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876B1 -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876B1
KR102235876B1 KR1020190149410A KR20190149410A KR102235876B1 KR 102235876 B1 KR102235876 B1 KR 102235876B1 KR 1020190149410 A KR1020190149410 A KR 1020190149410A KR 20190149410 A KR20190149410 A KR 20190149410A KR 102235876 B1 KR102235876 B1 KR 10223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fan
unit
hot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영
윤수원
예정희
박병철
이철우
박범수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9014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절기 심야시간(약19시~07시, 근로자 없는 시간대) 콘크리트 양생현장에 듀얼(2대)의 등유 열풍기에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 IoT 액츄에이터 및 열풍기 메인 제어부를 사용하여 2대 중 1대의 열풍기를 연속적으로 기동하여 콘크리트 양생현장에 지속적인 온풍을 제공하고, 열풍기 기동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또한 현장 콘크리트 양생온도가 적정온도(6도) 이하 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구성되는 A 열풍기 및 B 열풍기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고 구성되어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전원스위치를 가동할 수 있는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에 각각 설치된 IoT 액츄에이터부에 기동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열풍기 메인 제어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기동정보, 양생온도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담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Cloud 서버; 및 Cloud 서버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을 관리하도록 하는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Concrete Regimen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절기 심야시간(약19시~07시, 근로자 없는 시간대) 콘크리트 양생현장에 듀얼(2대)의 등유 열풍기에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 IoT 액츄에이터 및 열풍기 메인 제어부를 사용하여 2대 중 1대의 열풍기를 연속적으로 기동하여 콘크리트 양생현장에 지속적인 온풍을 제공하고, 열풍기 기동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또한 현장 콘크리트 양생온도가 적정온도(6도) 이하 시 담당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도록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유용 열풍기는 전기를 사용 스파크를 발생시켜 연료를 연소하여 대기를 난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동절기 콘크리트 보온 양생시 등유용 열풍기가 기동 중 정지하면, 열풍기를 동작 시킬 수 있는 대안이 없고 또한 담당자에게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보온 양생 시 인건비 발생 및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망사고 발생이 원인이었으며, 일반적인 큰 용량의 등유열풍기는 주유를 가득 채운 후 약 10시간 기동이 가능하지만, 현장에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 산소와 연소가 빠르게 진행하여 연료가 예상보다 빠르게 소진된다. 따라서, 근로자들이 현장에 출근하기 전에 열풍기의 동작이 멈춰버리는 상황이 발생하여 콘크리트가 동해를 입게되어 결과적으로 내구성 저하가 되어 콘크리트 일정 강도 저하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심야시간에 등유 열풍기의 연료가 소진하여 기동이 정지되는 것을 막기위해 현장의근로자들이 심야시간 1~2시에 현장에 방문하여 열풍기에 연료 주유 및 열풍기 기동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인건비가 발생하게 되고, 동절기 약 3~4개월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금액적인 부담이 크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608148호 "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양생 관련 데이터 및 그 분석결과를 음성 또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총괄 관리자 단말 또는 PC에 전송함으로써 양생관리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A)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양생 관련 데이터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양생 관련 데이터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데이터를 내장된 내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양생 데이터 측정장치; B) 상기 양생 데이터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양생 관련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주제어 장치; C) 상기 출력된 측정 데이터 및 그 분석결과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입력받아 음성 또는 단문 메시지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음성 및 단문 메시지 서버; 및 D) 음성 및 단문 메시지 형태로 상기 양생 관련 데이터의 분석결과를 전달 받아, 그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건설 현장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기기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 지를 판단한 후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관리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동절기 콘크리트 보온 양생시 등유용 열풍기가 기동 중 정지하면, 열풍기를 동작 시킬 수 있는 대안이 없어 지속적인 열풍기 가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608148호 "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유열풍기 2대에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 IoT 액츄에이터, 열풍기 메인 제어부 기기를 사용하여 2대 중 1대만 기동을하며 열풍기 문제로 기동 정지시 자동적으로 여분의 열풍기가 기동을 하여 연속적으로 온풍을 공급하며 열풍기 기동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동절기 심야시간 무인으로 열풍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보온 양생을 위해 투입되었던 근로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구성되는 A 열풍기 및 B 열풍기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고 구성되어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전원스위치를 가동할 수 있는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에 각각 설치된 IoT 액츄에이터부에 기동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열풍기 메인 제어부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기동정보, 양생온도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담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Cloud 서버 및 Cloud 서버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을 관리하도록 하는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에서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동작여부 신호를 열풍기 메인 제어부에 전달하며 열풍기 메인 제어부가 열풍기 정지 신호를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로부터 수신을 하면, A 열풍기 및 B 열풍기 중 기동하다가 중지된 열풍기외의 다른 열풍기를 기동하기위해 해당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에 기동시그널을 송신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가 항상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온도 측정을 위한 외부온도 검출부가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구성되며, 외부온도 검출부에서 외부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지정한 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Cloud 서버를 통해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에 송신하여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온도 검출부는 전원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송수신부로 구성이 되며,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설치하여 외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열풍기 메인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는, 열풍기 진동 검출 센서, 통신 송수신부 및 전원부로 구성이 되며 열풍기 동작 여부를 열풍기 진동 감지 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해당 정보를 통신 송수신부를 통하여 무선으로 열풍기 메인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는, 전원부, 제어부, 액츄에이터 및 통신 송수신부로 구성이 되어, 열풍기 메인 제어부으로부터 통신 송수신부를 통하여 액츄에이터 기동 신호를 수신후 제어부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의 전원버튼을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열풍기 메인 제어부는 전원부, 제어부, 점등부, 통신 송수신부로 구성이 되며,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에 기동 신호를 전달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가 기동할 수 있도록 하며,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기동 상황에 대해 Cloud 서버를 통해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은 등유열풍기 2대에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 IoT 액츄에이터, 열풍기 메인 제어부 기기를 사용하여 2대 중 1대만 기동을하며 열풍기 문제로 기동 정지시 자동적으로 여분의 열풍기가 기동을 하여 연속적으로 온풍을 공급하며 열풍기 기동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동절기 심야시간 무인으로 열풍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보온 양생을 위해 투입되었던 근로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열풍기 후면부 및 IoT 액츄에이터 측면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풍기 동작 검출 센서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풍기 메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IoT 액츄에이터 시스템 프로세스를 A 열풍기 기동을 중심으로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IoT 액츄에이터 시스템 프로세스를 A 열풍기 기동을 중심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은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A 열풍기 및 B 열풍기 2대의 열풍기가 구성되도록 하며,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도록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가 각각 설치되고,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전원스위치를 가동할 수 있는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고 구성되며, A 열풍기 및 B 열풍기에 각각 설치된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에 기동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기동정보, 양생온도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담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Cloud 서버(700) 및 Cloud 서버(7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을 관리하도록 하는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에서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동작여부 신호를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에 전달하며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가 열풍기 정지 신호를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로부터 수신을 하면, A 열풍기 및 B 열풍기 중 기동하다가 중지된 열풍기외의 다른 열풍기를 기동하기위해 해당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에 기동시그널을 송신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가 항상 동작하도록 하여 열풍기 문제로 기동 정지시 자동적으로 여분의 열풍기가 기동을 하여 연속적으로 온풍을 공급하며 열풍기 기동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동절기 심야시간 무인으로 열풍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보온 양생을 위해 투입되었던 근로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콘크리트 양생온도 측정을 위한 외부온도 검출부(500)가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구성되도록 하여, 외부온도 검출부(500)에서 외부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지정한 온도(예를 들어 영상 6도) 이하일 경우에는 Cloud 서버(700)를 통해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800)에 송신하여 관리자 모바일(800)에 알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온도 검출부(5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30), 콘크리트 양생현장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510)와,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송수신부(520)로 구성이 되며,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설치하여 외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에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열풍기 후면부 및 IoT 액츄에이터 측면부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열풍기(10)는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A 열풍기 및 B 열풍기 2대의 열풍기가 구성되도록 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열풍기와 동일하게 공기흡입구(11)와 흡입된 공기를 데워서 배출하는 열풍 배출구(12) 및 등유를 저장하는 기름탱크(13) 및 열풍기를 가동하거나 중지시키도록 하는 전원 스위치(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A 열풍기 및 B 열풍기(10)에 별도의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전원 스위치(14)를 직접 on/off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A 열풍기 및 B 열풍기 각각의 열풍기(10)의 일측에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가 각각 탈부착 가능하고 구성되도록 하여, 엑츄에이터가 전원 스위치(14)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은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는,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부(210)(310)와, 전원 스위치(14)를 직접 on/off 시킬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치(14)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20)(320)와,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240)(340)로 구성이 되어,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으로부터 통신 송수신부(230)(330)를 통하여 액츄에이터 기동 신호를 수신후 제어부(240)(340)에서 액츄에이터(220)(320)를 작동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의 전원 스위치(14)를 작동하도록 한다.
이때, 엑츄에이터(220)(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14)의 방향으로 물리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원 스위치(!4)를 직접 가압하여 on/off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풍기 동작 검출 센서부를 도시한 도이다.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는,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동작여부를 검출하도록 하는데, 특히, 열풍기의 동작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열풍기 진동 검출 센서(110)(410)와, 무선으로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에 송신하도록 하는 통신 송수신부(120)(420)와,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430)로 구성이 되도록 하여, 열풍기의 동작 여부를 열풍기 진동 감지 센서(110)(410)를 통해 검출하고, 해당 정보를 통신 송수신부(120)(420)를 통하여 무선으로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에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풍기 메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40), 제어부(630), 점등부(620),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 및 외부온도 검출부(500)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송수신부(610)로 구성이 되며,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에 기동 신호를 전달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가 기동할 수 있도록 하며,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기동 상황에 대해 Cloud 서버(700)를 통해 Web 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800)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Cloud 서버(700)는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기동정보, 양생온도를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800)로 전송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80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web시스템과 관리자 모바일이 별도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Cloud 서버(7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을 관리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0, 400 :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
200, 300 :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
500 : 외부온도 검출부
600 : 열풍기 메인 제어부
700 : Cloud 서버
800 :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

Claims (6)

  1.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구성되는 A 열풍기 및 B 열풍기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고 구성되어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전원스위치를 가동할 수 있는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에 각각 설치된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에 기동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와;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기동정보, 양생온도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담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Cloud 서버(700); 및
    Cloud 서버(7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을 관리하도록 하는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에서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동작여부 신호를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에 전달하며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가 열풍기 정지 신호를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로부터 수신을 하면,
    A 열풍기 및 B 열풍기 중 기동하다가 중지된 열풍기외의 다른 열풍기를 기동하기위해 해당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에 기동시그널을 송신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가 항상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콘크리트 양생온도 측정을 위한 외부온도 검출부(500)가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구성되며,
    외부온도 검출부(500)에서 외부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지정한 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Cloud 서버(700)를 통해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800)에 송신하여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온도 검출부(500)는 전원부(530),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510),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 송수신부(520)로 구성이 되며,
    콘크리트 양생 현장에 설치하여 외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는,
    열풍기 진동 검출 센서(110)(410), 통신 송수신부(120)(420) 및 전원부(130)(430)로 구성이 되며 열풍기 동작 여부를 열풍기 진동 감지 센서(110)(410)를 통해 검출하고, 해당 정보를 통신 송수신부(120)(420)를 통하여 무선으로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는,
    전원부(210)(310), 제어부(240)(340), 액츄에이터(220)(320) 및 통신 송수신부(230)(330)로 구성이 되어,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으로부터 통신 송수신부(230)(330)를 통하여 액츄에이터 기동 신호를 수신후 제어부(240)(340)에서 액츄에이터(220)(320)를 작동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의 전원버튼을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열풍기 메인 제어부(600)는 전원부(640), 제어부(630), 점등부(620), 통신 송수신부(610)로 구성이 되며,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열풍기 동작 검출센서부(100)(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열풍기 IoT 액츄에이터부(200)(300)에 기동 신호를 전달하여 A 열풍기 또는 B 열풍기가 기동할 수 있도록 하며,
    A 열풍기 및 B 열풍기의 기동 상황에 대해 Cloud 서버(700)를 통해 web시스템 및 관리자 모바일(800)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KR1020190149410A 2019-11-20 2019-11-20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KR10223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10A KR102235876B1 (ko) 2019-11-20 2019-11-20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10A KR102235876B1 (ko) 2019-11-20 2019-11-20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876B1 true KR102235876B1 (ko) 2021-04-02

Family

ID=7546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410A KR102235876B1 (ko) 2019-11-20 2019-11-20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8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2088A (zh) * 2021-08-06 2021-09-03 成都建工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温控云平台以及用户端的界面设置方法
KR102377861B1 (ko) * 2021-05-06 2022-03-22 제일정밀산업기기(주) 스마트 원격 조정용 열풍기
KR102377860B1 (ko) * 2021-05-06 2022-03-22 제일정밀산업기기(주)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756A (ja) * 1999-03-12 2000-09-26 Kontekku:Kk コンクリート材養生システム
KR100608148B1 (ko) 2005-04-07 2006-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7091B1 (ko) * 2006-10-16 2007-11-1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증기 보일러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양생 시스템
KR20140034546A (ko) * 2012-09-12 2014-03-20 현대건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4736A (ko) * 2015-06-09 2016-12-19 삼성물산 주식회사 한중콘크리트의 품질 향상과 양생비용 절감을 위한 열풍순환 보온양생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756A (ja) * 1999-03-12 2000-09-26 Kontekku:Kk コンクリート材養生システム
KR100608148B1 (ko) 2005-04-07 2006-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7091B1 (ko) * 2006-10-16 2007-11-19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증기 보일러를 이용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양생 시스템
KR20140034546A (ko) * 2012-09-12 2014-03-20 현대건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4736A (ko) * 2015-06-09 2016-12-19 삼성물산 주식회사 한중콘크리트의 품질 향상과 양생비용 절감을 위한 열풍순환 보온양생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861B1 (ko) * 2021-05-06 2022-03-22 제일정밀산업기기(주) 스마트 원격 조정용 열풍기
KR102377860B1 (ko) * 2021-05-06 2022-03-22 제일정밀산업기기(주) IoT 기반 모바일 열풍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342088A (zh) * 2021-08-06 2021-09-03 成都建工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温控云平台以及用户端的界面设置方法
CN113342088B (zh) * 2021-08-06 2021-11-05 成都建工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温控云平台以及用户端的界面设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876B1 (ko) IoT를 활용한 동절기 심야시간 콘크리트 연속 보온 열풍기 시스템
CN205079400U (zh) 一种通用机房的环境监测报警系统
KR101657411B1 (ko) 원격 버너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97364A1 (en) Apparatus controllable by mobile phone for power management
KR101607666B1 (ko)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US20070209653A1 (en) Pressure Controller for a Mechanical Draft System
KR101800903B1 (ko) 멀티 엔진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294684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로등 원격 제어시스템
KR1020448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KR20180133039A (ko) 로라를 이용한 스마트 보안등 제어기
CN111966872B (zh) 一种城市综合管廊监控报警和运维管理系统
CN202075840U (zh) 一种煤气检测报警排风系统
KR101643171B1 (ko)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2903A (ko) 이동 단말기 및 홈 네트워크에 기반한 애완견 관리 시스템
KR20110003730A (ko) 센서 코디네이터 장치
KR102539852B1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반의 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7945784U (zh) 一种配电室环境监测系统
CN110345332A (zh) 一种电伴热系统
CN214780336U (zh) 一种塔吊安全监控系统
KR102154914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베이스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0766441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JP2681149B2 (ja) ボイラー等の熱機器管理用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20190011555A (ko) 엔비아이오티(NB-IoT)를 이용한 스마트 보안등 제어기
KR102544706B1 (ko) 균열 감지 장치 및 방법 그를 이용한 균열 이력 관리 시스템
CN203980553U (zh) 分布式室内加湿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