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887A -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887A
KR20220083887A KR1020200173104A KR20200173104A KR20220083887A KR 20220083887 A KR20220083887 A KR 20220083887A KR 1020200173104 A KR1020200173104 A KR 1020200173104A KR 20200173104 A KR20200173104 A KR 20200173104A KR 20220083887 A KR20220083887 A KR 20220083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user
data
smart
relieving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범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0017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887A/ko
Publication of KR2022008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Nurs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감정 인식부; 및 상기 판단된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이면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차 피드백 제공 후 우울 감정이 지속되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Smart feedback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depressive mood and prevention of suicide}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에 빠져 의욕을 상실한 채 무능감, 고립감, 허무감, 죄책감, 그리고 자살충동 등에 사로잡히는 마음의 병으로 불면증 혹은 과도한 수면, 식욕감소나 과식, 체중감소 또는 체중증가, 두통, 소화기 장애, 만성통증, 기억력 저하 같은 원인이 불분명한 여러 신체 변화를 유발한다.
이 우울증은 당장 생명에 위협을 주는 병은 아니나 장기간 지속되면 우울 감으로 인한 자살충동까지 느끼는 경우가 많아 본인은 물론 주위 사람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아주 치명적이고 위험한 병이다.
사회가 산업화되고 고도화되어 감에 따라 현재를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 상호 간의 경쟁은 더욱 심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 사회에서 구성원 상호 간에 유대감이 점차 희석되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만연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 속에서 특정인의 이기심이나 특정 집단의 이기심으로 인해 한 구성원이나 한 부류의 구성원들을 배격하고 무시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 경우 소외된 구성원은 그 상실감으로 인해 우울증에 빠지게 되는 불안정한 처지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구성원이 우울증으로 인해 가정 생활, 사회 생활 등을 정상적으로 영위하지 못하고 심각한 경우에는 자살에까지 이르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우울증 또는 우울 감정을 해소하여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04734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감정 인식부; 및 상기 판단된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이면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차 피드백 제공 후 우울 감정이 지속되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표현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얼굴 이미지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이메일 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 생체 신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 상기 사용자가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또는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상기 사진첩에서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의 연락처,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의 연락처, 또는 과거 대화시에 상기 사용자의 즐거운 감정이 포착되었던 타인의 연락처를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운동을 권하거나, 야외 활동을 권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권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음악을 자동 실행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영화를 검색하여 시청을 권하거나, 날짜별 날씨를 검색하여 화창한 날짜가 검색되면 해당 날짜에 외출을 권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2 차 피드백으로서,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연락처를 출력하며 상기 상담 전문가의 상담 예약을 권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2 차 피드백으로서,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상담 시설 서버에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2 차 피드백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집에서 소정 반경 내에 있는 상담 시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담 시설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검색된 상담 시설을 상담 시설 정보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상담 시설 정보는 주소, 전화번호, 외관사진, 상담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은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이면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 피드백 제공 후 우울 감정이 지속되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표현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얼굴 이미지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이메일 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 생체 신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 상기 사용자가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또는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상기 사진첩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의 연락처,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의 연락처 또는 과거 대화시에 상기 사용자의 즐거운 감정이 포착되었던 타인의 연락처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운동을 권하거나, 야외 활동을 권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권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음악을 자동 실행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영화를 검색하여 시청을 권하거나, 날짜별 날씨를 검색하여 화창한 날짜가 검색되면 해당 날짜에 외출을 권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연락처를 출력하며 상기 상담 전문가의 상담 예약을 권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상담 시설 서버에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집에서 소정 반경 내에 있는 상담 시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담 시설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상담 시설을 상담 시설 정보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상담 시설 정보는 주소, 전화번호, 외관사진, 상담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우울 감정이 인식되면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고, 제1 차 피드백을 제공 후에도 우울 감정이 지속되면 상담 전문가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 건강 향상을 도모하고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한편, 각 단계들에 있어,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즉,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각 구성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이하,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의 우울 감정이 인식되면 우울 감정의 해소를 위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로, 전자 장치에 탑재되거나 하우징으로 감싸져 별개의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장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안경형, 손목 시계형, 손목 밴드형, 반지형, 귀걸이형, 벨트형, 목걸이형, 발목 밴드형, 허벅지 밴드형, 팔뚝 밴드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역시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는 데이터 수집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감정 표현 데이터는 사용자의 현재 감정이 표현 또는 반영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얼굴 이미지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이메일 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 생체 신호 데이터(예컨대, 심박 데이터, 뇌파 데이터, 호흡수 데이터, 체온 데이터, 피부 전도(electrodermal activity, skin conductance, galvanic skin response) 데이터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부(110)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부(110)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가 문자 메시지, 이메일 또는 SNS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데이터 수집부(110)는 사용자가 전송한 문자 메시지, 이메일 또는 SNS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부(110)는 생체 신호 센서(예컨대, 심박 센서, 뇌파 센서, 호흡 센서, 체온 센서, 피부 전도 센서 등)를 포함하며, 생체 신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데이터(예컨대, 심박 데이터, 뇌파 데이터, 호흡수 데이터, 체온 데이터, 피부 전도 데이터 등)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획득 및/또는 저장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3G 통신, 4G 통신 및 5G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주기적으로 또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시, 데이터 수집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우울 감정을 인식하고, 우울 감정이 인식되면 우울 감정 해소를 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감정 인식부(121) 및 피드백 제공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정 인식부(121)는 수집된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정 인식부(121)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언어적 정보(예컨대, 사용하는 단어) 및/또는 비언어적 정보(예컨대, 목소리의 크기, 높낮이, 말의 빠르기 등)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감정 인식부(121)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예컨대, STT(Speech-to-Text)),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분석, 기계 학습 알고리즘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감정 인식부(121)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얼굴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얼굴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얼굴 표정, 얼굴 색깔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감정 인식부(121)는 얼굴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얼굴 윤곽선, 눈썹, 눈, 코, 입, 턱 등의 얼굴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특징점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감정 인식부(121)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 기계 학습 알고리즘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감정 인식부(121)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문자 메시지, 이메일 또는 SNS 메시지인 경우, 문자 메시지, 이메일 또는 SNS 메시지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감정 인식부(121)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생체 신호 데이터인 경우, 생체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패턴을 판단하고, 판단된 생체 신호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감정 상태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 신호 패턴에 대한 정보는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감정 인식부(121)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얼굴 이미지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이메일 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 생체 신호 데이터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방법들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122)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이면, 우울 감정 해소를 위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122)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이면, 현재의 우울 감정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차 피드백은 사용자의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피드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드백 제공부(122)는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의 사진첩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 사용자가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 또는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검색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122)가 전술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면, 사용자는 이러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보며 좋았거나 즐거웠던 추억들이나, 좋아하거나 사랑하는 타인을 떠올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의 우울 감정을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피드백 제공부(122)는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의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의 연락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의 연락처, 과거 대화시에 사용자의 즐거운 감정이 포착되었던 타인의 연락처 등을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며 연락을 권할 수 있다. 피드백 제공부(122)가 전술한 타인과의 연락을 권하면, 사용자는 이러한 권유에 따라 그 타인에게 연락을 취함으로써 현재의 우울 감정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피드백 제공부(122)는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운동을 권하거나, 야외 활동을 권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권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음악(예컨대, 경쾌한 음악 등)을 자동 실행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영화(예컨대, 코미디 영화 등)를 검색하여 시청을 권하거나, 날짜별 날씨를 검색하여 화창한 날짜가 검색되면 해당 날짜에 외출을 권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차 피드백은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2 이상이 조합되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피드백 제공부(122)는 제1 차 피드백 제공 이후에 소정 기간 동안 우울 감정이 지속되는 경우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차 피드백은 상담 전문가(예컨대, 정신과 전문의 등)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피드백일 수 있다. 여기서 우울 감정의 지속은 우울 감정이 변화없이 계속 유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우울 감정이 해소된 기간이 존재하더라도 그 기간이 짧아 대체적으로 우울 감정 상태에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드백 제공부(122)는 제2 차 피드백으로서,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연락처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며 상담 전문가의 상담 예약을 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피드백 제공부(122)는 제2 차 피드백으로서,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상담 시설의 서버에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상담 시설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상담 예약을 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피드백 제공부(122)는 제2 차 피드백으로서, 상담 시설을 검색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며 상담 예약을 권할 수 있다. 예컨대, 피드백 제공부(122)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집에서 소정 반경 내에 있는 상담 시설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담 시설을 상담 시설 정보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담 시설 정보는 주소, 전화번호, 외관 사진, 상담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차 피드백은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2 이상이 조합되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는 사용자의 우울 감정이 인식되면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고, 제1 차 피드백을 제공 후에도 우울 감정이 지속되면 상담 전문가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신 건강 향상을 도모하고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도 2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200)는 데이터 수집부(110), 프로세서(120), 입력부(210), 저장부(220), 통신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110) 및 프로세서(120)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조작신호 및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H/W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저장부(220)는 스마트 피드백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고, 스마트 피드백 장치(200)에 입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20)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 감정 표현 데이터로부터 판단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 제1 차 피드백 및 제2 차 피드백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예컨대, 사진, 동영상, 연락처, 음악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200)는 인터넷 상에서 저장부(2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 외부 저장 매체를 운영할 수도 있다.
통신부(23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30)는 스마트 피드백 장치(200)에 입력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등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감정 상태 판단 및 피드백 제공에 이용될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서버, 센서,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장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3G 통신, 4G 통신 및 5G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40)는 스마트 피드백 장치(200)에 입력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240)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 감정 표현 데이터로부터 판단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 제1 차 피드백 및 제2 차 피드백 등을 청각적 방법, 시각적 방법 및 촉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4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의 스마트 피드백 장치(100, 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310). 여기서, 감정 표현 데이터는 사용자의 현재 감정이 표현 또는 반영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얼굴 이미지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이메일 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 생체 신호 데이터(예컨대, 심박 데이터, 뇌파 데이터, 호흡수 데이터, 체온 데이터, 피부 전도 데이터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수집된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320).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언어적 정보(예컨대, 사용하는 단어) 및/또는 비언어적 정보(예컨대, 목소리의 크기, 높낮이, 말의 빠르기 등)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얼굴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얼굴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얼굴 표정, 얼굴 색깔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얼굴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얼굴 윤곽선, 눈썹, 눈, 코, 입, 턱 등의 얼굴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특징점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문자 메시지, 이메일 또는 SNS 메시지인 경우, 문자 메시지, 이메일 또는 SNS 메시지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생체 신호 데이터인 경우, 생체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체 신호 패턴을 판단하고, 판단된 생체 신호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얼굴 이미지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이메일 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 생체 신호 데이터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방법들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인지 여부를 판단하고(330), 우울 감정이면 사용자의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340).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사진첩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 사용자가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 또는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검색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의 연락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의 연락처, 과거 대화시에 사용자의 즐거운 감정이 포착되었던 타인의 연락처 등을 검색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며 연락을 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운동을 권하거나, 야외 활동을 권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권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음악(예컨대, 경쾌한 음악 등)을 자동 실행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영화(예컨대, 코미디 영화 등)를 검색하여 시청을 권하거나, 날짜별 날씨를 검색하여 화창한 날짜가 검색되면 해당 날짜에 외출을 권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차 피드백은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2 이상이 조합되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제1 차 피드백 제공 이후에 소정 기간 동안 우울 감정이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350), 우울 감정이 지속되면 상담 전문가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360).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제2 차 피드백으로서,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연락처를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며 상담 전문가의 상담 예약을 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제2 차 피드백으로서,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상담 시설의 서버에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제2 차 피드백으로서, 상담 시설을 검색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며 상담 예약을 권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피드백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집에서 소정 반경 내에 있는 상담 시설을 검색하고, 검색된 상담 시설을 상담 시설 정보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담 시설 정보는 주소, 전화번호, 외관 사진, 상담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차 피드백은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2 이상이 조합되어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프 피드백 장치는 단계 330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이 아닌 경우와, 단계 350의 판단 결과 우울 감정이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310으로 돌아가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스마트 피드백 장치
110: 데이터 수집부
120: 프로세서
121: 감정 인식부
122: 피드백 제공부
210: 입력부
220: 저장부
230: 통신부
240: 출력부

Claims (20)

  1.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감정 인식부; 및
    상기 판단된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이면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차 피드백 제공 후 우울 감정이 지속되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제공부; 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표현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얼굴 이미지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이메일 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 생체 신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 상기 사용자가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또는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상기 사진첩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의 연락처,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의 연락처, 또는 과거 대화시에 상기 사용자의 즐거운 감정이 포착되었던 타인의 연락처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1 차 피드백으로서, 운동을 권하거나, 야외 활동을 권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권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음악을 자동 실행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영화를 검색하여 시청을 권하거나, 날짜별 날씨를 검색하여 화창한 날짜가 검색되면 해당 날짜에 외출을 권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2 차 피드백으로서,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연락처를 출력하며 상기 상담 전문가의 상담 예약을 권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2 차 피드백으로서,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상담 시설 서버에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제2 차 피드백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집에서 소정 반경 내에 있는 상담 시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담 시설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검색된 상담 시설을 상담 시설 정보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시설 정보는 주소, 전화번호, 외관사진, 상담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11. 사용자의 감정 표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감정 표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감정 상태가 우울 감정이면 기분 전환을 유도하는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 피드백 제공 후 우울 감정이 지속되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유도하는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표현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얼굴 이미지 데이터, 문자 메시지 데이터, 이메일 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 생체 신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진 또는 동영상, 상기 사용자가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 또는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이 웃고 있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상기 사진첩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진첩에 소정 횟수 이상 등장하는 타인의 연락처,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타인의 연락처 또는 과거 대화시에 상기 사용자의 즐거운 감정이 포착되었던 타인의 연락처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운동을 권하거나, 야외 활동을 권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권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음악을 자동 실행하거나, 우울 감정 해소에 도움이 되는 영화를 검색하여 시청을 권하거나, 날짜별 날씨를 검색하여 화창한 날짜가 검색되면 해당 날짜에 외출을 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연락처를 출력하며 상기 상담 전문가의 상담 예약을 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등록된 상담 전문가의 상담 시설 서버에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집에서 소정 반경 내에 있는 상담 시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상담 시설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상담 시설을 상담 시설 정보와 함께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시설 정보는 주소, 전화번호, 외관사진, 상담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방법.
KR1020200173104A 2020-12-11 2020-12-11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 KR20220083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104A KR20220083887A (ko) 2020-12-11 2020-12-11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104A KR20220083887A (ko) 2020-12-11 2020-12-11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87A true KR20220083887A (ko) 2022-06-21

Family

ID=8222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104A KR20220083887A (ko) 2020-12-11 2020-12-11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600B1 (ko) * 2022-06-24 2023-01-10 주식회사 엘젠 인공지능을 통한 우울증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734A (ko) 2005-03-31 2006-10-09 주식회사 팬택 우울증 방지를 위한 고객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734A (ko) 2005-03-31 2006-10-09 주식회사 팬택 우울증 방지를 위한 고객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600B1 (ko) * 2022-06-24 2023-01-10 주식회사 엘젠 인공지능을 통한 우울증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1509B2 (en) Wearable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US10939028B2 (en) Wearable apparatus for name tagging
CN109074117B (zh) 提供基于情绪的认知助理系统、方法及计算器可读取媒体
US10448887B2 (en) Biometric customer service agent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US2015033891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via thought
EP32172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80060500A1 (en) Smart health activity scheduling
US202101614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952257B2 (ja) コンテンツ提示のため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1836980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ssisting human-to-human interactions
Mirchandani Flesh in voice: The no-touch embodiment of transnational customer service workers
KR20220083887A (ko) 우울 감정 해소 및 자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피드백 장치 및 방법
CN113164052A (zh) 可视化的虚拟代理
Kim et al. Perceiving emotion from a talker: How face and voice work together
US20220036481A1 (en) System and method to integrate emotion data into social network platform and share the emotion data over social network platform
US20190008466A1 (en) Life log utilization system, life log utiliz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5044120A (ja) 情報蓄積装置、情報検索装置、情報蓄積方法、情報検索方法、情報蓄積システム、情報検索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CN113748441A (zh) 虚拟代理团队
CN112041787A (zh) 利用应用来输出对用户输入的响应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117782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Pierce et al. Wearable affective memory augmentation
CN112820286A (zh) 一种交互方法和耳机设备
Sahami Shirazi Exploiting & sharing context: computer mediated nonverbal communication
Cernisov et al. A Doctoral Dissertation submitted to Kei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a Design
Astler et al. of Thesis: FACIAL AND EXPRESSION RECOGNITION FOR T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