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394A -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394A
KR20220086394A KR1020200176803A KR20200176803A KR20220086394A KR 20220086394 A KR20220086394 A KR 20220086394A KR 1020200176803 A KR1020200176803 A KR 1020200176803A KR 20200176803 A KR20200176803 A KR 20200176803A KR 20220086394 A KR20220086394 A KR 20220086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st
patient
image
out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
이효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웍스
Priority to KR102020017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394A/ko
Publication of KR2022008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급 현장의 응급 진료 인력과 협진 의원의 의사가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협진할 수 있게 하고, 협진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재가공하여 협진이력, 이송정보 및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화면으로 표시해 줄 수 있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Data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care teleconsultation}
본 발명은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급 현장의 응급 진료 인력과 협진 의원의 의사가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협진할 수 있게 하고, 협진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재가공하여 협진이력, 이송정보 및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화면으로 표시해 줄 수 있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남 서해안 지역은 섬이 많고 해양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사고 후 현장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환자의 골든타임 내 응급처치가 어렵다.
예를 들면, 태풍이 발생한 상황에서 호흡곤란 환자가 갑자기 발생할 경우, 태풍으로 선박과 닥터헬기가 운항할 수 없지만, 기능확대형 보건지소에는 응급 의료진이 상주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응급처치는 가능하나 당직인 응급 의료진은 경험 부족할 경우, 호흡 곤란 환자의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고, 응급처치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의사와 환자가 멀리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행하는 의료 행위로써 통신 수단에 의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진료를 행하기 위한 원격 의료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나 응급 현장의 응급 진료 인력과 협진 의원의 전문의 간에 협진을 위한 시스템의 개발은 존재하지 않아 응급 진료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서지역과 같은 원격지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 응급 진료 인력과 협진 의원의 전문의가 서로 협업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응급 이송 수단에서 응급 진료 인력이 사용하는 AR(Augmented Reality) 단말기와 상기 응급 진료 인력과 협진하는 협진 의원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R 단말기와 상기 협지 의원 서버에서 입력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플랫폼; 상기 AR 단말기와 상기 협진 의원 서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자동 수집기; 상기 데이터 입력 플랫폼으로 입력된 데이터들과 상기 데이터 자동 수집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빅 데이터 저장소; 상기 빅 데이터 저장소의 정보를 분석하여 협진이력, 이송정보 및 영상정보로 매칭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 및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에서 생성된 정보를 외부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는 화면들을 생성하는 서비스 UI(User Interface)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자동 수집기는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에서 제공하는 날씨나 공공 의료 정보와 같은 공공 및 민간 정보를 더 수집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협진 의원 서버의 데이터는 협진 기관 정보, 환자 정보 및 진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AR 단말기의 데이터는 환자 상태 정보, 사고 정보 및 AR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UI(User Interface)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화면은 협진이력화면, 이송정보화면 및 영상정보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협진이력화면;은, 협진 이력 리스트를 출력하는 협진 이력 리스트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를 선택할 때, 선택된 리스트의 협진 정보를 출력하는 협진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 이름,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환자 기본 정보인 진료 기본 정보를 출력하는 진료 기본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ID, 추정상병, 의식상태, 산소요법, 응급환자 등급, 응급환자분류, 감염병의사환자분류, 처치 시술 내용, 진료 결과, 의사 소견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환자 상태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ID, 환자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산소포화도, 체중을 포함하는 환자 활력 징후를 출력하는 환자 활력 징후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ID, 사고장소, 사고발생일, 사고 발생시간, 사고종류, 안전띠 여부, 추락 높이, 산재 종류, 스포츠 종류, 화상원인, 폭행종류, 중독 원인, 중독 경로를 포함하는 사고정보를 출력하는 사고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 ID, 고혈압 여부, 당뇨병여부, 결핵여부, 간질환여부, 신장질환여부, 기타 병력, 수술력, 수혈력, 수혈 부작용, 알러지, 투약을 포함하는 병력정보를 출력하는 병력 정보 출력 화면; 및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 ID, 결막 상태, 공막 상태, 입술 상태, 혀 상태, 구강내 상태, 목상태, 흉부 상태, 호흡음, 심장음, 복부 상태, 복부음을 포함하는 신체 검사 정보를 출력하는 신체 검사 정보 출력 화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정보화면:은, 이송정보리스트를 출력하는 이송 정보 리스트 출력화면; 및 상기 이송정보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이송기록ID, 이송요청 기관, 피요청 기관, 이송요청 일, 이송요청 시간, 이송 출발일, 이송 출발시간, 이송 요청 수단, 동승 여부를 포함하는 이송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이송정보 출력화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화면:은, 영상정보리스트를 출력하는 영상정보리스트 출력화면; 상기 영상정보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의료영상ID, 진료기관, 환자이름, 촬영날짜, 촬영시간, 영상구분,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정보 출력화면; 상기 영상 정보 출력화면의 영상 상세정보 탭을 클릭할 경우 표시되며, 의료영상ID, 진료기관, 협진의뢰 기관, 의뢰 의료인, 피의뢰 기관, 피의뢰 의료인, 기록시작 날짜, 기록시작 시간, 기록종료 날짜, 기록종료 시간, 영상길이, 상세영상을 포함하는 상세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상세 영상 정보 출력화면; 및 협진영상리스트를 출력하는 협진영상리스트 출력화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응급 현장의 응급 진료 인력과 협진 의원의 전문의가 원격지에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협진의료를 수행할 수 있고 협진의료 결과를 데이터로 재가공하여 생성한 후, 외부 클라이언트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통신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협진 이력 리스트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협진 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진료기본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환자상태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환자활력징후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사고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병력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신체검사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이송정보리스트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이송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상정보리스트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상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상상세정보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협진영상리스트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통신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은 닥터헬기나 구급차, 선박과 같은 응급 이송 수단(40)에서 응급 진료 인력이 사용하는 AR(Augmented Reality) 단말기(10)와 협진 의원의 전문의가 관리하는 협진 의원 서버(20)를 서로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여 응급 현장에서 응급 진료 인력이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의료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은 협진 의료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환자나 의사, 공공기관이 외부 클라이언트(50)를 통해 접속하면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은 기상청이나 국민의료보험공단과 같은 기관들의 서버(30)로부터 날씨나 공공 의료 정보와 같은 공공 및 민간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협진의료 기록과 함께 화면을 통해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5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진 의원 서버(20)는 협진기관 정보, 환자 정보, 진료 정보를 상기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상기 AR 단말기(10)는 환자상태정보, 사고정보, AR영상정보 등을 상기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며, 상기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30)는 공공 및 민간 정보를 상기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은 데이터 입력 플랫폼(110), 데이터 자동 수집기(120), 빅 데이터 저장소(130), 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140) 및 서비스 UI(User Interface)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컴퓨터 장치이다.
상기 데이터 입력 플랫폼(100)은 상기 협진 의원 서버(20), 상기 AR단말기(10), 상기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협진 의원 서버(20), 상기 AR단말기(10), 상기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3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또한, 여기서 입력되는 데이터란 공개되어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가 아닌 상기 협진 의원 서버(20), 상기 AR단말기(10), 상기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30)에서 입력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로 아래에서 설명할 데이터 자동 수집기(120)가 수집하는 데이터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 플랫폼(100)으로 입력된 데이터들은 데이터 수집큐(111)에 저장되어 입력된 순으로 정리된다.
상기 데이터 자동 수집기(120)는 상기 AR단말기(10), 상기 협진 의원 서버(20), 상기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30)와 연결되고, 상기 AR단말기(10), 상기 협진 의원 서버(20), 상기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3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한다.
상기 빅 데이터 저장소(130)는 상기 데이터 수집큐(111)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자동 수집기(120)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140)은 상기 빅 데이터 저장소(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협진이력, 이송정보 및 영상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AR단말기(10)에서 환자상태정보와 AR영상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협진의원서버(20)에서 환자정보와 진료정보(기존의 진료정보일 수 있음)가 입력된다면,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140)은 동일한 환자의 환자정보, 환자상태정보, 진료정보 및 AR영상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협진이력, 이송정보 및 영상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 UI(User Interface)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150)은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140)에서 생성된 정보를 상기 외부 클라이언트(50)가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비스 UI(User Interface)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150)이 생성하는 화면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면들은 크게 환자협진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협진이력화면, 환자의 이송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이송정보화면 및 환자 처치나 상태에 관한 영상정보를 보여주는 영상정보화면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협진이력화면은 협진 이력 리스트 출력화면, 협진 정보 출력화면, 진료 기본 정보 출력화면, 환자 환력 징후 정보 출력화면, 사고 정보 출력화면, 병력 정보 출력화면, 신체 검사 정보 출력화면을 포함한다.
도 3은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 출력화면(159)을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 출력화면(159)은 응급 진료 인력과 전문의 간에 협진한 협진 이력 리스트(151a)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151a)는 협진의뢰ID, 진료정보ID, 협진의뢰 날짜, 협진의뢰 시간, 의뢰기관, 의뢰인, 피의뢰기관, 피의뢰의, 협진완료(여부)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151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4에 도시한 협진 정보 출력화면(152)이 출력된다.
상기 협진정보 출력화면(152)은 협진의뢰ID, 진료정보ID, 협진의뢰 날자, 협진의뢰 기관, 협진의뢰 의료인, 피의뢰 기관, 피의뢰 의료의, 협진환료 여부가 큰 화면으로 표시되고 인쇄버튼은 눌러 인쇄를 하거나 이송정보 버튼을 눌러 이송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영상정보 버튼을 눌러 영상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진료 기본 정보 출력화면(153)을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협진정보 출력화면(152)에서 진료기본정보 탭을 누를 경우 표시되며, 진료정보ID, 환자ID, 환자 이름, 환자 나이, 환자 성별, 내원 일, 내원 시간, 내원 경로, 내원 수단, 진료기관 기관, 진료의와 같은 환자의 진료 기본 정보를 출력한다.
도 6은 상기 환자상태정보 출력화면(154)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협진정보 출력화면(152)에서 환자상태정보 탭을 누를 경우 표시되며, 환자상태ID, 진료정보ID, 환자ID, 추정상병, 의식상태, 산소요법, 응급환자 등급, 응급환자 분류, 감염병의사환자분류, 처치 시술 내용, 진료 결과, 의사 소견을 출력한다.
도 7은 상기 환자활력징후정보 출력화면(155)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협진정보 출력화면(152)에서 활력징후정보 탭을 클릭할 경우 표시되며, 활력징후 정보 ID, 진료정보 ID, 환자 ID,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산소포화도, 체중을 포함하는 환자의 활력징후를 출력한다.
도 8은 상기 사고정보 출력화면(156)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협진정보 출력화면(152)에서 사고정보 탭을 클릭할 경우 표시되며, 사고정보 ID, 진료정보 ID, 환자ID, 사고장소, 사고발생일, 사고 발생시간, 사고종류, 안전띠 여부, 추락 높이, 산재 종류, 스포츠 종류, 화상원인, 폭행종류, 중독 원인, 중독 경로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출력한다.
도 9는 상기 병력정보 출력화면(157)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협진정보 출력화면(152)에서 병력정보 탭을 클릭할 경우 표시되며, 병력정보ID, 진료정보 ID, 환자 ID, 고혈압 여부, 당뇨병여부, 결핵여부, 간질환여부, 신장질환여부, 기타 병력, 수술력, 수혈력, 수혈 부작용, 알러지, 투약을 포함하는 병력정보를 출력한다.
도 10은 상기 신체검사정보 출력화면(158)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협진정보 출력화면(152)에서 신체검사정보 탭을 클릭할 경우 표시되며, 신체검사ID, 진료정보ID, 환자 ID, 결막 상태, 공막 상태, 입술 상태, 혀 상태, 구강내 상태, 목상태, 흉부 상태, 호흡음, 심장음, 복부 상태, 복부음을 포함하는 신체 검사 정보를 출력한다.
다음, 상기 이송정보화면은 이송 정보 리스트 출력화면, 이송정보 출력화면을 포함한다.
도 11은 상기 이송정보리스트 출력화면(159)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응급환자를 이송한 이송 정보 리스트(157a)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송 정보 리스트(157a)의 항목을 클릭할 경우, 도 12에 도시된 이송정보 출력화면(160)이 출력되고, 상기 이송정보 출력화면(160)은 이송기록ID, 진료정보 ID, 이송요청 차수, 이송요청 기관, 피요청 기관, 이송요청 일, 이송요청 시간, 이송 출발일, 이송 출발시간, 이송 요청 수단, 동승 여부, 이송환자 상태를 포함하는 이송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다음, 상기 영상정보화면은 영상정보리스트 출력화면, 영상 정보 출력화면, 상세 영상 정보 출력화면, 협진영상리스트 출력화면을 포함한다.
도 13은 상기 영상정보리스트 출력화면(161)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환자와 관련된 영상정보리스트(161c)를 출력한다.
도 14는 상기 영상정보 출력화면(162)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영상정보리스트(161c)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영상의 정보가 출력되며, 의료영상ID, 진료기관, 환자이름, 촬영날짜, 촬영시간, 영상구분, 영상(162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162a)은 X-ray, CT, MRI등 다양한 의료영상일 수 있다.
도 15는 상기 영상상세정보 출력화면(163)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영상정보 출력화면(162)에서 영상상세정보 탭(162b)을 클릭할 경우 출력되며, 의료영상ID, 진료정보 ID, 진료기관, 협진의뢰 기관, 의뢰 의료인, 피의뢰 기관, 피의뢰 의료인, 기록시작 날짜, 기록시작 시간, 기록종료 날짜, 기록종료 시간, 영상길이, 상세영상(163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세영상(163a)은 응급 처치를 수행하는 영상일 수 있다.
도 16은 상기 협진영상리스트 출력화면(164)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협진이 수행될 경우 촬영한 협진영상 리스트(164a)를 출력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협진영상 리스트(164a)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할 경우 도 15에 도시한 상세영상과 같이 협진을 수행한 영상에 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에 의하면, 상기 AR단말기(10), 상기 협진의원서버(20), 상기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입력되거나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정보로 재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협진 의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협진 기록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110:데이터 입력 플랫폼
111:데이터 수집큐 120:데이터 자동수집기
130:빅 데이터 저장소 140: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
150:서비스 UI 및 응용어플리케이션

Claims (6)

  1. 응급 이송 수단에서 응급 진료 인력이 사용하는 AR(Augmented Reality) 단말기와 상기 응급 진료 인력과 협진하는 협진 의원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R 단말기와 상기 협지 의원 서버에서 입력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플랫폼;
    상기 AR 단말기와 상기 협진 의원 서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자동 수집기;
    상기 데이터 입력 플랫폼으로 입력된 데이터들과 상기 데이터 자동 수집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빅 데이터 저장소;
    상기 빅 데이터 저장소의 정보를 분석하여 협진이력, 이송정보 및 영상정보로 매칭하여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 및
    상기 데이터 분석 및 생성 플랫폼에서 생성된 정보를 외부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는 화면들을 생성하는 서비스 UI(User Interface)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자동 수집기는 공공 및 민간 데이터 서버에서 제공하는 날씨나 공공 의료 정보와 같은 공공 및 민간 정보를 더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진 의원 서버의 데이터는 협진 기관 정보, 환자 정보 및 진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AR 단말기의 데이터는 환자 상태 정보, 사고 정보 및 AR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UI(User Interface)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화면은 협진이력화면, 이송정보화면 및 영상정보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협진이력화면;은,
    협진 이력 리스트를 출력하는 협진 이력 리스트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를 선택할 때, 선택된 리스트의 협진 정보를 출력하는 협진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 이름,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환자 기본 정보인 진료 기본 정보를 출력하는 진료 기본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ID, 추정상병, 의식상태, 산소요법, 응급환자 등급, 응급환자분류, 감염병의사환자분류, 처치 시술 내용, 진료 결과, 의사 소견을 포함하는 환자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환자 상태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ID, 환자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산소포화도, 체중을 포함하는 환자 활력 징후를 출력하는 환자 활력 징후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ID, 사고장소, 사고발생일, 사고 발생시간, 사고종류, 안전띠 여부, 추락 높이, 산재 종류, 스포츠 종류, 화상원인, 폭행종류, 중독 원인, 중독 경로를 포함하는 사고정보를 출력하는 사고 정보 출력화면;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 ID, 고혈압 여부, 당뇨병여부, 결핵여부, 간질환여부, 신장질환여부, 기타 병력, 수술력, 수혈력, 수혈 부작용, 알러지, 투약을 포함하는 병력정보를 출력하는 병력 정보 출력 화면; 및
    상기 협진 이력 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환자 ID, 결막 상태, 공막 상태, 입술 상태, 혀 상태, 구강내 상태, 목상태, 흉부 상태, 호흡음, 심장음, 복부 상태, 복부음을 포함하는 신체 검사 정보를 출력하는 신체 검사 정보 출력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정보화면:은,
    이송정보리스트를 출력하는 이송 정보 리스트 출력화면; 및
    상기 이송정보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이송기록ID, 이송요청 기관, 피요청 기관, 이송요청 일, 이송요청 시간, 이송 출발일, 이송 출발시간, 이송 요청 수단, 동승 여부를 포함하는 이송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이송정보 출력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화면:은,
    영상정보리스트를 출력하는 영상정보리스트 출력화면;
    상기 영상정보리스트에서 선택된 리스트의 의료영상ID, 진료기관, 환자이름, 촬영날짜, 촬영시간, 영상구분,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정보 출력화면;
    상기 영상 정보 출력화면의 영상 상세정보 탭을 클릭할 경우 표시되며, 의료영상ID, 진료기관, 협진의뢰 기관, 의뢰 의료인, 피의뢰 기관, 피의뢰 의료인, 기록시작 날짜, 기록시작 시간, 기록종료 날짜, 기록종료 시간, 영상길이, 상세영상을 포함하는 상세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상세 영상 정보 출력화면; 및
    협진영상리스트를 출력하는 협진영상리스트 출력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0200176803A 2020-12-16 2020-12-16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220086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803A KR20220086394A (ko) 2020-12-16 2020-12-16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803A KR20220086394A (ko) 2020-12-16 2020-12-16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94A true KR20220086394A (ko) 2022-06-23

Family

ID=8222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803A KR20220086394A (ko) 2020-12-16 2020-12-16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3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8453A (zh) * 2024-01-12 2024-02-13 成都泰盟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模型的ar体格检查辅助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8453A (zh) * 2024-01-12 2024-02-13 成都泰盟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模型的ar体格检查辅助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21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remotely or virtually with or using an electronic healthcare record and/or a communication network
US79568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erized multi-media medical and pharmaceutical data organization and transmission
US78858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medical file management
Krupinski et al. Chapter 2: Clinical applications in telemedicine/telehealth
US201802332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or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and/or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with or using an electronic healthcare record and information regarding and/or obtained with or from electronic interactive activity, information, content, or media
Park et al. Requirement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mart emergency medical services
US20210369113A1 (en) Acute Care Eco System Integrating Customized Devices of Personalized Care With Networked Population Based Management
CN106332554B (zh) 医疗连续性服务系统
US201400674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or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and/or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with or using an electronic healthcare record or electronic healthcare records
CN113113136A (zh) 一种基于混合现实的医疗辅助决策系统
Yogesan et al. Teleophthalmology
KR20220086394A (ko) 원격 협진 데이터 관리 시스템
Portela et al. Electronic health records in the emergency room
US2021030486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egrating medical device case files with corresponding patient care records
Imouokhome et al. Mobile-device-based telemedicine for improved health-wealth
Metelmann et al. M-Health in prehospital emergency medicine: experiences from the EU funded project LiveCity
EP4020493A2 (en) Severity assessment device and model generation device
WOODS et al. Primary-care delivery for sickle cell patients in rural Georgia using telemedicine
CN115242831A (zh) 一种用于物联网智能查房监护仪及智能查房系统
Friesdorf et al. Ergonomics applied to anaesthesia record keeping
Metelmann et al. Mobile Health Applications in Prehospital Emergency Medicine
Descartin et al. Application of advances in telemedicine for long-duration space flight
TW200933503A (en) Interactive health service system
JP2023176141A (ja)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OMBONI 3232 Digital Health and Telemedicine 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