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393A -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393A
KR20220086393A KR1020200176799A KR20200176799A KR20220086393A KR 20220086393 A KR20220086393 A KR 20220086393A KR 1020200176799 A KR1020200176799 A KR 1020200176799A KR 20200176799 A KR20200176799 A KR 20200176799A KR 20220086393 A KR20220086393 A KR 20220086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ntrol
housing
theft
control devi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393A/ko
Publication of KR2022008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전자제어장치들이 수용된 하우징; 일면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수용되어 상기 소켓부와 체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상기 소켓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ANTI-THEFT STRUCTUR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본 발명은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합 차체 제어 시스템(IBU: Integrated Body control Unit)은 차체 제어 모듈(BCM: Body Control Module), 스마트키 시스템(SMK: SmartKey System),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주차보조시스템(PAS: Parking Assist System), 이모빌라이저 등의 전자제어장치(ECU)를 통합한 차체 제어 시스템으로써, 와이퍼, 헤드램프, 파워시트 등을 제어하는 개별 ECU와 통신하여 차체 전장을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BCM의 일부 기능은 IBU 자체만으로도 동작시킬 수 있지만 대부분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동작하게 된다.
또한, IBU는 Body CAN(BCAN)에 연결된 ECU들과 주로 통신을 하며 Chassis CAN(CCAN), Powertrain CAN(PCAN)통신을 하는 ECU들과도 입출력 신호를 주고받으며 기능 동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IBU는 하우징과, PCB와, 커넥터와, 도난방지용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IBU는 드릴, 전기톱, 쇠막대 등을 이용한 외부로부터 도난 시도시 최소 5분 이상 방어할 수 있도록 전자제어장치용 도난 방지구조가 적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제어장치용 도난 방지구조체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다단 절곡 형성되는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IBU에 결합하여, 상기 IBU의 도난을 방지한다.
한편, 종래의 도난방지용 브라켓은 커넥터가 수용된 하우징의 전체를 덮어 커넥터가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이를 위해 종래의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구조는 전단 볼트를 매개로 하여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하우징에 고정하였다.
즉, 전단 볼트에 의해 하우진 내에서 PCB 및 커넥터 등 각종 전자부품들의 영역이 좁아지고, 하우징의 내부에서 PCB 및 커넥터 등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IBU 자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IBU의 크기가 증가하여 차량에 장착시킬 때, 작업자의 시야를 가림으로써, 오조립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단 볼트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추가로 필요함으로써, 이의 조립공정 및 조립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IBU의 크기를 줄이고,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공수 및 조립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는,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전자제어장치들이 수용된 하우징; 일면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수용되어 상기 소켓부와 체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상기 소켓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켓부가 수용되고, 내부에 수용된 전자제어장치들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는, 상부 정면에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상기 커넥터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체결되는 한 쌍의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수용홈의 상부 내측면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걸림돌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은, 다수개의 상기 수용홈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의 두께보다 두껍다.
상기 커넥터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탄성부; 상기 한 쌍의 탄성부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 걸림돌기;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한 쌍의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제2 걸림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가압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탄성부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삽입되는 브라켓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의 상기 탄성부 상면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은, 상기 가압부를 감싼다.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서로 체결되고,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의 체결이 해제된다.
상기 제1 가이드 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는 하우징 결합부; 상기 하우징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삽입홈에 삽입되는 커넥터 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결합부에는 상면에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합한 두께보다 두껍거나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는, 내부에 수용된 전자제어장치들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일면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다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소켓부; 다수개의 상기 수용홈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소켓부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상기 소켓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부 정면에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은, 다수개의 상기 수용홈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홈의 단턱과 체결돌기의 단턱이 서로 면대면으로 맞닿게 되면,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어 도난방지용 브라켓의 내부에 위치한 소켓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소켓부에 삽입된 커넥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상부 커버 및 도난방지용 브라켓를 나타낸 저면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소켓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상부 커버 및 도난방지용 브라켓를 나타낸 저면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소켓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의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는 하우징(100)과, 소켓부(200)와, 커넥터(300) 및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전자제어장치들이 수용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상부 커버(110) 및 하부 커버(120)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110)는 소켓부(200)가 수용되고, 내부에 수용된 전자제어장치들의 상부를 덮는다.
상부 커버(110)는 상부에서 정면에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삽입되는 결합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공(111)은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의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결합공(111)에는 도난방비용 브라켓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공(111)의 상부 내측면에는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체결되는 체결홈(112)이 형성된다.
체결홈(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은 수직으로 연장된 단턱(113)으로 이루어지고, 타방향은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일방향은 하우징(100)의 정면을 가리키고, 타방향은 하우징(100)의 후면을 가리킨다.
즉, 도면방지용 브라켓은 하우징(100)의 정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삽입된다.
하부 커버(120)는 상부 커버(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 커버(110)와 결합된다.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는 서로 후크결합 또는 볼트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커버(110)와 하부 커버(120)는 서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켓부(200)는 하우징(100)과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면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소켓부(200)에는 다수개의 커넥터(300)가 체결되고, 하부에 PCB(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PCB(500)로부터 단자부(211)가 연장된다.
단자부(211)는 PCB(500)로부터 연장되고, 소켓부(200)를 관통하여 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소켓부(200)는 수용홈(210)과, 제1 걸림돌기(220) 및 가이드 돌기(230)를 포함한다.
수용홈(210)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0)의 정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각각의 수용홈(210)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다수개의 상기 커넥터(300)가 각각 수용된다.
제1 걸림돌기(220)는 다수개의 수용홈(210)의 상부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커넥터(300)와 체결된다.
제1 걸림돌기(220)는 수용홈(210)의 상부 내측면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230)는 다수개의 수용홈(210)의 상부 내측면에서 한 쌍의 제1 걸림돌기(220)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230)는 수용홈(210)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한 쌍의 제1 걸림돌기(220)의 두께보다 두껍다.
즉, 가이 돌기는 수용홈(210)에 커넥터(300)가 삽입될 때, 커넥터(300)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한다.
커넥터(300)는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소켓부(200)에서 다수개로 이루어진 수용홈(210)에 각각 수용된다.
또한, 커넥터(300)는 소켓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소켓부(200)와 서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커넥터(300)는 PCB(500)로부터 연장되어 소켓부(200)를 관통하는 단자부(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300)는 몸체부(310)와, 탄성부(320)와, 제2 걸림돌기(330)와, 제1 가이드 홈(340)과, 가압부(350) 및 브라켓 삽입홈(360)을 포함한다.
몸체부(310)는 커넥터(3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소켓부(200)의 수용홈(210)에 수용된다.
탄성부(320)는 몸체부(310)의 상면에서 한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부(320)는 일단이 몸체부(3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타단이 몸체부(310)의 상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일단은 하우징(100)의 정면을 가리키고, 타단은 하우징(100)의 후면을 가리킨다.
따라서, 탄성부(320)는 몸체부(310)의 상면에서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고정된다.
제2 걸림돌기(330)는 탄성부(320)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 쌍의 탄성부(320) 상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걸림돌기(330)는 소켓부(200)의 제1 걸림돌기(220)와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걸림돌기(330)는 탄성부(320)의 상면에서 제1 걸림돌기(220)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걸림돌기(330)는 몸체부(310)가 소켓부(200)의 수용홈(210)에 수용되면 제1 걸림돌기(220)와 서로 체결된다.
이로 인해 커넥터(300)는 소켓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0)에 형성되어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체결되는 결합공(111)은 다수개로 이루어진 수용홈(210)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소켓부(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다수개의 커넥터(30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수용홈(210)에 각각 수용되고, 제1 걸림돌기(220) 및 제2 걸림돌기(330)의 체결로 인해 다수개의 커넥터(300)가 다수개의 수용홈(210)에 각각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소켓부(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 만으로도 커넥터(300)의 도난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체결되는 결합공(111)이 한 개만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는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을 하우징(100) 및 커넥터(300)에 체결시키기 위한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340)은 몸체부(310)의 상면에서 한 쌍의 탄성부(320) 및 제2 걸림돌기(330) 사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홈(340)은 몸체부(310)가 소켓부(200)의 수용홈(210)에 삽입될 때, 가이드 돌기(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 홈(340)에는 몸체부(310)가 수용홈(210)에 삽입되면 소켓부(200)의 가이드 돌기(230)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 가이드 홈(340)은 커넥터(300)가 소켓부(200)에 삽입될 때, 커넥터(300)의 삽입 방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압부(350)는 한 쌍의 탄성부(320) 일단 상면에 형성되고, 한 쌍의 탄성부(320)를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가압부(350)는 몸체부(310)가 수용홈(210)에 삽입될 때, 소켓부(200)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가압부(350)는 몸체부(310)가 수용홈(210)에 삽입될 때, 소켓부(200)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2 걸림돌기(330) 및 제1 가이드 홈(340)의 일방향에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부(350)는 커넥터(300)를 소켓으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가압부(350)를 가압하면 제2 걸림돌기(330)가 가압부(350)의 가압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제1 걸림돌기(220)로부터 체결이 해제된다.
즉, 가압부(350)는 커넥터(300)를 소켓부(200)로부터 분리할 때, 커넥터(300)의 제2 걸림돌기(330)가 소켓부(200)의 제1 걸림돌기(220)로부터 체결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300)를 소켓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브라켓 삽입홈(360)은 서로 이격된 탄성부(320)의 일단과 몸체부(31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 삽입홈(360)에는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삽입된다.
또한, 브라켓 삽입홈(360)은 커넥터(300)를 소켓부(2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압부(350)를 가압할 때, 가압부(350)가 휘어질 수 있는 공간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따라서, 브라켓 삽입홈(360)에 의해 가압부(350)가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다.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도 2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및 커넥터(300)에 체결되어 커넥터(3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된 소켓부(20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일단은 하우징(100)의 결합공(1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넥터(300)의 브라켓 삽입홈(360)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하우징(100)과 커낵터 사이에 배치되는 소켓부(200)의 가압부(350)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가압부(350)를 가압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커넥터(300)가 소켓부(200)의 수용홈(21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커넥터(300)가 소켓부(200)에 교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하우징 결합부(410)와, 연결부(420)와, 커넥터 결합부(430) 및 제2 가이드 홈(440)을 포함한다.
하우징 결합부(410)는 하우징(100)의 상부 커버(110)에 형성된 결합공(111)에 삽입된다.
즉, 하우징 결합부(410)는 단면 형상이 결합공(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 결합부(410)에는
결합공(111)의 체결홈(112)과 체결되는 체결돌기(411)가 형성된다.
체결돌기(411)는 하우징 결합부(410)의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하우징 결합부(410)가 결합공(111)에 삽입될 때, 결합공(111)의 체결홈(112)과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돌기(411)는 체결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체결돌기(411)는 일방향은 수직으로 연장된 단턱(412)으로 이루어지고, 타방향은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체결홈(112)의 단턱(113)과 체결돌기(411)의 단턱(412)이 서로 면대면으로 맞닿게 되면,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의 내부에 위치한 소켓부(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소켓부(200)에 삽입된 커넥터(300)가 도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홈(112)의 타단과 체결돌기(411)의 타단이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결합부(410)가 결합공(111)에 삽입될 때, 상기 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420)는 하우징 결합부(410)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연결부(420)는 상부 커버(110) 및 소켓부(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하우징 결합부(410)와 연결부(420)는 가압부(3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커넥터 결합부(430)는 연결부(420)에서 하우징 결합부(410)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 단부로부터 하우징 결합부(410)와 평행하게 연장된 것으로서, 브라켓 삽입홈(360)에 삽입된다.
제2 가이드 홈(440)은 커넥터 결합부(430)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홈(440)은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의 커넥터 결합부(430)가 브라켓 삽입홈(360)에 삽입될 때, 제1 가이드 홈(340) 및 가이드 돌기(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 홈(440)에는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커넥터 결합부(430)부가 브라켓 삽입홈(360)에 삽입되면, 소켓부(200)의 가이드 돌기(230)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2 가이드 홈(440)은 커넥터 결합부(430)가 브라켓 삽입홈(360)에 삽입될 때,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의 삽입 방향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켓부(200)의 가이드 돌기(230) 두께는, 몸체부(310)의 상부의 두께와 하우징 결합부(410)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두껍거나 같은 두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0)에 형성되어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이 체결되는 결합공(111)은 다수개로 이루어진 수용홈(210)과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됨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수용홈(210) 및 커넥터(300)와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다수개의 커넥터(300)가 각각 소켓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다수개로 이루어진 도난방지용 브라켓(400)은 다수개의 커넥터(300)를 각각 감쌈으로써, 다수개의 커넥터(300)를 더욱 견고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소켓부(200)에 삽입된 커넥터(300)의 도난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상부 커버
111: 결합공 112: 체결홈
113: 단턱 120: 하부 커버
200: 소켓부 210: 수용홈
211: 단자부 220: 제1 걸림돌기
230: 가이드 돌기 300: 커넥터
310: 몸체부 320: 탄성부
330: 제2 걸림돌기 340: 제1 가이드 홈
350: 가압부 360: 브라켓 삽입홈
400: 도난방지 브라켓 410: 하우징 결합부
411: 체결돌기 412: 단턱
420: 연결부 430: 커넥터 결합부
440: 제2 가이드 홈 500: PCB

Claims (18)

  1. 몸체를 이루고, 내부에 전자제어장치들이 수용된 하우징;
    일면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수용되어 상기 소켓부와 체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상기 소켓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켓부가 수용되고, 내부에 수용된 전자제어장치들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부 정면에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상기 커넥터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상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와 체결되는 한 쌍의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수용홈의 상부 내측면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걸림돌기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다수개의 상기 수용홈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탄성부;
    상기 한 쌍의 탄성부 상면에 각각 형성된 제2 걸림돌기;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한 쌍의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제2 걸림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가압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탄성부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삽입되는 브라켓 삽입홈을 포함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고정된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한 쌍의 상기 탄성부 상면을 서로 연결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은, 상기 가압부를 감싸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가 서로 체결되고,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의 체결이 해제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4. 제8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는 하우징 결합부;
    상기 하우징 결합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삽입홈에 삽입되는 커넥터 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에는 상면에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의 두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합한 두께보다 두껍거나 같은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7. 내부에 수용된 전자제어장치들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일면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다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소켓부;
    다수개의 상기 수용홈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소켓부와 체결되는 다수개의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상기 소켓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난방지용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부 정면에 상기 도난방지용 브라켓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다수개의 상기 수용홈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KR1020200176799A 2020-12-16 2020-12-16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KR20220086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99A KR20220086393A (ko) 2020-12-16 2020-12-16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99A KR20220086393A (ko) 2020-12-16 2020-12-16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93A true KR20220086393A (ko) 2022-06-23

Family

ID=8222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799A KR20220086393A (ko) 2020-12-16 2020-12-16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3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4330B1 (ja) 回路ユニット収容ボックス
US9083119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pair of engagement arms and catch members
JP2009259442A (ja) コネクタ
US7559796B1 (en) Panel-mount cable assembly
MX2013008797A (es) Conector electrico para un sistema de retencion de seguridad que tiene un contacto a tierra.
KR20080114337A (ko)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JP5477026B2 (ja) コネクタ
US7955115B2 (en) Extraction preventing device for connector
KR20220086393A (ko) 전자제어 장치용 도난방지 구조체
JPH10505958A (ja) 自動車用の制御装置
JP4646123B2 (ja) プラグ型コネクタ
CN109565162B (zh) 车载部件
JP2008300330A (ja) コネクタ
KR102552718B1 (ko) 전자제어장치용 도난 방지구조
JP6635588B2 (ja) コネクタ
CN113571962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US20070066097A1 (en) Fuse connnection box
JP3086642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90072232A (ko) 자동차용 차폐 커넥터, 차폐 커넥터의 실드 및 차폐 연결장치
KR200448593Y1 (ko) 커넥터
JPH11250988A (ja) コネクタ
JP2001257024A (ja) コネクタ
KR102622133B1 (ko) 차량용 이중 잠금 커넥터
JP2010177205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及び車両の配線方法
KR970005585Y1 (ko) 와이퍼 모터의 전원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