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071A -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071A
KR20220086071A KR1020200176186A KR20200176186A KR20220086071A KR 20220086071 A KR20220086071 A KR 20220086071A KR 1020200176186 A KR1020200176186 A KR 1020200176186A KR 20200176186 A KR20200176186 A KR 20200176186A KR 20220086071 A KR20220086071 A KR 20220086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able composition
formula
group
cured film
independent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호
오정훈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071A/ko
Publication of KR2022008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0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C08G18/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541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the low-molecular compounds being compounds of group C08G18/3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화학식 구조의 우레탄 올리고머 및 실릴-비닐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상기 경화성 조성물로 제조된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Curable composition, Cured film and Display FORM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경화성 조성물, 상기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기술(IT)이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 등의 특징을 지닌 여러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예를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device),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Diode Display device)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컬러필터, ITO, 금속 전극층과 같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보호하는 오버코트층과 같은 경화막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28218호는 경화성 조성물, 경화막, 유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성분A로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성분B로서, 중합개시제, 성분C로서, 알콕시실란 화합물, 성분D로서, 유기 용제, 및, 성분E로서,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성분A가, 5관능 이상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5관능 이상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성분A의함유량 100질량부에 대해, 20∼100질량부이고, 상기 5관능 이상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가,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 이상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분자량 5,000 이하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경화막의 경우 하부기판에 대한 도포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지 못해 경화막이 박리되고 또는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포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백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경화성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82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도포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우수하고,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며, 백화 현상이 억제된 경화막을 제조할 수 있는 경화성 조성물, 상기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탄 올리고머 및 (B) 실릴-비닐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이고, R1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연결 또는 -CH2-이고, R2 내지 R4 및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이며,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5의 정수이며, n 및 m이 2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 및 R5 은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은 도포성이 우수하고,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연필경도, 내스크래치성, 밀착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경화막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화학식 구조의 우레탄 올리고머 및 실릴-비닐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면, 개선된 도포성, 밀착성 및 신뢰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경화막을 제조할 수 있다.
< 경화성 조성물 >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A) 우레탄 올리고머 및 (B)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C)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D) 용제 및/또는 (E)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용제형일 수도 있다.
(A) 우레탄 올리고머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은 우레탄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상기 우레탄 올리고머는 2 이상의 우레탄 결합을 함유하고, 아크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로일옥시기를 함유하며, 상기 우레탄 결합간 사이에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가 연결기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탄소 원자 사이의 결합이 단일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고리모양의 포화 탄화수소, 고리 내에 이중 결합을 갖는 고리 모양의 불포화 탄화수소, 방향족 고리를 가지고 있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리모양의 포화 탄화수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두 개 이상의 고리형 탄화수소가 서로 단일 결합 또는 메틸렌기로 연결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우레탄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잔막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잔사 방지 특성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에서 고리모양을 형성하는 탄소 원자수는 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 일 수 있다.
상기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는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알콕시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레탄 올리고머는 다관능으로, 예를 들면, 관능기 수가 6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올리고머의 관능기 수가 6 이상인 경우 우수한 경도를 가지고 표면스크래치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경화막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우레탄 올리고머의 관능기 수가 6 이상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6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5의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R1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연결 또는 -CH2- 일 수 있고, R2 내지 R4 및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일 수 있다.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5의 정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이 때, n 및 m이 2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 및 R5 은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1-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03
[화학식 1-2]
Figure pat00004
[화학식 1-3]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레탄 올리고머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경화막 제조시에 우수한 투과율을 나타내며,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탄 올리고머를 포함하여 경도가 우수하면서도 유연한 경도막을 제조할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필레이에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레탄 올리고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경화된 도막이 우수한 경도를 갖게 되고 표면스크래치에 대해서도 내성을 가질 수 있다.
(B) 바인더 수지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며, 실릴-비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에는 실릴-비닐기가 화합물의 양 끝에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실릴-비닐기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광경화도 가능하며 고신뢰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R9 내지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수소 1 내지 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의 아릴기, 가장 바람직하기로 메틸기일 수 있다. R9 내지 R16이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인 경우 상용성이 양호하여 다른 모너머 및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하기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30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펜틸, 헥실, 2-에틸헥실, 헵틸, 2-에틸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스테아릴, 노나데실, 에이코사닐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5의 정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의 정수이다. a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용성이 좋지 않아서 백탁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1 내지 2-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2-1에서, a는 0 내지 25이다.
[화학식 2-2]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2-2에서, m은 0 내지 20이고, n은 0 내지 20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1,3-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시판 제품으로 겔레스트(Gelest)사의 DMS-V00, DMS-V03, DMS-V05, PDV-033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수지는 경화성 조성물의 내후성 및 신뢰성 또는 표면 스크래치를 개선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 내지 6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분자량 150 에서 10,0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분자량 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내스크래치성 좋아지나, 상기 범위 이상이 되면 표면얼룩 및 경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C)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은 가교 밀도 향상을 위해 필요에 따라 중합성 화합물로써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메타크릴-", "아크릴-" 또는 이 둘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다관능성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에틸렌계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서, R17 내지 R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c,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0 )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톡실레이티드펜타에리트리톨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40 중량% 범위일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예를 들면, 가교도, 경화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은 (메타)아크릴 단량체 외에 광중합성 화합물로 단관능 단량체, 2관능 단량체 또는 다관능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관능 이상의 다관능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노닐페닐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N-비닐피롤리돈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관능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1,6-헥산디올디(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테르 또는 3-메틸펜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실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 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 레이트, 프로폭실레이티드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 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 총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화소부의 강도와 평활성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면, 경화성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40 중량% 범위 일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예를 들면, 가교도, 경화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탄 올리고머 및 실릴-비닐 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예컨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와 같은 수지들의 상용성을 좋게 하여 백탁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 용제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형일 수도 있다.
상기 용제(D)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와 같은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의 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틸프로필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알킬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류; 메톡시부틸알코올, 에톡시부틸알코올, 프로폭시부틸알코올, 부톡시부틸알코올 등의 부틸디올모노알킬에테르류;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에톡시부틸아세테이트, 프로폭시부틸아세테이트, 부톡시부틸아세테이트 등의 부탄디올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메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에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프로폭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부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부탄디올모노알킬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류;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등의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알코올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2-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히드록시아세트산메틸, 히드록시아세트산에틸, 히드록시아세트산부틸,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락트산프로필, 락트산부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메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프로필, 3-히드록시프로피온산부틸, 2-히드록시-3-메틸부탄산메틸, 메톡시아세트산메틸, 메톡시아세트산에틸, 메톡시아세트산프로필, 메톡시아세트산부틸, 에톡시아세트산메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에톡시아세트산프로필, 에톡시아세트산부틸, 프로폭시아세트산메틸, 프로폭시아세트산에틸, 프로폭시아세트산프로필, 프로폭시아세트산부틸, 부톡시아세트산메틸, 부톡시아세트산에틸, 부톡시아세트산프로필, 부톡시아세트산부틸,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메톡시프로피온산부틸,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에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부틸, 2-부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부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부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부톡시프로피온산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메톡시프로피온산부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에톡시프로피온산부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메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에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프로필, 3-프로폭시프로피온산부틸, 3-부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부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부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부톡시프로피온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테트라히드로푸란, 피란 등의 고리형 에테르류; γ-부티로락톤 등의 고리형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예시한 용제(C)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도포성 및 건조성을 고려하였을 때 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케톤류, 부탄디올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부탄디올모노알킬에테르류,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사논,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부탄올,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이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용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스핀 코터, 슬릿 & 스핀 코터, 슬릿 코터(다이 코터, 커튼플로우 코터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다), 잉크젯 등의 도포 장치로 도포했을 때 도포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E)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충진제, 다른 고분자 화합물, 경화제, 레벨링제, 밀착성 개선제, 산화 방지제, 라디컬 발생제, 슬립성 개선제, 응집 방지제, 연쇄 이동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리,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고분자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폭시 수지, 말레이미드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심부 경화 및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폭시 화합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제에서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 수소화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계 에폭시 수지, 수소화 비스페놀 F계 에폭시 수지, 노블락형 에폭시 수지, 기타 방향족계 에폭시 수지, 지환족계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계 수지, 글리시딜아민계 수지, 또는 이러한 에폭시 수지의 브롬화 유도체, 에폭시 수지 및 그 브롬화 유도체 이외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 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폭시화물, 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폭시화물,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트 (공)중합체,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제에서 옥세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카르보네이트비스옥세탄, 크실렌비스옥세탄, 아디페이트비스옥세탄, 테레프탈레이트비스옥세탄,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비스옥세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경화제와 함께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 옥세탄 화합물의 옥세탄 골격을 개환 중합하게 할 수 있는 경화 보조 화합물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보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본산류, 다가 카르본산 무수물류, 산 발생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본산 무수물류는 에폭시 수지 경화제로서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품명(아데카하도나 EH-700)(아데카공업㈜ 제조), 상품명(리카싯도 HH)(신일본이화㈜ 제조), 상품명(MH-700)(신일본이화㈜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경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시판되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계, 불소계, 에스테르계,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성 등의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도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류,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류, 지방산 변성 폴리에스테르류, 3 급 아민 변성 폴리우레탄류, 폴리에틸렌이민류 등 외에, 상품명으로 KP (신에쯔 화학 공업 (주) 제조), 폴리플로우 (쿄에이 화학(주) 제조), 에프톱 (토켐프로덕츠사 제조), 메가팍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플로라드 (스미토모쓰리엠 (주) 제조), 아사히가드, 사프론 (이상, 아사히가라스 (주) 제조), 소르스파스 (제네카 (주) 제조), EFKA (EFKA CHEMICALS 사 제조), PB821 (아지노모토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밀착성 개선제로는, 실란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구체적으로, 2-tert-부틸-6-(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2-[1-(2-히드록시-3,5-디-tert-펜틸페닐)에틸]-4,6-디-tert-펜틸페닐아크릴레이트, 6-[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폭시]-2,4,8,10-테트라-tert-부틸디벤즈[d,f][1,3,2]디옥사포스페핀, 3,9-비스[2-{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2-tert-부틸-5-메틸페놀), 2,2'-티오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디라우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3,3',3'',5,5',5''-헥사-tert-부틸-a,a',a''-(메시틸렌-2,4,6-트리일)트리-p-크레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컬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옥산톤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티옥산톤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이소프로필티옥산톤, 4-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2,4-디클로로티옥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옥산톤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퓨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퓨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옥심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o-에톡시카르보닐-α-옥시이미노-1-페닐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 바스프사의 OXE01, OXE02가 대표적이다.
상기 슬립성 개선제는 식물기반의 지방산 유도체, 시판품으로서 BYK-333(BYK)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구체적으로는,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알콕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응집 방지제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연쇄 이동제로는, 구체적으로 도데실메르캅탄, 2,4-디페닐-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화성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제에 우레탄 올리고머, 바인더 수지,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그 밖의 기타 첨가제를 첨가 혼합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경화막 및 표시장치 >
본 발명은,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열을 가해 도막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 과정의 바람직한 예를 들자면, 경화성 조성물을 기판(통상은 유리) 또는 먼저 형성된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으로 이루어지는 층 상에 도포한 후 가열 건조함으로써 용제 등의 휘발 성분을 제거하여 평활한 도막을 얻는다.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핀 코트, 유연 도포법, 롤 도포법, 슬릿 앤드 스핀 코트 또는 슬릿 코트법 등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도포 후 가열 건조 (프리베이크), 또는 감압 건조 후에 가열하여 용제 등의 휘발 성분을 휘발시킨다. 여기에서, 가열 온도는 통상 70∼200℃, 바람직하게는 80∼130℃ 이다. 가열 건조 후의 도막 두께는 통상 1∼8㎛ 정도이다. 이후 상온으로 냉각 시킨 후 경화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다시 가열 과정을 진행한다 (포스트베이크). 여기에서, 가열 온도는 통상 150~230℃, 바람직하게는 170~200℃이다. 가열 방법으로는 핫플레이트나 클린오븐 적외선 히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가열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이상과 같은 각 공정을 거쳐 기판 상 혹은 하부 기재 상에 유기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보호막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막의 높은 경도와 스크래치 방지로 특성으로 인해 표시 장치의 최외각 보호층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화막은 오버코트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화막은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하부 기판 또는 하부 기재와의 밀착성 및 신뢰성 우수하고,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백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알칼리 가용성 수지 A의 제조
적하 로트로서, 벤질말레이미드 74.8g(0.20몰), 아크릴산 43.2g(0.30몰), 비닐톨루엔 118.0g(0.50몰),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4g,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40g를 투입 후 교반 혼합하여 준비하고, 연쇄 이동제 적하조로서, n-도데칸티올 6g, PGMEA 24g를 넣고 교반 혼합한 것을 준비하였다.
이후 플라스크에 PGMEA 395g를 도입하고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한 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의 온도를 90℃까지 승온하였다.
이어서 모노머 및 연쇄 이동제를 적하 로트로부터 적하를 개시하였다. 이때 적하는, 90℃를 유지하면서, 각각 2h 동안 진행하고 1h 후에 110℃로 승온하여 3h 유지한 뒤, 가스 도입관을 도입시켜, 산소/질소=5/95(v/v) 혼합가스의 버블링을 개시하였다.
이어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8.4g[(0.10몰), (본 반응에 사용한 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33몰%)],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0.4g, 트리에틸아민 0.8g를 플라스크 내에 투입하여 110℃에서 8시간 반응을 계속하고, 고형분 산가가 70㎎KOH/g인 수지 A를 얻었다.
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6,000이고, 분자량 분포(Mw/Mn)는 2.3이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구성 및 조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우레탄올리고머(A) A-1 60 60 70 80        
A-2         60   80  
A-3           70   80
아크릴 수지(O) o-1 60
바인더수지(B) B-1 10   20 10 10   10 10 10
B-2   10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C) C-1 20 20     20 20     20
용제(D) D-1 6.6 6.6 6.6 6.6 6.6 6.6 6.6 6.6 6.6
첨가제(E) E-1 0.4 0.4 0.4 0.4 0.4 0.4 0.4 0.4 0.4
E-2 1.1 1.1 1.1 1.1 1.1 1.1 1.1 1.1 1.1
E-3 0.8 0.8 0.8 0.8 0.8 0.8 0.8 0.8 0.8
E-4 1.1 1.1 1.1 1.1 1.1 1.1 1.1 1.1 1.1
< (A) 우레탄 올리고머 >
우레탄 올리고머(A-1)은 하기 화학식 1-1과 같은 구조로서, 고리형 스페이서를 갖고 있고, 관능기 수는 10개이며, 분자량 500 내지 1300의 우레탄 올리고머이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10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2)는 하기 화학식 4와 같은 구조로서, 선형 스페이서를 갖고 있고, 관능기 수는 10개이며, 분자량 500 내지 1200의 우레탄 올리고머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B-3)은 하기 화학식 5와 같은 구조로서, 선형 스페이서를 갖고 있고, 관능기 수는 15개이며, 분자량 2100 내지 2500의 우레탄 올리고머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12
< (B) 바인더 수지 >
바인더 수지(B-1)은 하기 화학식 2-1과 같은 구조이며, 분자량이 800인 DMS-V03(gelest社)를 사용하였다.
[화학식 2-1]
Figure pat00013
바인더 수지(B-2)은 하기 화학식 2-2와 같은 구조이며, 분자량이 1000인 PDV-0331(gelest社)를 사용하였다.
[화학식 2-2]
Figure pat00014
< (C)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C-1)은 하기 화학식 3-1의 구조로서 ATM-4E (신나카무라 社)를 사용하였다.
[화학식 3-1]
Figure pat00015
(R= ( CH2-CH2-O- ), a= ( 1 ), b= ( 1 ),c= ( 1 ),d= ( 1 ))
< (D) 용제 >
용제 (D-1)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다.
< (E) 첨가제 >
첨가제 (E-1)은 레벨링제로서 SH-8400 (DOW chemical)을 사용하였다.
첨가제 (E-2)는 슬립성 개선제로서 BYK-333 (BYK)을 사용하였다.
첨가제 (E-3)은 라디컬 발생제로서 OXE01을 사용하였다.
첨가제 (E-4)는 밀착촉진제로서 KBE-9007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한 경화막의 제조 및 경화막의 물성 평가
가로 세로 2 인치의 유리 기판(이글 2000; 코닝사 제조)을 중성 세제, 물 및 알코올로 순차 세정한 후 건조하였다. 이 유리 기판 상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각각 스핀 코팅한 다음 잔존용매를 휘발시키기 위해 진공건조기에서 66Pa로 건조하였다. 이후 클린오븐 중에서 100℃에서 3 분간 프리베이크하였다. 상기 프리베이크한 기판을 상온으로 냉각 후 다시 클린오븐 중에서 180℃에서 30 분간 포스트베이크 하였다. 이 때 얻어진 막두께는 3㎛이었다. 막 두께는 막 두께 측정장치(DEKTAK 6M; Veeco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패턴을 아래와 같이 물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연필 경도 평가
상기에서 얻은 경화된 도막에 대해서, JIS K5600: 1999에 준거한 방법(하중 1kg)으로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하고, 측정된 막의 경도가 6H 이상일 경우 'O', 4~5H일 경우 '△', 4H 미만 일 경우 'X'로 표기하였다.
(2) 표면 스크래치 평가
상기에서 얻은 경화된 도막에 대해서 표면 스크래치 평가는 스틸 울 평가로 진행하였다. 사용한 스틸 울은 #0000s 레벨이며, 1.5kg의 하중을 주었고 분당 60회의 속도로 10회 반복하였다. 평가 후 도막을 암실 조건에서 형광등 불빛에 비추어 긁힌 자국의 개수를 세었으며, 표면에 생긴 스크래치 개수가 20개 미만일 경우 'O', 20~40개 일 경우 '△', 40개 초과일 경우 'X'로 표기하였다.
(3) 밀착성 및 신뢰성 평가
상기에서 얻은 경화된 도막에 대한 밀착성 평가로는 크로스 컷 테스트를 진행하여 ASTM Class로 결과값을 표기하였다. 또한 크로스 컷 평가를 받은 도막을 항온항습기에 넣어 습도 85%, 온도 85℃의 조건에서 168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이후 다시 밀착성 평가를 진행하여 도막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신뢰성에 대한 평가 또한 ASTM Class로 표기하였다.
(4) 투과율 및 백화 평가
상기에서 얻은 경화된 도막에 대한 투과율 평가로는 UV-Vis spectrometer를 사용하였으며 450nm에서의 투과율이 99% 이상일 경우 'O', 98~95%일 경우 '△', 95% 미만일 경우 'X'로 표기하였다. 또한 백화평가에 대해서는 육안으로 관측 하였으며 백화가 발생할 경우 'O',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X'로 표기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연필경도 O O O O O O O O X
스크래치 O O O X
밀착성 5B 5B 4B 4B 3B 3B 2B 2B 2B
신뢰성 5B 5B 4B 4B 3B 3B 2B 2B 2B
투과율 O O O O O O O O 0
백화 X X X X O O O O 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고리형 연결기를 포함하는 우레탄 올리고머 및 실릴-비닐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로 제조된 경화막은 6H 이상의 연필경도, 20개 미만의 표면 스크래치, 5B의 밀착성 및 신뢰성을 나타내었고, 백화 현상도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선형 연결기를 포함하는 우레탄 올리고머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로 제조된 경화막은, 스크래치 개수가 증가하였고, 밀착성 및 신뢰성이 3B 이하로 나타나 그 효과가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백화 현상도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탄 올리고머 및 (B) 실릴-비닐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20의 2가 고리형 탄화수소기이고,
    R1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연결 또는 -CH2-이고,
    R2 내지 R4 및 R6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이며,
    n 및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5의 정수이며, n 및 m이 2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 및 R5 은 각각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우레탄 올리고머는 관능기 수가 6 이상인 것인, 경화성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바인더 수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2에서,
    R9 내지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15의 정수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A) 우레탄 올리고머 40 내지 95 중량%; 및
    상기 (B) 바인더 수지 0.1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제; 및 충진제, 다른 고분자 화합물, 경화제, 레벨링제, 밀착성 개선제, 산화 방지제, 라디컬 발생제, 슬립성 개선제, 자외선 흡수제, 응집 방지제 및 연쇄 이동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경화성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막.
  8. 청구항 7에 따른 경화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00176186A 2020-12-16 2020-12-16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 KR20220086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186A KR20220086071A (ko) 2020-12-16 2020-12-16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186A KR20220086071A (ko) 2020-12-16 2020-12-16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71A true KR20220086071A (ko) 2022-06-23

Family

ID=8222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186A KR20220086071A (ko) 2020-12-16 2020-12-16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0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218A (ko) 2015-04-28 2016-11-0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조성물, 경화막, 유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218A (ko) 2015-04-28 2016-11-0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조성물, 경화막, 유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970B1 (ko) 금속산화물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TWI690559B (zh) 硬化性組成物、硬化膜、有機el顯示裝置、液晶顯示裝置、觸控面板及觸控面板顯示裝置
CN105722878B (zh) 固化性组合物、固化膜的制造方法、固化膜及显示装置
CN106575078B (zh) 感光性组合物、硬化膜及其制法、触摸屏及其显示装置、液晶显示装置及有机el显示装置
KR20110019979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액정표시장치
KR20150105248A (ko) 차광막용 흑색 수지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킨 차광막을 갖는 차광막 부착 기판, 및 상기 차광막 부착 기판을 갖는 컬러필터 및 터치패널
CN110446977B (zh) 蓝色感光性树脂组合物、利用该组合物制造的滤色器及图像显示装置
KR102425914B1 (ko) 자발광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색변환층 및 화상표시장치
CN105745240B (zh) 固化性组合物、固化膜的制造方法、固化膜及显示装置
KR20220086071A (ko)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
KR102300328B1 (ko)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표시 장치
KR102649723B1 (ko) 열경화성 조성물
KR102465983B1 (ko) 경화성 조성물, 경화막 및 표시 장치
KR20220086081A (ko) 경화성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및 표시장치
KR20160103278A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448371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산란층 및 화상표시장치
KR101406298B1 (ko) 고내열성 네거티브 레지스트 조성물
KR20130067357A (ko) 터치패널용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터치패널
KR20200090587A (ko)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블랙 매트릭스 및/또는 컬이서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WO2016009893A1 (ja) 感光性組成物、硬化膜の製造方法、硬化膜、液晶表示装置、有機el表示装置、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KR20220118233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및 화상표시장치
KR20150010445A (ko) 투명화소 형성용 감광성 수지조성물
JP6571315B2 (ja) 透明画素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
CN115820014B (zh) 包封组合物和发光器件
KR20230127049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및 화상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