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600A -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600A
KR20220084600A KR1020200174224A KR20200174224A KR20220084600A KR 20220084600 A KR20220084600 A KR 20220084600A KR 1020200174224 A KR1020200174224 A KR 1020200174224A KR 20200174224 A KR20200174224 A KR 20200174224A KR 20220084600 A KR20220084600 A KR 2022008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ayer
weight
branch pip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274B1 (ko
Inventor
윤유석
윤태양
Original Assignee
윤유석
윤태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유석, 윤태양 filed Critical 윤유석
Priority to KR102020017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2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04B1/761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in combination with an air 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지관을 이용하여 주택 등을 건축함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고 간단하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축조할 수 있도록 한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들을 건축물의 상하골격을 이루는 상부빔과 하부빔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세워 설치하여 상기 지관들의 내부공간에 의한 단열공간부를 형성하는 지관단열벽체층; 상기 지관단열벽체층의 내외부에서 지관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체마감층; 및 상기 벽체마감층과 지관단열벽체층의 사이에 시공되되,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using paper pipes}
본 발명은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관을 이용하여 주택 등을 건축함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고 간단하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축조할 수 있도록 한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등의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 목구조 등으로 대별된다.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은 철근으로 건축물의 골격을 조성한 뒤, 골격 주변에 목재나 철판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만든 후, 거푸집으로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하는 형태이다.
또한, 철골구조물을 금속 강재(H빔)를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골격을 형성한 뒤, 금속 강재에 콘크리트를 분사, 경화시킨 후 샌드위치패널 등을 이용하여 벽을 구성한 형태이다.
또한, 목구조물은, 목재를 주 재료로 하여 벽과 지붕을 구성한 것으로, 주로 한옥과 같은 전통 가옥에서 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자연친화적인 주택을 시공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어 목조 주택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습기 등에 의해서 철근이 부식되면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구조물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시공시 거푸집을 다량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 기간이 길고 공사비가 고가이며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여 수거 및 처리해야 하는 등, 공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골구조나 목구조는 철근콘크리트에 비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거푸집과 같은 보조 자재가 필요하지 않으나, 강재나 목재 등의 자재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건축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철골구조는 운반 및 설치시 크레인 등의 대형 장비가 요구되는 점을 감안하면 소형 주택의 축조시에 적합하지 않으며, 목재만으로 축조할 때에는 습기 등에 취약하여 별도로 방부, 방청 처리 등을 해야하므로 인체에 유해하고 단열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0171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14332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9762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1034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관을 이용하여 주택 등을 건축함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고 간단하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축조할 수 있도록 한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는,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들을 건축물의 상하골격을 이루는 상부빔과 하부빔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세워 설치하여 상기 지관들의 내부공간에 의한 단열공간부를 형성하는 지관단열벽체층; 상기 지관단열벽체층의 내외부에서 지관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체마감층; 및 상기 벽체마감층과 지관단열벽체층의 사이에 시공되되,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관은: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한 대형지관; 상기 대형지관에 삽입 설치되어 지관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대형지관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갖도록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한 소형지관; 및 상기 소형지관과 대형지관에 의해 지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한 후 상기 대형지관과 고정지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마감층은 합판, 보드판, 타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마감층에는: 외벽에 설치되어 표면강도를 보강하되, 완충기능을 보유하는 실리콘 패드로 적용 가능한 표면강도보강층; 상기 표면강도보강층의 외벽에 시공되되, 평탄성 향상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한 제1코팅층; 상기 제1코팅층의 외벽에 시공되며, 태양광 반사 또는 태양열 차단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세 세라믹 돌가루, 아크릭, 에멀전, 우레탄의 소재를 포함하는 수성 차열 페인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차열도료층; 상기 차열 도료층의 외벽에 시공되는 패턴 형성층; 및 상기 패턴 형성층의 외벽에 시공되되, UV코팅 처리를 통한 오염을 방지하는 제2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55~75중량%에 석분 또는 황토분말이 15~30중량%, 카본 마이크로 화이바 1~10중량%, 고점도 실리콘 1~5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5중량%, 올레핀 1~5중량%, 요소수지 1~3중량%, 이산화 티탄 1~3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며, 상기 제2 코팅층은: 자외선차단제 40~60중량%, 투광도 향상용 메틸셀룰로오스 10~30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10~20중량%, 카올린 10~20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관단열벽체층은: 상기 지관의 내부 단열공간부에 단열 충전재가 충전되되, 상기 단열 충전재는, 상기 단열공간부를 내외부측으로 구획하는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어느 일측에 충전되어 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3~13 중량부, 엠디아이 중합체(MDI-oligomer) 13~52 중량부, 할로겐인산에스테르(chlorisopropyl phosphate) 34~48 중량부, 다이메틸에테르(dimethylether) 14~44 중량부, 추진제(Propane/Butane mixture) 3~15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제1 단열 충전재; 및 상기 제1 단열 충전재와는 상이한 물성을 가지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른 일측에 충전되어 상기 제1 단열 충전재와 함께 단열 기능을 제공하도록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6~10 중량부, 엠디아이 중합체(MDI-oligomer) 10~30 중량부, 할로겐 인산에스테르(chlorisopropyl phosphate) 30~46 중량부, 다이메틸에테르(dimethylether) 10~50 중량부, 추진제(Propane/Butane mixture) 5~10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제2 단열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는,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들을 동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및 지붕을 형성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제1판넬과 제2판넬의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절단된 지관들을 상호 인접하여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하여 시공되되, 상기 지관들은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판넬과 제2판넬에 고정되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은,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관들을 건축물의 상하골격을 이루는 상부빔과 하부빔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관들을 상호 인접하게 세워 설치하여 상기 지관의 내부공간에 의한 단열공간부를 형성하는 지관단열벽체층 시공단계; 및 상기 지관단열벽체층의 내외부에서 지관을 보호하도록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층에 의해 시공되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체마감층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은,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제공하고, 상기 지관들을 동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및 지붕을 형성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제1판넬과 제2판넬의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절단된 지관들을 상호 인접하여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하여 시공되되, 상기 지관들은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판넬과 제2판넬에 고정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에 의하면, 지관을 이용하여 벽체, 바닥, 지붕 등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효과적이면서도 개선된 단열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오염과 재료 분리, 떨어짐, 썩는 현상과 곰팡이, 습기 등의 결로 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높일 있어 에너지 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관을 이용함으로서 시간절약 및 비용절감을 할 수 있고, 시공시 분진이 없고, 단열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지관의 내부에 단열 충전재가 충전되고, 지관단열벽체층의 외벽에는 표면강도보강층과 제1코팅층, 차열 도료층, 패턴형성층 및 제2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지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표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지관의 내부에 단열 충전재가 충전되고, 지관단열벽체층의 외벽에는 표면강도보강층과 제1코팅층, 차열 도료층, 패턴형성층 및 제2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시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지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표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지관이 적용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효과적이면서도 개선된 단열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오염과 재료 분리, 떨어짐, 썩는 현상과 곰팡이, 습기 등의 결로 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높일 있어 에너지 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는, 지관단열벽체층(110)과 벽체마감층(120) 및 접착층(1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마감층(120)은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112)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112)들을 건축물의 상하골격을 이루는 상부빔(114a)과 하부빔(114b)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세워 설치하여 상기 지관(112)들의 내부공간에 의한 단열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관(112)은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하 형성한 하나의 지관을 이용하거나, 혹은 길이 조정 가능하도록 2개의 지관이 삽입 설치되는 2중관식으로 지관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관(112)이 2중관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한 대형지관(112a)과, 상기 대형지관(112a)에 삽입 설치되어 지관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대형지관(112a)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갖도록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한 소형지관(112b) 및 상기 소형지관(112b)과 대형지관(112a)에 의해 지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한 후 상기 대형지관(112a)과 소정지관(112b)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112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구(112c)는 접착재로 이루어져 대형지관과 소형지관을 접착 고정하거나 혹은 핀으로 이루어져 대형지관과 소형지관을 관통 설치하도록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형지관(112a)과 소형지관(112b)으로 이루어지는 2중관식으로 지관이 구성되면, 건축물의 부분 높이가 다른 경우 매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지관단열벽체층(110)의 지관 내부에는, 즉 단열공간부에는 단열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다. 이때, 단열 충전재는 지관(112)의 내부 단열공간부를 내외부측으로 구획하는 격벽(127)이 설치되며, 상기 격벽(127)에 의해 구획되는 어느 일측에는 제1 단열 충전재(126a)가 충전되어 단열 기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1 단열 충전재(126a)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3~13 중량부, 엠디아이 중합체(MDI-oligomer) 13~52 중량부, 할로겐인산에스테르(chlorisopropyl phosphate) 34~48 중량부, 다이메틸에테르(dimethylether) 14~44 중량부, 추진제(Propane/Butane mixture) 3~15 중량부의 조성비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27)에 의해 구획되는 다른 일측에는 제2 단열 충전재(126b)가 충전된다. 상기 제2 단열 충전재(126b)는 제1 단열 충전재(126a)와는 상이한 물성을 가지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른 일측에 충전되어 상기 제1 단열 충전재와 함께 단열 기능을 제공하도록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6~10 중량부, 엠디아이 중합체(MDI-oligomer) 10~30 중량부, 할로겐 인산에스테르(chlorisopropyl phosphate) 30~46 중량부, 다이메틸에테르(dimethylether) 10~50 중량부, 추진제(Propane/Butane mixture) 5~10 중량부의 조성비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마감층(120)은 지관단열벽체층(110)의 내외부에 시공되어 상기 지관(112)을 보호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벽체마감층(120)은 합판, 보드판, 타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130)은 벽체마감층(120)과 지관단열벽체층(110)의 사이에 시공되되,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벽체마감층(120)의 외벽에는 표면강도보강층(121)이 시공되어 표면강도를 보강하되, 상기 표면강도보강층(121)은 완충기능을 보유하는 실리콘 패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강도보강층(121)의 외벽에는 평탄성 향상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한 제1코팅층(1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코팅층(122)은 에폭시 수지 55~75중량%에 석분 또는 황토분말이 15~30중량%, 카본 마이크로 화이바 1~10중량%, 고점도 실리콘 1~5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5중량%, 올레핀 1~5중량%, 요소수지 1~3중량%, 이산화 티탄 1~3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조성을 이루는 제1코팅층(122)이 코팅 형성되면, 카본 마이크로 화이바 성분으로 인해 코팅층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며, 고점도 실리콘은 석분 또는 황토분말 입자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고온에서의 코팅층 열화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올레핀은 석분 또는 황토분말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되고, 요소수지는 산화에 따른 변색을 방지하고, 이산화티탄은 고점도 실리콘과의 반응에 따른 활성화에 기여하여 코팅층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제1코팅층(122)의 외벽에는 태양광 반사 또는 태양열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차열도료층(123)이 형성된다. 상기 차열도료층(123)은 차열 페인트의 도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열 폐인트는 수성 도료로서 미세 세라믹 돌가루, 아크릭, 에멀전, 우레탄의 소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열도료층(123)의 외벽에는 패턴 형성층(124)이 시공된다. 패턴 형성층(124)으로 인해 벽체에 일정한 무늬, 문영 등을 패터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 형성층(124)의 외벽에는 제2코팅층(125)이 시공됨으로써, 외기로 인한 오염을 방지시킨다. 상기 제2코팅층(125)은 UV코팅 처리를 통해 오염을 방지하며, 일종의 투명 페인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코팅층(125)은 자외선차단제 40~60중량%, 투광도 향상용 메틸셀룰로오스 10~30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10~20중량%, 카올린 10~20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조성을 이루는 제2코팅층(125)이 코팅 형성되되면, 메틸셀룰로오스의 작용으로 인해 코팅층의 광택성 및 투광도가 더욱 개선되어지게 되며,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코팅층의 인쇄층 결합력을 증대시키게된다. 특히, 카올린은 이물질의 표면 점착을 방지하여 건축 시공 설치 후 오염 및 변색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112)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112)들을 동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및 지붕을 형성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제1판넬(116a)과 제2판넬(116b)의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절단된 지관(112)들을 상호 인접하여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하여 시공되되, 상기 지관(112)들은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재에 의해 상기 제1판넬(116a)과 제2판넬(116b)에 고정되도록 시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바닥 적용시 층간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는,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112)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지관들을 건축물의 상하골격을 이루는 상부빔(114a)과 하부빔(114b)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관들을 상호 인접하게 세워 설치하여 상기 지관의 내부공간에 의한 단열공간부를 형성하는 지관단열벽체층 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관단열벽체층(110)의 내외부에서 지관을 보호하도록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층에 의해 시공되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체마감층 시공한다.
이후, 상기 벽체마감층(120)의 외벽에 표면강도보강층과, 제1코팅층, 차열도료층,패턴 형성층, 및 제2코팅층을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112)을 제공하고, 상기 지관들을 동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및 지붕을 형성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제1판넬(116a)과 제2판넬(116b)의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절단된 지관들을 상호 인접하여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하여 시공되되, 상기 지관들은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판넬과 제2판넬에 고정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관을 이용하여 벽체, 바닥, 지붕 등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효과적이면서도 개선된 단열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오염과 재료 분리, 떨어짐, 썩는 현상과 곰팡이, 습기 등의 결로 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높일 있어 에너지 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관을 이용함으로서 시간절약 및 비용절감을 할 수 있고, 시공시 분진이 없고, 단열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지관의 두께를 조정하면 강성도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지관단열벽체층 112 - 지관
120 - 벽체마감층 130 - 접착층

Claims (8)

  1.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에 있어서,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들을 건축물의 상하골격을 이루는 상부빔과 하부빔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세워 설치하여 상기 지관들의 내부공간에 의한 단열공간부를 형성하는 지관단열벽체층;
    상기 지관단열벽체층의 내외부에서 지관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체마감층; 및
    상기 벽체마감층과 지관단열벽체층의 사이에 시공되되,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은: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한 대형지관;
    상기 대형지관에 삽입 설치되어 지관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대형지관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갖도록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한 소형지관; 및
    상기 소형지관과 대형지관에 의해 지관 전체의 길이를 조정한 후 상기 대형지관과 고정지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마감층은 합판, 보드판, 타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마감층에는:
    외벽에 설치되어 표면강도를 보강하되, 완충기능을 보유하는 실리콘 패드로 적용 가능한 표면강도보강층;
    상기 표면강도보강층의 외벽에 시공되되, 평탄성 향상 및 내구성 강화를 위한 제1코팅층;
    상기 제1코팅층의 외벽에 시공되며, 태양광 반사 또는 태양열 차단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세 세라믹 돌가루, 아크릭, 에멀전, 우레탄의 소재를 포함하는 수성 차열 페인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차열도료층;
    상기 차열 도료층의 외벽에 시공되는 패턴 형성층; 및
    상기 패턴 형성층의 외벽에 시공되되, UV코팅 처리를 통한 오염을 방지하는 제2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팅층은:
    에폭시 수지 55~75중량%에 석분 또는 황토분말이 15~30중량%, 카본 마이크로 화이바 1~10중량%, 고점도 실리콘 1~5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5중량%, 올레핀 1~5중량%, 요소수지 1~3중량%, 이산화 티탄 1~3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며,
    상기 제2 코팅층은:
    자외선차단제 40~60중량%, 투광도 향상용 메틸셀룰로오스 10~30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10~20중량%, 카올린 10~20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단열벽체층은:
    상기 지관의 내부 단열공간부에 단열 충전재가 충전되되,
    상기 단열 충전재는, 상기 단열공간부를 내외부측으로 구획하는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어느 일측에 충전되어 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3~13 중량부, 엠디아이 중합체(MDI-oligomer) 13~52 중량부, 할로겐인산에스테르(chlorisopropyl phosphate) 34~48 중량부, 다이메틸에테르(dimethylether) 14~44 중량부, 추진제(Propane/Butane mixture) 3~15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제1 단열 충전재; 및
    상기 제1 단열 충전재와는 상이한 물성을 가지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다른 일측에 충전되어 상기 제1 단열 충전재와 함께 단열 기능을 제공하도록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 6~10 중량부, 엠디아이 중합체(MDI-oligomer) 10~30 중량부, 할로겐 인산에스테르(chlorisopropyl phosphate) 30~46 중량부, 다이메틸에테르(dimethylether) 10~50 중량부, 추진제(Propane/Butane mixture) 5~10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제2 단열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
  6.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들을 동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및 지붕을 형성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제1판넬과 제2판넬의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절단된 지관들을 상호 인접하여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하여 시공되되, 상기 지관들은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판넬과 제2판넬에 고정되도록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
  7.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관들을 건축물의 상하골격을 이루는 상부빔과 하부빔에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관들을 상호 인접하게 세워 설치하여 상기 지관의 내부공간에 의한 단열공간부를 형성하는 지관단열벽체층 시공단계; 및
    상기 지관단열벽체층의 내외부에서 지관을 보호하도록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층에 의해 시공되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벽체마감층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8.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종이를 원통형으로 말아 형성한 복수개의 지관을 제공하고, 상기 지관들을 동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 및 지붕을 형성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제1판넬과 제2판넬의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절단된 지관들을 상호 인접하여 열과 행을 이루게 배열 설치하여 시공되되, 상기 지관들은 친환경 에폭시 수지로 형성되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판넬과 제2판넬에 고정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20200174224A 2020-12-14 2020-12-14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 KR102623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24A KR102623274B1 (ko) 2020-12-14 2020-12-14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224A KR102623274B1 (ko) 2020-12-14 2020-12-14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600A true KR20220084600A (ko) 2022-06-21
KR102623274B1 KR102623274B1 (ko) 2024-01-11

Family

ID=8222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224A KR102623274B1 (ko) 2020-12-14 2020-12-14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2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557A (ko) * 2000-11-10 2002-05-16 이근태 실내설치용 조립식 간이벽
KR100368875B1 (en) * 2002-08-19 2003-01-24 Bo Yeun Hwa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by using waste paper
KR20080001714A (ko) 2006-06-29 2008-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30129612A (ko) * 2012-05-21 2013-11-29 김진형 건축용 금속패널
KR101416008B1 (ko) * 2014-01-20 2014-07-11 이경석 이상기후대비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KR20160097628A (ko)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터치 동작 처리 방법 및 단말기
KR20160103455A (ko) 2015-02-24 2016-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557A (ko) * 2000-11-10 2002-05-16 이근태 실내설치용 조립식 간이벽
KR100368875B1 (en) * 2002-08-19 2003-01-24 Bo Yeun Hwa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by using waste paper
KR20080001714A (ko) 2006-06-29 2008-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30129612A (ko) * 2012-05-21 2013-11-29 김진형 건축용 금속패널
KR101416008B1 (ko) * 2014-01-20 2014-07-11 이경석 이상기후대비용 비닐하우스 보강장치
KR20160097628A (ko) 2015-02-09 2016-08-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터치 동작 처리 방법 및 단말기
KR20160103455A (ko) 2015-02-24 2016-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274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56163A1 (en) Fire protection of a structural element
US20220049495A1 (en) Building panel
JP7246749B2 (ja) 間仕切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MX2011005258A (es) Estructura para edificaciones ligeras usando un mortero y un metodo para la produccion.
EP3047078B1 (en) A construction system of wooden load-bearing structures for buildings and a structure thus obtained
US20080053031A1 (en) Assembling and Arrangement Flat Element Consisting of One or Several Elements
KR101335243B1 (ko) 열교 방지와 고기밀성을 가지는 건식 벽체의 시공 방법
KR20220084600A (ko) 지관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및 구조
CN110130554B (zh) 隔音板架合一楼面板结构及生产方法
NL2006783C2 (nl) Werkwijze voor het construeren van een gebouw uit wandelementen en een met de werkwijze geconstrueerd gebouw.
KR101375028B1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20050073708A (ko)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EP3015620B1 (en) Panel for the enclosure and external thermal insulation of façades and roofs, and the installation procedure
CN110130524B (zh) 隔音板架合一内墙板结构及生产方法
US20190203468A1 (en) Method f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and building thus produced
JP2017210807A (ja) 鉄骨柱の合成被覆耐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RU2812672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и здание, содержащее такую конструкцию
KR100202840B1 (ko)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KR200141558Y1 (ko) 건축물의 외벽시공용 타일판넬구조
CN111075104A (zh) 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及其建造方法
KR101798457B1 (ko) 외단열 미장마감 시스템의 단열재 시공방법
JP7081863B1 (ja) 間仕切り壁構成体及び間仕切り壁の設置工法
EP4079984B1 (en) Panel and self-supporting modular facade cladding system including said panel
EP4095334A1 (en) A prefabricated element for a building
DE19962088A1 (de) Wandkonstruktion, Wandbauteil, Wand zur Errichtung von Bauwerk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