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038A - Wearable keyboard - Google Patents

Wearable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038A
KR20210088038A KR1020200000862A KR20200000862A KR20210088038A KR 20210088038 A KR20210088038 A KR 20210088038A KR 1020200000862 A KR1020200000862 A KR 1020200000862A KR 20200000862 A KR20200000862 A KR 20200000862A KR 20210088038 A KR20210088038 A KR 20210088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input
user
wearable
sens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7162B1 (en
Inventor
김지홍
안재훈
진현석
신창엽
김형진
정문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162B1/en
Publication of KR2021008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1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wearable keyboard is provided. The wearable keyboard comprises: pressure senso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ends of all the fingers of a user; flex senso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 third joints of the fingers of the user; gyro sensor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index fingers of the user;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memory for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The processor can determine an input signal for typing on a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ressure sensor,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s, generate an output signal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dex fingers from thir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s, and transmit the output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refore, the portability of the keyboard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웨어러블 키보드{WEARABLE KEYBOARD}Wearable Keyboard {WEARABLE KEYBOARD}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성 및 인식률이 높은 웨어러블 키보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rable keyboard with high mobility and recognition rate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모바일 기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있지만,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화면의 크기가 작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타이핑 작업을 하는 경우 가상 키보드가 화면을 가리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키보드, 프로젝션 키보드 등이 발명되었지만, 이러한 키보드의 경우 모바일 기기의 이동성을 감소시키고, 인식률이 낮은 단점 등이 존재하였다.Although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devices has increased, it has become possible to perform various tasks using mobile devices regardless of location. However, when typing using a mobile device having a small screen, the virtual keyboard is inconvenient to cover the screen.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Bluetooth keyboards, projection keyboards, etc. have been invented, but in the case of such keyboards,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reduced mobility of mobile devices and a low recognition rate.

최근, 웨어러블 스마트기기(Wearable Smart Device) 또는 착용 컴퓨터라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컴퓨팅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컴퓨터를 옷이나 안경처럼 착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컴퓨터를 인간 몸의 일부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웨어러블 컴퓨터의 관점에서 더욱 편리하게 타이핑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a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such as a wearable smart device or a wearable computer has emerged. These technologies could help make computers part of the human body by allowing them to be worn like clothes or glasses. From the point of view of a wearable computer, development of an input device capable of more conveniently typing or inputting data is required.

이러한 요구에 따라 종래의 손가락을 이용한 웨어러블 입력 장치는 손가락의 동작이나 손가락이 터치하는 위치에 따라 입력 정보를 다르게 생성하여 입력 정보로 이용하는 것으로 입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특정의 제스처를 취하거나, 신체의 특정 부위를 터치하여 해당 체스처나 해당 신체의 부위에 할당된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었다. 이런 경우, 특정 체스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특정 신체 부위를 터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대로된 입력 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동성이 좋으면서도 타이핑이 편리한 웨어러블 키보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In response to this demand, the conventional wearable input device using a finger generates input inform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finger or the location where the finger touches and uses it as input information. It was a method in which a character was input by touching a specific part and using the corresponding gesture or input information assigned to the part of the body.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gesture cannot be properly recognized or a specific body part cannot be touched, proper input information cannot be generated. Accordingly, the need for a wearable keyboard with good mobility and convenient typing has increased.

일본공개특허 제2000-330692호 (2000.11.30)Japanese Laid-Open Patent No. 2000-330692 (2000.11.30) 일본공개특허 제2003-337653호 (2003.11.28)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337653 (2003.11.28)

일 개시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부가 장착된 장갑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인식률 및 이동성이 높은 웨어러블 키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wearable keyboard having a high recognition rate and high mobility through a glove-type wearable device equipped with different types of sensor units according to one disclosur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를 제공하며, 웨어러블 키보드는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감압 센서,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플렉스 센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말단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자이로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 wearable keyboard is provided 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rein the wearable keyboard includes a pressure sensor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distal end of all fingers of the user, a flex sensor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 third joints of the user's finger, and a gyro sensor installed to the distal end of the user's index finger. ,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memory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is an input for inputting a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ressure sensor Determining the signal,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signal was detected from the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dex finger from the thir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An output signal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result, and the out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는, 제 1 센싱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된 제 1 센싱 데이터를 제 1 키보드 입력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제 1 키보드 입력의 y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sensed data is detected above the threshold value, determines the first sensing data detected above the threshold value as the first keyboard input,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s finger Determining the y-axis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from the changing second sensing data, determining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y-axis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and transmitting the output value to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characterized.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는 제 1 키보드 입력이 검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경우, 추가적으로 제 3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위치 및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n the first keyboard input is an input by the index finger, the processor additionally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in the x-axis direction by using the third sensing data, and the determined x-axis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and determining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y-axis position.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센싱 데이터의 임계값을 결정하고, 감압 센서를 통해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이 감지된 손가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예비 출력값으로서 결정하고, 제 2 센싱 데이터 및 제 3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determines a threshold value of the first sensed data based on the user's profile, and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at least one key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detected finger is determined as a preliminary output value, an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nsing data and the third sensing data, any one of the preliminary output values is determined as the output value.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키보드에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매핑하고, 입력신호의 위치가 명확하기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신호를 획득한 감압 센서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maps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to each of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installed in the wearable keyboar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s not clear, at least one mapped to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that obtained the input signal and transmitting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to an external device, and determining an output signal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s.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는 감압센서, 자이로센서 및 플렉스센서에서 인식한 사용자 입력신호의 오차율을 줄이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파라미터 범위를 20%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may set the hysteresis parameter range to less than 20%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rate of the user input signal recognized by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the gyro sensor, and the flex sensor.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키보드에 의하면, 종래 입력장치와 달리 사용자 손에 착용 가능하고, 또한 손에 착용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키보드의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according to the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 conventional input device, it can be worn on the user's hand, and information can be input while wearing the hand, thereby maximizing the portability of the keyboard.

일 개시에 의하여, 검지에만 설치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여섯 개의 키를 담당하는 검지의 입력을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웨어러블 키보드의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wearable keyboard can be increased by accurately detecting the input of the index finger responsible for six keys using a gyro sensor installed only on the index finger.

일 개시에 의하여, 6축 자이로/가속도 센서에 상보 필터를 설계하고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20%로 두어 오차율을 줄였으며, 플렉스 센서에도 히스테리시스 범위를 두어 오차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플렉스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양 끝 부분과 중간 부분만 장갑에 부착하였는 바, 웨어러블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도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disclosure, a complementary filter is designed for the 6-axis gyro/accelerometer sensor and the error rate is reduced by setting the hysteresis range to 20%, and the hysteresis range is also provided for the flex sensor to provide the effect of reducing the error rate. In addition, since the flex sensor is attached to the gloves only at both ends and in the middle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user's movement, it provides an effect of helping the user's movement using the wearable keyboard.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에서 입력신호로부터 출력값을 판단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에서 제 1 센싱 데이터를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ies of processes of determining an output value from an input signal in the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one disclosure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output value to an external devic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disclosure.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cognizing first sensing data in a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disclosur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한 쌍의 장갑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사용자가 손에 착용함으로써 입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특히, 자판이 없는 키보드를 의미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센서를 통해 인식하고, 손 동작이 의미하는 문자를 인식한 출력값을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air of gloves.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is a device for performing input by being worn on the user's hand, and in particular, refers to a keyboard without a keyboard.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recognize a user's hand motion through a sensor and transmit an output value of recognizing a character meaning a hand motion to the external device 200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101)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플렉스 센서(111)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자이로센서(103)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determines an input signal for inputting the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 and virtual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 111 .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in the QWERTY keyboard, and generate an output signal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dex finger from the thir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103, and connect the communication module output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일 개시에 의하여 외부 장치(200)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것으로서,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external device 200 includes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nd includes a notebook PC, a desktop PC, an MP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it is self-evident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tablet PCs, mobile phones, smart phones, etc. and their applications.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와 외부 장치(200)는 누가 호스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페어링을 위해 식별자 즉,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생성하고 페어링을 수락하는 단말기가 마스터가 되고, 이러한 마스터 단말기에게 페어링을 요청하는 단말기가 슬레이브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마스터가 될 수도 있고 슬레이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이러한 페어링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온라인 마켓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divided int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ccording to who serves as a host or an access point. In other words, a terminal that generates an identifier, that is, an SSID (Service Set Identifier) for pairing and accepts pairing becomes a master, and a terminal that requests pairing from such a master terminal becomes a slave.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may be a master or a slav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such a pairing function from an online marke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receive and use an application from a cloud server that provides a cloud computing servic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적어도 세 종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101), 플렉스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0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고 인식한 손동작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한 문자 등을 출력값으로서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recognize a user's hand gesture using at least three types of sensors. 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keyboard 100 uses the pressure sensor 101, the flex sensor 111, and the gyro sensor 103 to recognize the user's hand gesture, and from the recognized hand gesture, the user wants to input the character, etc. as an output value.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200 .

일 개시에 의하여 감압 센서(101)는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기 정해진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를 입력하였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를 입력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all finger distal ends of the user,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puts the virtual keyboard.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is input,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inputted the virtual keyboard, and may determine the signal input by the user as the input signal.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센서(111)는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구부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으로부터 손가락의 구부림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플렉스 센서(111)는 플렉서블(flexible)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헤드 소켓의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부림 저항 측정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따라서, 플렉스센서(111)는 장갑형태의 웨어러블 키보드(100)에서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lex sensor 111 may be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joint to the third joint of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lex sensor 111 may measure the bending information of the finger from a resistance value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bending degree of the user's finger in order to measure the bending degree of the user's finger. The flex sensor 111 may be made of a flexible element, and may include a bending resistance measuring element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rminal of the head socket. Accordingly, the flex sensor 111 is easily replaceable in the glove-type wearable keyboard 100 .

일 개시에 의하여 자이로센서(103)는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03)는 일반적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범위가 가장 넓은 검지 손가락의 입력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자이로센서(103)의 센싱 신호로부터, 검지 손가락의 좌우(x축)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출력값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gyro sensor 103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index finger. The gyro sensor 103 is generally us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input position of the index finger, which has the widest keyboard input range. 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output value by determining the left and right (x-axis) positions of the index finger from the sensing signal of the gyro sensor 103 .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에서 입력신호로부터 출력값을 판단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eries of processes of determining an output value from an input signal in a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one disclosure and transmitting the value to an external device.

일 개시에 의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는, 실제 키보드나 아닌 웨어러블 키보드(100)의 손가락 각각에 설정된 키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는 관성에 따라 손가락의 입력을 통하여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virtual QWERTY keyboard is a means for receiving a key set for each finger of the wearable keyboard 100 rather than the actual keyboard, and the user can input the virtual QWERTY keyboard through a finger input according to inertia. have.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1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센싱 데이터는 웨어러블 키보드(100)에서 감압 센서를 통해 인식한 압력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키보드(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평평한 바닥면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감압 센서에서 가해진 압력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입력값을 제 1 센싱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제 1 센싱 데이터의 값이 임계값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키보드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가 아닌 에러값으로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입력을 분석하기 위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1 ,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corresponds to a threshold value or mor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irst sensed data represents a pressure signal recognized by the wearable keyboard 100 through a pressure sensor. For example, when a user applies pressure to a flat bottom surface while wearing the wearable keyboard 100, when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by the pressure sensor corresponds to a threshold value or more, the input value is converted to the first sensing data can decid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n the value of the first sensed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reduce energy for analyzing unnecessary input by determining it as an error value rather than data for inputting the keyboard. .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압력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임계값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한 임계값은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된 압력값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compare the pressure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select and recognize the input leve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threshold value by one start may be a value prese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the initiation may be a pressure value customiz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profil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특정 시점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특정 시간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인식 시간에 입력된 상기 압력에 따라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50ms 내지 15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a time point at whic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inputted as a specific time point or a specific time period, and selects the input level according to the pressure input at a recognition time. can be characterized as Here, the recognition time may be set to a time of 50 ms to 150 ms based on a point in time when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started to be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2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의 y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제 1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 소정 손가락을 기준으로, 소정 손가락에 미리 설정된 예비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2,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y-axis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a preset output value for the predetermined finger based on the predetermined finger that has acquired the first sensing data.

일 개시에 의하여 예비 출력값은 미리 결정된 가상 쿼티 키보드 한줄 당 하나의 자판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영문 가상 쿼티 키보드 자판을 기준으로 왼쪽 약지 손가락은 W. S. X가 할당될 수 있으며, 왼쪽 중지 손가락은 E, D, C가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검지 손가락의 경우 가상 쿼티 키보드 한줄당 두개의 자판키를 할당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문 가상 쿼티 키보드 자판을 기준으로 오른손 검지손가락은 Y, U, H, J, N, M이 할당될 수 있으며, 왼손 검지손가락은 T, R, G, F, B, V가 할당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eliminary output value indicates one keyboard key per line of a predetermined virtual QWERTY keyboard. For example, based on the English virtual QWERTY keyboard keyboard, W. S. X may be assigned to the left ring finger, and E, D, and C may be assigned to the left middle finger.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dex finger, two keyboard keys may be assigned per line of the virtual QWERTY keyboard. For example, based on the English virtual QWERTY keyboard, Y, U, H, J, N, M may be assigned to the index finger of the right hand, and T, R, G, F, B, and V may be assigned to the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can b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가 검출된 손가락의 y축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가 어떤 출력값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외부 장치(200)와 페어링을 시작한 후 문자를 입력하기 전에 y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문자 입력 시작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y축의 기준점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키보드 입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y축 기준점을 설정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output value of the signal input by the user by determining the y-axis position of the finger at which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In this cas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a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a y-axis position before inputting a character after starting pairing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 For exampl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receive a message requesting to start inputting text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 and may set a reference point in response to receiving a message requesting to set a reference point on the y-axis. 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a reference point through an application for keyboard input. The method of setting the y-axis reference point is not limited.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3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으로부터 획득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인 경우, 같은 y축 위치에서 2개의 예비 출력값을 갖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판단을 위한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3 ,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obtained from the index finger. When the input signal is the index finger, since it has two preliminary output values at the same y-axis position, an additional process for accurate position determination is required.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4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 신호가 검지손가락에서 입력된 신호로 판단된 경우,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입력신호의 x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x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이후 소정의 시점에서 입력신호의 좌우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자이로센서에서 센싱된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점으로부터 좌측에서 검출된 신호인지, 우측에서 검출된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검지 손가락에서 획득한 입력신호의 y축 위치가 가장 상단부인 경우 예비 출력값은 Y, U 이며, 기준점을 기준으로 우측값으로 판단된경우 최종 출력값은 U이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4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signal is an input signal from the index finger,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x-axis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from the third sensing data.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preset a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an x-axis position. The wearable keyboard 100 according to one disclosure may set a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input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after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is detected from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from the reference point using the signal sensed by the gyro sensor. For example, when the y-axis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acquired from the right index finger is the uppermost part, the preliminary output values are Y and U,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right value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the final output value is U.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5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신호의 위치 정보로부터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신호의 위치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최종적인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가 복수개로 입력되는 경우,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조합한 값을 출력값으로서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5 ,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an output value from location information of an input signal.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the final output value by comb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put signal.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are input, a value obtain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input signals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as an output value.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6에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출력 값을 위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통신 모듈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는 NFC 방식,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바코드 인식 방식, QR 코드 인식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block 206 ,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transmit an output value to the upper body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module capable of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NFC method, Bluetooth, Wi-Fi, Zigbee, barcode recognition method, QR code recognition method, etc. have.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the disclosure.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장갑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손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키보드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glove and mounted on the user's hand. In addition, the wearable keyboard may be made of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여기서, 웨어러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되며, 화학식 1에 의하여 표시되는 에폭시계 에스테르 화합물 15 내지 25 중량%,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프탈레이트계 및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혼합물 및 트리멜리테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화합물 20 내지 2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 5 내지 10% 중량%, 상대점도(25℃)가 2.0 내지 2.8cP이고, 수평균분자량이 20,000 내지 200,000g/mol인 폴리 아미드 30 내지 50 중량%, 공액 디엔 고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wearer polyamide resin composition is prepared by reacting vegetable oil with alcohol, and 15 to 25 wt% of an epoxy-based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 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a tere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a phthalate-based and 20 to 25 wt% of at least one ester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rephthalate-based ester mixtures and trimellitate-based ester compounds,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propylene (PP), ethylene-propylene copolymer 5 to 10% by weight of at least one olefinic rubber polymer selected from copolymer (EPM),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octene copolymer, and ethylene-butadiene copolymer, relative Viscosity (25°C) of 2.0 to 2.8 cP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 to 200,000 g/mol, 30 to 50 wt% of polyamide, a conjugated diene rubber,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aromatic compound containing vinyl cyanide-viny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5 to 15% by weight of a cyanide compound copolymer.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R4는 (C8-C20)에폭시알킬이고, R5는 (C1-C10)알킬 또는

Figure pat00002
이고, 상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알킬 또는 이며, 상기 알킬은 (C1-C5)알킬 또는 이 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R41 및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C8-C20)에폭시알킬이며, 상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정수임).(Wherein R4 is (C8-C20) epoxyalkyl, R5 is (C1-C10) alkyl or
Figure pat00002
and R x and R y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1-C5)alkyl or, wherein the alkyl may be further substituted with (C1-C5)alkyl or, wherein R 41 and R 42 are each independently (C8-C20) epoxyalkyl, wherein n is an integer selected from 1 to 3).

또한, 상기 웨어러블 키보드는,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력신호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keyboard may include a coating layer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input signal generat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user's finger.

상기 코팅층은 보다 구체적으로 대전방지층으로,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먼지와 같은 불순물을 방지하여, 입력신호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코팅층의 부착력이 우수하다.The coating layer is more specifically an antistatic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on of dust, it is possible to prevent impurities such as dus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input signal. In addition, it is excellent in adhesion to the polyamide resin composition, so that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is excellent.

상기 대전방지층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tatic layer is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Conductive fillers and graphite may include: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here,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m is an integer from 1 to 100,

p는 3 내지 10의 정수이며,p is an integer from 3 to 10,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R 1 to R 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deuterium, a hydroxy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3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30 aryl group, ,

상기 치한된 알킬렌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및 치환된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개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르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 아릴아미노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실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실릴기 및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The substituted alkylene group, substituted arylene group, substituted alkyl group and substituted aryl group are hydrogen, deuterium, cyano group, nitro group, halogen group, hydroxy group,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cyclo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cyclo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group having 2 to 30 carbon atoms, an alkynyl group having 2 to 24 carbon atoms, an aralkyl group having 7 to 30 carbon atoms, an ar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 heteroaryl group having 5 to 60 nuclear atoms, a heteroarylalk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 C1-C30 alkoxy group, C1-C30 alkylamino group, C6-C30 arylamino group, C6-C30 aralkylamino group, C2-C24 hetero arylamino group, C1-C30 alkylsilyl It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group, an arylsil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an aryloxy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when substituted with a plurality of substituents, they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보다 바림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여기서, m 및 p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Here, m and p are as defined in Formula 2 above.

상기 전도성 필러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의 입자 직경은 30 내지 5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필러는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conductive fill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a, and mixtures thereof, but is preferably alumin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ductive filler has a particle diameter of 30 to 50 μm,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e conductive filler may exhibit electrical conductivity.

상기 그라파이트는 소량 포함되어, 대전방지층 내의 대전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라파이트는 고가의 전도성 필러인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 내의 대전방지층에는 소량 포함되어, 지속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The graphite may be included in a small amount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antistatic effect in the antistatic layer. Considering that graphite is an expensive conductive filler, it is included in a small amount in the antistatic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 continuous antistatic effect.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전방지층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포함하여,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으로 구별된다. 친수성 부분은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하는 산소 원자에 의해,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알킬기는 소수성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친수성 부분이 대전방지층의 표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소수성 부분이 그 반대로 위치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ntistatic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2; Including conductive fillers and graphite, it may exhibit an antistatic effect. The polysiloxane is divided into a hydrophilic portion and a hydrophobic portion. The hydrophilic moiety is capable of hydrogen bonding with a water molecule by an oxygen atom containing a lone pair of electrons. On the other hand, the alkyl group acts as a hydrophobic group. Accordingly, the hydrophilic part i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antistatic layer, and the hydrophobic part is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by exhibiting a semi-permanent antistatic effect.

상기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대전방지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그라파이트 및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For forming the antistatic layer,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more specifically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It can be prepared by mixing a conductive filler, graphite,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세인, 프로페인, 톨루엔,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The organic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methanol, butanol, hexane, propane, toluene, phenol, and mixtures thereof.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40 내지 80 중량부, 전도성 필러 30 내지 50 중량부 및 그라파이트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대전 방지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The antistatic composition may include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polysiloxane represented by Formula 2, 30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conductive filler,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graphi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a synergistic effect of critical significance is expressed as an antistatic synergistic effect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and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almost absen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는 1,200 내지 1,500cP이며, 상기 점도가 1,200cP 미만인 경우에는 일면에 코팅 시 흘러내려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5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대전방지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More preferably, the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1,200 to 1,500 cP, and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1,200 cP,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n antistatic layer because it flows down during coating on one surface, and when it exceeds 1,500 cP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 uniform antistatic layer.

[제조예: 코팅층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1. 코팅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톨루엔 및 페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유기 용매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전도성 필러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하여,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n antistatic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polysiloxa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 a conductive filler, and graphite in an organic solvent in which toluene and phenol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1: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여기서, m은 10 내지 30의 정수이며, p는 3 내지 5의 정수이다.Here, m is an integer of 10 to 30, and p is an integer of 3 to 5.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A mor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DY1DY1 DY2DY2 DY3DY3 DY4DY4 DY5DY5 DY6DY6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폴리실록산polysiloxane 2020 3030 4040 6060 8080 100100 알루미나alumina 1010 2020 3030 4040 5050 6060 그라파이트graphite 1One 33 55 77 1010 1515

(단위 중량부)상기 알루미나는 입자 직경이 30 내지 50㎛이다.(unit parts by weight) The alumina has a particle diameter of 30 to 50 μm.

2. 보호층의 제조2. Preparation of protective layer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HS 1 내지 HS 6의 대전방지 조성물을 도포 후, 열 경화시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였다.The antistatic composition of HS 1 to HS 6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prepared using the polyamide resin, and then the antistatic layer was formed by thermal curing.

[실험예: 대전방지 효과 실험][Experimental example: Antistatic effect test]

1. 점도 측정1. Viscosity Measurement

폴리아미드 기재층의 일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레오미터(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를 이용하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Before forming the antistatic layer on one surface of the polyamide base layer, the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was measured.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rheometer (Rheometer, Compac-100, Sun Sci. Co., Japan). The viscosity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DY1DY1 DY2DY2 DY3DY3 DY4DY4 DY5DY5 DY6DY6 점도(cP)Viscosity (cP) 620620 800800 10101010 14001400 19501950 24002400

2. 표면 전기 저항 측정2. Measurement of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폴리아미드 기재층의 일면에 DY 1 내지 DY 6의 대전방지층이 형성된 보호층에 대해, Resistance Meter SIMCO 저항기 ST-4(25℃, 상대습도 50%)를 이용하여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였다. For the protective layer in which the antistatic layer of DY 1 to DY 6 wa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yamide base layer,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 Resistance Meter SIMCO resistor ST-4 (25° C., 50% relative humidity).

비교예로,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아미드 기재층에 대한 표면전기저항도 함께 측정하였다.As a comparative exampl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polyamide base layer on which the antistatic layer was not formed was also measu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DY1DY1 DY2DY2 DY3DY3 DY4DY4 DY5DY5 DY6DY6 표면전기저항
(Ω/cm2)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Ω/cm 2 )
7.4×1011 내지 1.6×1012 7.4×10 11 to 1.6×10 12 6.4×109 내지 1.4×1010 6.4×10 9 to 1.4×10 10 1.4×109 내지 1.6×1010 1.4×10 9 to 1.6×10 10 7.2×108 내지 6.1×109 7.2×10 8 to 6.1×10 9 4.4×107 내지 2.1×108 4.4×10 7 to 2.1×10 8 6.5×107 내지 4.5×108 6.5×10 7 to 4.5×10 8 5.8×108 내지 7.8×108 5.8×10 8 to 7.8×10 8

상기 표 3에 따르면, 대전방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DY 1 내지 DY 6의 표면전기저항이 낮으므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우수한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3,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antistatic layer is not formed, since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of DY 1 to DY 6 is low,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excellent,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n excellent antistatic effect is exhibited.

3.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3. Evaluation of surface appearance

대전방지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Due to the difference in viscosity of the antistatic composition, after the coating layer was prepare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whether a uniform surface was formed. Whether or not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was evaluated, and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균일한 코팅층 형성○: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Formation of a non-uniform coating layer

DY1DY1 DY2DY2 DY3DY3 DY4DY4 DY5DY5 DY6DY6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아미드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if the viscosity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flow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polyamide, and formation of a uniform coating layer is difficult in many cases.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lowered. In addition, even when the viscosity is too high,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composition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일 개시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사용자의 열 손가락 각각의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10개의 감압 센서(101)는 손가락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센싱되는 경우, 신호가 센싱된 손가락을 판단함으로써 예비 출력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include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101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distal ends of each of the user's ten fingers.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101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Accordingly,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sensed,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determine a preliminary output value by determining a finger at which a signal is sensed.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 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구부러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플렉스 센서(111)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의 편의성을 위하여 플렉스 센서(111)의 양끝 부분과 중간 부분만 장갑에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lex sensor 111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joint to the third joint of the user's finger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s finge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lex sensor 111 may be attached to the glove only at both ends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flex sensor 111 for convenience of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일 개시에 의하여, 자이로센서(103)는 사용자의 양손 검지 손가락에 설치되어, 검지손가락이 입력된 x축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03)는 손의 방향 정보를 측정한다.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손의 회전 정보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및 지자기의 방향을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03)의 측정값은 관성 측정 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로 제공될 수 있다. 관성 측정 장치는 이동 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와, 회전 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의 총 세 가지 센서로 이루어진 하나의 통합 유닛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속도계와 자이로계 및 자계에 대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3축, 즉 피치(pitch), 롤(roll), 요(yaw)에 대한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gyro sensor 103 may be installed on the index finger of both hands of the user to determine the x-axis position to which the index finger is input. The gyro sensor 103 measures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hand. Additionally,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cceleration information, a gyro sensor for measuring rotation information of the hand, and a geomagnetic sensor for measuring the direction of the geomagnetism. The measured value of the gyro sensor 103 may be provided to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The inertial measur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one integrated unit consisting of a total of three sensors: an accelerometer capable of measuring movement inertia, a gyrometer capable of measuring rotational inertia, and a magnetic field capable of measuring an azimuth. Rotation information on three axes, ie, pitch, roll, and yaw, may be obtained by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gyro and magnetic fields.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감압센서(101), 자이로센서(103) 및 플렉스센서(111)에서 인식한 사용자 입력신호의 오차율을 줄이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파라미터 범위를 20%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5 sets the hysteresis parameter range to less than 20%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rate of the user input signal recognized by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 the gyro sensor 103 and the flex sensor 111 . can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에서 제 1 센싱 데이터를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cognizing first sensing data in a wearabl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에서 L1, L2, L3은 각각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 입력 레벨의 의도하면서 서로 다른 크기의 힘을 가한 경우 압력의 증감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지칭한다. 다시 말하면 각각 약 레벨, 중 레벨, 강 레벨의 정도로 힘을 가한 경우를 지칭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바닥면에 가해지는 힘은 40~50ms 정도에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80 ~ 100ms 정도에서 피크를 나타낸 다음 110 ~ 120ms 정도에서 크기 감소가 종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 4 , L1 , L2 , and L3 denote graphs representing increases and decreases in pressure when the user intentionally applies forces of different magnitudes to the first to third input levels.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to the weak level, medium level, and strong level, respectively. By the star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floor surfac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tarts to increase rapidly at about 40-50 ms, peaks at about 80-100 ms, and then ends at about 110-120 ms.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상기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부(200)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상기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50ms 내지 15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ms 내지 110ms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ms 보다 작거나 150ms 보다 큰 시간을 인식 시간으로 설정하면, 웨어러블 키보드에 가해지는 입력에 따라 가해진 압력의 크기를 올바르게 측정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a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time is preferably set to a time of 50 ms to 150 ms based on the time when the pressur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started to be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unit 200 . And it is more preferably set to a time of 70 ms to 110 ms. Here, it can be seen that when a time less than 50 ms or greater than 150 ms is set as the recognition time,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according to the input applied to the wearable keyboard cannot be measured correctly.

인식 시간은 감압 센서(101)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상기 압력이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간이 인식 시간이 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time may be set based on a time when the pressure has a maximum valu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ressure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started to be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 Preferably, the time when the pressure has a maximum value may be the recognition time.

여기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고정된 인식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입력되는 압력의 크기의 변화를 분석하여,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는 시점에서의 압력의 크기를 기준으로 입력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압력값을 이용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가 의도한 압력의 크기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analyze the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input pressure without setting a fixed recognition time, and select the input level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pressure has a maximum value. In this way, when the maximum pressure value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amount of pressure intended by the user and determine the input level accordingly.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압 센서(101)로부터 입력되는 압력의 크기를 시간 별로 저장하고, 저장된 압력들 중에서 가장 큰 압력을 이용하여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tore the amount of pressure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over time according to time, and determine the input level by using the largest pressure among the stored pressures.

다만 이와 같이 최대값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값 식별을 위하여 메모리가 소요되고 신호 처리를 위한 전력이 소모될 수 있으므로, 메모리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 미리 설정된 인식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인식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인식 시간에서 입력된 압력만을 이용하여 입력 레벨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를 절약하고 신호 처리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maximum value as described above, memory is required to identify the maximum value and power for signal processing may be consumed, so that the previously set recognition time may be used in order to save memory and power. When the preset recognition time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level can be determined using only the pressure input at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time, thereby saving memory and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for signal processing.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입력 레벨의 인식을 위하여 사용자 별로 가장 적합한 임계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the most suitable threshold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n order to recognize the input level.

일 개시에 의하여, 임계치는 웨어러블 키보드(100)에 의하여 구동되는 설정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복수개의 값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프로그램의 설계자는 각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을 가지는 사용자들에 대하여 웨어러블 키보드(100)에 대한 입력 시 가하는 힘의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 결과 통계에 따라, 내어 각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임계치 값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설정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체적 조건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별 임계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키보드(100)에 의하여 구동되는 설정 프로그램에서는 각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임계치 값이 미리 설정되고,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프로파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정 프로그램이 나이와 연령 대 별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가 여자, 20대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선택하면,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여자, 20대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제1 임계치 : 0.5N, 제2 임계치 3N)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lected and s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put from among a plurality of values presented to the user by a setting program driven by the wearable keyboard 100 . For example, the designer of the setting program measures the degree of force applied when inputting the wearable keyboard 100 for users having each age, gender, and physic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ult of the experiment, and each age, gender, and physical condition A threshold value most suitable for a user having a condition is determined, and accordingly, a threshold value for each user profile according to the user's age, gender, and physical condition can be set in a setting program. For example, in a setting program driven by the wearable keyboard 100, a threshold value is preset for each user profile, and a preset threshold value can be used for the selected profile by receiving a user's selection input for the user profile. . For example, if the setting program pre-stores a threshold value corresponding to a user profile for each age and age group, and the user selects a female user profile or a user profile in her twenties, the wearable keyboard 100 displays the user profile of a woman in her twenties. A preset threshold value (first threshold: 0.5N, second threshold 3N) may be used.

또는 임계치는 웨어러블 키보드(100)가 각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한 압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감압 센서(101)로부터 입력받은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하여 비교 기준이 되는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in such a way that the wearable keyboard 100 uses pressure generated according to each user's touch input. Here,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set a predetermined threshold as a comparison standard in order to select the input level using the pressure input from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101 .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웨어러블 키보드(100)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keyboard 100 according to the disclosure.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센서부(105), 통신 모듈(114), 배터리(116), 제어부(115) 및 메모리(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include a sensor unit 105 , a communication module 114 , a battery 116 , a control unit 115 , and a memory 112 .

일 개시에 의하여 센서부(105)는 감압센서, 자이로센서, 플렉스센서를 포함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5)는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sensor unit 105 may include various sensors including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nd a flex senso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05 may include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or It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일 개시에 의하여 배터리(116)는 웨어러블 키보드(100)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며, 예시적으로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battery 116 includes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required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wearable keyboard 100 ,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lithium polymer battery.

또한, 웨어러블 키보드(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12) 및 메모리(112)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keyboard 100 may include a memory 112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115 that executes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2 .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15)에 연결된 웨어러블 키보드(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5)는 다른 구성요소(통신 모듈(114))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5)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5, for example, by driving software (eg, a program)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wearable keyboard 100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5 can be controlled, and various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s can be performed. The processor 115 may load a command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communication module 114 ) into a volatile memory for processing, and store the result data in a non-volatile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15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main processor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uses less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or an auxiliary specialized for a specified function. It may include a processor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Here, the auxiliary processor may be operated separately from or embedded in the main processor.

일 개시에 의하여 통신 모듈(114)은 웨어러블 키보드(100)와 외부 장치(200)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4)은 프로세서(115)(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14)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support establishment of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wearable keyboard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processor 115 (eg, an application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 communication module, or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제 1 키보드 입력이 검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경우, 추가적으로 제 3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위치 및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n the first keyboard input is an input by the index finger, the processor 115 additionally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in the x-axis direction by using the third sensing data,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x-axis position and the y-axis position is determined.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센싱 데이터의 임계값을 결정하고, 감압 센서를 통해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이 감지된 손가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예비 출력값으로서 결정하고, 제 2 센싱 데이터 및 제 3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5 determines a threshold value of the first sensed data based on the user's profile, and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detected fing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key of as a preliminary output value, and determine any one of the preliminary output values as an output valu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nsing data and the third sensing data.

일 개시에 의하여 프로세서(115)는 웨어러블 키보드에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매핑하고, 입력신호의 위치가 명확하기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력신호를 획득한 감압 센서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5 maps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to each of the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installed in the wearable keyboar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s not clear, the input signal is mapped to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obtained The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an output sig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일 개시에 의하여, 메모리(112)는 프로세서(115)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장치로 입력되거나 또는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1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이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memory 112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or 115 , and may also store data input to or output from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2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where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software, not hardware, and are functionally operated modules.

메모리(11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2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where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software, not hardware, and may refer to modules that are functionally op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d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right.

Claims (7)

사용자의 모든 손가락 말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감압 센서;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첫째마디부터 셋째마디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플렉스 센서;
상기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말단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압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1 센싱 데이터로부터 가상 쿼티 키보드를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플렉스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상기 가상 쿼티 키보드에서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획득한 제 3 센싱 데이터로부터 검지 손가락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출력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키보드.
a pressure sensor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end of all fingers of the user;
a flex sensor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 third joints of the user's fingers;
a gyro sensor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user's index finger;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memory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The processor determines an input signal for inputting a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the first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determines a position where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virtual QWERTY keyboard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dex finger from the third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and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keybo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된 제 1 센싱 데이터를 제 1 키보드 입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의 y축 방향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sensed data is detected above a threshold,
The first sensing data detected above the threshold is determined as a first keyboard input, and the y-axis direction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is determined from the second sensing data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s finger, and ,
determining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y-axis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A wearabl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output value to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이 검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경우, 추가적으로 제 3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 1 키보드 입력의 x축 위치 및 y축 위치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rst keyboard input is input by the index finger, the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in the x-axis direction is additionally determined using third sensing data, and the x-axis position and the y-axis position of the first keyboard input are determined. Characterized in determining the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earable key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의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감압 센서를 통해 상기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압력이 감지된 손가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예비 출력값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 및 제 3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출력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Determining a threshold value of the first sensing data based on the user's profile,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at least one key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detected finger is determined as a preliminary output valu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nsing data and the third sensing data, any one of the preliminary output values is determined as an output value, the wearable key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키보드에 설치된 10개의 감압 센서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매핑하고,
상기 입력신호의 위치가 명확하기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를 획득한 감압 센서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비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mapping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to each of the ten pressure-sensitive sensors installed in the wearable keybo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is not clear,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mapped to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that obtained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wearabl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signal is determined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at least one preliminary output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상기 감압센서, 자이로센서 및 플렉스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인식한 사용자 입력신호의 오차율을 줄이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파라미터 범위를 20%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The wearabl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hysteresis parameter range is set to less than 20%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rate of the user input signal recognized by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sensor, the gyro sensor and the flex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키보드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져있으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되며, 화학식 1에 의하여 표시되는 에폭시계 에스테르 화합물 15 내지 25 중량%;
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 프탈레이트계 및 테레프탈레이트계 에스테르 혼합물 및 트리멜리테이트계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화합물 20 내지 2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계 고무 중합체 5 내지 10% 중량%;
상대점도(25℃)가 2.0 내지 2.8cP이고, 수평균분자량이 20,000 내지 200,000g/mol인 폴리 아미드 30 내지 50 중량%;
공액 디엔 고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키보드.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R4는 (C8-C20)에폭시알킬이고, R5는 (C1-C10)알킬 또는 이고, 상기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알킬 또는 이며, 상기 알킬은 (C1-C5)알킬 또는 이 더 치환될 수 있고, 상기 R41 및 R42는 각각 독립적으로 (C8-C20)에폭시알킬이며, 상기 n은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정수임).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keyboard is made of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The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omprises:
15 to 25 wt% of an epoxy-based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which is prepared by reacting vegetable oil with alcohol;
20 to 25 wt% of at least one ester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a terephthalate-based ester compound, a phthalate-based and terephthalate-based ester mixture, and a trimellitate-based ester compou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propylene (PP),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PM),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octene copolymer, 5 to 10% by weight of at least one olefinic rubber polymer selected from among ethylene-butadiene copolymers;
30 to 50 wt% of a polyamide having a relative viscosity (25°C) of 2.0 to 2.8 cP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 to 200,000 g/mol;
A wearable keyboard comprising a polyam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5 to 15 wt% of a conjugated diene rubber,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aromatic compound including a vinyl cyan compound-vinyl cyan compound copolymer.
[Formula 1]
Figure pat00006

(wherein R4 is (C8-C20)epoxyalkyl, R5 is (C1-C10)alkyl or , wherein R x and R y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1-C5)alkyl or , wherein the alkyl is (C1 -C5)alkyl or may be further substituted, wherein R 41 and R 42 are each independently (C8-C20)epoxyalkyl, and n is an integer selected from 1 to 3).
KR1020200000862A 2020-01-03 2020-01-03 Wearable keyboard KR1023771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62A KR102377162B1 (en) 2020-01-03 2020-01-03 Wearable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62A KR102377162B1 (en) 2020-01-03 2020-01-03 Wearable key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38A true KR20210088038A (en) 2021-07-14
KR102377162B1 KR102377162B1 (en) 2022-03-22

Family

ID=7686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862A KR102377162B1 (en) 2020-01-03 2020-01-03 Wearable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1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493A (en) 2022-04-05 2023-10-12 (주)초이스테크놀로지 Wearabl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692A (en) 1999-05-20 2000-11-30 Takashi Noguchi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JP2003337653A (en) 2002-05-20 2003-11-28 Seiko Epson Corp Tactile sense and force sense presenting device, and tactile sense and force sense presenting system
KR101452343B1 (en) * 2014-05-02 2014-10-22 박준호 Wearable device
KR20190092782A (en) * 2018-01-31 2019-08-08 (주)유즈브레인넷 Glove-type Motion Recognizing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Motion of Fingers and Hands on the Space and Recogniz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692A (en) 1999-05-20 2000-11-30 Takashi Noguchi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JP2003337653A (en) 2002-05-20 2003-11-28 Seiko Epson Corp Tactile sense and force sense presenting device, and tactile sense and force sense presenting system
KR101452343B1 (en) * 2014-05-02 2014-10-22 박준호 Wearable device
KR20190092782A (en) * 2018-01-31 2019-08-08 (주)유즈브레인넷 Glove-type Motion Recognizing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Motion of Fingers and Hands on the Space and Recogniz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162B1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98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keyboard overlay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KR101104749B1 (en) Mouse-pad of entering data
US20110105103A1 (en) Interfacing a Mobile Device with a Computer
KR20070054746A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apping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attachable tapping template
WO2013055883A2 (en) Force sensitive interface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12027875A (en) Electronic apparatus,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6251927A (en) Input device,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144042A1 (en) Mobile terminal, training management program and training management method
US20140240239A1 (en) Client device, oper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7019390A1 (en) Universal keyboard
KR20210088038A (en) Wearable keyboard
CN1815410A (en) Capacitive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N102023787A (en) Method for operating touch control screen, method for defining touch control gestur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3458355B (en) electronic gloves
CN1221884C (en) Device possessing character input function and method
KR102426185B1 (en) Method for providing game by game providing device for improving coding ability
KR1024038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drowsy driving
KR102266874B1 (en) Smart air piano
KR1024980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KR102423332B1 (en) Vehicle key capable of drinking alcohol measurement and a drinking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2528680B1 (en) System for story-based educational game
EP2073114B1 (en) Context sensitive user interface
CN100504731C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4181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mobility unit
KR20220087146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th to shelter in disaster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