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142A - Zn-Al-Mg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 Google Patents

Zn-Al-Mg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142A
KR20220084142A KR1020227016563A KR20227016563A KR20220084142A KR 20220084142 A KR20220084142 A KR 20220084142A KR 1020227016563 A KR1020227016563 A KR 1020227016563A KR 20227016563 A KR20227016563 A KR 20227016563A KR 20220084142 A KR20220084142 A KR 2022008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hot
steel sheet
dip plated
plat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8299B1 (en
Inventor
유키노 이시카와
히로마사 쇼지
데츠야 도바
다이헤이 가네토
노부유키 시모다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1668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8186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16685A external-priority patent/JP7381864B2/en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22C18/04Alloys based on zinc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23C2/29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은, 금속 조직으로서, 〔Al상〕과,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포함하는 용융 도금층을 구비하고, 용융 도금층은, 하기 (a) 또는 (b) 중 어느 한쪽을 충족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이,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a) 제1 영역은, 용융 도금층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이상인 영역이며, 제2 영역은, 용융 도금층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미만인 영역이다. (b) 제1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계면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계면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초과인 영역이며, 제2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계면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계면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이하인 영역이다.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has, as a metal structure, a hot-dip plated layer comprising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 or (b),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included, and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average length of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200 µm or more, and the second region has an average length of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layer that is less than 200 µm is the area (b)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plat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greater than 0.3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interface, The second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plat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0.3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interface.

Description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Zn-Al-Mg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본 발명은,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본원은, 2019년 11월 29일에,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216685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19-21668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on November 29, 2019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216685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216686 for which it applied in Japan, The content is used here.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비하여 높은 내식성을 갖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은 건재, 가전, 자동차 분야 등 다양한 제조업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근년,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hich has higher corrosion resistance tha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is widely used in various manufacturing industries such as building materials, home appliances, and automobile fields, and its usage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그런데, 용융 도금 강판의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문자, 모양, 디자인화 등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용융 도금층에 인쇄나 도장 등의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문자, 모양, 디자인화 등을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However, for the purpose of displaying characters, patterns, designs, etc.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of a hot-dip plated steel sheet, by performing a process such as printing or painting on the hot-dip plated layer, characters, patterns, designs, etc., of the hot-dip plated layer It may appear on the surface.

그러나, 용융 도금층에 인쇄나 도장 등의 공정을 행하면, 문자나 디자인 등을 실시하기 위한 비용이나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쇄나 도장에 의해 문자나 디자인 등을 도금층의 표면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수요자로부터 높은 지지를 얻고 있는 금속 광택 외관이 소실될뿐만 아니라, 도막 자체의 경시 열화나 도막의 밀착성 경시 열화의 문제의 관점에서, 내구성이 떨어지고, 시간과 함께 문자나 디자인 등이 소실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잉크를 스탬프함으로써 문자나 디자인 등을 도금층의 표면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비용이나 시간은 비교적 억제되지만, 잉크에 의해, 용융 도금층의 내식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용융 도금층의 연삭에 의해 의장 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의장 등의 내구성은 우수하지만, 연삭 개소의 용융 도금층의 두께가 대폭으로 감소한다는 점에서 내식성 저하가 필연적이며, 도금 특성의 저하가 염려된다.However, when a process such as printing or painting is performed on the hot-dip plated lay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and time for performing characters, design, and the like increase. In addition, when characters or designs ar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by printing or painting, not only the metallic luster appearance that has been highly supported by consumers is lost, but also the deterioration of the coating film itself over time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over time. From a viewpoint, durability is inferior,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character, a design, etc. may lose|disappear with time. Moreover, when a character, a design, etc. are shown on the surface of a plating layer by stamping ink, although cost and time are comparatively suppresse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 hot-dip plating layer may fall with ink. In addition, in the case of showing design by grinding the hot-dip plated layer, the durability of the design, etc. is excellent, but since the thickness of the hot-dip plated layer at the grinding point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corrosion resistance is inevitably reduced, and there is concern about the deterioration of the plating properties. .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에 대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 있지만, 도금층의 표면에 문자나 디자인 등을 나타낸 경우에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A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but a technique for improving durability when characters or designs ar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is not known.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에 관한 것으로,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에 보여지는 나시지상(배껍질 형상)의 도금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종래 기술은 존재한다.Related to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there is a prior art for the purpose of making more beautiful the appearance of plating in a pear-shaped (pear-shell shape) seen in a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매끄럽고, 또한 평활한 광택부가 많은 나시지상의 외관을 갖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즉, 단위 면적당 백색부의 개수가 많고, 그리고, 광택부의 면적의 비율이 크다고 하는 양호한 나시지상의 외관을 갖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나시지의 상태를, 부정형의 백색부와 원형상의 광택부가 혼재해서 표면에 점재된 표면 외관을 드러내고 있는 상태인 것이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having a smooth and smooth appearance with many shiny parts, that is, a large number of white parts per unit area,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shiny part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having a large and good egg-shaped appearance is disclosed. Moreover, in Patent Document 1, it is described that the undesirable state of the eggplant is a state in which an irregular white part and a circular glossy part are mixed to reveal the surface appearance dotted on the surface.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도금층의 두께 방향 단면에 있어서, 도금층과 지철의 계면으로부터 도금 표층의 사이에 Al정이 비존재인 부분이, 해당 단면의 폭 방향 길이의 10% 내지 50%를 차지함으로써, 도금 외관을 향상시킨 Zn-Al-Mg계 도금 강판이 기재되어 있다.Further, in Patent Document 2, in the cross s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ing layer, a portion in which Al crystals are not present between the interface between the plating layer and the base iron and the plating surface layer occupies 10% to 50% of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A Zn-Al-Mg-based plated steel sheet with improved plating appearance is disclosed.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도금 강판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Ra가 0.5 내지 1.5㎛이며, PPI(1인치(2.54㎝)당 포함되는 1.27㎛ 이상 크기의 피크 수)가 150 내지 300이며, Pc(1㎝당 포함되는 0.5㎛ 이상 크기의 피크 수)가 Pc≥PPI/2.54+10인 성형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 기재되어 있다.Further, in Patent Document 3, th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center line of the surface of the plated steel sheet is 0.5 to 1.5 μm, the PPI (number of peaks having a size of 1.27 μm or more contained per inch (2.54 cm)) is 150 to 300, and Pc (1 A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excellent in formability is disclosed, in which the number of peaks of a size of 0.5 μm or more included per cm) is Pc≧PPI/2.54+10.

또한, 특허문헌 4는, Al/MgZn2/Zn의 3원 공정 조직을 미세화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도금층의 광택도가 증가하고, 외관 균일성이 향상된 고내식성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4 describes a highly corrosion-resistant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ith improved overall appearance uniformity and increased gloss of the plating layer as a whole by refining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MgZn 2 /Zn.

그러나, 도금층의 표면에 문자 등을 나타낸 경우에,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내식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는 기술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지 않았다.However, when a character etc. are shown on the surface of a plating layer, the technique of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preventing corrosion resistance from being reduced conventionally has not been known.

일본 특허 제504323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043234 일본 특허 제5141899호 공보Japanese Patent No. 5141899 Publication 일본 특허 제3600804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600804 Publication 국제 공개 제2013/002358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3/002358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금층의 표면에 문자나 디자인 등을 나타낼 수 있고, 그것들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식성도 우수한 용융 도금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t-dip plated steel sheet that can display characters, designs, etc. on the surface of a plating layer, is excellent in their durability, and is also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강판과, 상기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용융 도금층을 구비하고,[1] A steel sheet and a hot-dip plated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상기 용융 도금층은,The hot-dip plated layer,

평균 조성으로, Al: 4질량% 이상 25질량% 미만, Mg: 0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가 Zn 및 불순물을 포함하고,As an average composition, Al: 4 mass % or more and less than 25 mass %, Mg: 0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 mass % are contained, balance contains Zn and an impurity,

금속 조직으로서, 〔Al상〕과,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포함하고,The metal structure includes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상기 용융 도금층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The hot-dip plated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하기 (a) 또는 (b) 중 어느 한쪽을 충족하고,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either of the following (a) or (b),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이,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A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herein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이상인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미만인 영역이다.(a)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200 µm or more, and the second region is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 is a region with an average length of less than 200 µm.

(b)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강판과 상기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상기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상기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초과인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강판과 상기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상기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상기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이하인 영역이다.(b) in the first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in which the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faces the steel sheet is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is a region greater than 0.3, and, in the second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at which the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faces the steel sheet is the length of the boundary It is an area|region which is 0.3 or less with respect to L.

[2]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b)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Al상〕의 (200)면의 X선 회절 강도 I(200)와 (111)면의 X선 회절 강도 I(111)의 비 I(200)/I(111)가 0.8 이상인, [1]에 기재된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2] In the case wher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the above (b),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 (200) of the (200) plane of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Th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ccording to [1], wherein the ratio I(200)/I(111) of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111) of the (111) plane is 0.8 or more.

[3]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이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혹은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3]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arranged so as to have a shape obtained by combining any on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 pattern, or a lett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thereof; [1] ] or th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ccording to [2].

[4]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이 의도적으로 형성된 것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4]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intentionally formed.

[5] 상기 용융 도금층이, 또한, 평균 조성으로, Si: 0.0001 내지 2질량%를 함유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5]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hot-dip plated layer further contains Si: 0.0001 to 2 mass% as an average composition.

[6] 상기 용융 도금층이, 또한, 평균 조성으로, Ni, Ti, Zr, Sr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01 내지 2질량% 함유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6]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hot-dip plated layer further contains 0.0001 to 2 mass % of Ni, Ti, Zr, and Sr in an average composition of 0.0001 to 2 mass% in total Th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ccording to claim 1 .

[7] 상기 용융 도금층이, 또한, 평균 조성으로,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Hf, C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01 내지 2질량% 함유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7] The hot-dip plated layer has an average composition, and any one or two of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Hf, C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comprising 0.0001 to 2 mass% of the above in total.

[8] 상기 용융 도금층의 부착량이 상기 강판 양면 합계로 30 내지 600g/㎡인,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8]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adhesion amount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30 to 600 g/m 2 in total on both sides of the steel sheet.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문자나 디자인 등을 나타낸 경우에, 그것들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식성도 우수한 용융 도금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when a character, a design, etc. are shown on the surface of a hot-dip plated layer, they are excellent in durability and also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일례인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Al상의 크기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No. 1-4의 제1 영역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No. 1-4의 제2 영역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No. 2-1의 제1 영역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사진이다.
도 6은 No. 2-1의 제2 영역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용융 도금층의 표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제2 영역에 의해 소정의 패턴을 표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measuring method of the size of Al phase of a Zn-Al-Mg type hot-dip plated steel sheet which is an example of this embodiment.
2 shows No. It is a photograph which shows the observation result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1st area|region of 1-4.
3 shows No. It is a photograph which shows the observation result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2nd area|region of 1-4.
4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Example 1.
5 shows No. It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the 1st area|region of 2-1.
6 shows No. It is a cross-sectional photograph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the 2nd area|region of 2-1.
7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of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Example 2, and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expressed by the second reg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내지」를 사용하여 표현되는 수치 범위는, 「내지」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numerical range expressed using "to" means the range which includes the numerical value described before and after "to" as a lower limit and an upper limit.

본 실시 형태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은, 강판과,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용융 도금층을 구비하고, 용융 도금층은, 평균 조성으로, Al: 4질량% 이상 25질량% 미만, Mg: 0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가 Zn 및 불순물을 포함하고, 금속 조직으로서, 〔Al상〕과,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포함한다. 용융 도금층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하기 (a) 또는 (b) 중 어느 한쪽을 충족하고,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이,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teel sheet and a hot-dip plated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has an average composition of Al: 4% by mass or more and less than 25% by mass, Mg: It contains 0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 mass %, balance contains Zn and an impurity, and contains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s a metal structure. The hot-dip plated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either of the following (a) or (b), and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a predetermined arranged to be in shape.

(a) 제1 영역은,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이상인 영역이며, 제2 영역은,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미만인 영역이다.(a)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average length of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200 µm or more, and in the second region,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layer is 200 It is a region smaller than μm.

(b) 제1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초과인 영역이며, 제2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이하인 영역이다.(b)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plat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greater than 0.3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The second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shee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0.3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본 실시 형태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은,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이,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혹은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은, 의도적으로 형성된 것이다.In th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any one or two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 pattern, or a letter. It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the shape which combined more than a species.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intentionally formed.

여기서, 〔Al상〕은,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素地) 중에 명료한 경계로써 섬상으로 보이는 상이며, 이것은 예를 들어 Al-Zn-Mg의 3원계 평형 상태도에 있어서의 고온에서의 「Al"상」(Zn을 고용하는 Al 고용체이며, 소량의 Mg를 포함함)에 상당하고, 3원 공정 조직 중의 Al과는 구별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Al상〕이라 표기한다.Here, [Al phase] is a phase seen as an island phase as a clear boundary in the substrate of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which is, for example, a ternary equilibrium of Al-Zn-Mg Corresponds to the "Al"phase" at high temperature in the phase diagram (a solid solution of Al that dissolves Zn and contains a small amount of Mg), and is distinguished from Al in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It is denoted as [Al phase].

<강판><Steel plate>

용융 도금층의 하지로서 사용하는 강판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강판으로서는, 일반 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Al 킬드 강이나 일부의 고합금 강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강판의 형상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강판에 대하여 후술하는 용융 도금법을 적용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용융 도금층이 형성된다.The material in particular of the steel plate used as a base material of a hot-dip plated layer is not restrict|limited. Although detailed later, as a steel plate, general steel etc. can be us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l killed steel and some high alloy steel. Also, the shape of the steel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hot-dip pl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applying the hot-dip plating method described later to the steel sheet.

<용융 도금층><Hot dip plating layer>

(화학 성분)(chemical composition)

다음으로, 용융 도금층의 화학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hemical component of a hot-dip plated layer is demonstrated.

용융 도금층은, 평균 조성으로, Al: 4질량% 이상 25질량% 미만, Mg: 0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로서 Zn 및 불순물을 포함한다. 용융 도금층은, 바람직하게는 평균 조성으로, Al: 4 내지 22질량%, Mg: 1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로서 Zn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A hot-dip plated layer contains Al: 4 mass % or more and less than 25 mass %, Mg: 0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 mass % by an average composition, and Zn and an impurity are included as balance. The hot-dip plated layer preferably contains Al: 4 to 22 mass% and Mg: 1 to 10 mass% in an average composition, and the balance consists of Zn and impurities.

용융 도금층은, 평균 조성으로, Si: 0.0001 내지 2질량%를 함유해도 된다. 용융 도금층은, 평균 조성으로, Ni, Ti, Zr, Sr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01 내지 2질량% 함유해도 된다. 용융 도금층은, 평균 조성으로,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Hf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01 내지 2질량%를 함유해도 된다.A hot-dip layer may contain Si:0.0001-2 mass % by an average composition. A hot-dip plated layer may contain 0.0001-2 mass % of Ni, Ti, Zr, and Sr any 1 type, or 2 or more types in total by an average composition. The hot-dip plated layer has an average composition of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or Hf in total of any one or two or more of 0.0001 to 2 You may contain mass %.

[Al: 4질량% 이상 25질량% 미만][Al: 4% by mass or more and less than 25% by mass]

용융 도금층에 있어서의 Al의 함유량은, 평균 조성으로 4질량% 이상 25질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25.0질량% 미만이다. Al은,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원소이다. 용융 도금층 중의 Al의 함유량이 4질량% 미만이면,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또한, 〔Al상〕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의장성의 확보에도 바람직하지 않고, 25질량% 이상이 되면 〔Al상〕이 과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의장성의 확보에 바람직하지 않다. 용융 도금층에 있어서의 Al의 함유량은, 내식성의 관점에서, 5 내지 22질량%여도 되며, 5.0 내지 22.0질량%여도 되며, 5 내지 18질량%여도 되며, 5.0 내지 18.0질량%여도 되며, 6 내지 16질량%여도 된다. 6.0 내지 16.0질량%여도 된다.Content of Al in a hot-dip layer is 4 mass % or more and less than 25 mass % in average composition, Preferably they are 4.0 mass % or more and less than 25.0 mass %. Al is an element necessary in order to ensure corrosion resistance. When the content of Al in the hot-dip plated layer is less than 4% by mas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is insufficient, and the [Al phase] is not sufficiently formed, so it is not preferable for securing designability, and when it is 25% by mass or more, Since [Al phase] is formed excessively, it is unpreferable for ensuring designability. Content of Al in a hot-dip layer may be 5-22 mass % from a corrosion-resistant viewpoint, 5.0-22.0 mass % may be sufficient, 5-18 mass % may be sufficient, 5.0-18.0 mass % may be sufficient, and 6-16 mass % may be sufficient. It may be mass %. 6.0 to 16.0 mass % may be sufficient.

[Mg: 0질량% 이상 10질량% 미만][Mg: 0 mass% or more and less than 10 mass%]

용융 도금층에 있어서의 Mg의 함유량은, 평균 조성으로 0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이고, 평균 조성으로 0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이어도 된다. Mg는,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해도 된다. 용융 도금층중의 Mg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이 되면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보다 충분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Mg가 10질량% 이상이 되면 Mg 화합물이 정출하기 때문에 의장성의 확보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도금욕에서의 드로스 발생이 현저해져서, 안정적으로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내식성과 드로스 발생의 억제라는 밸런스의 관점에서, 용융 도금층에 있어서의 Mg의 함유량은 1.5 내지 6질량%로 해도 되고, 1.5 내지 6.0질량%로 해도 되고, 2 내지 5질량%로 해도 되며, 2.0 내지 5.0질량%로 해도 된다.Content of Mg in a hot-dipping layer may be 0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 mass % by an average composition, and 0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0 mass % may be sufficient as an average composition. Preferably they are 1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 mass %, Preferably, 1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0 mass % may be sufficient. Mg may be added in order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Since the effect of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becomes more sufficient when content of Mg in a hot-dip plated layer becomes 1 mass % or more, it is preferable. Moreover, when Mg is 10 mass % or more, since Mg compound crystallizes, it is unpreferable for ensuring designability, and dross generation in a plating bath becomes remarkable, and it is preferable because it becomes difficult to manufacture a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stably. don't From a viewpoint of the balance of corrosion resistance and suppression of dross generation, content of Mg in a hot-dip layer is good also as 1.5-6 mass %, it is good also as 1.5-6.0 mass %, it is good also as 2-5 mass %, 2.0 It is good also as thru|or 5.0 mass %.

용융 도금층은, Si를 0.0001 내지 2질량%의 범위에서 함유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000질량%로 해도 된다. Si는, 용융 도금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원소이다.A hot-dip plated layer may contain Si in 0.0001-2 mass %, Preferably it is good also as 0.0001-2.000 mass %. Si is an element effective in 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a hot-dip plating layer.

Si를 용융 도금층에 0.0001질량%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현되기 때문에, Si를 0.0001질량%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effect of improving adhesiveness is expressed by containing 0.0001 mass % or more of Si in a hot-dipping layer, it is preferable to contain 0.0001 mass % or more of Si.

한편, 2질량%를 초과해 함유시켜도 도금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포화되기 때문에, 용융 도금층에 Si를 함유시키는 경우라도, Si의 함유량은 2질량% 이하로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ffect of improving plating adhesiveness is saturated even if it contains exceeding 2 mass %, even when making a hot-dip layer contain Si, content of Si shall be 2 mass % or less.

도금 밀착성의 관점에서는, 용융 도금층에 있어서의 Si의 함유량은 0.0010 내지 1질량%로 해도 되고, 0.0010 내지 1.000질량%로 해도 되고, 0.0100 내지 0.8질량%로 해도 되며, 0.0100 내지 0.800질량%로 해도 된다.From the viewpoint of plating adhesion, the content of Si in the hot-dip plated layer may be 0.0010 to 1 mass%, may be 0.0010 to 1.000 mass%, may be 0.0100 to 0.8 mass%, or may be 0.0100 to 0.800 mass%. .

용융 도금층 중에는, 평균 조성으로, Ni, Ti, Zr, Sr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01 내지 2질량% 함유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00질량% 함유해도 된다. 이들 원소를 포함하는 금속간 화합물은, 〔Al상〕의 정출핵으로서 작용하고, 〔Al/MgZn2/Zn의 3원 공정 조직〕을 보다 미세, 균일하게 하여, 용융 도금층의 외관이나 평활성을 향상시킨다. 용융 도금층에 있어서의 이들 원소의 함유량이 0.0001질량% 미만이면, 응고 조직을 미세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융 도금층에 있어서의 이들 원소의 함유량이 2질량%를 초과하면, 〔Al/MgZn2/Zn의 3원 공정 조직〕을 미세화시키는 효과가 포화되고, 또한, 용융 도금층의 표면 거칠기가 커져서 외관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In a hot-dipping layer, 0.0001-2 mass % of any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Ni, Ti, Zr, and Sr in total may be contained in an average composition, Preferably you may contain 0.0001-2.00 mass %. Intermetallic compounds containing these elements act as crystallization nuclei of [Al phase], make [Al/MgZn 2 /Zn ternary eutectic structure] more fine and uniform, and improve the appearance and smoothness of the hot-dip plated layer make it If the content of these elements in the hot-dip plated layer is less than 0.0001 mass %, the effect of making the solidified structure fine and uniform becomes insufficient, which is not preferable. Moreover, when the content of these elements in the hot-dip plated layer exceeds 2% by mass, the effect of refining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MgZn 2 /Zn] is saturated,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hot-dip plated layer becomes large and the appearance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deteriorates.

특히 용융 도금층의 외관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상술한 원소를 첨가하는 경우, 상술한 원소의 함유량은 0.001 내지 0.5질량%가 바람직하고, 0.001 내지 0.50질량%가 바람직하고, 0.001 내지 0.0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01질량%이다.In particular, when adding the above-mentioned ele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the content of the above-mentioned element is preferably 0.001 to 0.5 mass%, preferably 0.001 to 0.50 mass%, more preferably 0.001 to 0.05 mass%. and more preferably 0.002 to 0.01 mass %.

용융 도금층 중에는, 평균 조성으로,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Hf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01 내지 2질량%를 함유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00질량% 함유해도 된다. 용융 도금층이 이들 원소를 함유함으로써, 내식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In the hot-dip plated layer, as an average composition, one or more of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and Hf is 0.0001 to 2 mass% in total may contain, Preferably 0.0001-2.00 mass % may be contained. When the hot-dip plated layer contains these elements, corrosion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REM은, 주기율표에 있어서의 원자 번호 57 내지 71의 희토류 원소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가리킨다.In addition, REM refers to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rare-earth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57-71 in the periodic table.

용융 도금층의 화학 성분의 잔부는, 아연 및 불순물이다. 불순물에는, 아연 이외의 지금(地金) 중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것, 도금욕 중에서, 강이 용해됨으로써 포함되는 것이 있다. 또한, 도금을 용해할 때에 도금층과 강의 계면에 생성되는 합금층 유래의 Fe가 측정되는 경우도 있다.The remainder of the chemical component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zinc and impurities. Impurities include those that are unavoidably contained in metal other than zinc, and those contained by dissolving steel in a plating bath. Moreover, when dissolving plating, Fe derived from the alloy layer produced|generated at the interface of a plating layer and steel may be measured.

또한, 용융 도금층의 평균 조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도금을 침식하지 않는 도막 박리제(예를 들어, 산사이 가코사 제조 네오리바 SP-751)로 표층 도막을 제거한 후에, 인히비터(예를 들어, 스기무라 가가쿠 고교사 제조 히빌론)를 넣은 염산으로 용융 도금층을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을 유도 결합 플라스마(ICP) 발광 분광 분석에 제공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염산의 농도는 예를 들어, 10질량%여도 된다. 또한, 표층 도막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표층 도막의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verage composition of a hot-dip plated layer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after removing the surface coating film with a coating film release agent that does not corrode the plating (eg, Neoriba SP-751 manufactured by Sansai Chemical Co., Ltd.), an inhibitor (eg, Hivilon manufactured by Sugimura Chemical Co., Ltd.) is added It can be obtained by dissolving the hot-dip plated layer with hydrochloric acid and subjecting the resulting solution to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emission spectroscopy. The concentration of hydrochloric acid may be, for example, 10% by mass. In addition, when it does not have a surface layer coating film, the removal operation|work of a surface layer coating film can be abbreviate|omitted.

(금속 조직)(metallic tissue)

다음으로, 용융 도금층의 금속 조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용융 도금층은, 금속 조직으로서 〔Al상〕과,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포함하고 있다.Next, the metal structure of a hot-dip plated layer is demonstrated. The hot-dip plated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s metal structures.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용융 도금층은,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Al상〕이 포함된 형태를 갖고 있다.Specifically, the hot-dip plated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orm in which [Al phase] is included in the material of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또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MgZn2상〕이나 〔Zn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MgZn 2 phase] and [Zn phase] may be contained in the material of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또한, Si를 첨가한 경우에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Mg2Si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when Si is added, [Mg 2 Si phase] may be contained in the material of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여기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은, Al상과, Zn상과 금속간 화합물 MgZn2상의 3원 공정 조직이며,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Al상은 예를 들어 Al-Zn-Mg의 3원계 평형 상태도에 있어서의 고온에서의 「Al"상」(Zn을 고용하는 Al 고용체이며, 소량의 Mg를 포함함)에 상당한다.Her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s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 phase, Zn phase, and intermetallic compound MgZn 2 phase, and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s The formed Al phase corresponds to, for example, the "Al" phase at high temperature in the ternary equilibrium diagram of Al-Zn-Mg (it is an Al solid solution in which Zn is dissolved, and contains a small amount of Mg).

이 고온에서의 Al"상은, 상온에서는 통상은 미세한 Al상과 미세한 Zn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다.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중의 Zn상은 소량의 Al을 고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소량의 Mg를 고용한 Zn 고용체이다.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중의 MgZn2상은, Zn-Mg의 2원계 평형 상태도의 Zn: 약 84질량%의 부근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합물상이다.At room temperature, the Al" phase at this high temperature is usually divided into a fine Al phase and a fine Zn phase. The Zn phase in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uses a small amount of Al as a solid solution, and in some cases, is a Zn solid solution in which a small amount of Mg is further dissolved in. The MgZn 2 phase in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is present in the vicinity of Zn: about 84% by mass in the binary system equilibrium diagram of Zn-Mg. It is an intermetallic compound phase.

상태도로 보는 한 각각의 상에는 기타 첨가 원소를 고용하지 않거나, 고용하고 있어도 극미량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 양은 통상의 분석에서는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이 3개의 상으로 이루어지는 3원 공정 조직을 본 명세서에서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라고 표현한다.As far as the phase diagram is concerned, other additive elements are not dissolved in each phase, or are considered to be in very small amounts even in solid solution. However, since the amount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in ordinary analysis,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composed of these three phases is expressed as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를, 제1 영역에서는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초과가 되는 영역으로 하고, 제2 영역에서는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이하가 되는 영역으로 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sheet is, and in the first region,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It is set as the area|region used as more than 0.3, and it is good also as the area|region used as 0.3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in a 2nd area|region.

〔Al상〕[Al phase]

〔Al상〕은,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명료한 경계로써 섬상으로 보이는 상이며, 이것은 예를 들어 Al-Zn-Mg의 3원계 평형 상태도에 있어서의 고온에서의 「Al"상」(Zn을 고용하는 Al 고용체이며, 소량의 Mg를 포함함)에 상당한다. 이 고온에서의 Al"상은, 도금욕의 Al이나 Mg 농도에 따라서, 고용하는 Zn양이나 Mg양이 상이하다. 이 고온에서의 Al"상은, 상온에서는 통상은 미세한 Al상과 미세한 Zn상으로 분리하지만, 상온에서 보이는 섬상의 형상은 고온에서의 Al"상의 형상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Al phase] is a phase seen as an island phase as a clear boundary in the substrate of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nd this is, for example, a high temperature in the ternary equilibrium diagram of Al-Zn-Mg It corresponds to the "Al"phase" (a solid solution of Al in which Zn is dissolved and contains a small amount of Mg). The Al" phase at this high temperature depends on the Al or Mg concentration of the plating bath, the amount of Zn dissolved or The amount of Mg is different. The Al" phase at this high temperature is normally separated into a fine Al phase and a fine Zn phase at normal temperature, but the shape of the island phase seen at room temperature is thought to be due to the shape of the Al" phase at high temperature.

상태도로 보는 한 이 상에는 기타 첨가 원소를 고용하지 않거나, 고용하고 있어도 극미량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통상의 분석에서는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고온에서의 Al"상에서 유래하고 또한 형상적으로는 Al"상의 형상에 기인하는 상을 본 명세서에서는 〔Al상〕이라고 칭한다.As far as the phase diagram is concerned, other added elements are not dissolved in this phase, or are considered to be in very small amounts even if dissolved. However, since it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in a normal analysis, the phase derived from the Al" phase at this high temperature and geometrically derived from the shape of the Al" phase is referred to as [Al phase] in this specification.

〔Al상〕은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Al상과는 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다.The [Al phas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Al phase forming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n microscopic observation.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a)를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Al상〕의 평균 길이를, 제1 영역에서는 200㎛ 이상으로 하고, 제2 영역에서는 200㎛ 미만으로 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the above (a),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s 200 µm or more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t is good also as less than 200 micrometers.

〔Zn상〕[Zn phase]

〔Zn상〕은,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명료한 경계로써 섬상으로 보이는 상이며, 실제로는 소량의 Al이나 소량의 Mg를 고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상태도로 보는 한, 이 상에는 기타 첨가 원소를 고용하지 않거나, 고용하고 있어도 극미량이라고 생각된다.[Zn phase] is a phase that appears to be an island phase as a clear boundary among the substrates of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nd in reality, a small amount of Al or a small amount of Mg is dissolved therein in some cases. As far as the phase diagram is concerned, no other additive element is dissolved in this phase, or it is considered to be in a very small amount even if dissolved.

〔Zn상〕은,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Zn상과는 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용융 도금층에는, 제조 조건에 의해 〔Zn상〕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지만, 〔Zn상〕에 기인하는 내식성에 대한 영향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 때문에, 용융 도금층에 〔Zn상〕이 포함되어도, 특별히 문제는 없다.The [Zn phas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Zn phase forming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n microscopic observation. Although the [Zn phase] may be contained in the hot-dip plated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the influence on the corrosion resistance resulting from the [Zn phase] was hardly seen. Therefore, even if the [Zn phase] is contained in the hot-dip plated layer, there is no problem in particular.

〔MgZn2상〕[MgZn 2 phase]

〔MgZn2상〕은,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명료한 경계로써 섬상으로 보이는 상이며, 실제로는 소량의 Al을 고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상태도로 보는 한, 이 상에는 기타 첨가 원소를 고용하지 않거나, 고용하고 있어도 극미량이라고 생각된다.[MgZn 2 phase] is a phase that appears as an island phase as a clear boundary among the substrates of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nd in fact, a small amount of Al may be dissolved therein. As far as the phase diagram is concerned, no other additive element is dissolved in this phase, or it is considered to be in a very small amount even if dissolved.

〔MgZn2상〕과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MgZn2상은, 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용융 도금층에는, 제조 조건에 의해 〔MgZn2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제조 조건에서는 용융 도금층 중에 포함된다.The MgZn 2 phase forming [MgZn 2 phase] and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in microscopic observation. Although [MgZn 2 phase] may not be contained in the hot-dip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it is contained in the hot-dip layer under most manufacturing conditions.

〔Mg2Si상〕[Mg 2 Si phase]

〔Mg2Si상〕은, Si를 첨가한 도금층의 응고 조직 중에, 명료한 경계로써 섬상으로 보이는 상이다. 상태도로 보는 한, 〔Mg2Si상〕에는 Zn, Al, 기타 첨가 원소는 고용하지 않거나, 고용하고 있어도 극미량이라고 생각된다. 〔Mg2Si상〕은, 용융 도금층 중에서는 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명료하게 다른 상과 구별할 수 있다.[Mg 2 Si phase] is a phase seen as an island shape as a clear boundary in the solidified structure of the plating layer to which Si is added. As far as the phase diagram is concerned, Zn, Al, and other additive elements are not dissolved in [Mg 2 Si phase] or are considered to be in very small amounts even if they are in solid solution. [Mg 2 Si phas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phases in the microscopic observation in the hot-dip plated layer.

본 실시 형태의 용융 도금층은, 강판이 도금욕에 침지된 후에 끌어올려지고, 그 후, 강판 표면에 부착된 용융 금속이 응고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처음에, 〔Al상〕이 형성되고, 그 후, 용융 금속의 온도 저하에 수반하여,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형성된다.The hot-dip plated layer of this embodiment is pulled up after a steel plate is immersed in a plating bath, and is formed by solidifying the molten metal adhering to the steel plate surface after that. At this time, at first, [Al phase] is formed, and thereafter,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s formed along with a de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metal.

용융 도금층의 화학 성분(즉, 도금욕의 화학 성분)에 따라서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Mg2Si상〕, 〔MgZn2상〕또는 〔Zn상〕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Depend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that i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lating bath), [Mg 2 Si phase], [ MgZn 2 phase ] or [Zn phase] may be formed.

(제1 영역 및 제2 영역)(1st area and 2nd area)

다음으로, 용융 도금층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용융 도금층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존재한다. 후술하지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육안, 확대경하 또는 현미경하에서 식별 가능하게 되어 있다.Next, the 1st area|region and the 2nd area|region of a hot-dip plated layer are demonstrated.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exist in the hot-dip plated layer (the surface of a hot-dip plated laye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an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under a magnifying glass, or under a microscope.

제1 영역이 직선부, 곡선부 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되며, 또한, 제2 영역이 직선부, 곡선부 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제1 영역이 직선부, 곡선부 등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에는, 제1 영역이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고, 그 이외의 영역을 제2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이 직선부, 곡선부 등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에는, 제2 영역이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고, 그 이외의 영역을 제1 영역이라 할 수 있다.A 1st area|region may represent a linear part, a curved part, etc., and a 2nd area|region may represent a straight line part, a curved part, etc. When the first area represents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or the like, the first area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other area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area. In addition, when the second region represents a linear portion, a curved portion, or the like, the second region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nd regions other than tha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는, 육안, 확대경하 또는 현미경하에서 파악할 수 있다.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an be grasped with the naked eye, under a magnifying glass, or under a microscope.

제1 영역이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의 제1 영역은, 육안, 확대경하 또는 현미경하에서 제1 영역의 존재를 판별 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면 된다. 이 경우의 제2 영역은, 용융 도금층(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 제1 영역 이외의 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되고, 용융 도금층의 대부분을 차지해도 된다. 또한, 제2 영역 내에 제1 영역이 배치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은, 제2 영역 내에 있어서,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및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영역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및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이 나타내어진다. 이 형상은 인공적으로 형성된 형상이며,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은 아니다.When the first region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the first region may be formed to a size sufficient to discriminate the existence of the first region with the naked eye, under a magnifying glass, or under a microscope. The 2nd area|region in this case becomes an area|region which occupies parts other than the 1st area|region in a hot-dip plating layer (the surface of a hot-dip plating layer), and may occupy most of the hot-dip plating layer. Moreover, the 1st area|region may be arrange|positioned in the 2nd area|region. Specifically, the first region may be arranged so as to have a shape in which any on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 pattern, and a charact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thereof in the second region. .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first region, any on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 pattern, and a letter or a shape combining two or more of these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This shape is an artificially formed shape and is not naturally formed.

한편, 제2 영역이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의 제2 영역은, 육안, 확대경하 또는 현미경하에서 제2 영역의 존재를 판별 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면 된다. 이 경우의 제1 영역은, 용융 도금층(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 제2 영역 이외의 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이 되고, 용융 도금층의 대부분을 차지해도 된다. 또한, 제1 영역 내에 제2 영역이 배치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영역은, 제1 영역 내에 있어서,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및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영역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및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이 나타내어진다. 이 형상은 인공적으로 형성된 형상이며,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region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the second region may be formed to a size sufficient to discriminate the existence of the second region with the naked eye, under a magnifying glass, or under a microscope. The 1st area|region in this case becomes a area|region which occupies parts other than a 2nd area|region in a hot-dip plated layer (the surface of a hot-dip plated layer), and may occupy most of the hot-dip plated layer. Moreover, the 2nd area|region may be arrange|positioned in the 1st area|region. Specifically, the second region may be arranged to have a shape in which any on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 pattern, and a charact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thereof in the first area. .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second region, any on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 pattern, and a letter or a shape combining two or more of these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This shape is an artificially formed shape and is not naturally formed.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육안으로 한정되지 않고, 확대경하 또는 현미경하에서 식별 가능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으로 구성되는 직선부 등의 형상은, 50배 이하의 시야에서 식별 가능하면 된다. 50배 이하의 시야이면,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형상은, 그 표면 상태의 차이에 따라 식별 가능하다.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are not limited visually, You may distinguish under a magnifying glass or a microscope. Specifically, the shape, such as a straight line portion, constituted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may be discernable in a field of view of 50 times or less. If the field of view is 50 times or less, a predetermined shape composed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he surface state thereof.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20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배 이하에서 식별 가능하다.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preferably identifiable at 20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10 time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times or less.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하기 (a) 또는 (b) 중 어느 한쪽을 충족한다.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either of the following (a) or (b).

(a) 제1 영역은,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이상인 영역이며, 제2 영역은,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미만인 영역이다.(a)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average length of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200 µm or more, and in the second region,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layer is 200 It is a region smaller than μm.

(b) 제1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초과인 영역이며, 제2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이하인 영역이다.(b)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plat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greater than 0.3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The second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shee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0.3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이하, 상기 (a)의 경우와 (b)의 경우에 대하여 순차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e of (a) and the case of (b)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a)를 만족시키는 경우)(Wh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satisfy the above (a))

상기 (a)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제1 영역은, 평균 길이가 긴 Al상에 기인하는 금속 광택이 관찰된다. 그 때문에, 제2 영역에 비하여, 광택이 선 형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쪽의, 제2 영역은, 평균 길이가 짧은 Al상에 기인하여 제1 영역에 비하여 금속 광택이 점 형상으로 인식된다. 이 때문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육안, 확대경하 또는 현미경하에서 식별 가능해진다.In the first region in the case of satisfying the above (a), metallic luster resulting from the Al phase having a long average length is observed. Therefore, compared to the second region, the gloss can be recognized as a linear shape. In one of the second regions, the metallic luster is recognized as a dot shape compared to the first region due to the Al phase having a short average length. For this reason,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become distinguishable under the naked eye, a magnifying glass, or a microscope.

용융 도금층에는, 적어도 〔Al상〕및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존재한다. 용융 도금층에서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Al상〕이 포함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Al상〕은, 용융 도금층의 응고 시에 비교적 조기에 석출되는 것이며, 그 때의 〔Al상〕의 형태는 수지정상으로 된다.In the hot-dip plated layer, at least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exist. The hot-dip plated layer has a form in which [Al phase] is included in the substrate of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nd [Al phase] is precipitated relatively early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of a hot-dip plated layer, and the form of [Al phase] at that time becomes a resinous phase.

상기 (a)를 만족시키는 경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Al상〕의 평균 길이는, 200㎛ 이상이다.When the above (a) is satisfied,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present in the first region is 200 µm or more.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이상이 되면, 용융 도금층 표면에 〔Al상〕의 비교적 큰 수지정이 노출되게 되어, 주위에 존재하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등에 비하여 금속 광택인 〔Al상〕이 길고, 또한 요철이 명확해진다는 점에서, 전체로서 선 형상으로 시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s 200 µm or more, the relatively large resin crystal of the [Al phase]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and the surrounding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etc. In comparison, the metallic luster [Al phase] is long and irregularities are clear, so that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a linear shape as a whole.

한편, 제2 영역에 존재하는 〔Al상〕의 평균 길이는, 200㎛ 미만이다.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미만이 되면, 용융 도금층 표면에 〔Al상〕의 비교적 작은 수지정이 노출되게 되어, 주위에 존재하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등에 비하여 금속 광택인 〔Al상〕이 짧고, 또한 요철이 불명료해진다는 점에서, 전체로서 점 형상으로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제2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Al상〕의 평균 길이가 180㎛ 이하인 영역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Al상〕의 평균 길이가 150㎛ 미만인 영역이다. 제1 영역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와, 제2 영역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의 차가 커질수록,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상대적으로 식별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present in the second region is less than 200 µm. When the average length of [Al phase] is less than 200 µm, relatively small resin crystals of [Al phase] are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and the surrounding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etc. In comparison, the metallic luster [Al phase] is short and irregularities become indistinct. The second region is preferably a region in which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s 180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a region in which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s less than 150 µm. The larg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n the first region and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n the second region, the easier it is to distinguish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ich is preferable. .

제1 영역은, 용융 도금층의 응고 시의 초기에, 〔Al상〕이 비교적 낮은 개수 밀도로 생성되고, 〔Al상〕자체가 조대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제2 영역은, 용융 도금층의 응고 시의 초기에, 〔Al상〕이 비교적 높은 개수 밀도로 생성되고, 〔Al상〕자체가 조대화되지 않고 미세한 상태인 채로 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It is presumed that the first region is formed when the [Al phase] is generated with a relatively low number density and the [Al phase] itself is coarsened in the initial stage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2nd area|region is formed when [Al phase] is produced|generated with a comparatively high number density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of a hot-dip plated layer, and [Al phase] itself remains in a fine state without coarsening.

〔Al상〕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용융 도금층의 응고 시에, 용융 금속의 냉각 속도를 제어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Al상〕을 조대화시키는 경우에는 응고 시의 냉각 속도를 느리게 하고, 〔Al상〕을 미세화시키는 경우에는 응고 시의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면 된다. 강판을 용융 도금욕에 침지하고 나서 끌어올릴 때, 강판 표면에 있어서 용융 금속의 냉각 속도를 부분적으로 빠르게 하거나, 또는 느리게 함으로써,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및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을,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의도적 혹은 인공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control the size of the [Al phase], the cooling rate of the molten metal may be controlled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Specifically, when coarsening [Al phase], the cooling rate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is slowed, and when making [Al phase] fin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peed up the cooling rate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When the steel sheet is immersed in the hot-dip plating bath and then pulled up, by partially increasing or slowing the cooling rate of the molten metal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y on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 shape, and a letter A shape or a shape obtained by combining two or more of these types can be intentionally or artificially expressed by a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later.

〔Al상〕의 평균 길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우선, 용융 도금층의 표면 중,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임의의 3시야의 영역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의 반사 전자 상(像)으로 촬영한다. 각 영역의 사이즈는 500㎛×360㎛의 직사각형 영역으로 한다. 촬영된 사진에 있어서, 수지상의 Al상을 확인한다. 수지상의 Al상은, 대체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부와, 주축부로부터 연장된 2차 암부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사진 내의 Al상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길이 A를 측정한다. 3시야에 있어서 모든 Al상의 길이 A를 구하고, 그 평균값을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로 한다. 또한, 수지상의 Al상은, 응고 핵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성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동일 평면에 배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표면으로부터 관찰하는 경우에는 그 일부, 예를 들어 2차 암 선단만이 관찰되거나, 또는 주축부만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Al상은, 계측의 대상으로부터 배제하기로 한다. 한편, 주축과 2차 암의 사이에 다른 상이 덮이고, 연결되지 않도록 관찰할 수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The average length of [Al phase]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in each of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among the surface of a hot-dipping layer, the area|region of 3 arbitrary fields is image|photographed with the reflection electron image o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size of each region is a rectangular region of 500 mu m x 360 mu m. In the photographed photograph, the Al phase of the resinous phase is confirmed. The dendritic Al phase has a shape having a main shaft and a secondary arm extending from the main shaft, as shown in FIG. 1 . With respect to the Al phase in the photograph, the length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easured. The length A of all Al phases is calculated|required in 3 views, and let the average value be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n a 1st area|region or a 2nd area|region. In addition, although the dendritic Al phase grows radially from the solidification nucleus in many cases, it is not limited to being arranged on the same plane, and when observed from the surface, only a part thereof, for example, only the tip of the secondary arm is observed, Alternatively, only the main shaft portion may be observed. Such an Al phase is excluded from the object of measurement.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that can be observed so that the other phase is covered and not connected between the main shaft and the secondary arm.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b)를 만족시키는 경우)(Wh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b) above)

상기 (b)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제1 영역은, 그 표면의 금속 광택이 낮고, 제2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백색 혹은 회색을 드러내는 영역이다. 한쪽의 제2 영역은, 그 표면의 금속 광택이 제1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이다. 이 때문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육안, 확대경하 또는 현미경하에서 식별 가능해진다.In the case of satisfying the above (b), the first region has a low metallic luster on its surface, and is a region in which white or gray is relatively exposed compared to the second region. One of the second regions is a region in which the metallic luster of the surfac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For this reason,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become distinguishable under the naked eye, a magnifying glass, or a microscope.

용융 도금층에는, 적어도 〔Al상〕및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존재한다. 용융 도금층에서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소지 중에, 〔Al상〕이 포함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Al상〕은, 용융 도금층의 응고 시에 비교적 조기에 석출되는 것이며, 그 때의 〔Al상〕의 형태는 수지정상으로 된다.In the hot-dip plated layer, at least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exist. The hot-dip plated layer has a form in which [Al phase] is included in the substrate of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n addition, [Al phase] is precipitated relatively early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of a hot-dip plated layer, and the form of [Al phase] at that time becomes a resinous phase.

상기 (b)를 만족시키는 경우, 제1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초과, 바람직하게는 0.30 초과인 영역이다. 이에 의해, 제1 영역에 있어서의 용융 도금층의 두께 방향의 강판측에서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고, 〔Al상〕이나 그 밖의 상 또는 조직은 비교적 적어진다. 이에 의해, 용융 도금층의 두께 방향의 표면측에서는 수지정상의 〔Al상〕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영역의 표면은, 표면 거칠기 Ra가 비교적 커지게 되어, 제1 영역에 입사한 광이 확산 반사되고, 제2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백색 내지 회색을 드러낸다고 추측된다.When the above (b) is satisfied, in the first region,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has a length Le opposite to the steel sheet,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A region greater than 0.3, preferably greater than 0.30. Accordingly, on the steel shee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in the first region,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s relatively large, and [Al phase] and other phases or structures are relatively small. lose Thereby, on the surface side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hot-dip plated layer, the resinous [Al phase] comes to exist comparatively many. For this reason, it is estimated that the surface of the 1st area|region becomes comparatively large in surface roughness Ra, and the light which injects into the 1st area|region is diffusely reflected, and white or gray is revealed relatively compared with the 2nd area|region.

제1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경계 길이 L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0 초과이다. 즉, 제1 영역에 있어서의 Le/L은 바람직하게는 0.30 초과이다.In the first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sheet is preferably greater than 0.30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length L. That is, Le/L in the first region is preferably greater than 0.30.

한편, 제2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인 영역이다. 이에 의해, 제2 영역에 있어서의 용융 도금층의 두께 방향의 강판측에서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비교적 적게 존재하고, 〔Al상〕이나 그 밖의 상 또는 조직은 비교적 많아진다. 이에 의해, 용융 도금층의 두께 방향의 표면측에서는 수지정상의 〔Al상〕이 비교적 적게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영역의 표면은, 표면 거칠기 Ra가 비교적 작아져서, 제2 영역은 제1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금속 광택을 드러낸다고 추측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sheet is 0.3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more preferably 0.30 or less. Accordingly, on the steel sheet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in the second region,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is relatively small, and the [Al phase] and other phases or structures are relatively large. lose Thereby, on the surface side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hot-dip plated layer, the resinous [Al phase] comes to exist comparatively little. For this reason, the surface of the 2nd area|region becomes comparatively small in surface roughness Ra,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2nd area|region exhibits metallic luster relatively compared with the 1st area|region.

제2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이 경계 길이 L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의 영역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의 영역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이하의 영역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이다. 제1 영역에 있어서의 Le/L과, 제2 영역에 있어서의 Le/L의 차가 커질수록,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상대적으로 식별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sheet is preferably 0.30 or less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length L, more Preferably it is 0.15 or less area|region, More preferably, it is 0.1 or less area|region, Especially preferably, it is 0.10 or less. As the difference between Le/L in the first region and Le/L in the second region increases,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an be relatively easily distinguished, which is preferable.

용융 도금층의 응고 시에 생성되는 〔Al상〕은, 통상은 용융 도금층의 두께 방향 전체로 석출된다. 그러나,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를 의도적 혹은 인공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존재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Al상〕은, 수지정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존재 비율이 많아지면, 용융 도금층의 표면 거칠기가 커지고, 한편,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존재 비율이 작아지면, 용융 도금층의 표면 거칠기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를 제어함으로써,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The [Al phase] generated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usually precipitated in the entir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Howeve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intentionally or artificially controls the length Le opposing the steel sheet, so that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bundance ratio. And since [Al phase] has a resin crystal form, when the abundance ratio of [Al phase] i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ncreases,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hot-dip layer becomes large, and on the other hand, in the surface of the hot-dip layer, When the abundance ratio of [Al phase] of [Al phase] becomes small, the surface roughness of a hot-dip plating layer becomes small. In this wa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controls the length Le opposing the steel sheet, thereby form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can be formed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Fe 및 Zn을 포함하는 계면 합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면 합금층을 개재시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를, 상기의 범위로 하면 된다. 단, 계면 합금층은, 용융 도금층의 두께와 비교해서 매우 얇기 때문에,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현미경에 의해 길이 Le를 계측할 때, 계측 시의 확대 배율에 따라 다르지만, 계면 합금층을 확인할 수 없어,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사이의 계면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When an interfacial alloy layer containing Fe and Zn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at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sheet through the interfacial alloy lay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ake it into the said range. However, since the interfacial alloy layer is very thin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hot-dip plated layer, as described below, when measuring the length Le with a microscope, it depends on the magnifica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but the interfacial alloy layer cannot be confirmed. ,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can be confirmed in some cases.

이 경우의 제1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계면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계면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초과인 영역으로 하면 된다. 또한, 제2 영역은,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계면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계면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이하인 영역으로 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length Le opposing the steel plate in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greater than 0.3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interface. do. In the second region,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faces the steel shee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s 0.3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ength L of the interface.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계면)에 있어서의, 경계(계면)의 길이 L에 대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의 비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판 두께 방향의 단면을 노출시킨다. 단면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하여 각각 5군데씩으로 한다. 각각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다. 각 단면에 있어서,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계면) 중 150㎛ 길이의 영역을 임의로 선택한다. 이 길이를 경계 길이 L(계면 길이 L)로 한다. 그리고, 선택한 경계(계면) 길이의 범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확인하고,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계면)에 있어서의 모든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합계의 길이 Le를 측정하고, Le/L을 구한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 5군데의 단면에 있어서 Le/L을 구하고, 그 평균을,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계면)에 있어서의, 경계(계면)의 길이 L에 대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의 비율로 한다.At the boundary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ratio of the length Le in which the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faces the steel shee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interface)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method can be measured with First, the cross section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is exposed. The cross section is set to 5 places each with respect to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Each section is photograph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each cross section, a 150 µm-long region is arbitrarily selected among the boundaries (interfaces)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Let this length be the boundary length L (interface length L). Then, in the range of the selected boundary (interface) lengt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was confirmed, and all [Al/Zn/MgZn 2 The length Le of the sum of ternary process structure] is measured, and Le/L is calculated|required. Find Le/L in each of the fiv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the average is [Al/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Zn/MgZn 2 ] is the ratio of the length Le opposing the steel sheet.

용융 도금층의 응고 시에 생성하는 〔Al상〕은, 통상은 용융 도금층의 두께 방향 전체로 석출된다. 그러나, 미리 강판 표면에 응고 핵이 되는 물질을 배치하면, 응고 핵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강판 표면에 부착된 용융 금속이 응고할 때, 강판 표면의 응고 핵을 핵으로 하여, 다수의 〔Al상〕이 석출된다. 생성된 〔Al상〕은, 비교적 강판에 가까운 측에 편석된다.The [Al phase] generated at the time of solidifica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usually precipitated in the entir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However, if a material that becomes solidification nuclei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n advance, in the region where the solidification nuclei are arranged, when the molten metal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solidifies, the solidification nuclei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re used as nuclei to form a large number of [Al phases]. ] is precipitated. The generated [Al phase] is segregated on the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steel sheet.

또한, 응고 핵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Al상〕이 비교적 고밀도로 생성되기 때문에, 〔Al상〕자체가 조대화되지 않고, 미세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응고 핵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Al상〕이 용융 도금층의 표면측까지 성장하지 않고,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계면) 근방에 〔Al상〕이 많이 석출된다. 이에 의해, 응고 핵이 배치된 영역에 있어서의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은, 석출량이 적어지고, 경계(계면)의 길이 L에 대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의 비율이 작아진다.In addition, in the region where the solidification nuclei are arranged, the [Al phase] is generated at a relatively high density, so the [Al phase] itself does not coarsen and becomes a fine state. For this reason, in the region where the solidification nuclei are arranged, the [Al phase] does not grow to the surface side of the hot-dip plated layer, and a large amount of [Al phase] is precipitated near the boundary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As a result, in the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in the region where the solidification nuclei are arrange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decreases, and [Al/Zn/MgZn 2 3 of 3 original eutectic structure], the ratio of the length Le opposing the steel sheet becomes small.

상기 (b)의 경우, 강판 표면에 있어서 응고 핵이 존재하는 영역이, 용융 도금층의 제2 영역이 되고, 응고 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용융 도금층의 제1 영역이 된다. 또한, 제2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영역의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계면)에는 응고 핵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영역의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계면)에, 탄소(C), 니켈(Ni), 칼슘(Ca), 붕소(B), 인(P), 티타늄(Ti), 망간(Mn), 철(Fe), 코발트(Co), 지르코늄(Zr), 몰리브덴(Mo), 텅스텐(W)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혹은 상술한 원소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case of said (b), the area|region where solidification nuclei exist in the steel plate surface becomes a 2nd area|region of a hot-dip plated layer, and the area|region where solidification nuclei do not exist becomes a 1st area|region of a hot-dip plated layer. Further, since the second region is formed by the mechanism described above, solidification nuclei may exist at the boundary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in the second region. More specifically, carbon (C), nickel (Ni), calcium (Ca), boron (B), phosphorus (P), titanium (Ti), Any one or two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anese (Mn), iron (Fe), cobalt (Co), zirconium (Zr), molybdenum (Mo), and tungsten (W), or among the elements described above A compound containing any 1 type or 2 or more types may exist.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계면)에 있어서의 상술한 원소 또는 화합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글로우 방전 발광 분광 분석 장치(GDS)를 사용하여, 스퍼터링으로 시료를 파들어가면서 제2 영역의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원소 분석을 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In order to confirm the presence of the above-mentioned element or compound at the boundary (interface)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a glow discharge emission spectroscopy apparatus (GDS) is used to dig into the sample by sputtering while melting with the steel sheet in the second region. It can confirm by performing elemental analysis in the boundary of a plating layer.

이상과 같이, 강판을 용융 도금욕에 침지하기 전에, 강판 표면에,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및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으로 응고 핵을 배치함으로써, 용융 도금층에 이들 형상을 갖는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efore the steel sheet is immersed in the hot-dip plating bath, solidification nuclei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n a shape in which any on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nd a lett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Thereby, the 2nd area|region which has these shapes can be formed in a hot-dip plated layer.

또한, 강판을 용융 도금욕에 침지하기 전에, 강판 표면에,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및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을 제외한 영역에, 응고 핵을 배치함으로써, 용융 도금층에 이들 형상을 갖는 제1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immersing the steel sheet in the hot-dip plating bath,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he solidification nucleus By disposing , the first region having these shapes can be formed in the hot-dip plated layer.

또한, 상기 (b)의 경우에서는, 또한,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Al상의 (200)면의 X선 회절 강도 I(200)과 (111)면의 X선 회절 강도 I(111)의 비 I(200)/I(111)이 0.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영역, 제2 영역에 상관없이, 비 I(200)/I(111)이 0.8 이상이면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 이상이 좋다.Further, in the case of (b), the ratio of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200) of the (200) plane of the Al phase to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111) of the (111) plan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t is preferable that I(200)/I(111) is 0.8 or more, and 0.80 or more is more preferable. Regardless of the 1st area|region and 2nd area|region, ratio I(200)/I(111) may just be 0.8 or more, More preferably, 0.80 or more is good.

비 I(200)/I(111)이 높아지면, 〔Al상〕중, (200)면이 용융 도금층의 표면과 평행해지는 〔Al상〕이 많아지고, (111)면이 용융 도금층의 표면과 평행해지는 〔Al상〕이 적어진다. 이에 의해,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서 본 경우에, 십자형으로 보이는 수지정이 많고, 육각 형상으로 보이는 수지정이 적어진다. 용융 도금층이 용융 상태로부터 응고하는 과정에 있어서, 초정으로서 석출되는 〔Al상〕이 도금 표면측에서 보아 결정 핵으로부터 십자형으로 수지정이 성장하게 되면, 가지와 가지가 이루는 각도가 넓어지고, 도금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융액의 유로가 생기기 쉬어져서, 도금 표면의 〔Al상〕이, 마지막으로 응고하는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으로 덮이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비 I(200)/I(111)이 높아지면, 그 표면이, 금속 광택으로 보이게 된다. 이에 의해, 용융 도금층의 외관 전체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에서는, 판 두께 방향의 경계(계면) 부근측에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많이 존재하고, 그 때문에 표면 부근에는 〔Al상〕이 많이 존재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제2 영역은 그 반대가 된다. 표면에 〔Al상〕이 많이 존재하는 개소에서는, 상기 이유에 의해 금속 광택이 보다 한층 강조되기 때문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보다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As the ratio I(200)/I(111) increases, among the [Al phases], the number of [Al phases] in which the (200) plane is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ncreases, and the (111) plane becomes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and [Al phase] becoming parallel decreases. Thereby, when seen from the surface of a hot-dip plated layer, there are many resin crystals seen in a cross shape, and a resin crystal seen in a hexagon shape decreases. In the process of solidifica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from the molten state, when the resin crystal grows in a cross shape from the crystal nucleus when the [Al phase] precipitated as a primary crystal is viewed from the plating surface side, the angle between the branch and the branch is widened, and the plated surface It is easy to generate a flow path of the mel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 so that the [Al phase] on the plating surface is easily covered by the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that finally solidifies. Thereby, when ratio I(200)/I(111) becomes high, the surface will appear metallic luster. Thereby, the whole external appearance of a hot-dip plated layer can be improved. Further, in the first region, a large amount of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exists near the boundary (interfac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therefore a large amount of [Al phase] exists near the surface. There is thi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gion is the opposite. In a location where a large amount of [Al phase] is present on the surface, since the metallic luster is further emphasized for the above reas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an be distinguished more clearly.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비 I(200)/I(111)은, 도금층 형성 후의 냉각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Ratio I(200)/I(111) in the surface of a hot-dip plating layer is controllable by adjusting the cooling rate after plating layer formation.

<화성 처리 피막층 및 도막층><Conversion treatment film layer and coating film layer>

본 실시 형태에 따른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은,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화성 처리 피막층이나 도막층을 가져도 된다. 여기서, 화성 처리 피막층이나 도막층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공지된 화성 처리 피막층이나 도막층을 사용할 수 있다.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chemical conversion coating layer or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Here, the kind of a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film layer or a coating film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 well-known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film layer and a coating film layer can be used.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이하, 본 실시 형태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a) 또는 (b)를 만족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순차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Zn-Al-Mg type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the above (a) or (b)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a)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1st area|region and the 2nd area|region satisfy|fill the said (a))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a)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열간 압연 강판을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열연판 어닐링을 행한다. 산세 후, 냉간 압연을 행하고, 냉연판으로 한다. 냉연판을 탈지, 수세한 후, 어닐링(냉연판 어닐링)하고, 어닐링 후의 냉연판을 용융 도금욕에 침지시켜서 용융 도금층을 형성한다. 용융 도금은, 강판을 용융 도금욕에 연속 통판시키는 연속식 용융 도금법이어도 되며, 강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 강재 또는 강판 자체를, 용융 도금욕에 침지하고 나서 끌어올리는 딥 남땜식 도금법이어도 된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where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satisfy|fill the said (a), first, a hot-rolled steel sheet is manufactured, and hot-rolled sheet annealing is performed as needed. After pickling, cold rolling is performed and it is set as a cold rolled sheet. After degreasing and washing a cold-rolled sheet with water, annealing (cold-rolled sheet annealing) is carried out, the cold-rolled sheet after annealing is immersed in a hot-dip plating bath, and a hot-dip plating layer is formed. The hot-dip plating may be a continuous hot-dip plating method in which a steel sheet is continuously passed through a hot-dip plating bath, or a steel material obtained by processing the steel sheet into a predetermined shape or the steel sheet itself is immersed in a hot-dip plating bath and then pulled up.

용융 도금욕은, Al: 4질량% 이상 25질량% 미만, Mg: 0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로서 Zn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도금욕은, Al: 4 내지 22질량%, Mg: 1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Zn 및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용융 도금욕은, Si: 0.0001 내지 2질량%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용융 도금욕은, Ni, Ti, Zr, Sr,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Hf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1 내지 2질량% 더 함유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용융 도금층의 평균 조성은, 용융 도금욕의 조성과 거의 동일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ot-dipping bath contains Al: 4 mass % or more and less than 25 mass %, Mg: 0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 mass %, and contains Zn and an impurity as balance. The hot-dip plating bath may contain Al: 4 to 22 mass% and Mg: 1 to 10 mass%, and the balance may contain Zn and impurities. Moreover, a hot-dip plating bath may contain Si:0.0001-2 mass %. In addition, the hot-dip plating bath is any one or two or more of Ni, Ti, Zr, Sr,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Hf. You may further contain 0.001-2 mass % in total. In addition, the average composition of the hot-dip plating layer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sition of a hot-dip plating bath.

용융 도금욕의 온도는, 조성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40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용융 도금욕의 온도가 이 범위이면, 원하는 용융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Although the temperature of a hot-dip plating bath changes with a composition, the range of 400-500 degreeC is preferable, for example. It is because a desired hot-dip plating layer can be formed as the temperature of a hot-dip plating bath is this range.

또한, 용융 도금층의 부착량은, 용융 도금욕으로부터 끌어올려진 강판에 대하여 가스 와이핑 등의 수단으로 조정하면 된다. 용융 도금층의 부착량은, 강판 양면의 합계의 부착량이 30 내지 600g/㎡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량이 30g/㎡ 미만인 경우, 용융 도금 강판의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부착량이 600g/㎡ 초과인 경우, 강판에 부착된 용융 금속의 늘어뜨림이 발생하여, 용융 도금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just the adhesion amount of a hot-dip plating layer by means, such as gas wiping, with respect to the steel plate pulled up from a hot-dip plating bath.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adhesion amount of a hot-dip plated layer so that the total adhesion amount on both surfaces of a steel plate may become the range of 30-600 g/m<2>. When the adhesion amount is less than 30 g/m 2 ,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hot-dip plated steel sheet is lowered. When the adhesion amount is more than 600 g/m 2 , drooping of the molten metal adhering to the steel sheet occurs and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cannot be smoothed, so it is not preferable.

상기 (a)를 만족시키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용융 도금층의 부착량을 조정한 후, 강판 전체를 냉각하면서, 용융 상태의 금속에 대하여 비산화성 가스를 가스 노즐에 의해 국소적으로 분사한다. 비산화성 가스로서는 질소나 아르곤 등의 비산화성 가스를 사용하면 된다.In order to form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ing the above (a), after adjusting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hot-dip plated layer, while cooling the entire steel sheet, a non-oxidizing gas is locally applied to the molten metal by means of a gas nozzle. spray with As the non-oxidizing gas, a non-oxidizing gas such as nitrogen or argon may be used.

제1 영역을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영역의 형성을 위해서 용융 도금층의 거의 전체에 대하여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를 10℃/초 이상에서 냉각시킨다. 또한, 제1 영역의 형성을 위해서 용융 도금층의 일부에 대하여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를, 제2 영역보다도 느린 속도인 8℃/초 미만에서 냉각시킨다.In order to make the first region into a predetermined shape, for the 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bath temperature to 345°C is cooled at 10°C/sec or more for substantially the entirety of the hot-dip plated layer. In addi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first region,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bath temperature to 345°C for a part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cooled at a rate s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of less than 8°C/sec.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의 형성을 위해서 용융 도금층의 거의 전체에 대하여 송풍 냉각 또는 미스트 냉각을 행하여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를 15℃/초 이상으로 하면서, 제1 영역의 형성을 위해서 용융 도금층의 일부에 대하여 냉각하지 않고 방랭(방치)하거나, 혹은 비교적 고온의 비산화성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를 5℃/초 이하로 한다. 이 경우의 비산화성 가스의 온도는, 예를 들어 100 내지 300℃의 범위로 하면 된다. 단, 상기 평균 냉각 속도를 충족할 수 있으면, 비산화성 가스의 온도는 한정할 필요는 없다.More preferably, for the 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blow cooling or mist cooling is performed for almost the entirety of the hot-dip plated layer so that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bath temperature to 345°C is 15°C/sec or more, the first region is formed For this purpose,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bath temperature to 345°C is set to 5°C/sec or less by standing to cool (standing) without cooling a part of the hot-dip plated layer, or by spraying a relatively high-temperature non-oxidizing gas. The temperature of the non-oxidizing gas in this case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0 to 300°C. However, as long as the said average cooling rate can be satisfied, the temperature of a non-oxidizing gas does not need to be limited.

또한, 제2 영역을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영역의 형성을 위해서 용융 도금층의 거의 전체에 대하여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를 8℃/초 이하에서 냉각시킨다. 또한, 제2 영역의 형성을 위해서 용융 도금층의 일부에 대하여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를, 제1 영역보다도 빠른 속도인 10℃/초 이상으로 냉각시킨다.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second area|region into a predetermined|prescribed shape, for formation of the 1st area|region,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a bath temperature to 345 degreeC is cooled at 8 degreeC/sec or less with respect to almost the whole hot-dip plated layer. In addi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a portion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cooled at an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bath temperature to 345° C. at a rate of 10° C./sec or more, which is faster than that of the first region.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의 형성을 위해서 용융 도금층의 거의 전체를 방랭하여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를 5℃/초 이하로 하면서, 제2 영역의 형성을 위해서 용융 도금층의 일부에 대하여 비교적 저온의 비산화성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를 15℃/초 이상으로 한다. 제1 영역의 냉각은, 냉각 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 50 내지 150℃의 분위기 중에서 행해도 된다. 또한, 제2 영역을 냉각할 때의 비산화성 가스의 온도는, 예를 들어 10 내지 30℃의 범위로 해도 되고, 수적을 포함하는 미스트 가스로 해도 된다. 단, 상기 평균 냉각 속도를 충족할 수 있으면, 제1 영역의 냉각 시의 분위기 온도나 비산화성 가스의 온도는, 한정할 필요는 없다.More preferably, for the formation of the first region, almost the entirety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left to cool, and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bath temperature to 345° C. is 5° C./sec or less, while a part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partially cooled for the formation of the second region. By injecting a relatively low-temperature non-oxidizing gas to the water, the average cooling rate from the bath temperature to 345°C is set to 15°C/sec or more. In order to reduce a cooling rate, you may perform cooling of a 1st area|region in 50-150 degreeC atmospher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non-oxidizing gas at the time of cooling a 2nd area|region is good also as the range of 10-30 degreeC, for example, and good also as mist gas containing water droplets. However, as long as the said average cooling rate can be satisfied,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t the time of cooling of a 1st area|region, and the temperature of a non-oxidizing gas.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b)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1st area|region and the 2nd area|region satisfy|fill (b) above)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b)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제조 방법에서는, 강판에 응고 핵을 소정의 패턴이 되도록 배치하고, 이어서 강판을 용융 도금욕에 침지시키고 나서 끌어올리고, 이어서 냉각시켜 용융 도금층을 응고시킴으로써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한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the above (b), solidification nuclei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steel sheet, then the steel sheet is immersed in a hot-dip plating bath, pulled up, and then cooled By solidifying the hot-dip plated layer,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is manufactured.

우선, 열간 압연 강판을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열연판 어닐링을 행한다. 산세 후, 냉간 압연을 행하고, 냉연판으로 한다. 냉연판을 탈지, 수세한 후, 어닐링(냉연판 어닐링)하고, 어닐링 후의 냉연판을 용융 도금욕에 침지시켜 용융 도금층을 형성한다.First, a hot-rolled steel sheet is manufactured, and hot-rolled sheet annealing is performed as needed. After pickling, cold rolling is performed and it is set as a cold rolled sheet. After the cold-rolled sheet is degreased and washed with water, it is annealed (cold-rolled sheet annealing), and the cold-rolled sheet after annealing is immersed in a hot-dip plating bath to form a hot-dip plated layer.

여기서, 냉간 압연으로부터 용융 도금욕에 침지시킬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강판 표면에 응고 핵을 부착시켜서,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및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의 패턴부를 형성한다. 응고 핵의 부착은, 냉간 압연과 냉연판 어닐링의 사이, 냉연판 어닐링과 용융 도금욕으로의 침지의 사이, 또는 냉연판 어닐링의 최종 어닐링의 직전 중 어느 단계에서 실시하면 된다.Here, during the period from cold rolling to immersion in the hot-dip plating bath, solidification nuclei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any one or two or mor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nd a letter. A pattern portion having a shape combining the The solidification nuclei may be attached at any stage between cold rolling and annealing of the cold-rolled sheet, between annealing of the cold-rolled sheet and immersion in a hot-dip bath, or immediately before the final annealing of the annealing of the cold-rolled sheet.

응고 핵을 형성하는 성분(이하, '응고 핵 형성 성분'이라 호칭하는 경우가 있음)으로서는, 도금층이 응고하는 과정에 있어서, 응고 핵을 형성하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응고 핵 형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C), 니켈(Ni), 칼슘(Ca), 붕소(B), 인(P), 티타늄(Ti), 망간(Mn), 철(Fe), 코발트(Co), 지르코늄(Zr), 몰리브덴(Mo), 텅스텐(W)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혹은 상술한 원소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은, 1 또는 2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강판 표면에 응고 핵을 부착시키는 방법의 예로서는, 응고 핵 형성 성분 그 자체 외에, 합금 박이나 수지, 계면 활성제, 잉크, 오일 등에 응고 핵 형성 성분을 함유시켜 강판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응고 핵 형성 성분은, 고체 그 자체여도 되고, 물이나 유기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안료 또는 염료로서 잉크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The component that forms solidification nuclei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nent that forms solidification nuclei in the process of solidification of the plating layer. As the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 for example, carbon (C), nickel (Ni), calcium (Ca), boron (B), phosphorus (P), titanium (Ti), manganese (Mn), iron (Fe), cobalt (Co), zirconium (Zr), molybdenum (Mo),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ungsten (W), or a compound containing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 above elements and the like. You may use the said component in combination of 1 or 2 or more. Examples of the method for attaching the solidification nuclei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nclude a method in which, in addition to the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 itself, a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 is contained in alloy foil, resin, surfactant, ink, oil, etc.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hese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s may be solid itself, and may be melt|dissolved or disperse|distributed in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lternatively, the ink may be contained as a pigment or dye.

응고 핵을 강판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응고 핵 형성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강판 표면에 전사, 도포, 분사하는 등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핫 스탬프나 콜드 스탬프 등을 사용한 박 전사법, 각종 판을 사용한 인쇄법(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오프셋 인쇄, 실크 인쇄 등), 잉크젯법, 잉크 리본 등을 사용한 열전사법 등, 일반적인 인쇄법을 이용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attaching the solidification nuclei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for example, a method such as transferring, applying, or spraying a material containing a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can be exemplified. For example, a foil transfer method using hot stamping or cold stamping, etc., a printing method using various plates (gravure printing, flexographic printing, offset printing, silk printing, etc.), an inkjet method, a thermal transfer method using an ink ribbon, etc., Common printing methods can be used.

합금 박을 사용한 전사 방법의 일례로서, 응고 핵 형성 성분을 함유하는 합금 박을 강판 표면에 접착시키면서, 가열된 실리콘 롤을 합금 박에 압박해서 강판 표면에 전사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transfer method using the alloy foil, there is a method in which an alloy foil containing a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a steel sheet, and a heated silicon roll is pressed against the alloy foil to transfer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판을 사용한 인쇄 방법의 일례로서, 인쇄 패턴을 둘레면에 형성한 고무 롤 또는 고무 스탬프에, 응고 핵이 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잉크 또는 계면 활성제를 부착시키면서, 고무 롤 또는 고무 스탬프를 강판 표면에 압박해서 잉크 또는 계면 활성제를 전사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이면, 연속해서 통판하는 강판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응고 핵 형성 성분을 강판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printing method using a plate, the rubber roll or rubber stamp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a steel plate while attaching an ink or surfactant containing a component that serves as a solidification nucleus to a rubber roll or rubber stamp having a printed pattern formed on its peripheral surface. Thus, a method of transferring ink or surfactant is exemplified. With this method, the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 can be efficient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with respect to the steel sheet that is continuously passed through.

응고 핵의 부착량은, 예를 들어 50㎎/㎡ 이상 500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부착량이 50㎎/㎡ 미만인 경우에는, 제1 영역이 육안, 확대경하 또는 현미경하에서 식별 가능할 정도로 형성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부착량이 5000㎎/㎡ 초과인 경우에는, 용융 도금층의 밀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The adhesion amount of coagulation nuclei is, for exampl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mg/m 2 or more and 5000 mg/m 2 or less. When the adhesion amount is less than 50 mg/m 2 ,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rst region is not formed to a degree that can be discerned with the naked eye, under a magnifying glass or under a microscope. 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adhesiveness of a hot-dip plated layer may fall when an adhesion amount is more than 5000 mg/m<2>, it is unpreferable.

다음으로, 응고 핵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패턴부가 형성된 강판을, 용융 도금욕에 침지시킨다. 용융 도금은, 강판을 용융 도금욕에 연속 통판시키는 연속식 용융 도금법이어도 되며, 강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 강재 또는 강판 자체를, 용융 도금욕에 침지하고 나서 끌어올리는 딥 납땜식 도금법이어도 된다.Next, the steel sheet in which the pattern part which consists of solidification nuclei was formed is immersed in a hot-dip plating bath. The hot-dip plating may be a continuous hot-dip plating method in which a steel sheet is continuously passed through a hot-dip plating bath, or a steel material obtained by processing the steel sheet into a predetermined shape or the steel sheet itself is immersed in a hot-dip plating bath and then pulled up.

용융 도금욕의 조성, 용융 도금욕의 온도, 용융 도금층의 부착량 및 부착량의 제어 방법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a)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제조 방법과 동일해도 된다.The composition of the hot-dip plating bath, the temperature of the hot-dip plating bath,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hot-dip laye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deposition amount may be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the above (a).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상기 (b)를 만족시키는 경우의 제조 방법에서는, 용융 도금층의 부착량을 조정한 후, 또한 용융 상태인 것 같이 와이핑 시의 온도를 조정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와이핑 통과 후, 도금 중에 Al상의 미세 결정을 많이 생성시키기 위해서 급속 냉각이 필요해진다. 한편 응고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응고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와이핑 통과 후, 1초 이내에, 응고가 개시되는 온도(액상선 온도)보다 낮고, 도금이 완전히 응고되는 온도(고상선 온도) 이상의 온도까지 냉각시킨다. 미세 결정을 충분히 석출시키기 위해서는 액상선 온도보다 20℃ 이상 낮은 온도까지 1초 이내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the above (b),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wiping as if in a molten state after adjusting the adhesion amount of the hot-dip plated layer. In addition, after the wiping pass, rapid cooling is required in order to generate many fine crystals of Al phase during plating.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djust the direction of coagulation, the coagulation state must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fore, within 1 second after passing the wiping, it is cooled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solidification starts (liquidus temperature) and higher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plating is completely solidified (solidus temperature). In order to sufficiently precipitate fine crystals, it is preferable to cool the liquidus to a temperature 20° C. or more lower than the liquidus temperature within 1 second.

또한, Al이 우선적으로 석출되는 것도 요구되므로, 고상선의 위에 존재하는 Al에 첨가해서 MgZn2상이 석출되는 온도(MgZn2상 석출 온도선으로 함)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급속 냉각을 멈추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gZn2상 석출 온도+5)℃ 이상의 온도까지 냉각시킴으로써, Al의 미세 결정만이 생성되고, Al의 결정 방위가 일치되기 쉬워진다. 그 후는 결정 성장시키기 위해서 평균 냉각 속도 10℃/초 미만의 서랭으로 300℃ 이하까지 냉각시킨다.In addition, since it is also required that Al preferentially precipitate, it is more preferable to add to Al existing above the solidus line and stop the rapid cooling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gZn 2 phase is precipitated (referred to as the MgZn 2 phase precipitation temperature line). . By cooling to a temperature of (MgZn 2 phase precipitation temperature +5)°C or higher, only fine crystals of Al are produced, and the crystal orientation of Al is easily matched. After that, in order to grow crystals, it is cooled to 300°C or less by slow cooling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less than 10°C/sec.

용융 도금층의 형성 후,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화성 처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융 도금층을 형성한 후의 용융 도금 강판에 대하여, 화성 처리를 행한다. 화성 처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화성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When forming a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layer on the surface of a hot-dip plated layer after formation of a hot-dip plated layer,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hot-dip plated steel sheet after forming a hot-dip plated layer. The kind of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 well-known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can be used.

또한, 용융 도금층의 표면이나 화성 처리층의 표면에 도막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융 도금층을 형성한 후, 또는 화성 처리층을 형성한 후의 용융 도금 강판에 대하여, 도장 처리를 행한다. 도장 처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도장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forming a coating film layer on the surface of a hot-dip plated layer or the surface of a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layer, a coating process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hot-dip plated steel sheet after forming a hot-dip plated layer or after forming a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layer. The kind of painting process is not specifically limited, Well-known painting process can be us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은, 용융 도금층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포함되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하기 (a) 또는 (b) 중 어느 한쪽을 충족함으로써,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인쇄나 도장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아져 있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인쇄나 도장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용융 도금층의 내식성에 대한 영향도 없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용융 도금층의 표면을 연삭 등에 의해 형성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용융 도금 강판은, 내식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included in the hot-dip plated layer,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the following (a) or (b) ),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ince the 1st area|region and the 2nd area|region are not formed by printing or painting, durability is high. Further, sinc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not formed by printing or painting,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n addition, the 1st area|region and the 2nd area|region are not formed by grinding etc. the surface of a hot-dip plated layer. Therefore, the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의 내구성이 높고, 내식성 등의 적합한 도금 특성을 갖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을 의도적 혹은 인공적인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직선부, 곡선부, 도트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혹은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이 되도록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을 배치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having high durability in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having suitable plating characteristics such as corrosion resistance. In particular,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can be intentionally or artificially shaped, and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se can be combined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may be arranged to form a single shape.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에서는,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인쇄나 도장을 행하지 않고, 다양한 의장, 상표, 그 밖의 식별 마크를 나타낼 수 있어, 강판의 출처의 식별성이나 디자인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의해, 공정 관리나 재고 관리 등에 필요한 정보나 수요자가 요구하는 임의의 정보를,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에 부여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생산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this embodiment, various designs, trademarks, and other identification marks can b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without printing or painting, so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source of the steel sheet and Design, etc.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cess control, inventory control, etc. or arbitrary information requested by a consumer can also be provided to a Zn-Al-Mg type hot-dip plated steel sheet by the 1st area|region or 2nd area|region. Thereby,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a Zn-Al-Mg type hot-dip plated steel sheet.

실시예Examp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Example 1)

강판을 탈지, 수세한 후에, 환원 어닐링, 도금욕 침지, 부착량 제어, 냉각을 행함으로써, 표 2A 및 표 2B에 나타낸 No. 1-1 내지 1-21의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부착량 제어 후의 냉각은, 도금욕으로부터 강판을 끌어올리고 나서 가스 와이핑에 의해 부착량을 조정한 다음에 강판 전체를 냉각하면서, 용융 상태의 금속에 대하여 질소 가스를 가스 노즐에 의해 국소적으로 분사하였다. 그 후, 냉각해서 용융 금속을 완전히 응고시켰다. 질소 가스의 분사 범위는, 50㎜ 간격의 격자형 패턴이 되도록 제어하였다. 표 1에 냉각 조건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평균 냉각 속도는, 모두 욕온으로부터 345℃까지 사이의 평균 냉각 속도이다.After the steel sheet was degreased and washed with water, by performing reduction annealing, plating bath immersion, deposition amount control, and cooling, the No. Hot-dip plated steel sheets of 1-1 to 1-21 were prepared. After controlling the deposition amount, after the steel sheet was pulled up from the plating bath, the deposition amount was adjusted by gas wiping, and then, while the entire steel sheet was cooled, nitrogen gas was locally sprayed with a gas nozzle to the molten metal. Then, it cooled and completely solidified the molten metal. The injection range of nitrogen gas was controlled so that it might become a grid|lattice pattern with intervals of 50 mm. Table 1 shows the cooling conditions. The average cooling rates shown in Table 1 are all average cooling rates from the bath temperature to 345°C.

냉각 조건 A 내지 C에 의해 제2 영역에서 격자형 패턴을 표현시키고, 냉각 조건 D에 의해 제1 영역에서 격자형 패턴을 표현시켰다. 또한, 냉각 조건 E, F는, 비교예의 패턴으로 하였다.The lattice pattern was expressed in the second region under the cooling conditions A to C, and the lattice pattern was expressed in the first region under the cooling condition D. In addition, cooling conditions E and F were made into the pattern of a comparative example.

냉각 조건 A는, 강판 전체를 120℃의 분위기 중에서 서랭하면서, 비산화성 가스로서 30℃의 질소 가스를 분사하였다.As for the cooling conditions A, 30 degreeC nitrogen gas was injected as a non-oxidizing gas, while cooling the whole steel plate in 120 degreeC atmosphere.

냉각 조건 B는, 강판 전체를 방랭하면서, 비산화성 가스로서 20℃의 질소 가스를 분사하였다.The cooling condition B sprayed 20 degreeC nitrogen gas as a non-oxidizing gas, standing to cool the whole steel plate.

냉각 조건 C는, 강판 전체를 방랭하면서, 비산화성 가스로서 미스트를 포함하는 질소 가스를 분사하였다.The cooling condition C sprayed the nitrogen gas containing mist as a non-oxidizing gas, standing to cool the whole steel plate.

냉각 조건 D는, 강판 전체를, 미스트를 포함하는 질소 가스로 냉각하면서, 비산화성 가스로서 250℃의 질소 가스를 분사하였다.The cooling condition D sprayed 250 degreeC nitrogen gas as a non-oxidizing gas, cooling the whole steel plate with the nitrogen gas containing mist.

또한, 냉각 조건 E는, 강판 전체를 30℃의 질소 가스 중에서 방랭하면서, 비산화성 가스로서 30℃의 질소 가스를 분사하였다. 냉각 조건 F는, 강판 전체를 방랭하였다.In addition, cooling condition E sprayed 30 degreeC nitrogen gas as a non-oxidizing gas, standing to cool the whole steel plate in 30 degreeC nitrogen gas. The cooling condition F allowed the whole steel plate to cool.

[표 1][Table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2A][Table 2A]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표 2B][Table 2B]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그 후,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잉크젯법에 의해, 50㎜ 간격의 격자형 패턴을 인쇄하였다. 이 결과를 No. 1-22로서 표 2A 및 표 2B에 나타낸다.Further,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hereafter, a grid pattern at intervals of 50 mm wa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by an inkjet method. This result is No. 1-22 as shown in Tables 2A and 2B.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그 후, 용융 도금층의 표면을 연삭하고, 50㎜ 간격의 격자형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 결과를 No. 1-23로서 표 2A 및 표 2B에 나타낸다.Further,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was ground to form a grid pattern at intervals of 50 mm. This result is No. 1-23 as shown in Tables 2A and 2B.

얻어진 용융 도금 강판에 대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를 구하였다. 우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는, 용융 도금층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특정하였다. 경계의 판별이 어려운 예에서는, 질소 가스의 분사 범위가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인 것으로 하였다.About the obtained hot-dip plated steel sheet,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n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was calculated|required. First, the boundary of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was specified by visually observing the surface of a hot-dip plating layer. In an exampl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boundary, the nitrogen gas injection range is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Al상〕의 평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우선, 용융 도금층의 표면 중,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임의의 3시야의 영역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의 반사 전자 상으로 촬영하였다. 각 영역의 사이즈는, 500㎛×360㎛의 직사각형 영역으로 하였다. 촬영된 사진에 있어서, 수지상의 〔Al상〕을 확인하였다. 수지상의 〔Al상〕은, 대체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부와, 주축부로부터 연장된 1차 암부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었다. 사진 내의 〔Al상〕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길이 A를 측정하였다. 3시야에 있어서 모든 〔Al상〕의 길이 A를 구하고, 그 평균값을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있어서의 〔Al상〕의 평균 길이로 하였다. 또한, 수지상의 〔Al상〕은, 응고 핵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성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동일 평면에 배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표면으로부터 관찰하는 경우에는 그 일부, 예를 들어 암 선단만이 관찰되거나, 또는 주축부만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Al상〕은, 계측의 대상으로부터 배제하였다. 한편, 주축과 암의 사이에 다른 상이 덮이고, 연결되지 않도록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측정 대상으로 하였다.The average length of [Al phase]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in each of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among the surface of a hot-dip plated layer, the area|region of 3 arbitrary fields was image|photographed with the reflection electron image o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size of each region was a rectangular region of 500 µm × 360 µm. In the photographed photograph, the dendritic [Al phase] was confirmed. The dendritic [Al phase] had a shape having a main shaft and a primary arm extending from the main shaft, as shown in FIG. 1 . With respect to the [Al phase] in the photograph, the length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measured. The length A of all the [Al phases] was calculated|required in 3 views, and the average value was made into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n a 1st area|region or a 2nd area|region. In addition, although the dendritic [Al phase] grows radially from the solidification nucleus in many cases, it is not limited to arranging in the same plane, and when observed from the surface, only a part of it, for example, a cancer tip, or , or only the main shaft part may be observed. Such [Al phase] was excluded from the measurement target. On the other hand, what could be observed so that the other phase was covered and not connected between the main shaft and the arm was set as the measurement object.

[식별성] [identity]

격자형의 패턴을 실시한 시험판의, 제조한 직후의 초기 상태의 것과, 6개월 간 옥외 폭로한 경시 상태의 것을 대상으로, 하기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초기 상태, 경시 상태 모두 A 내지 C를 합격으로 하였다.Visual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criteria for the test plates subjected to the grid pattern, those in an initial state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and those in an aging state exposed outdoors for 6 months. Both the initial state and the aging state made A to C a pass.

A: 5m 앞에서부터도 격자형 패턴을 시인할 수 있다.A: The grid pattern can be visually recognized even from 5m in front.

B: 5m 앞에서부터는 격자형 패턴을 시인할 수 없지만, 3m 앞에서부터의 시인성은 높다.B: A grid pattern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from 5 m in front, but visibility from 3 m in front is high.

C: 3m 앞에서부터는 격자형 패턴을 시인할 수 없지만, 1m 앞에서부터의 시인성은 높다.C: A grid pattern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from 3 m in front, but visibility from 1 m in front is high.

D: 1m 앞에서부터 격자형 패턴을 시인할 수 없다.D: A grid pattern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from 1 m in front.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

시험판을 150×70㎜로 절단하고, JASO-M609에 준거한 부식 촉진 시험 CCT를 30사이클 시험한 후, 녹 발생 상황을 조사하고, 하기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A 내지 C를 합격으로 하였다.The test plate was cut to 150 x 70 mm, and after 30 cycles of corrosion acceleration test CCT based on JASO-M609 was tested, the rust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situation was investigated, and it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on. A to C were made pass.

A: 녹 발생이 없고, 격자형 패턴과 그 이외의 영역이 모두 미려한 의장 외관을 유지하고 있다.A: There is no rust, and the lattice pattern and the other areas maintain a beautiful design appearance.

B: 녹 발생은 없지만, 격자형 패턴과 그 이외의 영역에 매우 근소한 의장 외관 변화가 보인다. B: There is no rust generation, but a very slight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design is seen in the grid pattern and other areas.

C: 의장 외관이 약간 손상되어 있지만, 격자형 패턴과 그 이외의 영역이 눈으로 보아 구별 가능하다.C: Although the appearance of the design is slightly damaged, the grid pattern and the area other than that are visually distinguishable.

D: 격자형 패턴과 그 이외의 영역의 외관 품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어, 눈으로 보아 구별할 수 없다.D: The lattice pattern and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regions other than that were remarkably deteriorated and could not be visually distinguished.

표 2A 및 표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 1-1 내지 No. 1-19의 본 발명예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은, 식별성 및 내식성의 양쪽이 우수하였다. 도 2에, No. 1-4의 제1 영역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를 나타내고, 도 3에, No. 1-4의 제2 영역에 있어서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제1 영역에 있어서의 〔Al상〕은, 도 3에 도시한 제2 영역에 있어서의 〔Al상〕에 비하여, 〔Al상〕의 평균 길이가 커져 있고, 각각 다른 외관을 드러내고 있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식별 가능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A and Table 2B, No. 1-1 to No. Th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s of Examples 1-19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excellent in both identification and corrosion resistance. 2, No. The observation result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1st area|region of 1-4 is shown, and in FIG. 3, No. The observation result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the 2nd area|region of 1-4 is shown. In the [Al phase] in the first region shown in Fig. 2,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is larger than that of the [Al phase] in the second region shown in Fig. 3, and each has a different appearance.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identifiable.

No. 1-20 및 No. 1-21은, 냉각 조건이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에, 격자형 패턴이 확인되지 않았다.No. 1-20 and No. In 1-21, the lattice pattern was not confirmed because the cooling conditions were not appropriate.

또한, 잉크젯법으로 격자형의 패턴을 인쇄한 No. 1-22는, 6개월 간의 옥외 폭로에 의해 패턴이 얇아져서, 식별성이 저하되었다.In addition, No. 5, which printed a grid pattern by the inkjet method. In 1-22, the pattern became thin by the outdoor exposure for 6 months, and the discrimination property fell.

또한, 연삭에 의해 격자형의 패턴을 형성한 No. 1-23은, 연삭한 개소의 도금층 두께가 저하되어, 연삭 개소에서의 내식성이 저하되었다.Moreover, No. which formed a grid|lattice pattern by grinding. In 1-23, the plating layer thickness of the ground location fell,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in the ground location fell.

또한, No. 1-1 내지 No. 1-23의 도금층에는, 〔Al상〕과,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포함하고 있었다.Also, No. 1-1 to No. The plating layer of 1-23 contained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도 4에는, Zn-Al-Mg계 용융 도금층에 질소 가스가 분사됨으로써, 문자열(알파벳)을 나타낸 용융 도금 강판의 표면을 나타낸다.Fig. 4 shows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steel sheet showing character strings (alphabet) by spraying nitrogen gas to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 도금 강판의 표면에, 문자나 마크를 의도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or marks can be intentionally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실시예 2)(Example 2)

냉간 압연 후의 강판을 탈지, 수세하였다. 이어서, 50㎜ 간격의 격자형 패턴이 전사된 형상을 갖는 고무판에, 표 3에 나타낸 응고 핵 형성 성분(C 또는 Ni의 미립자)을 포함하는 잉크를 부착시켰다. 이 고무판을 수세 후의 강판에 압박함으로써, 잉크를 강판 표면에 부착시켰다. 그 후, 강판에 대하여 냉연판 어닐링을 행하였다. 냉연판 어닐링 후의 강판을 용융 도금욕에 침지하고 나서 끌어올렸다. 그 후, 부착량을 가스 와이핑에 의해 조정하고, 또한 냉각을 행하였다. 부착량 제어 후의 냉각은, 가스 와이핑을 통과하고 나서 1초 후의 용융 도금층의 온도가 표 4에 나타낸 온도가 되는 냉각 조건에서 냉각하고, 그 후, 방랭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표 5A 및 표 5B에 나타낸 No. 2-1 내지 No. 2-20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표 4의 강판 온도는, 모두 응고가 개시하는 온도(액상선 온도) 이하이고, 도금이 완전히 응고하는 온도(고상선 온도)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MgZn2의 석출이 시작되는 온도 +5)℃ 이상, (액상선 온도 -20)℃ 미만의 범위였다.The steel sheet after cold rolling was degreased and washed with water. Then, an ink containing a solidification nucleation component (fine particles of C or Ni) shown in Table 3 was adhered to a rubber plate having a shape on which a grid-like pattern at intervals of 50 mm was transferred. By pressing this rubber plate against the steel plate after washing with water, the ink was made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Then, cold-rolled sheet annealing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steel sheet. The steel sheet after cold-rolled sheet annealing was immersed in a hot-dip plating bath, and then it was pulled up. Then, the adhesion amount was adjusted by gas wiping, and further cooling was performed. The cooling after adhesion amount control was cooled on the cooling conditions used as the temperature of the hot-dip plated layer 1 second after passing through gas wiping to the temperature shown in Table 4, and it stood to cool after that. In this way, the Nos. shown in Tables 5A and 5B. 2-1 to No.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2-20 was prepared. All of the steel sheet temperatures in Table 4 are below the temperature at which solidification starts (liquidus temperature), and above the temperature at which plating is completely solidified (solidus temperature), preferably (temperature at which MgZn 2 precipitation starts +5) It was in the range of not less than °C and less than (liquidus temperature -20) °C.

또한, 응고 핵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에 대하여, 용융 도금욕에 의한 도금 처리를 행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No. 2-21로 하여, 표 5A 및 표 5B에 나타낸다.A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xcept that the steel sheet to which no solidification nuclei were attached was subjected to plating by a hot-dip plating bath. This is No. As 2-21, it is shown in Table 5A and Table 5B.

또한, 응고 핵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에 대하여, 용융 도금욕에 의한 도금 처리를 행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이 강판의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잉크젯법에 의해, 50㎜ 간격의 격자형 패턴을 인쇄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No. 2-22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A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xcept that the steel sheet to which no solidification nuclei were attached was subjected to plating by a hot-dip plating bath. A grid pattern at intervals of 50 mm wa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of this steel sheet by an inkjet method. In this way, No.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2-22 was prepared.

또한, 응고 핵을 부착시키지 않은 강판에 대하여, 용융 도금욕에 의한 도금 처리를 행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그 후, 용융 도금층의 표면을 연삭하여, 50㎜ 간격의 격자형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No. 2-23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A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xcept that the steel sheet to which no solidification nuclei were attached was subjected to plating by a hot-dip plating bath. 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was ground to form a grid pattern at intervals of 50 mm. In this way, No.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of 2-23 was prepared.

얻어진 용융 도금 강판에 대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있어서의,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경계의 길이 L에 대한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의 비를 구하였다. 우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계는, 용융 도금층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특정하였다. 경계의 판별이 어려운 예에서는, 응고 핵의 부착 범위가 제2 영역인 것으로 하였다.With respect to the obtained hot-dip plated steel sheet, in the first region and in the second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ratio of the length Le at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faces the steel sheet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was determined. First, the boundary of a 1st area|region and a 2nd area|region was specified by visually observing the surface of a hot-dip plating layer. In an exampl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 boundary, the adhesion range of the coagulation nucleus is assumed to be the second region.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의, 경계의 길이 L에 대한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의 비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우선,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판 두께 방향의 단면을 노출시켰다. 단면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하여 각각 5군데씩으로 하였다. 각각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각 단면에 있어서,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 중, 150㎛의 길이의 영역을 임의로 선택하였다. 이 길이를 경계 길이 L로 하였다. 그리고, 선택한 경계 길이의 범위에 있어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확인하고,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의 모든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의 합계의 길이 Le를 측정하고, Le/L을 구한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각각 5군데의 단면에 있어서 Le/L을 구하고, 그 평균을, 강판과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의, 경계의 길이 L에 대한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의 비율로 하였다.The ratio of the length Le in which the ternary eutectic structure to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faces the steel shee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he cross section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as exposed. The cross section was made into 5 places each with respect to the 1st area|region and 2nd area|region. Each cross section was photograph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each cross section, a 150-micrometer-long area|region was arbitrarily selected from the boundary of a steel plate and a hot-dip plated layer. This length was made into the boundary length L. Then, in the range of the selected boundary length,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was confirmed, and all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was The length Le of the sum is measured, and Le/L is calculated|required. In each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Le/L is obtained, and the average is calculated as [Al/Zn/MgZn 2 3 of the boundary length L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original process structure] was set as the ratio of the length Le opposing the steel plate.

또한, 용융 도금층의 표면이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Al상의 (200)면의 X선 회절 강도 I(200)과 (111)면의 X선 회절 강도 I(111)의 비 I(200)/I(111)을 구하였다. CuKα1선을 사용한 X선 회절법에 의해,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 Al상의 (200)면의 X선 회절 강도 I(200)과 (111)면의 X선 회절 강도 I(111)을 측정하고, 그 비 I(200)/I(111)을 구하였다. Al상의 (200)면의 피크 강도는, 2θ 범위에서 44.74°로 나타나는 Al의 (200)면 회절 피크의 강도로 하였다. Al상의 (111)면의 피크 강도는, 2θ 범위에서 38.47의 범위로 나타나는 Al의 (111)면 회절 피크의 강도로 하였다. X선 회절 측정은, 미소 영역 측정용 X선 회절 장치를 사용하였다. 스텝은 0.02°, 주사 속도는 5°/분으로 하고, 검출기는 고속 반도체 2차원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X선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X선은, 폴리 모세관에 의해 집광하였다. 집광 후의 X선의 조사 범위는, 직경 1㎜의 원형으로 하였다.In addition, in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the ratio I(200)/I of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200) of the (200) plane of the Al phase and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111) of the (111) plane (111) was found.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 (200) of the (200) plane of the Al phase and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 (111) of the (111) plane were measured by the X-ray diffraction method using CuKα1 ray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 the ratio I(200)/I(111) was obtained. The peak intensity of the (200) plane of the Al phase was taken as the intensity of the (200) plane diffraction peak of Al indicated at 44.74° in the 2θ range. The peak intensity of the (111) plane of the Al phase was taken as the intensity of the (111) plane diffraction peak of Al, which appeared in the range of 38.47 in the 2θ range. For the X-ray diffraction measurement, an X-ray diffraction apparatus for micro-region measurement was used. The step was 0.02°, the scanning speed was 5°/min, and a high-speed semiconductor two-dimensional detector was used as the detector. X-rays emitted from the X-ray light source were condensed by a poly capillary tube.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X-rays after condensing was made into a circle with a diameter of 1 mm.

[식별성][identity]

격자형의 패턴을 실시한 시험판의, 제조한 직후의 초기 상태의 것과, 6개월 간 옥외 폭로한 경시 상태의 것을 대상으로, 하기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눈으로 보아 평가하였다. 초기 상태, 경시 상태 모두 A 내지 C를 합격으로 하였다.Visual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criteria for the test plates subjected to the grid pattern, those in an initial state immediately after production and those in an aging state exposed outdoors for 6 months. Both the initial state and the aging state made A to C a pass.

A: 8m 앞에서부터도 격자형 패턴을 시인할 수 있다.A: The grid pattern can be visually recognized even from 8m in front.

B: 8m 앞에서부터는 격자형 패턴을 시인할 수 없지만, 4m 앞에서부터의 시인성은 높다.B: A grid pattern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from 8 m in front, but visibility from 4 m in front is high.

C: 4m 앞에서부터는 격자형 패턴을 시인할 수 없지만, 1m 앞에서부터의 시인성은 높다.C: A grid pattern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from 4 m in front, but visibility from 1 m in front is high.

D: 1m 앞에서부터 격자형 패턴을 시인할 수 없다.D: A grid pattern cannot be visually recognized from 1 m in front.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

시험판을 150×70㎜로 절단하고, JASO-M609에 준거한 부식 촉진 시험 CCT를 30사이클 시험한 후, 녹 발생 상황을 조사하고, 하기의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A 내지 C를 합격으로 하였다.The test plate was cut to 150 x 70 mm, and after 30 cycles of corrosion acceleration test CCT based on JASO-M609 was tested, the rust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situation was investigated, and it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on. A to C were made pass.

A: 녹 발생이 없고, 격자형 패턴과 그 이외의 영역이 모두 미려한 의장 외관을 유지하고 있다.A: There is no rust, and the lattice pattern and the other areas maintain a beautiful design appearance.

B: 녹 발생은 없지만, 격자형 패턴과 그 이외의 영역에 매우 근소한 의장 외관 변화가 보인다.B: There is no rust generation, but a very slight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design is seen in the grid pattern and other areas.

C: 의장 외관이 약간 손상되어 있지만, 격자형 패턴과 그 이외의 영역이 눈으로 보아 구별 가능하다.C: Although the appearance of the design is slightly damaged, the grid pattern and the area other than that are visually distinguishable.

D: 격자형 패턴과 그 이외의 영역의 외관 품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있어, 눈으로 보아 구별할 수 없다.D: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lattice pattern and the other regions is remarkably deteriorated and cannot be visually distinguished.

[표 3][Table 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표 4][Table 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표 5A][Table 5A]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표 5B][Table 5B]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표 5A 및 표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No. 2-1 내지 No. 2-20의 본 발명예의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은, 식별성 및 내식성의 양쪽이 우수하였다. 도 5에, No. 2-1의 제1 영역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 결과를 나타내고, 도 6에, No. 2-1의 제2 영역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외관을 나타내고 있어, 식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5A and Table 5B, No. 2-1 to No. Th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s of the Inventive Example No. 2-20 were excellent in both identification and corrosion resistance. 5, No. The cross-sectional observation result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1st area|region of 2-1 is shown, and in FIG. 6, No. The cross-sectional observation result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2nd area|region of 2-1 is shown. Sinc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have different appearances, it can be seen that they can be identified.

No. 2-21은, 응고 핵을 부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2 영역이 형성되지 않고, 격자형 패턴이 형성되지 않았다.No. In 2-21, since no solidification nuclei were attached, the second region was not formed and a lattice-like pattern was not formed.

또한, 잉크젯법으로 격자형의 패턴을 인쇄한 No. 2-22는, 6개월 간의 옥외 폭로에 의해 패턴이 얇아져서, 의장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응고 핵을 부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2 영역이 형성되지 않았다.In addition, No. 5, which printed a grid pattern by the inkjet method. In 2-22, the pattern became thin by the outdoor exposure for 6 months, and designability fell. In addition, since no coagulation nuclei were attached, the second region was not formed.

또한, 연삭에 의해 격자형의 패턴을 형성한 No. 2-23은, 연삭한 개소의 도금층 두께가 저하되어, 연삭 개소에서의 내식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응고 핵을 부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2 영역이 형성되지 않았다.Moreover, No. which formed a grid|lattice pattern by grinding. In 2-23, the plating layer thickness of the ground location fell,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in the ground location fell. In addition, since no coagulation nuclei were attached, the second region was not formed.

또한, No. 2-1 내지 No. 2-23의 용융 도금층에는, 〔Al상〕과,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포함하고 있었다.Also, No. 2-1 to No. The hot-dip plated layer of 2-23 contained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도 7에는, Zn-Al-Mg계 용융 도금층에 제2 영역에 의해 문자열(알파벳)을 나타낸 용융 도금 강판의 표면을 나타낸다.Fig. 7 shows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steel sheet in which character strings (alphabetic characters) are represented by the second region in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용융 도금 강판의 표면에, 문자나 마크를 의도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s or marks can be intentionally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본 발명에 따르면, Zn-Al-Mg계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인쇄나 도장을 행하지 않고, 다양한 의장, 상표, 그 밖의 식별 마크를 나타낼 수 있어, 강판의 출처의 식별성이나 디자인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의해, 공정 관리나 재고 관리 등에 필요한 정보나 수요자가 요구하는 임의의 정보를,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에 부여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의 생산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충분히 구비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esigns, trademarks, and other identification marks can b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Zn-Al-Mg-based hot-dip plated layer without printing or painting, so that the identification or design of the source of the steel sheet can be improved. have. In addi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cess control, inventory control, etc. or arbitrary information requested by a consumer can also be provided to a Zn-Al-Mg type hot-dip plated steel sheet by the 1st area|region or 2nd area|region. Thereby,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a Zn-Al-Mg type hot-dip plated steel sheet. Therefore, it is fully equipped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Claims (8)

강판과, 상기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용융 도금층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도금층은,
평균 조성으로, Al: 4질량% 이상 25질량% 미만, Mg: 0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을 함유하고, 잔부가 Zn 및 불순물을 포함하고,
금속 조직으로서, 〔Al상〕과,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 도금층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하기 (a) 또는 (b) 중 어느 한쪽을 충족하고,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이,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a)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이상인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Al상〕의 평균 길이가 200㎛ 미만인 영역이다.
(b)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강판과 상기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상기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상기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초과인 영역이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강판과 상기 용융 도금층의 경계에 있어서 상기 〔Al/Zn/MgZn2의 3원 공정 조직〕이 상기 강판과 대향하는 길이 Le가, 상기 경계의 길이 L에 대하여 0.3 이하인 영역이다.
A steel plate and a hot-dip plated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plate,
The hot-dip plated layer,
As an average composition, Al: 4 mass % or more and less than 25 mass %, Mg: 0 mass % or more and less than 10 mass % are contained, balance contains Zn and an impurity,
The metal structure includes [Al phase] and [a ternary eutectic structure of Al/Zn/MgZn 2 ];
The hot-dip plated layer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atisfy either of the following (a) or (b),
A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wherein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average length of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200 µm or more, and the second region is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 is a region with an average length of less than 200 µm.
(b) in the first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in which the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faces the steel sheet is the length L of the boundary is a region greater than 0.3, and, in the second reg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hot-dip plated layer, the length Le at which the [Al/Zn/MgZn 2 ternary eutectic structure] faces the steel sheet is the length of the boundary It is an area|region which is 0.3 or less with respect to 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b)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용융 도금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Al상〕의 (200)면의 X선 회절 강도 I(200)과 (111)면의 X선 회절 강도 I(111)의 비 I(200)/I(111)이 0.8 이상인,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se wher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b),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ies I(200) and (111) of the (200) plane of the [Al phase] on the surface of the hot-dip plated layer ), the ratio I(200)/I(111) of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I(111) of the plane is 0.8 or more,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이, 직선부, 곡선부, 도형, 숫자, 기호, 모양 혹은 문자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Zn-Al-, wherein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arranged to have a shape obtained by combining any one of a straight line portion, a curved portion, a figure, a number, a symbol, a pattern, or a lett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이 의도적으로 형성된 것인,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s intentionally formed, a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도금층이, 또한, 평균 조성으로, Si: 0.0001 내지 2질량%를 함유하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aid hot-dip plated layer further contains Si:0.0001-2 mass % as an average composition, The Zn-Al-Mg type hot-dip plated steel shee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도금층이, 또한, 평균 조성으로, Ni, Ti, Zr, Sr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01 내지 2질량% 함유하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wherein the hot-dip plated layer further contains, in an average composition, any one or two or more of Ni, Ti, Zr, and Sr in a total of 0.0001 to 2% by ma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도금층이, 또한, 평균 조성으로,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Hf, C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01 내지 2질량% 함유하는,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hot-dip plated layer further comprises, as an average composition, any one or two or more of Sb, Pb, Sn, Ca, Co, Mn, P, B, Bi, Cr, Sc, Y, REM, Hf, C,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containing 0.0001 to 2% by mass in total.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도금층의 부착량이 상기 강판 양면 합계로 30 내지 600g/㎡인, Zn-Al-Mg계 용융 도금 강판.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Zn-Al-Mg-based hot-dip plated steel sheet, wherein the amount of the hot-dip plated layer is 30 to 600 g/m 2 in total on both sides of the steel sheet.
KR1020227016563A 2019-11-29 2020-07-02 Zn-Al-Mg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KR1026582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16686 2019-11-29
JPJP-P-2019-216685 2019-11-29
JP2019216686A JP7381865B2 (en) 2019-11-29 2019-11-29 Zn-Al-Mg hot-dipped steel sheet
JP2019216685A JP7381864B2 (en) 2019-11-29 2019-11-29 Zn-Al-Mg hot-dipped steel sheet
PCT/JP2020/025968 WO2021106260A1 (en) 2019-11-29 2020-07-02 Zn-Al-Mg HOT-DIPPED STEEL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142A true KR20220084142A (en) 2022-06-21
KR102658299B1 KR102658299B1 (en) 2024-04-18

Family

ID=7613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563A KR102658299B1 (en) 2019-11-29 2020-07-02 Zn-Al-Mg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658299B1 (en)
CN (1) CN114729437A (en)
TW (1) TWI815038B (en)
WO (1) WO202110626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463503A1 (en) * 2021-09-07 2024-03-28 Nippon Steel Corporation Hot-dip plated stee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234U (en) 1973-08-17 1975-05-01
JPS5141899U (en) 1974-08-23 1976-03-27
JPS60804B2 (en) 1975-07-22 1985-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electronic clock
JP2003268517A (en) * 2002-03-08 2003-09-25 Nippon Steel Corp Hot dip plated steel having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WO2004038060A1 (en) * 2002-10-28 2004-05-06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corrosion-resistant hot dip coated steel product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and form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hot dip coated steel product
WO2011001662A1 (en) * 2009-06-30 2011-01-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Zn-Al-Mg HOT-DIP COAT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WO2013002358A1 (en) 2011-06-30 2013-01-0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igh-corrosion-resistance hot-dip galvanized steel plate having highly uniform appear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351B2 (en) * 2000-03-15 2002-06-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Hot-dip Zn-Al-based alloy plated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491363B1 (en) * 2003-07-26 2005-05-25 주식회사 그레인 A Method of surface design using a metallic internal structure and there for products
CN104630682A (en) * 2015-01-23 2015-05-20 上海大学 Method for refining hot-dipping coating material by employing laser heat treatment
MX2017011746A (en) * 2015-04-08 2017-11-1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Zn-Al-Mg-PL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Zn-Al-Mg-PLATED STEEL SHEET.
TWI654338B (en) * 2017-12-28 2019-03-21 日商新日鐵住金股份有限公司 Fused Zn-based plat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fter painting
KR102425278B1 (en) * 2018-05-16 2022-07-27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lated stee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3234U (en) 1973-08-17 1975-05-01
JPS5141899U (en) 1974-08-23 1976-03-27
JPS60804B2 (en) 1975-07-22 1985-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electronic clock
JP2003268517A (en) * 2002-03-08 2003-09-25 Nippon Steel Corp Hot dip plated steel having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WO2004038060A1 (en) * 2002-10-28 2004-05-06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corrosion-resistant hot dip coated steel product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and form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hot dip coated steel product
WO2011001662A1 (en) * 2009-06-30 2011-01-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Zn-Al-Mg HOT-DIP COAT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WO2013002358A1 (en) 2011-06-30 2013-01-0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igh-corrosion-resistance hot-dip galvanized steel plate having highly uniform appear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6260A1 (en) 2021-06-03
TWI815038B (en) 2023-09-11
CN114729437A (en) 2022-07-08
TW202126834A (en) 2021-07-16
KR102658299B1 (en)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460B1 (en) Zn-Al-Mg-bas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664315B (en) Coated steel
CN110268087B (en) Plated steel material
JP7381865B2 (en) Zn-Al-Mg hot-dipped steel sheet
US9080231B2 (en) Hot-dipped stee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N111989420B (en) Plated steel material
CN104955975B (en) Melt Al-Zn system&#39;s coated steel sheet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40007964A (en) High-corrosion-resistance hot-dip galvanized steel plate having highly uniform appear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7328543B2 (en) Hot dip plated steel sheet
JP7381864B2 (en) Zn-Al-Mg hot-dipped steel sheet
JP7445128B2 (en) Hot-dip Zn-Al-Mg coated steel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JP7328542B2 (en) Hot dip plated steel sheet
KR20220084142A (en) Zn-Al-Mg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JP7339531B2 (en) Hot dip plated steel sheet
WO2021106259A1 (en) Hot dip coated steel sheet
JP7328541B2 (en) Hot dip plated steel sheet
JP7410448B1 (en) Hot-dipped steel sheet
JP7486011B2 (e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KR101168730B1 (en) Mg-BASED ALLOY PLATED STEEL MATERIAL
WO2023238941A1 (en) Hot dip-coated steel sheet
WO2023238934A1 (en) Zn-al-mg hot-dip plated steel sheet
KR20220142517A (en) hot stamped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