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306A - 영어 작문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영어 작문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306A
KR20220085306A KR1020200175262A KR20200175262A KR20220085306A KR 20220085306 A KR20220085306 A KR 20220085306A KR 1020200175262 A KR1020200175262 A KR 1020200175262A KR 20200175262 A KR20200175262 A KR 20200175262A KR 20220085306 A KR20220085306 A KR 20220085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learning
korean
sentence
sente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상
Original Assignee
조용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상 filed Critical 조용상
Priority to KR102020017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306A/ko
Publication of KR2022008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3Grammatical analysis; Style critiqu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국문 구절 및 영문 문장 5형식에 따라 분할된 영어 단어나 구절을 영어 문장 어순에 따라 배열하는 과정을 가이드에 따라 수행함으로써 영어 작문 학습을 체계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영어 문장과 그 영어 문장에 대한 한국어 문장 및 상기 한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 각각을 구성하는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에 학습자가 학습 단말기로 접속하여 영어 작문을 학습하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 단말기로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가 운용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제1단계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문장을 과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무작위 순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학습자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상기 학습 단말기로 입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무작위 순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고 학습자가 이를 확인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학습자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하고 이를 상기 학습 단말기로 입력하는 제6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어 작문 학습 방법{METHOD FOR LEARNING ENGLISH COMPOSITION}
본 발명은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국문 구절 및 영문 문장 형식에 따라 분할된 영어 단어나 구절을 영어 문장 어순에 따라 배열하는 과정을 가이드에 따라 수행함으로써 영어 작문 학습을 체계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영어 작문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어학습 방법은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학습을 통해 암기식으로 학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영어 학습 방법은 단순한 암기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고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순 암기식의 학습법은 영어 학습자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암기 위주 방식의 영어 학습으로는 오랜기간 동안 영어를 학습하였다고 하더라도, 영어로 의사소통을 해야 하는 상황, 예컨대, 영어 문장을 읽거나, 영어 문장을 작성하거나, 또는 영어로 말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는 한국어와 영어 간의 문장 내 단어의 배열 순서인 어순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영어 학습 필요성과 눈높이에 맞추어 누구나 영어 문장을 쉽고 재미있게 배워 그것을 쓰고, 말할 수 있는 영어 학습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통한 영어 작문이나 학습 교육 서비스가 급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을 통한 영어 작문 교육은 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과 학습자 단말기 상호 간의 영어 작문 또는 상기 작문의 평가 및 오류정보의 송수신에 의하여 수행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9015호(영작문 게임 학습 방법, 2007.02.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2003호(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 철자오류 검출 및교정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2009.03.30)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3128호(영작표를 이용한 영작문 훈련 방법, 2012.05.25)에는 온라인을 통한 영어 작문 교육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한 영문을 입력하고 그 영문의 오류를 교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한국어와 영어 간의 문장 내 단어의 배열 순서인 어순의 차이에 대한 가이드가 제시되지 않아 때문에 초급자에게는 말할 것도 없이 학습자가 영어 작문 학습을 하는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9015호(2007.02.23) : 영작문 게임 학습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2003호(2009.03.30) : 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 철자오류 검출 및교정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3128호(2012.05.25) : 영작표를 이용한 영작문 훈련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국문 구절 및 영문 문장 형식에 따라 분할된 영어 단어나 구절을 영어 문장 어순에 따라 배열하는 과정을 가이드에 따라 수행함으로써 영어 작문 학습을 체계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영어 문장과 그 영어 문장에 대한 한국어 문장 및 상기 한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 각각을 구성하는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에 학습자가 학습 단말기로 접속하여 영어 작문을 학습하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 단말기로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가 운용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제1단계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문장을 과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무작위 순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학습자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상기 학습 단말기로 입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무작위 순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고 학습자가 이를 확인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학습자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하고 이를 상기 학습 단말기로 입력하는 제6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교재별 수준별로 분류되어 영어 문장과 그 영어 문장에 대한 한국어 문장 및 상기 한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 각각을 구성하는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저장되고, 상기 제1단계에서는 학습자가 교재 및 수준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제4단계는 입력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영어 문장의 어순에 맞게 배열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오류인 경우 이를 반복하도록 학습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상기 제6단계는 입력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영어 문장의 어순에 맞게 배열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오류인 경우 이를 반복하도록 학습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상기 제6단계에서 입력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영어 문장의 어순에 맞게 배열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정답인 경우 새로운 한국어 문장에 대하여 제2단계에서 제6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국문 구절 및 영문 문장 형식에 따라 분할된 영어 단어나 구절을 영어 문장 어순에 따라 배열하는 과정을 가이드에 따라 수행함으로써 영어 작문 학습을 체계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이용되는 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이용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 체계의 일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학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되는 국어 문장이 학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한 단어나 구절이 무작위 순서대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한 단어나 구절을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에 대한 단어나 구절이 무작위 순서대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나 구절을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나 구절을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영어 문장이 완성된 상태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이용되는 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이용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 체계의 일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학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되는 국어 문장이 학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한 단어나 구절이 무작위 순서대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한 단어나 구절을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에 대한 단어나 구절이 무작위 순서대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나 구절을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하는 과정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서 작문을 위해 제시된 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단어나 구절을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영어 문장이 완성된 상태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 방법은 영어 작문 학습자가 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국문 구절 및 영문 문장 형식에 따라 분할된 영어 단어나 구절을 영어 문장 어순에 따라 배열하는 과정을 가이드에 따라 수행함으로써 영어 작문 학습을 체계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도 1에 일예로 도시된 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을 통하여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이용되는 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은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10) 및 학습자가 이용하는 스마트기기나 컴퓨터 단말기와 같은 학습 단말기(21,22,23)가 유무선 네트워크망(N)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10)에는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축적되는 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되는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영어 문장과 그 영어 문장에 대한 한국어 문장 및 상기 한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 각각을 구성하는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이용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 체계의 일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영어 문장과 그 영어 문장에 대응되는 한국어 문장 뿐만 아니라 영어 문장과 한국어 문장 각각에 대한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체계적으로 저장되는데, 도 3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영어 문장의 5형식에 따라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분할되어 저장되는 일예에 대한 분류 체계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는 한국어 문장과 그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인 'I made her attitude calm'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그 한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에 대한 단어와 구절이 문장 5형식의 체계에 따라 주어(도 3의 S 부분)에 해당되는 '나는'/'I' , 동사(도 3의 V 부분)에 해당되는 '만들었다'/'made' , 목적어(도 3의 O 부분)에 해당되는 '그녀의 태도를'/'her attitude' , 및 보어(도 3의 C 부분)에 해당되는 '온화하게'/'calm' 으로 분할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많은 문장에 대한 데이터가 상술한 방법으로 체계적으로 분류되어 저장되는데, 문장은 영문 표준 교재나 원서에 기재된 문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영문 교재나 원서에 따라 교재별로 문장이 분류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교재나 원서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 문장이 수준별로 분류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학습자는 학습 단말기(21,22,23)을 통하여 상기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속하여 한국어 문장을 제시받고 상기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가이드에 따라 그 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한 영어 작문을 수행함으로써 영어 작문 학습을 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제1단계에서 제6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제1단계(S10)는 학습자가 학습 단말기(21,22,23)로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10)가 운용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도 4는 학습자가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10)에 접속하도록 학습 단말기(21,22,2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학습자가 사이트에 접속하는 예를 설명하면, 학습자는 회원 이름(Name), 학습을 진행하고자 하는 수준(Level) 및 교재(Book No.)를 입력하여 학습을 위해 사이트에 접속을 하게 된다.
제2단계(S20)는 학습자가 제1단계(S10)을 거쳐 학습 교재와 수준을 선택하여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학습이 시작되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문장을 과제로 상기 학습 단말기(21,22,23)로 표시된다. 도 5는 제2단계(S20)의 일예로서 학습자 단말기(21,22,23)에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는 한국어 문장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학습자가 표시된 한국어 문장을 확인하고 'OK' 버튼을 입력하면 제3단계(S30)로 진행된다.
제3단계(S30)는 상기 제2단계(S20)에서 학습 단말기(21,22,23)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무작위 순서로 상기 학습 단말기(21,22,23)로 표시하는 단계이다. 도 6은 제3단계(S30)의 일예로서 학습자 단말기(21,22,23)에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라는 한국어 문장에 대한 단어나 구절로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가 무작위 순서로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학습자가 무작위 순서로 표시된 단어나 구절을 확인하고 'OK' 버튼을 입력하면 제4단계(S40)로 진행된다.
제4단계(S40)는 상기 제3단계(S30)에서 학습 단말기(21,22,23)에 표시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학습자가 상기 제2단계(S20)에서 학습 단말기(21,22,23)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인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인 'I made her attitude calm' 의 어순으로 학습자가 배열하여 상기 학습 단말기(21,22,23)로 입력하는 단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4단계(S40)의 일예로서 학습자 단말기(21,22,23)에 무작위로 표시된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를 영어 문장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입력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학습자가 주어에 해당되는 '나는' 을 처음의 위치에 배열하여 입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영어 문장의 어순 순서대로 '나는', '만들었다',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를 입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어순대로 단어나 구절을 입력하고 'OK' 버튼을 입력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입력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영어 문장의 어순에 맞게 배열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정답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5단계(S50)로 진행되고, 오류인 경우 제4단계(S40)을 다시 반복하도록 학습 단말기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5단계(S50)는 상기 제2단계(S20)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인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 'I made her attitude calm' 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로서 저장된 'I', 'made', 'her attitude' 'calm' 을 무작위 순서로 상기 학습 단말기(21,22,23)로 표시하고 학습자가 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도 8은 제5단계(S50)의 일예로서 학습자 단말기(21,22,23)에 I made her attitude calm' 라는 영어 문장에 대한 단어나 구절로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I', 'made', 'her attitude' 'calm' 이 무작위 순서로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학습자가 무작위 순서로 표시된 단어나 구절을 확인하고 'OK' 버튼을 입력하면 제6단계(S60)로 진행된다.
제6단계(S60)은 상기 제5단계(S50)에서 학습 단말기에 무작위 순서로 표시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인 'I', 'made', 'her attitude' 'calm' 을 학습자가 상기 제2단계(S20)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 '나는 그녀의 태도를 온화하게 만들었다' 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 'I made her attitude calm' 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하고 이를 상기 학습 단말기(S21,22,23)로 입력하는 단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6단계(S60)의 일예로서 학습자 단말기(21,22,23)에 무작위로 표시된 'I', 'her attitude', 'made' 'calm' 를 영어 문장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입력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학습자가 주어에 해당되는 'I' 를 처음의 위치에 배열하여 입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영어 문장의 어순 순서대로 'I', 'made', 'her attitude' 'calm' 를 입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학습자가 영어 문장의 어순대로 단어나 구절을 입력하고 'OK' 버튼을 입력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입력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영어 문장의 어순에 맞게 배열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정답이 입력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답인 영어 문장 'I made her attitude calm' 을 표시한 다음 새로운 한국어 문장에 대하여 제2단계(S20)에서 제6단계(S60)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게 되고, 오류인 경우 제6단계(S60)을 다시 반복하도록 학습 단말기에 표시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21,22,23 학습 단말기

Claims (5)

  1. 영어 문장과 그 영어 문장에 대한 한국어 문장 및 상기 한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 각각을 구성하는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에 학습자가 학습 단말기로 접속하여 영어 작문을 학습하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가 학습 단말기로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가 운용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제1단계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문장을 과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무작위 순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학습자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상기 학습 단말기로 입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무작위 순서로 상기 학습 단말기로 표시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을 학습자가 상기 제2단계에서 학습 단말기에 표시된 한국어 문장에 대응되는 영어 문장의 어순으로 배열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하고 이를 상기 학습 단말기로 입력하는 제6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교재별 수준별로 분류되어 영어 문장과 그 영어 문장에 대한 한국어 문장 및 상기 한국어 문장과 영어 문장 각각을 구성하는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저장되고,
    상기 제1단계에서는 학습자가 교재 및 수준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4단계는 입력된 한국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영어 문장의 어순에 맞게 배열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오류인 경우 이를 반복하도록 학습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입력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영어 문장의 어순에 맞게 배열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오류인 경우 이를 반복하도록 학습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입력된 영어 단어나 단어군 및 구절이 영어 문장의 어순에 맞게 배열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정답인 경우 새로운 한국어 문장에 대하여 제2단계에서 제6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작문 학습 방법.
KR1020200175262A 2020-12-15 2020-12-15 영어 작문 학습 방법 KR20220085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62A KR20220085306A (ko) 2020-12-15 2020-12-15 영어 작문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62A KR20220085306A (ko) 2020-12-15 2020-12-15 영어 작문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06A true KR20220085306A (ko) 2022-06-22

Family

ID=8221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262A KR20220085306A (ko) 2020-12-15 2020-12-15 영어 작문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3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30A1 (ko)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네오젠티씨 트랜스포존 시스템 및 이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15B1 (ko) 2005-02-14 2007-03-02 교육지대(주) 영작문 게임 학습 방법
KR100892003B1 (ko) 2008-04-03 2009-04-07 주식회사 청담러닝 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 철자오류 검출 및교정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3128A (ko) 2010-11-17 2012-05-25 박욱현 영작표를 이용한 영작문 훈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15B1 (ko) 2005-02-14 2007-03-02 교육지대(주) 영작문 게임 학습 방법
KR100892003B1 (ko) 2008-04-03 2009-04-07 주식회사 청담러닝 영어 작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 철자오류 검출 및교정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3128A (ko) 2010-11-17 2012-05-25 박욱현 영작표를 이용한 영작문 훈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730A1 (ko)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네오젠티씨 트랜스포존 시스템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aith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in undergraduates' reading comprehension
US20150093727A1 (en) Vocabulary learning system and method
JP6963302B2 (ja) 漢字学習装置
Floris et al. A study on the reading skills of EFL university students
Silalahi ERROR ANALYSIS 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STUDENTS’SENTENCE WRITING ASSIGNMENTS
CN105069721A (zh) 一种自动检查题目错误的方法及装置
KR20220085306A (ko) 영어 작문 학습 방법
Bowen Spelling it out! Accounting for spelling difficulties for Arab learners of English
Cho Relations of copying skills to Korean word reading and spelling among Korean kindergartners
KR101207402B1 (ko) 외국어 작문 지도 방법 및 서버, 그 기록매체
CN110222146A (zh) 作业批改方法、系统、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2557088B1 (ko) 독해와 작문 능력의 향상을 가이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anjaitan et al. An Analysis of Grammatical Errors from Indonesian into English in Translating Descriptive Texts
TWI737046B (zh) 線上訓練閱讀能力之方法及其系統
KR20220093793A (ko) 영어 작문 학습 방법을 기록한 저장 매체
Kareviati et al. Need Analysis of English Department Students as The Basic of Material Development of Writing for General Communication
KR20140051607A (ko) 학습자의 능력 수준에 따른 분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9817039B (zh) 外语学习辅助装置
Dhanapal et al. Writing Difficulties among Undergraduate Arab Students in English Language: A Case Study of King Khalid University
Daddi AN ANALISIS OF STUDENTS’MISTAKE IN WRITING AT UNIVERSITAS MUHAMMADIYAH MAKASSAR
CN112948650B (zh) 学习效果展示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ho et al. An analysis of students’ writing: the design of an online repository as a writing support
Butler A Hypothesis of Reading Instruction as a Cause of Dyslexia.
Pearson Issues in the assessment of spelling
JPS63155082A (ja) 書取り学習装置における学習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