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806A -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 Google Patents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806A
KR20220086806A KR1020200176923A KR20200176923A KR20220086806A KR 20220086806 A KR20220086806 A KR 20220086806A KR 1020200176923 A KR1020200176923 A KR 1020200176923A KR 20200176923 A KR20200176923 A KR 20200176923A KR 20220086806 A KR20220086806 A KR 2022008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guide
lifting
fixed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2961B1 (en
Inventor
김용채
Original Assignee
김용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채 filed Critical 김용채
Priority to KR102020017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961B1/en
Publication of KR2022008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9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65Monopi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 변화에 따라 수상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 개의 가이드 파일 및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뜨면서 상기 가이드 파일의 안내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가이드 파일의 위치와 대응되는 사방에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가 내장된 부력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파일은,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따라 길이가 신축 및 조절되도록 지반 세운 고정파일과, 상기 고정파일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씌우듯이 장착된 승강파일을 갖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개시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capable of stably elevating the 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ide piles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and a guide sleeve ar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piles while floating on the water by buoyancy, and a guide sleeve for guiding the elevation in all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guide piles. Containing a built-in buoyancy body, the guide pile is multi-stage having a fixed pile erec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length is expanded and contract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buoyancy body, and a lifting pil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ile so as to be able to elevate. Disclosed is a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composed of a structure.

Description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Floating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침수방지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수상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승강시켜 수상구조물의 침수를 방지하는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preventing flooding of a floating wate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stably elevating a 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a river or lake to prevent flooding of the water structure is about

오늘날 강변이나 수변, 호소변의 물 위에 수상 자전거 도로나 수상 산책로, 생태관람용 보행도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상구조물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Today, many different types of water structures such as water bike paths, water trails, and pedestrian paths for ecological viewing are being installed on the waters of rivers, waterfronts, and lakes.

이러한 수상구조물은 주로 강이나 호소의 바닥에 파일(pile)을 박아 넣고, 이를 기초로 하여 바닥과 난간을 설치하는 이른바 목재 데크 시스템으로 시공되고 있다.These water structures are mainly constructed as a so-called wooden deck system in which a pile is driven into the bottom of a river or lake, and a floor and a railing are installed on the basis of this.

최근에는 수면의 변동이나 수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도록 부력에 의해 가이드 파일을 따라 승강하는 상자형 폰툰(Pontoon/부력체)을 물 위에 띄워서 만드는 부유식 목재 데크 시스템이 각광 받고 있다.Recently, a floating wooden deck system made by floating a box-type pontoon (buoyant body)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a guide pile by buoyancy so as not to be directly affected by changes in the water surface or water depth, is in the spotlight.

즉, 부유식 목재 데크 시스템(수상구조물)은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부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위 상승으로 인한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floating wooden deck system (aquatic structure) has a structure that automatically floats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thereby preventing flooding, loss, or damage due to a rise in water level.

그런데 종래의 부유식 목재 데크 시스템은 수위 변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loating wooden deck system ha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respond stably to changes in water level.

이를테면, 수위 상승 시 물 위에 부유하는 나뭇조각이나 플라스틱 따위의 각종 쓰레기가 떠내려가지 못하고 구조물에 걸려서 적체될 경우 원활하게 부상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위 하강 시 쓰레기의 간섭으로 인해 안정적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고정위치가 불안정한 상태로 변동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rises, various wastes such as wood chips and plastics floating on the water cannot float away, and if they are caught on structures, they cannot be floated smoothly. There is a problem with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fluctuating in an unstable state.

더욱이 폰툰의 위치를 잡아주고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파일은 평상시 수면 위로 지나치게 길게 노출되기 때문에 수상구조물의 외관미가 상당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Moreover, since the guide file that positions the pontoon and guides the elevation is exposed for too lo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water structure is considerably deteriorated.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background or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does not mean that the technology is widely known in the field.

KR10-2020-0115045 A(2020.10.07)KR10-2020-0115045 A (2020.10.07) KR10-1905002 B1(2018.09.28)KR10-1905002 B1 (2018.09.2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부유식 수상구조물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수위 변화로 인한 폰툰 및 수상구조물의 승강에 따라 가이드 파일의 길이가 연동하여 신축 및 조절됨으로써 평상시 가이드 파일의 노출 길이를 최소화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수상구조물이 수위 변화에 따라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움직여 침수방지는 물론 안전성 및 내구성 향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all the above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floating water structure, the length of the guide file is link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pontoon and the water structure due to the change in water level By stretching and adjust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guide pile by minimizing the exposure length of the guide pile in normal times. In addition, the water structure stabilizes the bal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water level and moves flexibly to prevent flooding, as well as to improve safety and dur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hile making every effort to develop a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do thi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수위 변화에 따라 가이드 파일의 길이가 연동하여 신축 및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of the guide pile can be stretched and adjusted in conjunction with the water level chang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폰툰에 유속으로 인한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that enables smooth and stable elevating even when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flow rate is transmitted to the pontoon.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 개의 가이드 파일 및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뜨면서 상기 가이드 파일의 안내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가이드 파일의 위치와 대응되는 사방에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가 내장된 부력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파일은,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따라 길이가 신축 및 조절되도록 지반 세운 고정파일과, 상기 고정파일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씌우듯이 장착된 승강파일을 갖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ground The guide file and the buoyancy of the dog include a buoyant body with a built-in guide sleeve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in all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file, the guide file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file while floating on the water by the buoyancy force. Floating water structure levi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ulti-stage structure having a fixed pile erected in the ground so as to expand and contract and control the length according to the elevating of the buoyancy body, and a lifting pil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ile so as to be able to elevate. and a descent guide device.

이로써 본 발명은 하천이나 호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력체가 가이드 파일의 길이를 신축하면서 승강하므로 평상시 가이드 파일의 노출 길이를 최소화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킴은 물론 수위 변화 시 수상구조물의 부유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ppearance by minimizing the exposure length of the guide pile in normal times because the buoyancy body expands and contracts the length of the guide pil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or lake, and maximizes the floating range of the aquatic structure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ca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상기 고정파일은, 암반(지지층)에 직접 지지되도록 강관파일을 암반(지지층)까지 근입하여 설치됨으로써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p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safety and durability by installing the steel pipe pile up to the bedrock (support layer) so as to be directly supported on the bedrock (support lay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부력체가 부력에 의해 승강 시 상기 승강파일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활주롤러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주면(안쪽 곡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됨으로써 수상구조물을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liding rollers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along the lifting pile when the buoyancy body is lifted by buoyancy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guide sleeve. By placing the device so that it can rotate freely up and down, the water structure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moothly an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고정파일의 상단 외주면(바깥쪽 곡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부착되고, 상기 승강파일이 상기 고정파일과 접촉을 방지하면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바, 상기 고정파일의 상단 외주면(바깥쪽 곡면) 중 상기 슬라이드 바들 사이사이에 부착된 다수의 고정스토퍼, 상기 승강파일의 하단 내주면(안쪽 곡면)에 상기 고정스토퍼들과 대응되게 다수 부착되고, 상기 고정파일에서 상기 승강파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승강스토퍼 및 상기 승강파일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가 부력에 의해 상기 승강파일의 최상단까지 상승하면 상기 승강파일이 연동하여 상승하도록 상기 활주롤러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연동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승강파일의 승강 작동이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eces are radially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fixed file, and the elevating file slides while preventing contact with the fixed file. A slide bar for guiding movement, a plurality of fixed stoppers attached between the slide bars among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fixed pile, and the fixed stoppers 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lifting pile to correspond to the fixed stoppers A plurality of attachments ar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stopper and the lifting pi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lifting pile from the fixed pile, and when the buoyancy body rises to the uppermost end of the lifting pile by buoyancy, the lifting file interlocks to rise By further comprising an interlocking contact that causes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sliding rolle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pile can be made more smoothly an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 바는, 상기 승강파일의 승강 시 접촉 면적 및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리세스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들 중 하나의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리세스 및 이와 상기 고정파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른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리세스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승강파일의 승강 시 슬라이드 바와의 접촉 면접 및 간섭을 최소화하여 더욱 원활하고 부드럽게 승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lide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and interference during the lifting of the lifting pile, and the slide The recess formed in one slide bar of the bars and the recess formed in the other slide ba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xed pile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to minimize contact and interference with the slide bar when the lifting pile is lifted. Able to ascend and descend smoothly an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단이 상기 승강파일의 내부 상단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고정파일의 중공 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파일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승강 시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지지 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 와이어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주면(바깥쪽 곡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결합홈이 패인 심재, 상기 심재의 결합홈에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코일 모양으로 감은 강선 및 상기 심재와 상기 강선을 감싸서 보호하며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에 의해 상기 심재 및 상기 강선과 함께 신장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심재 및 상기 강선과 함께 수축되면서 원래대로 복귀하는 보호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승강파일이 하천의 범람 시 유속으로 인한 외력을 받더라도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흔들림 없이 수직으로 신축되므로 수평하고 균형 있는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lifting pile, and the lower end is fixed in the hollow of the fixed pile to prevent the lifting pile from tilting when lifting over a certain range. A wire is provided, and the support wir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a core material having a coupling groove dent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and is wound in a coil shape to enable extension and contraction 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core material. The steel wire and the core material and the steel wire are protected by wrapping,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re material and the steel wire are stretched together by elasticity,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teel wire is contracted together with the core material and the steel wire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s a result, even if the lifting pile receives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flow speed when the river overflows, it does not tilt to one side and expands and contracts vertically without shaking.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하천이나 호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력체가 가이드 파일의 길이를 신축하면서 동시에 부상 및 하강하므로 평상시 가이드 파일의 노출 길이를 최소화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킴은 물론 수위 변화 시 수상구조물의 부유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uoyancy body expands and contracts the length of the guide pil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a river or lake while simultaneously levitating and descend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by minimizing the exposure length of the guide pile and to maximize the floating range of the water structure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또한, 고정파일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승강파일이 수위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이면서 그 길이가 신축 및 조절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이드 파일의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vating pil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xed pile moves flexib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and the length is stretched and adjus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and accumulating inside the guide pile.

게다가 가이드 파일이 하천의 범람 시 유속으로 인한 외력을 받더라도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흔들림 없이 수직으로 신축되므로 수평하고 균형 잡힌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guide pile receives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flow rate when the river overflows, it does not tilt to one side and expands and contracts vertically without shaking.

즉, 수상구조물이 수평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수위 변화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유연하게 승강하기 때문에 침수방지는 물론 바람의 영향 및 파랑, 파압, 파고, 조류 등과 같은 물의 흐름 변화에 의해 흔들리거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 및 내구성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water structure moves up and down flexib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water level in a state where movement is restri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not only prevented from flooding, but also shaken by the influence of wind and changes in the flow of water such as waves, wave pressure, wave height, and curre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safety and durability by preventing it from tilting while leaning to either side.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가이드 포스트와 부력체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가이드 포스트의 신장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가이드 포스트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가이드 포스트와 지지 와이어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지지 와이어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cal portion of the guide post and the buoyancy body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ding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longation state of the guide post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ding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ortion of the guide post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ding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ortion of the guide post and support wire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ding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ortion of the support wire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ding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local par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dicate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part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is a description that is specifically opposite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nd 'have' mean that the features, number,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ist.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And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the lower 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가이드 파일(10) 및 부력체(20)를 포함하고 있다.1 to 4,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guide pile 10 and a buoyancy body 20.

가이드 파일(10)은 부력체(20)의 부상 및 하강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하여 부력체(20)의 사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4개 이상이 세워져 있다.At least four guide piles 10 are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in all directions of the buoyancy body 20 to guide and support the levitation and descent of the buoyancy body 20 .

즉, 가이드 파일(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아래쪽 부분이 콘크리트 기초 또는 땅속의 암반층에 견고하게 박혀 있고, 부력체(20)를 바람이나 물의 흐름, 파랑 등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횡파 및 종파에 의한 부력체(20)의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을 방지하고 하천이나 호수의 수위 변화 시에도 그 부유 위치를 고정하여 물에 휩쓸러 떠내려가는 것을 막는다.That is, the guide pile 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lower part is firmly embedded in a concrete foundation or a rock layer in the ground, and the buoyancy body 20 is stably supported against wind, water flow, waves, etc. as well as transverse waves and Prevents rolling and pitching of the buoyancy body 20 due to longitudinal waves and prevents being washed away by water by fixing the floating position even when the water level of a river or lake changes.

그리고 가이드 파일(10)은 부력체(20)의 승강에 따라 그 길이가 연동하여 신축 및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있다.And the guide pile 10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buoyancy body 20 is interlocked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body 20 .

즉, 가이드 파일(10)은 콘크리트 기초 또는 땅속의 암반층(지반)에 세워지는 고정파일(11)과, 이 고정파일(11)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씌우듯이 장착된 승강파일(12)을 갖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guide pile 10 has a fixed pile 11 erected on a concrete foundation or a rock layer (ground) in the ground, and a lifting pile 12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ile 11 as if it can be lifted and lowered. It has a multi-level structure.

여기서 고정파일(11)은 암반(지지층)에 직접 지지되도록 강관파일을 암반(지지층)까지 근입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고정파일(11) 및 승강파일(12)은 그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링형인 강관(steel pipe)이나 철골(steel rod)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xed pile 11 is preferably installed by rooting the steel pipe pile up to the bedrock (support layer) so as to be directly supported on the bedrock (support layer), and the fixed pile 11 and the lifting pile 12 a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irection is formed of a steel pipe or a steel rod having a circular or ring shape.

그리고 고정파일(11)의 상단 외주면(바깥쪽 곡면)에는 상하로 긴 다수 개의 슬라이드 바(13)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있다.An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fixed pile 11, a plurality of vertically long slide bars 13 are radially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즉, 슬라이드 바(13)는 승강파일(12)이 승강 시 고정파일(11)과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승강파일(12)이 고정파일(11)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더욱 원활하게 승강됨은 물론 마찰에 따른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lide bar 13 serves to guide the elevating pile 12 to slide while preventing contact with the fixed pile 11 when elevating, so that the elevating pile 1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xed pile 11 . As it is not in contact,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more smoothly, as well as to prevent noise and damage due to friction.

그리고 승강파일(12)의 상단에는 연동접촉부(1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An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pile 12, the interlocking contact portion 16 is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즉, 연동접촉부(16)는 부력체(20)가 부력에 의해 승강파일(12)의 최상단까지 상승하면 부력체(20)의 활주롤러(22)와 접촉 간섭을 일으켜 승강파일(12)이 자연스럽게 연동하여 상승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interlocking contact portion 16 causes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sliding roller 22 of the buoyancy body 20 when the buoyancy body 20 rises to the uppermost end of the lifting pile 12 by buoyancy, so that the lifting pile 12 is naturally It works in tandem to elevate it.

또한, 슬라이드 바(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파일(12)의 승강 시 접촉 면적 및 간섭을 줄여 더욱 원활한 승강을 유도하기 위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우묵하게 패인 모양의 리세스(17)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slide bar 13 has a recessed shap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reduce the contact area and interference during the elevating of the elevating pile 12 to induce smoother elevating and lowering. A plurality of recesses 17 are formed.

여기서 고정파일(1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부착된 슬라이드 바(13)들 중 하나의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리세스(17) 및 이와 고정파일(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른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리세스(17)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승강파일(12)의 승강 시 접촉 면적 및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Here, a recess 17 formed in one slide bar among the slide bars 13 radial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pile 11 and the other slide bar positioned opposite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xed pile 11 as a center. By displacing the recesses 17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the contact area and interference when the lifting pile 12 is lifted can be minimized.

또한, 슬라이드 바(13)는 슬립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볼팅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파일(1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bar 13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high-density polyethylene having excellent slip properties and can be radi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pile 11 by a method such as bolting or welding.

그리고 고정파일(11)의 상단 외주면(바깥쪽 곡면) 중 슬라이드 바(13)들 사이사이에는 승강파일(12)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스토퍼(14)가 다수 부착되어 있다.And between the slide bars 13 of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fixed pile 11, a plurality of fixed stoppers 14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lifting pile 12 are attached.

또한, 승강파일(12)의 하단 내주면(안쪽 곡면)에는, 즉 고정스토퍼(14)들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파일(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스토퍼(16)가 다수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ifting stoppers 16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fixed pile 11 are attached to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lifting pile 12, that i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xed stoppers 14.

그리고 승강파일(12)의 하단 외주면(바깥쪽 곡면)에는 승강파일(12) 하단의 구멍부를 보강하는 보강링(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lifting pile 12, a reinforcing ring 18 for reinforcing the hole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pile 12 is integrally formed.

부력체(20)는 수면에 부력에 의해 뜨면서 수면의 높이 변화 시 가이드 파일(10)의 안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중공체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The buoyancy body 20 is provided with a hollow body structure that generates buoyancy so as to move freely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pile 10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changes while floating by buoyancy on the water surface.

그리고 부력체(20)의 위에는 부상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기울어짐 등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쏠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수상구조물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And on top of the buoyancy body 20, the water structure may be firmly fixed so as not to be tilted to one side or separated by inclination in the process of levitation and descending.

여기서 부력체(20)의 위에 설치되는 수상구조물로는 데크형 수상 자전거 도로나 수상 산책로 등과 같은 목재 데크 시스템이나 세면 및 용변 시설과 설비를 갖춘 공중화장실 등일 수 있다.Here, the water structure installed on the buoyancy body 20 may be a wooden deck system, such as a deck-type water bike road or a water trail, or a public toilet equipped with washing and toilet facilities and facilities.

또한, 부력체(20)는 위치 에너지와 부력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충분한 위치 에너지를 갖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질량과 함께 일정 하중 이상을 부상시키는 적절한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20 may be designed to generate an appropriate buoyancy force to levitate more than a certain load together with a mass of an appropriate size in order to have sufficient potential energy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energy and buoyancy force.

예를 들면, 부력체(20)는 내부가 빈 육면체 형상으로 강판 등을 용접하고, 그 밀폐된 공간을 격벽으로 분할 및 구획하여 여러 개의 격실을 형성함으로써 부분적인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부력과 위치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각종 형강(shape steel)이나 스티프너(stiffener)로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한 형태의 강재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oyancy body 20 welds a steel plate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divides and partitions the closed space with partition walls to form several compartments, so that even if water leakage occurs due to partial damage, buoyancy and Potential energy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by forming a steel structure in the form of reinforced strength and rigidity with various shape steels or stiffeners, it can be stably floated on water.

그리고 부력체(20)의 가이드 파일(10)과 대응되는 위치의 사방에는 원활한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21)가 내장되어 있다.And a guide sleeve 21 for guiding smooth elevation is built in all directions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ile 10 of the buoyancy body 20 .

여기서 가이드 슬리브(21)는 부력체(20)가 가이드 파일(20)의 안내에 따라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부력체(20)의 사방 코너 부분에 사각으로 배열 및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guide sleeve 21 may be arranged and arranged in a square at the four corners of the buoyancy body 20 so that the buoyancy body 20 smoothly ascends and descends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pile 20 .

즉, 가이드 슬리브(21)는 부력체(20)가 가이드 파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부력체(20)의 가장자리 사방에 내장되어 있고, 또 가이드 파일(10)이 끼워지도록 내주면(안쪽 곡면)이 가이드 파일(10)의 외주면(바깥쪽 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guide sleeve 21 is built in all sides of the edge of the buoyancy body 20 so that the buoyancy body 20 is stably lifted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ile 20, and the guide pile 10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urved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outer curved surface) shape of the guide pile 10 so as to be fitted.

여기서 가이드 슬리브(21)의 내주면(안쪽 곡면)에는 가이드 파일(10)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면서 소음을 흡수 및 완화하기 위해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부싱(bushing)이 부착될 수도 있다.Here, a bush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guide sleeve 21 in order to absorb and alleviate noise while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guide pile 10 .

또한, 부력체(20)의 상면은 미끄럼 방지 및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요철 또는 목재 데크를 형성(설치)하거나 그 중앙부를 향해 갈수록 상향으로 약간 볼록하게 나오도록 형성함으로써 물이 쉽게 고이거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20 is formed (installed) with irregularities or wooden decks to prevent slipping and drain water smoothly, or to be slightly convex upward toward the center thereof, so that water easily accumulates or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t can be prevented

한편, 가이드 슬리브(21)의 내주면(안쪽 곡면)에는 다수 개의 활주롤러(2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guide sleeve 21, a plurality of sliding rollers 22 may be freely rotatable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즉, 활주롤러(22)는 부력체(20)가 부력에 의해 승강 시 마찰저항으로 최소화하여 가이드 파일(10)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원활하게 구름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sliding roller 22 serves to guide the buoyancy body 20 to smoothly roll as if sliding along the guide pile 10 by minimizing frictional resistance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by buoyancy.

여기서 활주롤러(22)는 가이드 슬리브(21)의 안쪽 면 둘레 상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다수 고정된 브래킷(23)에 의해 상하 양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sliding roller 22 may be installed to be freely rotatable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by a plurality of radially fixed brackets 23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sleeve 21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end around the inner surface. .

또한, 활주롤러(22)는 부력체(20)의 한층 더 원활한 부상 및 하강 작동을 위하여 그 바깥쪽 면 둘레는 가이드 파일(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roller 2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le 10 for the smoother floa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buoyancy body 20 .

즉, 가이드 파일(10)의 바깥쪽 면 둘레와 접촉되는 활주롤러(22)의 외주면은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곡선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roller 22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pile 10 may be formed in a curved concave shape toward the center portion.

이때, 가이드 파일(10)과 개개의 활주롤러(22) 사이는 약 1~3cm 정도의 유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with a clearance of about 1 to 3 cm between the guide pile 10 and the individual sliding rollers 22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는 평상시 부력체(20)의 부력에 의해 수상구조물을 부유시킨 상태로 그 설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수위 변화 시 가이드 파일(10)의 안내에 따라 수상구조물을 평형하게 부상 및 하강시키므로 물의 흐름 변화로 인한 하중을 받더라도 흔들리거나 원래의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물결파와의 충돌간섭이나 육상을 오르내릴 때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 또는 한쪽으로 치우치는 기울어짐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installation position stably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structure is usually floated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20, and guides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By levitating and lowering the water structure in a balanced way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pile 10, it prevents shaking or moving out of its original location even if it receives a load due to a change in the flow of water, and prevents collision interference with wave waves or when going up and down the land. It is possible to reduce swaying or unilateral inclination due to load.

즉, 부력체(20)가 가이드 파일(1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수위 변화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 및 파랑, 파압, 파고, 조류 등과 같은 물의 흐름 변화에 의해 흔들리거나 원래의 정해진 위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buoyancy body 20 mov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ter level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is restri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guide pile 10, the influence of wind and water such as waves, wave pressure, wave height, and curren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by the flow change or from moving the original fixed position.

아울러 가이드 파일(10)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부력체(20)의 부상 및 하강에 따라 그 길이가 연동하여 신축 및 조절됨으로써 평상시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ile 10 is made of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it is folded or unfolded, and its length is stretched and adjusted in conjunction with the levitation and descent of the buoyancy body 20 to minimize the length unnecessarily exposed to improve the appearance. have.

더구나 고정파일(1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승강파일(12)이 승강되면서 길이가 신축 및 조절되는 구조이므로 가이드 파일(10)의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elevating pile 12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xed pile 1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stretched and adjusted while elev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and accumulating in the guide pile 10 .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중 가이드 파일(10)은 부력체(20)의 부상 및 하강에 따라 그 길이가 연동하여 신축 및 조절되도록 콘크리트 기초나 땅속의 암반층에 세워진 고정파일(11)과, 이 고정파일(11)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씌우듯이 장착된 승강파일(12)을 갖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guide pile 10 among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evitation of the buoyancy body 20 . And a fixed pile 11 built on a concrete foundation or a bedrock layer in the ground so that the length is interlocked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descent, and a lifting pile 12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ile 11 to be able to elevate. It has a multi-level structure.

그리고 승강파일(12)이 고정파일(11)에 대하여 일정 범위 이상으로 승강 시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와이어(30)가 구비되어 있다.And the lifting pile 12 is provided with a support wire 30 for preventing the inclination when lifting the fixed pile 11 over a certain range.

즉, 지지 와이어(30)는 그 길이 방향의 상단이 승강파일(12)의 내부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이 고정파일(11)의 중공 내에 고정되어 있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wire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lifting pile 12 , and the lower end is fixed in the hollow of the fixed pile 11 .

여기서 지지 와이어(30)는 여러 개가 비스듬히 기울어져 서로 교차하듯이 배열되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ix a plurality of the support wires 30 so as to be slanted and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이러한 지지 와이어(30)는 심재(31)와 강선(33) 및 보호관(3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upport wire 30 is composed of a core material 31 , a steel wire 33 , and a protective tube 34 .

심재(31)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바깥쪽 곡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결합홈(32)이 패여 있다.The core 3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oupling groove 32 is dent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이러한 심재(31)는 지지 와이어(30)의 골격을 형성하면서 강선(33)이 심하게 늘어나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ore 31 serves to prevent the steel wire 33 from being severely stretched and damaged while forming the skeleton of the support wire 30 .

여기서 심재(31)는 어느 정도 신축이 가능한 천연고무나 부나-S(buna-S) 고무, 부나-N(buna-N) 고무, 네오프렌 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 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과 같은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Here, the core material 31 is a synthetic rubber such as natural rubber, buna-S rubber, buna-N rubber, neoprene rubber, etc., or olefin-based elastomer or polyester elastomer, etc., which can be stretched to some extent. It may be made of an elastomer.

강선(33)은 심재(31)와 함께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심재(31)의 결합홈(32)에 코일 모양으로 감아져 있다.The steel wire 33 is wound in a coil shape in the coupling groove 32 of the core member 31 so that it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together with the core member 31 .

보호관(34)은 심재(31)와 강선(33)을 감싸서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The protective tube 34 is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core 31 and the steel wire 33 .

즉, 보호관(34)은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에 의해 심재(31) 및 강선(33)과 함께 신장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심재(31) 및 강선(33)과 함께 수축되면서 원래대로 복귀한다.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protective tube 34 is stretched together with the core material 31 and the steel wire 33 by elasticity,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is contracted together with the core material 31 and the steel wire 33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여기서 보호관(34)은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갖도록 면이나 마 또는 모, 견 등과 같은 천연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비스코스레이온(viscose rayon)이나 모달(modal), 폴리노직(polynosic), 큐프라(cuprammonium rayon), 아세테이트, 아크릴, 나일론, 스판, 테프론 등과 같은 화학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protective tube 34 may be made of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hemp, wool, or silk to have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and in addition to viscose rayon or modal, polynosic, cupra ( cuprammonium rayon), acetate, acrylic, nylon, spandex, teflon, and the like.

따라서 승강파일(12)이 하천의 범람에 따라 일정 범위 이상으로 승강하여 물의 흐름, 즉 강한 유속을 받으면 느슨한 상태의 지지 와이어(30)가 탄성에 의해 팽팽하게 늘어지면서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지지 및 지탱 작용을 하고, 이로 인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흔들림 없이 균형적으로 신장 및 수축되므로 수평적인 설치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ifting pile 12 rises above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overflow of the river and receives the flow of water, that is, a strong flow rate, the support wire 30 in a loose state is stretched taut by elasticity and elastically holding and supporting action. The horizontal installation state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because it expands and contracts in a balanced way without tilting to one side and without shaking.

한편,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 와이어(30)를 분해하여 도시하였으나, 심재(31)와 보호관(34)은 이중 사출 등을 통해 동시에 제조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강선(33)은 심재(31)와 함께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support wire 30 is disassembled and illustrated in FIG. 6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re material 31 and the protective tube 34 may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anufacturing at the same time through double injection, etc. (33)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through insert injection together with the core material (31).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mo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중 가이드 파일(10)은 부력체(20)의 부상 및 하강에 따라 그 길이가 연동하여 신축 및 조절되도록 콘크리트 기초나 땅속의 암반층에 세워진 고정파일(11)과, 이 고정파일(11)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씌우듯이 장착된 승강파일(12)을 갖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the guide file 10 among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a floating wate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evitation and descent of the buoyancy body 20 . A multi-stage having a fixed pile 11 built on a concrete foundation or a bedrock layer in the ground, and a lifting pile 12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ile 11 so that the length is interlocked and expand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sists of structure.

그리고 승강파일(12)의 내부에는 고정파일(11)에 대하여 일정 범위 이상으로 승강 시 기울어짐 및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로드(40)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guide rod 40 is installed inside the lifting pile 12 to prevent inclination and separation when lifting over a certain range with respect to the fixed pile 11 .

즉, 가이드 로드(40)는 승강파일(12)과 동시에 승강하도록 그 길이 방향의 상단이 승강파일(12)의 내부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에는 고정파일(11)의 중공 내에 위치하는 스토퍼(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lifting pile 12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at the same time as the lifting pile 12, and a stopper located in the hollow of the fixed pile 11 at the lower end ( 41) is integrally formed.

아울러 고정파일(11)의 상단에는 가이드 로드(40)의 스토퍼(41)가 그 중공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톱 슬리브(19)가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a stop sleeve 19 for supporting the stopper 41 of the guide rod 40 so as not to fall ou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ollow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le 11 .

따라서 승강파일(12)이 하천의 범람에 따라 일정 범위 이상으로 승강 시 가이드 로드(40)의 스토퍼(41)가 스톱 슬리브(19)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면서 고정파일(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ifting pile 12 goes up and down over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overflow of the river, the stopper 41 of the guide rod 40 interferes with the stop sleeve 19 and prevents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ile 11 can do.

그뿐만 아니라 승강파일(12)이 강한 유속을 받더라도 가이드 로드(40)가 고정파일(11)과 함께 지지 및 지탱 작용을 하고, 이로 인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흔들림 없이 균형적으로 신장 및 수축되므로 수평적인 설치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Not only that, even if the lifting pile 12 receives a strong flow velocity, the guide rod 40 supports and supports the fixed pile 11 together with the fixed pile 11, which in turn does not incline to one side and balances expansion and contraction without shaking, so it is horizont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installation state.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mo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levitation and descent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a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he component substitution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이드 파일 11: 고정파일
12: 승강파일 13: 슬라이드 바
14: 고정스토퍼 15: 승강스토퍼
16: 연동접촉부 17: 리세스
18: 보강링 19: 스톱 슬리브
20: 부력체 21: 가이드 슬리브
22: 활주롤러 30: 지지 와이어
31: 심재 32: 결합홈
33: 강선 34: 보호관
40: 가이드 로드 41: 스토퍼
10: Guide file 11: Fixed file
12: elevating file 13: slide bar
14: fixed stopper 15: elevating stopper
16: interlocking contact 17: recess
18: reinforcement ring 19: stop sleeve
20: buoyancy body 21: guide sleeve
22: sliding roller 30: support wire
31: core 32: coupling groove
33: steel wire 34: protection tube
40: guide rod 41: stopper

Claims (3)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 개의 가이드 파일; 및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뜨면서 상기 가이드 파일의 안내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가이드 파일의 위치와 대응되는 사방에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가 내장된 부력체;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파일은,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따라 길이가 신축 및 조절되도록 지반 세워지는 고정파일과, 상기 고정파일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씌우듯이 장착된 승강파일을 갖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력체가 부력에 의해 승강 시 상기 승강파일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활주롤러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주면(안쪽 곡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된,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A plurality of guide piles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and
Floating on the water by buoyancy, the buoyancy body is lifted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file, and a guide sleeve is built-in to guide the elevation in all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file;
including,
The guide pile is made of a multi-stage structure having a fixed pile erected in the ground so as to expand and contract and control the length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buoyancy body, and a lifting pil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ile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When the buoyancy body is lifted by buoyancy, a plurality of sliding rollers guiding to slide along the lifting pile are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guide sleeve to freely rotate up and down at regular intervals. Floating and descent guides for struc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파일의 상단 외주면(바깥쪽 곡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부착되고, 상기 승강파일이 상기 고정파일과 접촉을 방지하면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바;
상기 고정파일의 상단 외주면(바깥쪽 곡면) 중 상기 슬라이드 바들 사이사이에 부착된 다수의 고정스토퍼;
상기 승강파일의 하단 내주면(안쪽 곡면)에 상기 고정스토퍼들과 대응되게 다수 부착되고, 상기 고정파일에서 상기 승강파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승강스토퍼; 및
상기 승강파일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가 부력에 의해 상기 승강파일의 최상단까지 상승하면 상기 승강파일이 연동하여 상승하도록 상기 활주롤러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연동접촉부;
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lide bar guiding a plurality of pieces radially attached to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fixed file at regular intervals, and sliding the lifting file while preventing contact with the fixed file;
a plurality of fixing stoppers attached between the slide bars among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s (outer curved surfaces) of the fixing piles;
a lifting stopper attached to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lifting pile to correspond to the fixed stoppers, and preventing the lifting fi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file; and
an interlocking contact part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pile, and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sliding roller so that the lifting pile rises in association with the lifting body when the buoyancy body rises to the top end of the lifting pile by buoyancy;
Floating and descending guide device for floating water structures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는, 상기 승강파일의 승강 시 접촉 면적 및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리세스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들 중 하나의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리세스 및 이와 상기 고정파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른 슬라이드 바에 형성된 리세스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부유식 수상구조물용 부상 및 하강 안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lide bar,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and interference during the lifting of the lifting pile,
A recess formed in one of the slide bars of the slide bar and a recess formed in the other slide ba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xed pile are dispos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KR1020200176923A 2020-12-17 2020-12-17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KR102422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23A KR102422961B1 (en) 2020-12-17 2020-12-17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23A KR102422961B1 (en) 2020-12-17 2020-12-17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06A true KR20220086806A (en) 2022-06-24
KR102422961B1 KR102422961B1 (en) 2022-07-20

Family

ID=8221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923A KR102422961B1 (en) 2020-12-17 2020-12-17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96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315A (en) * 1996-02-28 1997-09-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Pile moored type floating structure
KR101580996B1 (en) * 2015-08-11 2015-12-29 주식회사 아이랜드 Floating type facilities
KR101642763B1 (en) * 2015-10-26 2016-07-26 조준호 Floating post structure
KR101905002B1 (en) 2017-04-28 2018-11-21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Connector for phc pile with control function for heigh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walk road or bike lane
KR20200115045A (en) 2019-12-27 2020-10-07 강경탁 Coating device for files of water floa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315A (en) * 1996-02-28 1997-09-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Pile moored type floating structure
KR101580996B1 (en) * 2015-08-11 2015-12-29 주식회사 아이랜드 Floating type facilities
KR101642763B1 (en) * 2015-10-26 2016-07-26 조준호 Floating post structure
KR101905002B1 (en) 2017-04-28 2018-11-21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Connector for phc pile with control function for heigh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walk road or bike lane
KR20200115045A (en) 2019-12-27 2020-10-07 강경탁 Coating device for files of water float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961B1 (en)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274B1 (en) Waterproof wall structure having buoyancy reinforce plate
KR102248621B1 (en) Floating transfer ocea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04030B1 (en) Floating breakwater
US20100175606A1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KR102422961B1 (en)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KR101727011B1 (en)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KR102217837B1 (en) Sediment transport reduction apparatus
KR102225015B1 (en) Fish farming cages
JP6327451B2 (en) Floating fence
KR101402763B1 (en) Rolling pitching damper for aquatic facilities
WO2016174919A1 (en) Floating body type flap gate
KR102257051B1 (en) Floating type connecting bridge
KR101642763B1 (en) Floating post structure
KR102399536B1 (en)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KR101627926B1 (en) Floating structure for reducing shake
KR20190002787A (en) Floating bridge structure
US3500484A (en) Device for mooring ships
KR101205372B1 (en) Collapsible-expandible fairing and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have the same
KR20240071549A (en) Post device for floating facilities that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by buoyancy
JP2021127587A (en) Floating structure
KR102375488B1 (en) Self rotating surge and wave barrier
JP2008273566A (en) Sloshing inhibiting apparatus of floating roof tank
JP6093927B2 (en) Upright floating breakwater
KR102490231B1 (en) Floating water structure with shock absorber.
KR102649078B1 (en) Mo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