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872A -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872A
KR20220083872A KR1020200172933A KR20200172933A KR20220083872A KR 20220083872 A KR20220083872 A KR 20220083872A KR 1020200172933 A KR1020200172933 A KR 1020200172933A KR 20200172933 A KR20200172933 A KR 20200172933A KR 20220083872 A KR20220083872 A KR 20220083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rmful gas
gas
us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744B1 (ko
Inventor
조동현
김진해
최방환
장창수
정준수
최준희
Original Assignee
제이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7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개시하는 것으로,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가스 배관에 체결되는 착탈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가스개폐 밸브에 조립되어 회동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스윙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또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면서 상기 가스 배관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차단유닛, 센서유닛이 접속되어 유해가스 발생정보를 전송받는 센서 접속부와, 상기 센서 접속부로 전송되는 유해가스의 농도 정보에 따라 유해가스 발생 레벨을 판독하는 레벨 판단부와, 유해가스 발생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부와, 밸브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단유닛으로 제공하는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면서, 상기 차단유닛의 결합면에 결합되어 유해 가스의 발생 정도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고 필요에 따라 차단유닛으로 가스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센서 접속부에 접속되어 유해가스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User fixing type hazardous gas alarm device for gas boiler}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개시한다.
주택에서는 난방 용도로 기름, 가스, 전기, 숯, 장작, 석탄, 펠릿 등의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가 포함되며, 가스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되는 천연가스도 인체에는 유해하다.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가스 사고 연감에 따르면 가스 보일러 사고 중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는 무려 74%를 차지한다(2013년 ~ 2017년). 이러한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는 가스 보일러의 노후화, 다중 가스 사용시설의 배기통 불량 또는 부실 시공 등에 의한 가스 누출이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가스 보일러 시설에는 유해한 가스를 감지한 후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가스 경보기가 함께 사용된다. 그런데 가스 경보기는 사용자가 실내에 없거나, 가스 경보기의 경고음을 듣지 못할 경우에 보일러를 정지시키고, 연료 공급 밸브를 차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보일러의 구동시 보일러실 또는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시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면 보일러의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10-2017448호(선행문헌 1)는 보일러실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보일러의 구동시 보일러실 또는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면 보일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실내 거주자에게 경고하여 신속한 환기 등을 유도할 수 있는 보일러 제어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의 시스템은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실내에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유해가스 누출 사실을 알리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176143호(선행문헌 2)는 스마트 폰 등 사용자 단말기에 알람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실내에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유해가스 유출 사실을 알릴 수 있는 보일러 안전 관리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2의 보일러 안전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이 미리 구현되어야 하고, 시스템이 구현되지 않은 타 지역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들의 시스템은 경보 시스템이 구현된 사용자의 주택 내에서는 이용할 수 있으나, 유원지의 펜션이나 민박과 같이 시스템이 구현되지 않은 곳에서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머무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 일 예로, 국내에서 2018년 강릉 펜션에서 일산화탄소의 중독에 의한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는데, 이와 같이 현재 국내 건축물이나 임시 숙박업소에는 유해가스 발생에 대한 경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이 있으며, 이러한 곳에서 유해가스에 의한 대형 사고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017448호 한국등록특허 10-21761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펜션 등과 같이 경보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발생을 감지하되, 최적의 위치에 설치되어 감지 및 경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가스의 농도에 따라 레벨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경보를 알릴 수 있는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가스가 일정 농도 이상 발생하는 경우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가스 배관에 체결되는 착탈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가스개폐 밸브에 조립되어 회동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스윙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또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면서 상기 가스 배관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차단유닛, 센서유닛이 접속되어 유해가스 발생정보를 전송받는 센서 접속부와, 상기 센서 접속부로 전송되는 유해가스의 농도 정보에 따라 유해가스 발생 레벨을 판독하는 레벨 판단부와, 유해가스 발생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부와, 밸브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단유닛으로 제공하는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면서, 상기 차단유닛의 결합면에 결합되어 유해 가스의 발생 정도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고 필요에 따라 차단유닛으로 가스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센서 접속부에 접속되어 유해가스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의 리셋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 상태로 전환하는 리셋부와, 외부 구조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결합면에 상기 제어유닛에 전원을 전송하는 전원 전송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충전단자가 상기 전원 전송핀에 접속되어 전원을 전송받아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서로 다른 종류의 유해가스 발생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접속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감지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센서 접속부에 접속되어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감지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으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전송되는 유해가스 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 및 사용자가 간편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어 펜션 등과 같이 경보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 발생을 감지하되, 최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 감지 및 경보의 정확성과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가스의 발생 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제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제어유닛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전, 후 등과 같은 표현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제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인 제어유닛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가스배관(10)의 밸브(10)를 차단하는 차단유닛(100)과, 유해가스 감지 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고 차단유닛(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200)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유닛(3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단유닛(100)은 유해가스의 발생에 따라 밸브(20)를 잠그는 구성으로, 가스공급 제어를 위한 밸브(20)가 위치하는 배관(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이를 위한 차단유닛(100)은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본체(110) 배면의 일 측에 배관(1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 프레임(120)이 구비되고, 본체(110) 배면의 타 측에 밸브(20)를 잠그는 스윙 프레임(130)이 구비된다. 또한, 차단유닛(100)은 본체(110)의 하면에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 접속부(140)가 구비되고, 본체(110) 전면에는 제어유닛(200)을 결합시키는 결합면(160)을 제공한다. 또한, 차단유닛(100)의 본체(110) 내부에는 스윙 프레임(13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미도시)이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유닛(200)에 전송하는 전원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체결 프레임(120)은 볼트/너트 구조, 후크 구조 등의 체결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차단유닛(100)을 가스공급 배관(10)에 고정되도록 체결한다. 차단유닛(100)의 체결시 스윙 프레임(130)이 가스차단 밸브(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윙 프레임(130)은 구동모듈의 구동에 따라 대략 90°의 회전 각도로 회동하여 밸브(2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스 공급을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또한, 결합면(160)은 제어유닛(200)이 결합될 때, 제어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전송핀(161)과, 제어유닛(2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핀(16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차단유닛(100)은 체결 프레임(120)에 의하여 배관(10)에 쉽게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펜션 등과 같이 가스 경보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펜션 등에서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다시 분리할 수 있다.
제어유닛(200)은 센서유닛(300)으로부터 유해 가스의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유해 가스의 발생 정도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직접 차단유닛(100)을 제어하여 가스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어유닛(200)은, 센서유닛(300)이 접속되는 센서 접속부(210)와,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레벨을 판독하는 레벨 판단부(220)와, 유해가스 발생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부(230)와, 밸브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차단유닛(100)으로 제공하는 밸브 제어부(240)와, 사용자의 리셋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 상태로 전환하는 리셋부(250)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하는 충전부(260)와, 제어유닛(200)을 외부 구조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부(270)를 포함한다.
센서 접속부(210)는 센서유닛(300)을 접속하는 구성으로, 리셉터클 구조를 갖는 통상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USB 타입의 접속단자(211)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접속부(210)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 접속부(210)에는 센서유닛(300)이 직접 접속되거나 접속 케이블(340)을 매개로 접속될 수 있다. 제어유닛(200)은 센서 접속부(210)를 통하여 다수의 센서유닛(300)으로부터 유해가스 발생정보를 전송받는다.
레벨 판단부(220)는 센서유닛(300)으로부터 유해가스 발생정보를 기초로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레벨을 판독한다. 일 예로, 유해가스가 일산화탄소(CO)인 경우 농도가 70ppm 미만일 때는 안전 모드, 70ppm 이상 200ppm 미만일 때는 주의 모드, 200pp 이상 250ppm 미만일 때는 경고 모드, 250 ppm 이상일 때는 위험 모드로 판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벨 판단의 기준이 되는 농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레벨 판단부(220)에서 판단되는 유해가스의 농도 레벨에 따라 경보부(230)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경보를 알려 사용자가 그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경보부(230)는 유해가스 발생 사실과 그에 따른 위험성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스피커(231)와 램프(232)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230)는 레벨 판단부(220)에서 판단되는 유해가스 농도의 레벨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경보를 발생하여 사용자가 심각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일 예로, 일산화탄소 발생에 대하여 안전 모드에서는 램프(232)가 녹색으로 점등하고, 주의 모드에서는 램프(232)가 적색으로 점등하며, 경고 모드에서는 램프(232)가 적색모드로 빠르게 점멸하고, 위험 모드에서는 램프(232)가 적색모드로 빠르게 점멸함과 동시에 스피커(231)를 통하여 경보음을 함께 발생할 수 있다. 스피커(231)를 통한 경보음의 발생 주기와 시간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레벨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경보부(230)에서 발생되는 경보신호에 대하여 사용자는 리셋부(250)를 통하여 경보발생을 초기화할 수 있다.
밸브 제어부(240)는 레벨 판단부(220)의 판단이 특정 레벨에 해당하는 경우 가스 차단 신호를 발생하여 차단유닛(100)으로 제공하고, 차단유닛(100)이 스윙 프레임(130)의 구동을 제어하여 가스 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밸브 제어부(240)는 일산화탄소의 발생이 위험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가스 차단 신호를 발생하여 차단유닛(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제어부(240)는 리셋부(250)를 통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될 때, 다시 가스 공급 신호를 생성하여 차단유닛(100)에 전송함으로써, 가스가 다시 공급되고 보일러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밸브 제어부(240)는 차단유닛(100)의 신호 수신핀(162)에 접속되어 제어 신호를 전속하는 신호 전송핀(미도시)을 구비한다.
리셋부(25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차단유닛(100)과 제어유닛(200)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리셋 버튼(251)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리셋 신호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경보부(230)를 통한 경보를 확인하고, 환기, 가스 차단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한 후 유해가스 경보장치가 초기 상태에서 다시 구동하도록 리셋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충전부(260)는 차단유닛(100)에 결합될 때 차단유닛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충전단자(261)를 제공하고 충전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충전부(260)에 저장되는 전원으로 제어유닛(200)이 구동된다. 충전단자(261)는 제어유닛(200)에 구비되는 전원 전송핀(161)에 대응하는 구조를 이루며, 일 예로 전원 전송핀(161)과 충전단자(261)는 마이크로 5핀 단자의 플러그 및 리셉터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제어유닛(200)이 차단유닛(100)에 결합될 때 전원 전송핀(161)이 충전단자(261)에 접속되어 제어유닛(200)의 전원이 제어유닛(200)으로 전송된다.
접착부(270)는 제어유닛(200)을 외부 구조물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외부 구조물은 보일러 본체(미도시)일 수 있다. 접착부(270)는 다양한 종류의 접착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본 실시예의 접착부(270)는 금속 소재의 보일러 본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는 마그네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 부재는 제어유닛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접착부(270)는 차단유닛(100)의 설치될 수 없는 환경에서 차단유닛(100) 없이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본 실시예의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제어유닛(200)과 센서유닛(300)만으로 유해 가스 발생에 대한 경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접착부(270)를 통하여 제어유닛(200)을 보일러 본체에 부착한 후, 센서유닛(300)과 연결하여 경보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유닛(300)은 유해 가스의 발생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종류의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310,320,33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의 센서유닛(300)은 일산화탄소 감지센서(310), LNG 감지센서(320) 및 LPG 감지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유닛(300)은 제어유닛(200)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 케이블(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해가스는 종류에 따라 공기를 기준으로 하는 비중을 달리하므로 발생 후 분포되는 위치도 달리한다. 즉, 일산화탄소와 LNG는 공기보다 가벼워 높은 곳에 분포하고, LPG는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낮은 바닥 근처에 주로 분포한다. 따라서,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는 센서별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일산화탄소 감지센서(310)와 LNG 감지센서(320)는 천장 부근에 설치되고, LPG 감지센서(330)는 바닥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센서(310,320,330)도 외부 구조물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센서들은 접속 케이블(340)을 매개로 제어유닛(200)에 연결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 설치되어 가스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접속 케이블(34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일 측 단부에는 제어유닛(200)의 접속단자(211)에 접속되는 출력단자(341)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는 센서(310,320,330)의 출력단자(311,321,331)가 접속되는 입력단자(342)를 구비한다.
또한, 다수의 서로 다른 센서(310,320,330)는 직렬 구조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각 센서(310,320,330)는 일 측의 출력단자(311,321,331)와 타 측의 입력단자(312,322,33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센서(310,320,330)가 직렬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접속 케이블(340)을 통하여 제어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고, 다수의 센서(310,320,33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유해 가스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도록 구성되고, 유해가스 감지시스템이 구현되지 않은 곳에서도 즉각적으로 설치하여 시스템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차단유닛(100)의 설치가 불가능한 곳에서도 제어유닛(200)과 센서유닛(300)만 설치하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의 센서들이 유해가스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감지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가스 경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제어유닛(200)과 센서유닛(300) 사이에 무선 통신모듈을 통하여 유해가스 감지정보가 전송된다. 이를 위한 제어유닛(200)은 무선 통신부(280)를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280)는 각 센서(310,320,330)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각 센서(310,320,330)에도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다. 이때, 블루투스는 저전력 블루투스(BL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센서(310,320,330)는 자체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전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어유닛(200)과 센서유닛(300) 사이에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으로 유해가스 감지 정보를 전송할 때, 별도의 접속 케이블이 구비되지 않고 센서유닛(300)을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해가스 경보장치는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통하여 유해가스의 발생 여부 및 밸브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무선 통신부(280)는 와이파이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센서유닛(300)에서 전송되는 유해가스 발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 즉, 스마트 폰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에는 유해가스 발생정보를 확인하고 직접 밸브를 제어할 수 있는 유해가스 감시 및 관리시스템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탑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차단유닛
110 : 본체 120 : 체결 프레임
130 : 스윙 프레임 140 : 전원 접속부
160 : 결합면 161 : 전원 전송핀
162 : 신호 수신핀
200 : 제어유닛
210 : 센서 접속부 220 : 레벨 판단부
230 : 경보부 240 : 밸브 제어부
250 : 리셋부 260 : 충전부
270 : 접착부 280 : 무선 통신부
300 : 센서유닛
310 :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320 : LNG 감지센서
330 : LPG 감지센서
4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7)

  1.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가스 배관에 체결되는 착탈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가스개폐 밸브에 조립되어 회동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스윙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또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면서 상기 가스 배관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차단유닛;
    센서유닛이 접속되어 유해가스 발생정보를 전송받는 센서 접속부와, 상기 센서 접속부로 전송되는 유해가스의 농도 정보에 따라 유해가스 발생 레벨을 판독하는 레벨 판단부와, 유해가스 발생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보부와, 밸브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차단유닛으로 제공하는 밸브 제어부를 포함하면서, 상기 차단유닛의 결합면에 결합되어 유해 가스의 발생 정도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고 필요에 따라 차단유닛으로 가스 차단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센서 접속부에 접속되어 유해가스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사용자의 리셋 신호를 입력받아 초기화 상태로 전환하는 리셋부와, 외부 구조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결합면에 상기 제어유닛에 전원을 전송하는 전원 전송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충전단자가 상기 전원 전송핀에 접속되어 전원을 전송받아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서로 다른 종류의 유해가스 발생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접속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감지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센서 접속부에 접속되어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송하는,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감지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으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송하는,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와이파이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전송되는 유해가스 발생에 따른 경보신호를 상기 와이파이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KR1020200172933A 2020-12-11 2020-12-11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KR102440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933A KR102440744B1 (ko) 2020-12-11 2020-12-11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933A KR102440744B1 (ko) 2020-12-11 2020-12-11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72A true KR20220083872A (ko) 2022-06-21
KR102440744B1 KR102440744B1 (ko) 2022-09-07

Family

ID=8222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933A KR102440744B1 (ko) 2020-12-11 2020-12-11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986B1 (ko) * 2022-07-06 2023-06-13 대한민국 화학 물질 유출 경보 제공 시스템 및 화학 물질 유출 경보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576A (ko) * 1998-11-07 2000-06-05 김승제 전동식 가스누설 차단기의 설치시 센타 결정장치
JP2002102372A (ja) * 2000-09-28 2002-04-09 Osaka Gas Co Ltd ガス検知装置
KR20160117391A (ko) * 2016-09-26 2016-10-10 황순천 다기능 가스안전 차단장치
KR102017448B1 (ko) 2019-01-03 2019-09-03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시를 통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KR102176143B1 (ko) 2020-06-15 2020-11-09 주식회사 아지즈 보일러 안전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576A (ko) * 1998-11-07 2000-06-05 김승제 전동식 가스누설 차단기의 설치시 센타 결정장치
JP2002102372A (ja) * 2000-09-28 2002-04-09 Osaka Gas Co Ltd ガス検知装置
KR20160117391A (ko) * 2016-09-26 2016-10-10 황순천 다기능 가스안전 차단장치
KR102017448B1 (ko) 2019-01-03 2019-09-03 강수철 일산화탄소 감시를 통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KR102176143B1 (ko) 2020-06-15 2020-11-09 주식회사 아지즈 보일러 안전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986B1 (ko) * 2022-07-06 2023-06-13 대한민국 화학 물질 유출 경보 제공 시스템 및 화학 물질 유출 경보 제공 방법
WO2024010391A1 (ko) * 2022-07-06 2024-01-11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화학 물질 유출 경보 제공 시스템 및 화학 물질 유출 경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744B1 (ko)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6999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ализа топочного газа
US20190226595A1 (en) Automatic Gas Shutoff System
US20080100463A1 (en) Alarm shut off system
US20080180261A1 (en) Carbon monoxide and explosive gas shut off system
KR102440744B1 (ko) 가스 보일러용 사용자 설치형 유해가스 경보장치
CN209447308U (zh) 厨房防火泄漏报警设备
CN201787734U (zh) 一种预警燃气热水器
CN105513258A (zh) 智能安全照明装置
JPH0992318A (ja) 携帯形燃料電池装置
US6979260B2 (en) Method and device to prevent indoor release of carbon monoxide and smoke from combustors
CN203260164U (zh) 一种燃气报警器
CN202333750U (zh) 可燃气体报警断电装置
KR102235876B1 (ko)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CN102809222A (zh) 智能燃气安全系统
CN110118710A (zh) 一种煤仓安全监测装置及其控制方法
CN204730397U (zh) 室内危险气体感应报警及强制排风装置
CN112419677A (zh) 一种可燃气体检测报警系统
CZ30244U1 (cs) Zařízení pro zajištění komplexního dohledu na mobilní obytné objekty
JP2005242441A (ja) 事象検知システム
KR200442059Y1 (ko) 센서 복합식 무배선 다목적 화재감지기
GB2454950A (en) Ventilator unit and alarm activated by hazardous gas levels
JP3139073U (ja) センサユニット
CN206338952U (zh) 热水器
CN207689460U (zh) 可燃性气体检测报警仪
CN205354260U (zh) 智能安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