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002A - 환자의 이승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 Google Patents

환자의 이승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002A
KR20220086002A KR1020200176066A KR20200176066A KR20220086002A KR 20220086002 A KR20220086002 A KR 20220086002A KR 1020200176066 A KR1020200176066 A KR 1020200176066A KR 20200176066 A KR20200176066 A KR 20200176066A KR 20220086002 A KR20220086002 A KR 20220086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spread
bed cover
patient
deformab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205B1 (ko
Inventor
배영현
이범석
송원경
조영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20017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2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She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or with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93Stretchers with wheels stretcher supports with wheels, e.g. used for stretchers without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for automatically guiding movable devices, e.g. stretchers or wheelchairs in a hospi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이송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침대보, 상기 침대보 배면에 세로로 배치되고, 상기 침대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침대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송 보조장치의 이송 암(arm)에 끼움 가능하게 홈이 형성되는 암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의 이승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DEFORMABLE BED COVER TO FACILITATE PATIENT TRANSFER AND MOVEMENT}
본 발명은 환자 이승(移乘) 및 이동(移動)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에 배치되는 동시에 이송 보조장치에 의하여 환자를 운반 가능한 침대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환자 이송용 침대는 가슴, 허리 및 다리 부분을 벨트로 묶어 이송을 한다. 이와 같은 환자를 이송하는 침대는 보통 응급을 요하는 환자를 이송하는 것으로 고안되어 환자가 입원할 때 쓰는 베드(bed)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업이 추가로 필요하였다.
또한, 병원에 입원하거나, 집과 같은 다른 시설에서 침대에 누워있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환자 이송용 침대로 옮긴 후에 다시 환자를 이송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부상정도가 크지 않은 경우나, 병원에 입원한 상태에서 이송 보조장치를 통하여 이동되는 경우도 환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환자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20-1997-0044179(1999.07.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를 이송하지 않은 때에는 침대커버로 활용 가능하며, 동시에 거동이 불편한 거동불편자의 이송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캐리어 삽입 동작이 불필요하고,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도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환자 이송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는 신축성을 가지며,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침대보, 상기 침대보 배면에 세로로 배치되고, 상기 침대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침대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송 보조장치의 이송 암(arm)에 끼움 가능하게 홈이 형성되는 암홈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대보의 하부에 배치되는 암홈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침대보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접힘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홈부는, 상기 침대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암홈부, 및 상기 침대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암홈부는, 상기 침대보가 상기 접힘영역을 따라 접힘되어, 상기 침대보와 중첩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대보에는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기 침대보가 접힘으로써 상기 침대보의 적어도 일부가 2 이상 중첩되어 배치되는 중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보의 배면에는, 상기 중첩영역이 상기 배면을 향해 다시 한번 접혀서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상기 중첩영역이 상대적으로 길거나 짧은 경우에도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침대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대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2 이상 구비되는 홀딩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딩 스트랩은, 환자의 몸통 부위를 상기 침대보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홀딩 스트랩, 및 상기 제1 홀딩 스트랩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환자의 허벅지 부위를 상기 침대보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홀딩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홀딩 스트랩은, 상기 제2 암홈부가 상기 침대보와 중첩되는 위치보다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침대보의 배면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침대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가능한 침대커버에 의하면, 접힘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함으로써, 변형가능한 침대커버가 침대에 있는 경우나, 이송 보조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모두에서 용이하게 환자를 지지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보의 접힘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접힘선이 포함되어, 침대보를 접은 후에 침대보의 접힌 부분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납부는 중첩영역이 상대적으로 길거나 짧은 경우에도 수납 가능하도록, 침대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어, 중첩영역의 길이가 서로 달라지더라도 수납부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홀딩 스트랩을 구비하여, 이송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변형가능한 침대커버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환자가 침대커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환자 이송이 가능하도록 이송하는 보조로봇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가능한 침대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가능한 침대커버가 변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가능한 침대커버의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가능한 침대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환자 이송이 가능하도록 이송하는 보조로봇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가능한 침대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가능한 침대커버가 변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가능한 침대커버의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가능한 침대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는 환자 이송이 용이하도록 변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침대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보조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를 이송하기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는 침대보(100), 지지프레임(200) 및 암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침대보(100)는 신축성을 가지며,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침대보(100)는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된다. 침대보(10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암홈부(400)가 배치된다. 침대보(100)의 중앙에는 후술할 홀딩 스트랩(300)이 구비될 수 있다.
침대보(100)는 침대보(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암홈부(400)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침대보(100)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접힘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보(100)의 하단에 인접한 부분에 접힘영역(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접힘영역(120)에는 하나 이상의 접힘선(125)이 포함될 수 있다. 접힘선(125)을 통해 침대보(100)가 가로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침대보(100)가 접힘될 수 있다. 침대보(100)는 침대보(100)의 전면 방향을 향해 접힘영역(120) 및 접힘선(125)을 통해 접혀질 수 있다. 접힘선(125)이 구비됨으로써, 침대보(100)를 접은 후에 침대보(100)의 접힌 부분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침대보(100)에는 접힘선(125)을 따라 침대보(100)가 접힘으로써 침대보(100)의 적어도 일부가 2 이상 중첩되어 배치되는 중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보(100)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중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0)은 침대보(100) 배면에 세로로 배치되고, 침대보(1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0)은 침대보(100)의 배면에 복수로 구비되며, 침대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0)은 침대보(100)의 폭 방향, 두께 방향 및 가로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면에는 3개의 지지프레임(20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프레임(200)은 환자가 침대보(100)에 누워있는 경우 환자의 무게를 일부 지지하고 이러한 무게를 암홈부(400), 즉 제1 암홈부(410) 및 제2 암홈부(4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암홈부(400)는 침대보(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송 보조장치(10)의 이송 암(14, arm)에 끼움 가능하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홈부(400)에는 이송 보조장치(10)의 이송 암(14)이 끼움되는 홈이 형성된다. 침대보(100)는 암홈부(400)에 이송 보조장치(10)의 이송 암(14)이 끼움된 후, 이송 보조장치(10)의 이송 암(14)부(12)가 상승함으로써 상승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 상의 환자가 이송될 수 있다.
암홈부(400)는 침대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암홈부(410), 및 침대보(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암홈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홈부(420)는 침대보(100)가 접힘영역(120)을 따라 접힘되어, 침대보(100)와 중첩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b)와 같이 제2 암홈부(420)는 침대보(100)를 접힘영역(120)을 따라 접음으로써, 침대보(100)와 중첩가능하게 배치된다.
암홈부(400)의 일측에는 암홈부(400)의 폭을 줄일 수 있는 조임부(480)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임부(480)는 암홈부(400)의 내측으로 관통하는 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부(480)를 당기면 암홈부(400)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 내지 (c)와 같이 조임부(480)를 이용하여 암홈부(400)의 폭을 조이지 않은 경우 원래의 침대보(100)의 폭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3의 (d)와 같이, 조임부(480)를 이용하여 암홈부(400)의 폭을 조이는 경우 암홈부(400)의 폭이 지지프레임(200)의 폭와 유사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침대커버(1000)의 폭 전체가 줄어들어 침대커버(1000)를 이송 보조장치(10)를 이용하여 운반하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는 침대커버(10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어 안전성이 더 높아진다.
또한, 암홈부(400)의 중앙영역에는 환자의 머리나 환자의 발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쿠션부(4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암홈부(410)에는 상부 쿠션(451)이 배치되고, 제2 암홈부(420)에는 하부 쿠션(452)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쿠션(451)은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가 침대 상에 배치될 때, 환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쿠션(452)은 후술할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의 접힘 상태에서 환자의 무릎 뒤쪽을 보호할 수 있다.
이송 보조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암(14)부(12), 이송 암(14), 손잡이(16) 및 이동 가능한 캐스트(18)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보조장치(10)의 이송 암(14)부(12)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암(14)은 이송 암(14)부(12)의 전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송 암(14)은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의 양측에 배치된 암홈부(400)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를 상측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가 침대보(100)에 있는 상태에서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침대보(100)의 배면에는, 중첩영역이 배면을 향해 다시 한번 접혀서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중첩영역이 침대보(100)의 배면쪽으로 접혀 수납부(500)에 삽입될 수 있다.
수납부(500)는 중첩영역이 상대적으로 길거나 짧은 경우에도 수납 가능하도록, 침대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5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첩영역의 길이가 서로 달라지더라도 수납부(500)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를 사용하는 환자의 키는 다양할 수 있다. 환자의 키에 따라, 접힘영역(120) 중 상부쪽에서 침대보(100)가 접혀질 지, 접힘영역(120) 중 하부쪽에서 침대보(100)가 접혀질 지 달라질 수 있다.
환자의 키가 작은 경우 접힘영역(120) 중 상부쪽에서 침대보(100)가 접혀지고, 중첩영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환자의 키가 큰 경우 접힘영역(120) 중 하부쪽에서 침대보(100)가 접혀지고, 중첩영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이러한 환자의 키가 큰 지 작은 지에 따라, 중첩영역의 길이가 서로 달라진다. 이때, 수납부(500)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변화할 수 있는 중첩영역의 길이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는 침대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2 이상 구비되는 홀딩 스트랩(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딩 스트랩(300)은 환자의 몸통 부위를 침대보(10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홀딩 스트랩(310), 및 제1 홀딩 스트랩(31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환자의 허벅지 부위를 침대보(10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홀딩 스트랩(3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딩 스트랩(310)와 제2 홀딩 스트랩(320)은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홀딩 스트랩(300)은 좌우로 구비되어 벨크로나 고리와 끈, 또는 버클 등을 구비하여 환자를 감싼 뒤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딩 스트랩(300)은 암 스트랩(312, 322) 및 수 스트랩(314, 324)을 구비하고, 암 스트랩(312, 322) 및 수 스트랩(314, 324)이 서로 결착되어 환자의 몸과 허벅지 부분을 감쌀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송 보조장치(10)를 이용하여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환자가 침대커버(10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홀딩 스트랩(320)은 제2 암홈부(420)가 침대보(100)와 중첩되는 위치보다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암홈부(420)가 접힘영역(120)을 따라 접힘으로써, 침대보(100)와 중첩되는 영역보다, 제2 홀딩 스트랩(320)이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침대보(100)가 접힘영역(120)을 따라 접히게 되면, 제2 암홈부(420)가 수납부(5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어서, 도 3의 (c)를 참조하면, 침대보(100)의 중첩영역이 침대보(100)의 배면으로 접혀서 수납부(50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d)를 참조하면, 제2 홀딩 스트랩(320)은 환자의 허벅지 부위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암홈부(420)는 환자의 무릎의 뒤쪽으로 배치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이송 보조장치(10)의 이송 암(14)은 제1 암홈부(410) 및 제2 암홈부(4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침대커버(1000)에서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이 제1 암홈부(410) 및 제2 암홈부(420)이다.
이때, 제1 암홈부(410)는 환자의 머리보다 위쪽에 배치되므로 하중을 많이 받아도 환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이 미미하다. 그러나, 제2 암홈부(420)는 환자의 다리쪽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상대적으로 압력을 받았을 때 충격이 덜한 무릎 뒤쪽으로 제2 암홈부(4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마다 키가 상이하므로, 접힘영역(120)이 형성되어 환자의 키에 따라 침대보(100)가 접히는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암홈부(400)에는 쿠션부(450)가 배치되므로, 환자의 무릎뒤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하부쿠션에 의해 환자에게 전달되는 압력이 완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200)은 상술한 접힘영역(120)에 따라 접힘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침대보(100)의 접힘영역(120)의 하부 영역이 접힘영역(120)을 따라 접힘된다. 이때, 침대보(100)의 하부 영역의 배면에 있는 지지프레임(200)도 함께 접힘된다. 따라서, 접힘영역(120)에 있는 지지프레임(200)은 침대보(100)가 접힘됨으로써 함께 접힘되기 위하여 접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0)은 침대보(100)가 접힘영역(120)을 따라 한 번 접히고 난 뒤, 침대보(100)의 중첩영역이 뒤쪽으로 회전하여 수납부(500)에 수납되도록 재차 접힘에 따라, 수납부(500)와 인접한 부분 및 제2 암홈부(420)와 인접한 부분에서 접힘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지지프레임(200)은 수납부(500)와 인접한 부분, 접힘영역(120) 및 제2 암홈부(420)와 인접한 부분, 총 세 부분에서 접힘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200)의 접힘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은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200)의 접힘이 용이하도록 주름부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관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지지프레임(200)이 2 이상으로 분리되고, 인장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 인하여 서로 분리된 후 접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는 침대보(100)의 상부 및 중앙 부분에서는 환자의 무게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침대보(100)의 하부 영역에서는 침대보(100)가 접힘에 따라 함께 용이하게 접힘 가능한 지지프레임(200)을 포함함으로써,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가 침대에 있는 경우나, 이송 보조장치(10)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모두에서 용이하게 환자를 지지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변형가능한 침대커버(1000)가 이송을 위하여 변형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2 암홈부(420)가 접힘영역(120) 및 접힘영역(120) 내부에 형성된 접힘선(125)을 따라, 침대보(100)의 전면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암홈부(420)는 수납부(500)와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중첩영역이 침대보(100)의 배면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접혀 수납부(50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암홈부(420)가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환자를 침대커버(10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홀딩 스트랩(300)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암홈부(400)에 배치된 조임부(480)를 조절하여 침대커버(1000)의 제1 암홈부(410) 및 제2 암홈부(420)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침대커버(1000)와 환자가 일체로 구속되는 힘이 강하게 할 수 있다. 환자는 안정적으로 침대커버(10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를 참조하면, 침대보의 배면에 배치되고,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모서리 결착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모서리 결착부(160)는 밴드 등의 탄성력이 있는 것으로 침대와 침대커버(1000)를 구속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침대커버(1000)가 침대위에 배치되는 경우, 모서리 결착부(160)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10 이송 보조장치
12 이송 암부 14 이송 암
16 손잡이 18 캐스트
100 침대보 120 접힘영역
125 접힘선 160 모서리 결착부
200 지지프레임 300 홀딩 스트랩
310 제1 홀딩 스트랩 312 암 스트랩
314 수 스트랩 320 제2 홀딩 스트랩
322 암 스트랩 324 수 스트랩
400 암홈부 410 제1 암홈부
420 제2 암홈부 450 쿠션부
451 상부 쿠션 452 하부 쿠션
480 조임부 500 수납부

Claims (9)

  1. 환자 이송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에 있어서,
    신축성을 가지며,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침대보;
    상기 침대보 배면에 세로로 배치되고, 상기 침대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침대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송 보조장치의 이송 암(arm)에 끼움 가능하게 홈이 형성되는 암홈부를 포함하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보의 하부에 배치되는 암홈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침대보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접힘영역이 형성되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홈부는,
    상기 침대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암홈부; 및
    상기 침대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암홈부는, 상기 침대보가 상기 접힘영역을 따라 접힘되어, 상기 침대보와 중첩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보에는 상기 접힘선을 따라 상기 침대보가 접힘으로써 상기 침대보의 적어도 일부가 2 이상 중첩되어 배치되는 중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보의 배면에는, 상기 중첩영역이 상기 배면을 향해 다시 한번 접혀서 수납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중첩영역이 상대적으로 길거나 짧은 경우에도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침대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2 이상 구비되는 홀딩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스트랩은,
    환자의 몸통 부위를 상기 침대보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홀딩 스트랩; 및
    상기 제1 홀딩 스트랩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환자의 허벅지 부위를 상기 침대보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홀딩 스트랩을 포함하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딩 스트랩은,
    상기 제2 암홈부가 상기 침대보와 중첩되는 위치보다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침대보의 배면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침대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KR1020200176066A 2020-12-16 2020-12-16 환자의 이승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KR10252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66A KR102523205B1 (ko) 2020-12-16 2020-12-16 환자의 이승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66A KR102523205B1 (ko) 2020-12-16 2020-12-16 환자의 이승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02A true KR20220086002A (ko) 2022-06-23
KR102523205B1 KR102523205B1 (ko) 2023-04-20

Family

ID=8222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066A KR102523205B1 (ko) 2020-12-16 2020-12-16 환자의 이승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887B1 (ko) 2022-09-20 2023-01-31 (주)동아금속 환자 이승용 리프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179U (ko) 1995-12-29 1997-07-31 전자렌지의 램프홀더 취부구조
JP2004321415A (ja) * 2003-04-23 2004-11-18 Miyabi:Kk 多用途クッション
JP2016067752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安川電機 スリングシート、移乗補助装置
KR101737512B1 (ko) * 2016-06-22 2017-05-18 방응철 인명 구조용 들것
KR20200012230A (ko) * 2018-07-26 2020-02-05 박철은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179U (ko) 1995-12-29 1997-07-31 전자렌지의 램프홀더 취부구조
JP2004321415A (ja) * 2003-04-23 2004-11-18 Miyabi:Kk 多用途クッション
JP2016067752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安川電機 スリングシート、移乗補助装置
KR101737512B1 (ko) * 2016-06-22 2017-05-18 방응철 인명 구조용 들것
KR20200012230A (ko) * 2018-07-26 2020-02-05 박철은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887B1 (ko) 2022-09-20 2023-01-31 (주)동아금속 환자 이승용 리프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205B1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8875A (en) Invalid stretcher
KR100386652B1 (ko) 패드부착 베이비 캐리어
US10953903B1 (en) Portable folding cart
US4580555A (en) Portable pelvic and leg splint
US5920929A (en) Immobile-patient transfer device
US5400803A (en) Apparatus for support or positional treatment
KR20100017379A (ko) 운반 장치
US8360289B2 (en) Adjustable waist belt system for a carrying apparatus
WO2000074517A1 (en) Backpack having a modular frame
US5163195A (en) Convertible head immobilizer pillow
US20150196147A1 (en) Mattress cover assembly and method
KR20220086002A (ko) 환자의 이승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변형가능한 침대커버
KR102029588B1 (ko) 접이식 힙 시트
JP4938497B2 (ja) 敷材およびスリング
KR102132597B1 (ko)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KR200318259Y1 (ko) 어깨걸이 포대기의 허리 지지구조
CN213047822U9 (zh) 一种心力衰竭治疗护理垫
CN208974368U (zh) 新生儿出诊转运气垫床
WO2011064796A4 (en) Transfer sheet
KR200212061Y1 (ko) 배낭 겸용 아기포대기
CN220002166U (zh) 翻身垫和护理床
CN210330926U (zh) 一种便于携带的担架
JP4221482B2 (ja) 携帯用簡易担架
JP3108821U (ja) 背負い搬送具
JP2003079677A (ja) 介護用吊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