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877A - 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 Google Patents

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877A
KR20220083877A KR1020200173021A KR20200173021A KR20220083877A KR 20220083877 A KR20220083877 A KR 20220083877A KR 1020200173021 A KR1020200173021 A KR 1020200173021A KR 20200173021 A KR20200173021 A KR 20200173021A KR 20220083877 A KR20220083877 A KR 20220083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trampoline
auxiliary device
interactive space
trampolin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0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4446B1 (en
Inventor
최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토
Priority to KR102020017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446B1/en
Publication of KR20220083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6Training devices for jumping; Devices for balloon-jumping; Jump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XR 트램펄린 시스템은, 바닥, 벽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구비되고,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플레이어가 착용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생체정보 및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및 상기 영상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XR 트램펄린 시스템을 제공된다.
또한,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제공 된다.
XR trampo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nteractive space consisting of a floor, a wall and a ceiling; an auxiliary device provided in the interactive space and assisting a player's operation;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mages and video contents of the player; It includes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player and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mage content, wherein the flo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trampo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XR trampoline system is provided.
Also provided is a system for assisting the movement of a player by including an auxiliary device in an interactive space whose floor is constituted by a trampoline.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that assists the player's movement by configuring an auxiliary device to move along the rail in an interactive space whose floor is composed of a trampoline.

Description

XR 트램펄린 시스템{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XR trampoline system {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본 발명은 XR 트램펄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동작 외에 다양한 동작을 시도하며 안전하게 게임을 즐기는 XR 트램펄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XR trampolin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XR trampoline system that includes an auxiliary device that assists a player's motion, and enjoys games safely by trying various motions other than jumping on the trampoline.

트램펄린은 고정된 틀에 그물망이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그 위에 올라가 점프를 할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바닥에서 점프할 때 보다 무릎이나 관절의 충격을 덜 주어 성장기 어린이, 고령자, 비만인 사람 등 남녀 노소에 관계 없이 즐기기 좋은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Trampoline is an exercise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fixed frame with a mesh spring and can jump on it. It applies less impact to the knees and joints than when jumping from the floor, so it is suitable for both men and women, young and old, such as children, the elderly, and obese. It is known as a good exercise to enjoy without.

최근에는 트램펄린이 칼로리 소모 효과가 다른 운동에 비해 강도가 낮으면서 많다는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다이어트에 좋은 운동으로 각광 받고 있다.Recently, trampoline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good exercise for weight loss as it has started to be known that the effect of trampoline burns more calories than other exercises with low intensity.

트램펄린 운동은 미국 나사에서도 인정한  칼로리 소모 운동으로 30분의 운동으로 약 500kcal의 열량을 소모시킬 수 있는 운동이다.Trampoline exercise is a calorie consuming exercise recognized by NASA as well, and can burn about 500 kcal in 30 minutes of exercise.

트램펄린 운동은 가볍게 음악을 들으며 뛰거나 TV를 보면서 즐겁게 할 수 있어 운동의 재미도 느끼면서 스트레스 해소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Trampoline exercise can be enjoyable while listening to music while running or watching TV, so it is very helpful in relieving stress while feeling the fun of exercise.

트램펄린은 탄력있는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하는 재미로 인해 예전부터 오랜 시간동안 아이들의 놀이기구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트램펄린을 이용한 놀이기구의 경우 단순히 트램펄린 상에서 사용자가 점프하는 것 외에는 다른 콘텐츠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지 않은 아쉬움이 존재한다.Trampoline has been popular as a children's ride for a long time because of the fun of jumping on the elastic trampoline. However, in the case of a general amusement ride using a trampoline, there is a disappointment that other content is not applied except for the user jumping on the trampoline.

최근에는 실내 공간에서 트램펄린과 미디어를 연동하여 증강 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실내형 미디어 트램펄린 놀이터가 출시된 바 있다.Recently, an indoor media trampoline playground that can experience augmented reality by linking a trampoline and media in an indoor space has been released.

하지만, 트램펄린에서 맨몸으로만 점프하는 것은 동작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jumping only with the bare body on a trampoline ha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movement.

국내등록특허 제10-1974911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974911

본 발명의 실시 예는 XR 트램펄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XR trampolin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assists the movement of a player by including an auxiliary device in an interactive space whose floor is composed of a trampoli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assists the movement of a player by configuring an auxiliary device to move along a rail in an interactive space whose floor is composed of a trampolin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XR 트램펄린 시스템은, 바닥, 벽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구비되고,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플레이어가 착용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생체정보 및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및 상기 영상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XR trampo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nteractive space consisting of a floor, a wall and a ceiling; an auxiliary device provided in the interactive space and assisting a player's operation;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mages and video contents of the player; and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player and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image content, wherein the flo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trampoline.

여기서, 특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모듈;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순간캡쳐는 캡쳐모듈;및 상기 영상콘텐츠와 상기 플레이어의 순간캡쳐 이미지를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tion detecting module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p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apture module for capturing the instantaneous action of the player; and a comparison decision module for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video content and the instantaneous captured image of the player.

여기서, 특히 상기 보조장치는, 플레이어 몸에 착용되는 바디부;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램펄린에서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n particular, the auxiliary device may include: a body part worn on a player's body; It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ceiling;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ssists the movement of the player on the trampoline.

여기서, 특히 상기 보조장치는, 천장에 고정되는 레일; 플레이어 몸에 착용되는 바디부;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동작하는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n particular, the auxiliary device, the rail fixed to the ceiling; a body part worn on the player's body; It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rail;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ssists the operation of a player operating by moving along the rail.

여기서, 특히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로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He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content is output into the interactive space using a projection mapping technique.

여기서, 특히 상기 영상콘텐츠는 경계선을 가지는 특정 형태의 모양이 출력되고,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특정 형태 경계선 내로 몸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을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어의 순간모션을 캡쳐하여 상기 경계선 내로 상기 플레이어의 몸이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Here, in particular, in the image content, a specific shape having a boundary line is output, the player operates to pass through the body within the specific shape boundary line, and the control unit captures the instantaneous motion of the player and enters the boundary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layer's body passes.

본 발명에 따르면, XR 트램펄린 시스템을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XR trampoline system is provided.

또한,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lso provided is a system for assisting the movement of a player by including an auxiliary device in an interactive space whose floor is constituted by a trampoline.

또한, 바닥이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보조장치가 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시스템이 제공 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that assists the player's movement by configuring the auxiliary device to move along the rail in the interactive space where the floor is composed of a trampol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XR 트램펄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XR 트램펄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플레이어 착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를 참고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XR trampoli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XR trampol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wearing the player of FIGS. 1 and 2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S. 1 and 2 .
5 is a diagram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XR 트램펄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XR trampoli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XR 트램펄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XR trampolin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플레이어 착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wearing the player of FIGS. 1 and 2 .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S. 1 and 2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XR 트램펄린 시스템은 인터렉티브 공간(10), 보조장치(100), 출력부(50), 웨어러블 디바이스(3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 the XR trampol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active space 10 , an auxiliary device 100 , an output unit 50 , a wearable device 30 and a control unit 200 . .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은 바닥(11), 벽면(12) 및 천장(13)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11)은 트램펄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사각형 형태의 공간을 예시하고 있으나, 공간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간의 형태에 따라 트램펄린 또한 사각, 원형, 미끄럼틀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active space 10 may include a floor 11 , a wall surface 12 , and a ceiling 13 , and the floor 11 may be configured as a trampoline. 1 and 2 illustrate a rectangular space, the shape of the space is not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pace, the trampoline may also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quare, a round shape, a slide shape, and the like.

상기 보조장치(100)는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 구비되고,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한다.The auxiliary device 100 is provided in the interactive space 10 and assists the operation of the player 20 .

상기 출력부(50)는 상기 플레이어(20)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한다.The output unit 50 outputs the image and video content of the player 20 .

상기 출력부(50)는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 구비되고, 카메라(미도시), 센서(미도시) 및 프로젝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플레이어(20)의 이미지와 영상콘텐츠를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50)는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 플레이어(20)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어(20)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는 인터텍티브 공간(10) 내인 바닥(11), 벽면(12) 및 천장(13)에 출력되어,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장비 없이도 증강현실을 출력하여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The output unit 50 is provided in the interactive space 10 and includes a camera (not shown), a sensor (not shown), and a projector (not shown), and includes an image of the player 20 captured using the camera and Video contents can be synthesized and outputted. The output unit 50 may output the image and video content of the player 20 in the interactive space 10 by using a projection mapping technique. The image and video contents of the player 20 are output to the floor 11, wall 12 and ceiling 13 in the interactive space 10, so that augmented reality can be performed without equipment such as a head-mounted display (HMD). You can print it out to increase the realism.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상기 플레어어(20)가 착용하고, 상기 플레이어(20)의 생체정보 및 동작정보를 감지한다.The wearable device 30 is worn by the player 20 and detects biometric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플레이어(20)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형을 수 있으나, 발목 착용형, 스포츠 조끼에 삽입되는 소형의 원반 또는 사각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 손이나 다리에 착용하는 형태, 센서가 삽입된 신발, 모자, 헤어밴드, 복수의 센서가 부착된 수트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트램펄린에서 점프를 하는 플레이어(20)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경량화 된 소형의 장치일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30 may be a band type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of the player 20, bu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nkle wearable type, a small disc or square plate inserted into a sports vest, and a smart watch, a hand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orm worn on the back or legs, a shoe with a sensor inserted therein, a hat, a headband, a suit with a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30 is intended to be worn on the body of the player 20 jumping on a trampoline, and may be a lightweight and compact device.

상기 생체정보는 심박수, 운동시간, 이동거리, 이동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heart rate, exercise time, movement distance,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동작정보는 플레이어(2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출력부(50)와 연동하여 플레이어(20)의 순간동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and may include instantaneous mo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in conjunction with the output unit 50 .

상기 출력부(50)의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플레이어(20)의 동작정보를 감지할 수 도 있다. Mo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may be detected through the camera and sensor of the output unit 50 .

또한, 상기 동작정보는 플레이어(20)의 3차원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와 출력부(50)는 연동하여 상기 플레이어(20)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제어부(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차원 좌표 정보로부터 플레이어(20)의 점프 높이를 산출하여 영상콘텐츠에 혼합할 수 있다.Also, the motion information may include 3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 The wearable device 30 and the output unit 50 work together to transmit 3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 the 3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from the 3D coordinate information. You can calculate the jump height and mix it with the video content.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 복수의 플레이어(20)가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30)는 복수의 플레이어(20) 각각에 착용되어, 각각의 플레어어(20)를 객체 구분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30)에 ID가 부여되어, 부여된 ID로 플레이어(20)를 구분하게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layers 20 can enjoy a game in the interactive space 10, and the wearable device 30 is worn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layers 20, so that each player 20 can be identified as an object ( not shown) may be included. For example, an ID may be assigned to the wearable device 30 , and the player 20 may be identified by the assigned ID.

상기 제어부(200)는 영상콘텐츠를 제어한다. 상기 영상콘텐츠는 플레이어(20)가 인터렉티브 공간(10) 내에서 운동을 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스포츠와 게임을 결합한 게임 콘텐츠로서, 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각종 이미지 및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video content. The video contents are game contents combining sports and games so that the player 20 can enjoy the game while exercising in the interactive space 10, and may include various images and images necessary for game play.

상기 보조장치(100)는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하며, 도 1과 같이 바디부(110), 고정부(140) 및 연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device 100 assists the operation of the player 20 , and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0 , a fixing portion 140 , and a connection portion 170 as shown in FIG. 1 .

상기 바디부(110)는 플레이어(20)의 몸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플레이어(20)의 몸에 착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의자형태, 벨트 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플레이어(20)가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 등과 같은 동작을 할 때,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한다. The body part 110 may be worn on the body of the player 20 . The body part 110 has a structure to be worn on the body of the player 20,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hair or a belt. assist with movement

상기 고정부(140)는 천장(13)에 보조장치(100)를 고정한다.The fixing unit 140 fixes the auxiliary device 100 to the ceiling 13 .

상기 연결부(170)는 상기 바디부(110)와 고정부(14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70)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플레이어(20)가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70 connects the body part 110 and the fixing part 140 . The connection part 170 is provided with a handle to help the player 20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jumping.

플레이어(20)는 도 1에 도시된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The player 20 can enjoy the game while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jumping on the trampoline by using the auxiliary device 100 shown in FIG. 1 .

상기 보조장치(100)는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하며, 도 2와 같이 레일(120), 바디부(115), 고정부(145) 및 연결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device 100 assists the operation of the player 20 , and may include a rail 120 , a body part 115 , a fixing part 145 , and a connection part 175 as shown in FIG. 2 .

상기 레일(120)은 인터렉티브 공간(10) 내 천장(13)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145)는 상기 보조장치(100)를 상기 레일(120)에 고정한다. 상기 보조장치(100)는 상기 레일(120)에 고정되어 레일(12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The rail 120 is fixed to the ceiling 13 in the interactive space 10 , and the fixing part 145 fixes the auxiliary device 100 to the rail 120 . The auxiliary device 100 is fixed to the rail 120 and can move along the rail 120 .

상기 바디부(115)는 플레이어(20)의 몸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5)는 플레이어(20)의 몸에 착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의자형태, 벨트 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플레이어(20)가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 등과 같은 동작을 할 때, 플레이어(20)의 동작을 보조한다. The body part 115 may be worn on the body of the player 20 . The body part 115 has a structure to be worn on the body of the player 20,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hair or a belt. assist with movement

상기 연결부(175)는 상기 바디부(115)와 고정부(145)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75)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플레이어(20)가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75 connects the body part 115 and the fixing part 145 . The connection part 175 is provided with a handle to help the player 20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jumping.

또한, 상기 보조장치(100)는 레일(120)을 따라 움직일 때, 정지한 상태에서 더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버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어(20)는 보조장치(100)를 착용하고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며 플레이 할 때, 어느 지점에 멈출수 있도록 상기 고정버튼을 눌러 보조장치(1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100) 고정 후 다시 고정버튼을 눌러 상기 보조장치(100)가 다시 레일(120)을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utton (not shown) that can be fixed so as not to move any more in a stopped state when moving along the rail 120 . When the player 20 wears the auxiliary device 100 and moves along the rail 120 and plays, the auxiliary device 100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fixing button so as to stop at a certain point. After fixing the auxiliary device 100 , the auxiliary device 100 can be moved along the rail 120 again by pressing the fixing button again.

플레이어(20)는 도 2에 도시된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레일(120)을 따라 움직이며 트램펄린 상에서 점프와 같은 동작을 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The player 20 can enjoy the game while moving along the rail 120 using the auxiliary device 100 shown in FIG. 2 and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jumping on the trampoline.

상기 제어부(200)는 동작감지모듈(210), 캡쳐모듈(220) 및 비교판단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출력부(50)와 연동되고 상호 무선통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 출력부(50) 및 제어부(200)는 상호 무선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ion detection module 210 , a capture module 220 , and a comparison determination module 230 . The control unit 200 is interlocked with the output unit 50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relessly. 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30 , the output unit 50 , and the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동작감지모듈(210)은 플레이어(20)의 동작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The motion detection module 210 collects and analyzes mo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

상기 촬영부(5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30)로부터 플레에어(20)의 동작정보, 3차원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플레이어(20)의 동작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motion information and 3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is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50 and the wearable device 30 ,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20 is collected and analyzed.

상기 캡쳐모듈(220)은 상기 플레이어(20)의 동작을 순간캡쳐한다.The capture module 220 captures the action of the player 20 instantaneously.

상기 비교판단모듈(230)은 상기 영상콘텐츠와 상기 플레이어(20)의 순간캡쳐 이미지를 비교판단한다.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module 230 compares and determines the video content and the instantaneous captured image of the player 20 .

일 실시 예로, 상기 영상콘텐츠는 경계선을 가지는 다양한 모양이 출력될 수 있다. 경계선의 영상콘텐츠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플레이어(20)는 상기 경계선 내로 몸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을 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순간캡쳐하여 상기 경계선 내로 플레이어(20)의 몸이 통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image content may be output in various shapes having boundaries. When the video content of the boundary line is output, the player 20 operates to pass through the body within the boundary line, and the control unit 200 captures the movement of the player instantaneously and moves the player 20 into the boundary line. You can judge whether the body is passing through.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를 참고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referring to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경계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동작을 하는 사람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사람 모양의 경계선은 출력부(50)를 통하여 원근감 있게 플레이어(20)에게 다가오고, 플레이어(20)에게 근접했을 시, 경계선이 진해지거나 검정에서 빨간색으로 변한는 것과 같이 변하면 플레이어(20)는 상기 특정 사람 모양의 경계선안으로 플레이어(20)의 몸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 때, 출력부(50) 및 제어부(200)는 연동하여 상기 특정 사람 모양을 한 플레이어(20)의 동작을 순간캡쳐하고, 상기 순간캡쳐 이미지와 출력된 특정 사람 모양의 경계선을 비교판단하여 통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boundary line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erson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as shown in FIG. 5 . The specific human-shaped boundary line approaches the player 20 in perspective through the output unit 50, and when it approaches the player 20, if the boundary line darkens or changes from black to red, the player 20 It operates so that the body of the player 20 can pass within the boundary of the specific human shape.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200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instantly capture the motion of the player 20 with the specific human shape, compare the captured moment image with the outputted boundary line of the specific human shape, and pass it degree can be judg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인터렉티브 공간 11 바닥
12 벽면 13 천장
20 플레이어 30 웨어러블 디바이스
50 출력부 100 보조장치
110 115 바디부 120 레일
140 145 고정부 170 175 연결부
200 제어부 210 동작감지모듈
220 캡쳐모듈 230 비교판단모듈
10 Interactive space 11 Floor
12 wall 13 ceiling
20 players 30 wearable devices
50 Output 100 Auxiliary
110 115 Body 120 Rail
140 145 Fixing part 170 175 Connection part
200 Control unit 210 Motion detection module
220 capture module 230 comparison judgment module

Claims (6)

바닥, 벽면 및 천장으로 구성되는 인터렉티브 공간;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에 구비되고,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장치;
상기 플레이어의 이미지 및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플레이어가 착용하고, 상기 플레이어의 생체정보 및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및
상기 영상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트램펄린으로 구성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interactive space consisting of floor, wall and ceiling;
an auxiliary device provided in the interactive space and assisting a player's operation;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mages and video contents of the player;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player and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player;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deo content;
The floor is composed of a trampoline,
XR trampolin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모듈;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을 순간캡쳐는 캡쳐모듈;및
상기 영상콘텐츠와 상기 플레이어의 순간캡쳐 이미지를 비교판단하는 비교판단모듈;을 포함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motio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player;
A capture module that captures the movement of the player instantaneously; and
Comparing and determining module for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video content and the instant captured image of the player;
XR trampolin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플레이어 몸에 착용되는 바디부;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램펄린에서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device is
a body part worn on the player's body;
a fixing part fixed to the ceiling; and
Including;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body part and the fixed part;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player on the trampoline,
XR trampolin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천장에 고정되는 레일;
플레이어 몸에 착용되는 바디부;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및
상기 바디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동작하는 플레이어의 동작을 보조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device is
rails fixed to the ceiling;
a body part worn on the player's body;
a fixing part fixed to the rail; and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ody part and the fixed part;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player moving along the rail,
XR trampolin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렉티브 공간 내로 영상콘텐츠를 출력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utputting image content into the interactive space by using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XR trampolin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콘텐츠는 경계선을 가지는 특정 형태의 모양이 출력되고,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특정 형태 경계선 내로 몸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동작을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어의 순간모션을 캡쳐하여 상기 경계선 내로 상기 플레이어의 몸이 통과하는지 판단하는,
XR 트램펄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mage content is output in a specific shape having a boundary line,
the player operates to pass the body within the specified shape boundary;
The control unit captures the instantaneous motion of the play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body of the player passes within the boundary line,
XR trampoline system.
KR1020200173021A 2020-12-11 2020-12-11 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KR102484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21A KR102484446B1 (en) 2020-12-11 2020-12-11 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21A KR102484446B1 (en) 2020-12-11 2020-12-11 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77A true KR20220083877A (en) 2022-06-21
KR102484446B1 KR102484446B1 (en) 2023-01-05

Family

ID=8222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021A KR102484446B1 (en) 2020-12-11 2020-12-11 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44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714A (en) * 2009-03-10 2010-09-20 정부환 Parallel bar of gait training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with safe rail
KR20130098770A (en) * 2012-02-28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xpanded 3d space based virtual sports simulation system
KR101974911B1 (en) 2018-10-29 2019-05-03 (주)앤트로스 Augmented reality based sports game system using trampoline
US20190160318A1 (en) * 2016-07-06 2019-05-30 Patentselskabet AF 24. November 2017 APS An assembly of a frame component and a bungee component adapted for converting a trampoline into a bungee trampol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714A (en) * 2009-03-10 2010-09-20 정부환 Parallel bar of gait training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with safe rail
KR20130098770A (en) * 2012-02-28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xpanded 3d space based virtual sports simulation system
US20190160318A1 (en) * 2016-07-06 2019-05-30 Patentselskabet AF 24. November 2017 APS An assembly of a frame component and a bungee component adapted for converting a trampoline into a bungee trampoline
KR101974911B1 (en) 2018-10-29 2019-05-03 (주)앤트로스 Augmented reality based sports game system using trampo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446B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618B1 (en) Exercise equipment using virtual reality system
US8892219B2 (en) Motivation and enhancement of physical and mental exercise, rehabilitation, health and social interaction
US9372534B2 (en) Interactive wearable videogame through the use of wireless electronic sensors and physical objects
US7722501B2 (en) Interactive step-type gymnastics practice device
KR101974911B1 (en) Augmented reality based sports game system using trampoline
Anderson et al. Virtual reality video games to promote movement recovery in stroke rehabilitation: a guide for clinicians
US20060262120A1 (en) Ambulatory 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EP291909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088335B1 (en) Mixed reality-based learning game providing system that can simultaneously learn and exercise
US20180204481A1 (en) Method of creating and distributing digital data sets to improve performance of physical activities
KR20170070520A (en) First-person shooter game system and method driven by user motion using airsoft gun
KR20220090835A (en) Interactive play system
CN106492455B (en) Football electronic interaction system
KR102484446B1 (en) Extreme reality trampoline system
Rito et al. Virtual reality tools for post-stroke balance rehabilitation: a review and a solution proposal
KR101317453B1 (en) Game apparatus using hit-sensing model
WO2010068901A2 (en) Interface apparatus for software
KR101092183B1 (en) Cyber running machine system
KR102478155B1 (en) Palying and gaming apparatus using foothold sensor
KR20190134134A (en) Convergence martial art online app game system
KR102476730B1 (en)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US10406434B1 (en) Video game controller using core muscles and other applications
Ustinova et al. Short-term practice with customized 3D immersive videogame improves arm-postural coordination in patients with TBI
Lappeteläinen Balance training with a mobile phone accelerometer: finding the baseline parameter settings
JP2022067279A (en)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system with pressure measuremen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