S1400)를 포함할 수 있다. 8, in the rout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s 200 installed in advance around the road (S1100), and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driver The receiving step (S1200), the step of obtaining a recommended route to the shelter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S1300), and generating a guide message for the recommended route and transmitting it to the display device 410 It may include a step (S1400) of doing.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안내 방법은, 도로 주변에 미리 설치된 복수의 센서(200)로부터 제1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100),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된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200), 복수의 차량(300)으로부터 제3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300), 제1 도로 상황 정보 내지 제3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S2400) 및 추천 경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10)에 전송하는 단계(S250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9 , in the rout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s 200 installed in advance around the road ( S2100 ), and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driver Receiving step (S2200), receiving th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vehicles (300) (S2300), and obtaining a recommended route to the shelter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S2400) and generating a guide message for the recommended route and transmitting it to the display device 410 (S2500).

도 10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00, S2200)는 운전자와 연결된 웨어러블 키보드와 통신하는 단계(S12120) 및 웨어러블 키보드를 통하여 획득된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2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0 , the steps of receiving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S1200, S2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step of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keyboard connected to the driver (S12120)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wearable keyboard is received. It may include a step (S1220) of doing.

바람직하게는, 이때, 웨어러블 키보드를 통하여 획득된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20)는 디스플레이 장치(410)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미리 정해진 질문 문장을 출력하는 단계(S1221), 질문 문장에 대응되는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S1222), 입력받은 응답을 미리 정해진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S1223) 및 변환된 숫자를 기초로 운전자가 주행 중인 도로의 안전도를 획득하는 단계(S1224)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in this case, the step of receiving the second road situ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wearable keyboard (S1220) is outputting a predetermined question sentence to the driv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410 (S1221),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entence It may include a step of receiving the received response (S1222), the step of converting the received response into a predetermined value (S1223), and the step of obtaining the safety level of the road on which the driver is driving based on the converted number (S1224). .

일 예로, 미리 정해진 질문 문장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redetermined question sentence may be as follows.

(1) 현재 도로에 파손이 존재하는가? (1) Is there any damage to the current road?

(2) 도로가 파손된 상태라면, 차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가?(2) If the road is damaged, can it be driven by vehicle?

(3) 현재 주행 중인 도로가 사람들에 의하여 점유 상태인가?(3) Is the road you are currently driving on occupied by people?

(4) 현재 도로가 점유 상태라면, 차량으로 주행할 수 있는가?(4) If the current road is occupied, can it be driven by vehicle?

이처럼, 운전자가 현재 주행 중인 도로에서 차량이 주행가능한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질문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질문들에 대한 응답은 운전자가 직접 입력한 문장 형태로 작성되거나, 미리 정해진 객관식 번호에 따라 운전자가 선택하는 방식에 의하여 작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river can focus on asking whether the vehicle is drivable on the currently driving road and collect information on the question. Responses to the above questions may be written in the form of a sentence directly input by the driver or may be written in a manner selected by the dri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ultiple-choice number.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1) 현재 도로에 파손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응답을 미리 정해진 객관식 번호에 따라 응답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이러한 응답은 운전자의 웨어러블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며, 이는 긴급한 상황에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응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입력 수단에 비하여 오류 발생의 염려가 적고, 정확한 응답이 가능하다. Preferably, for example,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of "(1) Is there damage on the current roa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ultiple-choice number may be answered as follows. Such a response is input through the driver's wearable keyboard, which may enable a quicker and safer response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input means, there is less concern about the occurrence of an error, and an accurate response is possible.

-파손의 정도를 선택하시오-Choose the degree of breakage

(1) 전혀 없음(1) none at all

(2) 도로 일부가 파손되었으나 차량 주행에 지장 없음(2) Part of the road is damaged, but there is no obstacle to vehicle driving

(3) 도로 일부가 파손되어 차량 주행에 지장이 존재함(3) Part of the road is damaged and there is an obstacle to vehicle driving

(4) 도로가 파손되어 차량 주행이 어려움(4) The road is damaged and it is difficult to drive the vehicle

(5) 도로가 소실되어 차량 주행이 불가능함(5) It is impossible to drive a vehicle because the road is lost.

위 응답 문구들은 미리 정해진 수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수치로 변환하는 단계(S1223) 및 안전도를 획득하는 단계(S1224)는 위 응답 문구에 대응되는 수치들의 합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수치가 높을수록, 해당 도로는 주행하기에 위험도가 높은 도로이거나 안전도가 낮은 도로일 수 있다. The above response phrases may correspond to predetermined values. Accordingly, the step of converting to a predetermined value (S1223) and the step of obtaining the safety level (S1224)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um of the numerica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bove response phrases. As the number is higher, the corresponding road may be a high-risk road to drive on or a low-safety roa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모델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모델링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el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It also includes modeling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 예들 또는 다른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configuration or function.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력 장치, 웨어러블 키보드
200: 복수의 센서
300: 복수의 차량
400: 네비게이션 장치
500: 서버
100: input device, wearable keyboard
200: a plurality of sensors
300: multiple vehicles
400: navigation device
500: server

Claims (11)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를 향하는 도로 주변에 미리 설치되어 제1 도로 상황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도로 주변의 운전자에 의하여 제2 도로 상황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장치;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In a system for guiding a route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n evacuation shelter,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dvance around the road toward the shelter to detect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 input device into which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is input by a driver around the road;
a server receiving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obtaining a recommended route to the shelter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and a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guide data for the recommended route from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도로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도로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도로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침수 센서; 및
상기 도로의 점유 상황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ensors,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ad;
a gyro sensor detecting the shaking of the road;
a flood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road is flooded; and
A camera that detects the occupancy condition of the road; will include, a vehicle route guidan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로 상의 과속 방지턱 내부에 설치되는 것인,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The vehicle route guidance system,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speed bump on the ro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도로 주변의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제3 도로 상황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내지 상기 제3 도로 상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것인,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is
and further receiving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around the road, and obtaining the recommended route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운전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키보드인 것인,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device is
The wearable keyboard worn by the driver, the vehicle route guidance system.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를 향하는 도로 주변에 미리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제1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로 주변의 운전자에 의하여 입력된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경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경로 안내 방법.
In a method for guiding a route from a disaster situation to an evacuation shelter,
Receiving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s pre-installed around the road toward the shelter;
receiving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input by a driver around the road;
obtaining a recommended route to an evacuation shelter based on the firs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guide message for the recommended route and transmitting it to a display device; Containing, vehicle route guidance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도로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도로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도로의 침수 여부를 감지하는 침수 센서; 및
상기 도로의 점유 상황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경로 안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lurality of sensors,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ad;
a gyro sensor detecting the shaking of the road;
a flood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road is flooded; and
A vehicle route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a camera for detecting the occupancy condition of the roa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로 상의 과속 방지턱 내부에 설치되는 것인, 차량 경로 안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The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route, which will be installed inside the speed bump on the road.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제3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대피소까지의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로 상황 정보 내지 제3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경로를 획득하는 것인, 차량 경로 안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Receiving the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vehicl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a recommended route to the recommended shelter comprises:
and obtaining the recommended route based on the first to third road condition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와 연결된 웨어러블 키보드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키보드를 통하여 획득된 상기 제2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경로 안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Receiving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includes:
communicating with a wearable keyboard connected to the driver; and
Receiving the second road condi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wearable keyboard; will include a vehicle route guidance method.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instructions, comprising:
11.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wherein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ause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10.
KR1020200177563A 2020-12-17 2020-12-17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KR1024994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63A KR102499427B1 (en) 2020-12-17 2020-12-17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63A KR102499427B1 (en) 2020-12-17 2020-12-17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46A true KR20220087146A (en) 2022-06-24
KR102499427B1 KR102499427B1 (en) 2023-02-10

Family

ID=8221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63A KR102499427B1 (en) 2020-12-17 2020-12-17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427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22B1 (en) * 2011-11-01 2012-05-03 아이리얼 주식회사 Traffic control system for handling wayside disaster
KR101313138B1 (en) * 2013-03-19 2013-10-02 (주)한울테크 Integrated disaster information alarm and automatic prevention system
KR101544200B1 (en) 2015-02-10 2015-08-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arthquake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pplication
KR101832825B1 (en) * 2016-12-21 2018-02-27 정현철 Speed bump
US20180198865A1 (en) * 2015-09-18 2018-07-12 Kabushiki Kaisha Toshiba Stree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lient and server applied to stree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of the same
KR20190092782A (en) * 2018-01-31 2019-08-08 (주)유즈브레인넷 Glove-type Motion Recognizing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Motion of Fingers and Hands on the Space and Recognizing Method thereof
KR102132186B1 (en) * 2019-09-25 2020-07-09 (주)비엔티 System for evacuation route calculation and guidance according to predict disaster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22B1 (en) * 2011-11-01 2012-05-03 아이리얼 주식회사 Traffic control system for handling wayside disaster
KR101313138B1 (en) * 2013-03-19 2013-10-02 (주)한울테크 Integrated disaster information alarm and automatic prevention system
KR101544200B1 (en) 2015-02-10 2015-08-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Earthquake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pplication
US20180198865A1 (en) * 2015-09-18 2018-07-12 Kabushiki Kaisha Toshiba Stree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lient and server applied to stree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of the same
KR101832825B1 (en) * 2016-12-21 2018-02-27 정현철 Speed bump
KR20190092782A (en) * 2018-01-31 2019-08-08 (주)유즈브레인넷 Glove-type Motion Recognizing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Motion of Fingers and Hands on the Space and Recognizing Method thereof
KR102132186B1 (en) * 2019-09-25 2020-07-09 (주)비엔티 System for evacuation route calculation and guidance according to predict disas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427B1 (en)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61067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01029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Ganz et al. PERCEPT-II: Smartphone based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KR101245375B1 (en) Active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Flexible Display
CN103365568B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US9664772B2 (en) Sound processing device, sound processing method, and sound processing program
KR20170024942A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00394B1 (en) Indoor navigation system using of wireless AP and acceleration sensor and the method
CN106133653A (en) Information processor
US10082877B2 (en) Orientation-independent air gesture detection service for in-vehicle environments
WO20180880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1772751A (en) Display device with navigation capability
Vanini et al. Adaptive context-agnostic floor transition detection on smart mobile devices
US1017009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esenting web content for the electronic device
JP201308355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KR1024994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Mata et al. A mobile navigation and orientation system for blind users in a metrobus environment
CN104729463B (en) A kind of altitude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KR1024980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KR1024038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rowsy driving
KR20210088038A (en) Wearable keyboard
KR1024181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mobility unit
KR102423332B1 (en) Vehicle key capable of drinking alcohol measurement and a drinking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03206953B (en) It is used for when location producing the method for a geographic orientation and using the alignment system of the method
KR102528680B1 (en) System for story-based educational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