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756A - 다중 구성요소 커버를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구성요소 커버를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756A
KR20220083756A KR1020227015976A KR20227015976A KR20220083756A KR 20220083756 A KR20220083756 A KR 20220083756A KR 1020227015976 A KR1020227015976 A KR 1020227015976A KR 20227015976 A KR20227015976 A KR 20227015976A KR 20220083756 A KR20220083756 A KR 2022008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harger
cavity
generating device
clos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반 프레스티아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2008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충전기는 충전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공동은 개구부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가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다. 충전기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각각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갖는다. 커버의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갖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정의한다. 폐쇄 위치에서, 이동식 요소는 충전기와 충전기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에서 전기 통신이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구성요소 커버를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본 개시는 개선된 폐쇄 수단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충전기, 충전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분무기를 포함하며, 분무기는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의 휘발성 화합물을 분무하도록 작동된다. 통상적으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또한 분무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분무기는 전기 작동식 가열 수단, 예를 들어 전기 히터일 수 있다.
몇몇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 예를 들어 균질화 담배를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장치는, 통상적으로 물품이 장치 내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배열되는 분무기 및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형태로 분무기에 연결된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고 있다.
몇몇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수신하고 재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충전기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자주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하루에 여러 번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루 종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기 내로 자주 삽입하고 제거할 것이다.
일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충전기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커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기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개방 위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먼지로부터 보호되는 폐쇄 위치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충전기는 보통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보통 전기 접촉부도 포함하고 있다. 충전기 내에 수용되고 재충전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기 내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접촉부가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와 전기적 연결되도록 충전기 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폐쇄 위치에서, 커버는 또한 사용자가 충전기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충전기가 특정 배향으로 저장되거나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떨어뜨려지는 경우, 전기적 연결은 일관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기에 수용되어 있는 동안 전기적 연결이 일관되게 유지되지 않으면, 그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적절히 재충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위험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휴대용 시스템인 경우에 특히 높다. 또한, 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강제될 위험이 있다.
또한, 많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커버는, 개방 위치에서, 통상적으로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서, 충전기로부터 돌출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예를 들어, 커버는 회전축 주위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폐쇄 위치에서, 커버는 충전기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인접한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커버는 개방 위치에서 충전기의 그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충전기가 이러한 방식으로 수직으로 돌출될 때, 커버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충전기와 그 충전기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함으로써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사용 빈도를 고려할 때,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작될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견고한 커버를 충전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개시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제공되어 있다. 충전기는 충전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은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가 공동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충전기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요소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커버의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profiled engagement member)를 정의할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가질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기울기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는 충전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동은 개구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요소 각각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커버의 상기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갖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정의하고, 상기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상기 공동 내로 또는 상기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기울기는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상기 선단 에지로부터 상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동 내의 충전기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충전기에 의해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기의 주위로부터의 먼지 및 때로부터 보호된다. 폐쇄 위치에서,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또한 사용자가 충전기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전기 접촉부가 보장된다. 이러한 충전기는 유리하게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는 유리하게는 단일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와 비교하여 커버의 풋프린트를 감소시킨다. 이는 충전기 하우징을 더 콤팩트하게 한다. 이는 충전기가 휴대용 충전기인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유리하게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맞물림을 허용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맞물림으로써,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유리하게는 공동 내의 소정의 위치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보유한다. 소정의 위치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기와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맞물림은 유리하게는 충전기의 배향에 관계없이 또는, 예를 들어 충전기가 떨어지는 경우에 충전기에 갑작스러운 힘이 적용되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여 보유될 때에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전기적 연결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가 공동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여 보유될 때에 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그 표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충전기의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커버의 복수의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의 일부분에 관한 것이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커버의 일부 중간 위치에서(즉,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릴 수 있고, 커버가 중간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커버의 내부 표면"은 충전기의 하우징을 향하는 커버의 표면을 의미한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러한 내부 표면은 충전기의 하우징 내에 정의된 공동과 대면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울기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릴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에 다수의 접촉 지점들이 존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초과의 이동식 요소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기울기는 동일하다.
커버는 작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는 충전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의 회전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는 공동과 동심일 수 있다. 커버는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링은 공동 및 작동 플레이트 링과 동심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링은 작동 플레이트 링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플레이트 링은 베이스 플레이트 링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작동 플레이트의 내부 링은 공동 개구부의 치수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링의 직경은 공동 개구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작동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한 말단에서 작동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다른 말단에서 이동식 요소에 고정되는 작동 아암을 통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충전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충전기 하우징에 대한 연결은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충전기 하우징에 형성된 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을 작동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충전기 하우징에 연결함으로써, 작동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것은 이동식 요소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충전기 하우징에 대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의 연결은, 작동 플레이트의 회전이 이동식 요소가 피봇 주위에서 작동하게 하도록 작동 플레이트에 대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의 각각의 연결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커버는 홍채 기구(iris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 홍채 기구는 유리하게는 작은 풋프린트, 콤팩트성 및 견고성을 갖는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홍채 기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홍채 기구는 또한 작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홍채 기구는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2 내지 6개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개방 위치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이동식 요소가 작동 아암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중첩되지 않는 배열은 유리하게,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갖는 홍채 기구를 가능하게 한다.
폐쇄 위치에서,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서로 접촉하여 연속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속 표면은 충전기의 공동 개구부와 대면하고 공동을 폐쇄할 수 있다. 즉, 폐쇄 위치에서,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정렬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주위로 공동을 폐쇄한다.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전기 통신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에 보유되는 것을 보장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전기 저항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효율적인 충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가압하다" 또는 "가압하는"은 힘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다른 구성요소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이동식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돌출부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기울기가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증가하는 결과이다.
바람직하게는, 선단 에지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리기에 충분한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될 때,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즉시 맞물리지 않는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더 폐쇄 위치를 향해 작동시키는 것은,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린 다음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점점 가압하는 정도로,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분이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매끄러운 맞물림을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 중 하나 초과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할 때,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복수의 이동식 요소의 움직임으로 동일한 지점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균등하게 가압한다. 이는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가압하는 균일한 힘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보장한다.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까지 복수의 이동식 요소의 작동은 공동과의 중첩 관계로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을 이동시킬 수 있다. 공동과의 이러한 중첩 관계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유리하게는 공동 내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상호 작용하고, 그에 맞물릴 수 있다. 선단 에지는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됨에 따라, 먼저 공동과의 중첩 관계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기울기는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선형으로 증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울기는 비선형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의 증가의 변화율은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의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증가하는 돌출부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처음에는 느릴 수 있고, 그런 다음 더 빠르게 증가할 수 있다. 비선형 기울기는, 기울기의 증가 속도가 낮은 동안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매끄러운 맞물림이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일단 맞물림이 이루어지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로 신속하게 가압되어 전기적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까지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에 대한 참조가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지만,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까지 동일하게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는 탄성 요소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탄성 요소"는 적용된 힘에 의해 변형 또는 편향될 수 있지만, 적용된 힘이 제거된 후에는 그의 원래 위치 또는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요소에 관한 것이다. 탄성 요소가 이 탄성 요소를 향해서 이동하는 구성요소에 의해 적용된 힘에 의해 변형 또는 편향되었을 때, 탄성 요소는 구성요소를 가압해서 탄성 요소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반력을 발생시킨다. 탄성 요소의 예는 나선형 스프링 및 캔틸레버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개구부의 방향으로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탄성 요소일 수 있다. 탄성 요소에 의해 적용되는 힘은 유리하게는 커버에 대해, 특히 커버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에 대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한다. 폐쇄 위치에서의 커버는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의 전기적 통신을 보장한다.
충전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는 공동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요소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개구부의 방향으로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공동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충전기로부터 더욱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유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영역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충전기의 사용자는 이 영역을 잡고 상호 작용하여 충전기로부터 에어로졸 발생을 더 쉽게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공동 밖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방출 기구는 충전기의 공동 내에 위치되는 나선형 스프링 또는 캔틸레버 스프링 형태의 탄성 요소일 수 있다.
충전 장치는 일차 전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은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이차 전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차 전력 공급원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 및 이차 전력 공급원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 및 이차 전력 공급원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 및 이차 전력 공급원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 및 이차 전력 공급원은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일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 및 이차 전력 공급원은 동일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 및 이차 전력 공급원은 상이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이차 전력 공급원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이는 일차 전력 공급원과 이차 전력 공급원 사이의 전기적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과 이차 전력 공급원 사이의 전기적 통신은 일차 전력 공급원이 이차 전력 공급원을 재충전하는 데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의 연결을 보장하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기에 수용되고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일차 공급원이 이차 전력 공급원을 재충전하는 것을 보장한다.
충전기의 공동은 공동 내에 수용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치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동은 카트리지 하우징의 표면 내의 개구부로부터 카트리지 하우징 내에 위치된 폐쇄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세장형 공동이다. 그의 개구부로부터 그의 폐쇄 말단까지의 공동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공동 내에 수용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충전기의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동 내에 수용될 때 공동의 개구부 밖으로 또는 그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공동 밖으로 또는 그 위로의 이러한 연장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공동 밖으로 밀어내는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의 결과일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캠 표면일 수 있다.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표면은 캠 라이더일 수 있다. 특히,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단 표면은 캠 라이더일 수 있다. 하나 초과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은 개별 캠 표면일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표면의 상이한 부분은 캠 라이더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캠 표면"은 제2 구성요소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성요소의 표면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캠 라이더"는 캠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구성요소의 일부분을 지칭한다. 캠 표면 및 캠 라이더는 제1 구성요소의 움직임이 캠 표면과 캠 라이더 사이의 접촉을 통해 제2 구성요소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캠 표면은 캠 라이더를 통과한다.
캠 표면으로서,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캠 라이더로서, 각각의 이동식 요소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횡 방향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기울기를 따르거나 이를 라이딩할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기울어짐에 따라, 커버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동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린다. 이는 유리하게는 공동 내의 전기 접촉부에 대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려진 후에만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라이딩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식 요소는 작동 평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식 요소는 동일한 작동 평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식 요소는 상이한 작동 평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작동 평면"은 커버가 폐쇄 위치,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커버가 놓이는 평면을 지칭한다. 작동 평면은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x 및 y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이동식 요소는 x 및 y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기울기의 방향은 각각의 이동식 요소의 작동 평면을 벗어날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을 향해 작동 평면 밖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작동 평면의 밖으로"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기울기의 0이 아닌 구성요소가 작동 평면에 의해 정의된 x 방향 및 y 방향 둘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기울기의 0이 아닌 구성요소는 작동 평면에 의해 정의된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z 방향으로 존재한다.
각각의 이동식 요소는 작동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표면은 내부 표면에 대한 이동식 요소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식 요소의 내부 표면은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지 않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의 내부 표면의 일부분은 슬라이딩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커버의 내부 표면의 일부분은 커버의 외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충전기의 하우징은, 전방 벽면, 후방 벽면, 하단 벽면, 상단 벽면, 제1 측벽면, 및 제2 측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의 하우징은 평행육면체일 수 있다.
충전기의 하우징은 상단 벽면, 하단 벽면 및 측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의 하우징은 원통형일 수 있다.
충전기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측면", "상단", "하단", "좌측", "우측"이라는 용어들 및 기타 용어들은, 상단 말단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의 개구부를 갖는, 직립 위치에 있는 충전기를 지칭한다. 공동은 상단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작동 평면은 상단 말단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용어 "길이방향"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충전기의 하우징은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작동 가능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단 표면일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킬 때, 커버의 내부 표면은 하우징의 면을 지나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동식 요소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충전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커버가 증가된 손상 위험을 갖는 위치는 없다. 하우징의 면은 전술한 작동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유리하게 견고하다.
충전기는 작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충전기의 사용자에 의한 작동 부재의 조작에 응답하여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충전기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프로세스가 단순화되고 사용자를 더욱 편안하게 한다. 예를 들어, 충전기 하우징 상의 작동 부재는 유리하게는 한 손에 충전기를 잡고 있는 사용자가 동일한 손을 사용하여 작동 부재를 조작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커버 자체를 이동시키는 것보다 더 편안할 수 있다. 작동 부재는 충전기 하우징의 전방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작동 부재는 회전식 디스크일 수 있다. 작동 부재가 회전식 디스크인 경우, 충전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다. 회전식 디스크는 충전기의 하단 표면에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식 디스크는 원통형 충전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회전식 디스크는 충전기의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식 디스크의 회전은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회전식 디스크와 커버 사이의 기계적 연동(mechanical linkage)일 수 있다. 기계적 연동은 회전식 디스크를 작동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 샤프트일 수 있다. 기계적 연동은 회전식 디스크의 회전이 커버의 작동 플레이트의 회전을 야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부재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작동 부재가 회전식 디스크인 경우, 충전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평행육면체이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슬라이더와 커버 사이의 기계적 연동일 수 있다. 기계적 연동은 슬라이더의 이동이 커버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더의 이동은 회전 운동으로서 커버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 운동은 커버의 작동 플레이트로 전달될 수 있고, 커버의 작동 링의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부재는 버튼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커버를 슬라이딩하는 수단은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와 커버 사이의 기계적 연동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부재는 충전기의 사용자에 의한 작동 부재의 조작에 응답하여 전기 신호를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회전 운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운동은 기계적 연동을 통해 커버로, 특히 작동 플레이트로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편향되는 것은 유리하게,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를 향해 가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마다, 편향력은 자동적으로 이들을 폐쇄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커버를 개방 위치에 두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또한 유리하게는 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강제로 개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충전기가 사용자의 포켓에 저장될 때, 커버가 자동적으로 다시 폐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편향 요소는 복수의 스프링들을 경유할 수 있다. 각각의 스프링은 한 말단에서 복수의 이동식 요소 중 하나에 그리고 다른 말단에서 전하의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프링의 한 말단은 커버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고, 다른 말단은 커버의 작동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해서 사용자의 입을 거쳐서 사용자의 폐 속으로 직접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휘발성 화합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전기 히터와 같은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가열 시에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기재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서 발생된 에어로졸은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일 수도 있고, 증기(예를 들면, 실온에서는 보통 액체 또는 고체인, 기체 상태에 있는 물질의 미립자)뿐만 아니라, 기체 및 응축된 증기의 액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일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및 액체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포함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 물질을 함유하는 비-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인 경우,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면 허브 잎, 담배 잎, 담배 엽맥들, 팽화 담배(expanded tobacco) 및 균질화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분말, 과립, 펠릿(pellet), 조각(shred), 가닥, 스트립 또는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시에 방출될,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면 추가적인 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캡슐을 또한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캡슐들은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중 용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열적으로 안정한 담체 상에 제공되거나 담체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캐리어는 분말, 과립, 펠릿, 슈레드, 가닥, 스트립 또는 시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예를 들어 시트, 발포체, 겔 또는 슬러리 형태로 담체의 표면에 증착될 수 있다.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캐리어의 전체 표면에 증착되거나, 대안적으로 사용 중 불균일한 향미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패턴으로 증착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액체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카트리지는 액체 기재를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대안적으로 임의의 다른 종류의 기재, 예를 들면, 기체 기재, 겔 기재, 또는 다양한 종류의 기재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제'는 사용 시, 에어로졸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작동 온도에서 열적 감성에 실질적으로 내성이 있는, 임의의 적합한 공지된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dodecanedioate)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tetradecanedioate)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같은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단일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두 종류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5%를 초과하는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갖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대략 5% 내지 대략 3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대략 2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갖는다.
본 개시에서,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또한 제공되어 있다. 충전기는 충전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은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가 공동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충전기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커버의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갖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정의할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기울기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에 수용될 때,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기는: 충전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동은 개구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요소 각각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커버의 상기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갖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정의하고, 상기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상기 공동 내로 또는 상기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기울기는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상기 선단 에지로부터 상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상기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충전기의 특징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충전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동 내의 충전기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주위의 먼지 및 때로부터 보호된다. 폐쇄 위치에서, 커버는 또한 사용자가 충전기 내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전기 접촉이 보장된다. 이러한 충전기는 유리하게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에 전기 통신이 보유되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울기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릴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에 다수의 접촉 지점들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초과의 이동식 요소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기울기는 동일하다.
커버는 작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는 공동과 동심일 수 있다. 커버는 링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링은 공동과 동심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링은 작동 플레이트 링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플레이트 링은 베이스 플레이트 링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및 작동 플레이트의 내부 링은 공동 개구부의 치수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링의 직경은 공동 개구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는 충전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는 충전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작동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한 말단에서 작동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다른 말단에서 이동식 요소에 고정되는 작동 아암을 통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또한 충전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충전기 하우징에 대한 연결은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충전기 하우징에 형성된 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충전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을 작동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충전기 하우징에 연결함으로써, 작동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것은 이동식 요소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충전기 하우징에 대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의 연결은, 작동 플레이트의 회전이 이동식 요소를 피봇 주위에서 작동하게 하도록 작동 링에 대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의 각각의 연결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커버는 홍채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홍채 기구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홍채 기구는 또한 작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홍채 기구는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2 내지 6개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개방 위치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중첩되지 않는 배열은 유리하게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갖는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허용한다.
충전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는 공동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는 탄성 요소일 수 있다. 탄성 요소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개구부의 방향으로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장치는 일차 전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은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이차 전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차 전력 공급원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일차 전력 공급원과 이차 전력 공급원 사이의 전기적 통신은 일차 전력 공급원이 이차 전력 공급원을 재충전하는 데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의 연결을 보장하는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기 내에 수용되고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일차 공급원이 이차 전력 공급원을 재충전하는 것을 보장한다.
충전기의 공동은 공동 내에 수용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치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그의 개구부로부터 그의 폐쇄 말단까지의 공동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공동 내에 수용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공동 내로 또는 공동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캠 표면일 수 있고,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표면은 캠 라이더일 수 있다.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때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작동 평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충전기는 작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충전기의 사용자에 의한 작동 부재의 조작에 응답하여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부재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슬라이더와 커버 사이의 기계적 연동일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슬라이더와 커버의 작동 플레이트 사이의 기계적 연동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부재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슬라이더와 커버 사이의 기계적 연동일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슬라이더와 커버의 작동 플레이트 사이의 기계적 연동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 부재는 버튼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와 커버 사이의 기계적 연동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 연동은 액추에이터와 커버의 작동 플레이트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기는: 충전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동은 개구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요소 각각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커버의 상기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갖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정의하고, 상기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상기 공동 내로 또는 상기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기울기는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상기 선단 에지로부터 상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상기 충전기의 공동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식 요소를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게 하도록 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에 수용되고,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충전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기 내의 제어기는 충전기의 일차 전력 공급부를 충전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결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전기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위치된 이차 전력 공급부는 충전기의 일차 전력 공급부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충전은 충전기의 제어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사용자가 충전기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이동식 요소를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까지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가 개방 위치로 슬라이딩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기의 공동 밖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분을 공동 밖으로 밀어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사용자는 이 부분을 사용하여 공동 밖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당길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또는 그 반대로)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는 충전기의 커버를 직접 조작하는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전기는 회전 디스크, 슬라이더,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의 작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부재의 조작은 커버를 작동시킨다. 작동 부재의 조작은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폐쇄 위치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그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장치의 공동 내로 삽입하는 단계는 개방 위치에서 커버를 유지하기 위해 편향에 대항하여 이동식 요소 상에 힘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식 요소 상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힘은 커버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커버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는 편향 요소의 결과로서 커버가 폐쇄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개방 위치에서 커버를 유지하는 힘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관해 설명된 특징은 또한 다른 양태 및 구현예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또한 상술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특정 구현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를 포함한 공지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구현예에서, 충전기는 원통형이고 회전식 디스크 형태의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커버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충전기와 별도로 커버의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a는 개방 위치에서의 커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b는 (거의) 폐쇄 위치에서의 커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충전기의 단면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a는 개방 위치에 있는 커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b은 폐쇄 위치에 있는 커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c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는 커버를 도시한다;
도 5는 커버의 나머지 부분과 별개로, 도 2 내지 도 4의 커버의 작동 가능한 요소 중 하나의 확대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작동 부재가 슬라이더인 충전기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도 6의 충전기의 단면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작동 수단이 전기 모터인 충전기의 다른 구현예의 단면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구현예의 단면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공지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공지된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충전기(1), 에어로졸 발생 장치(20)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30)을 포함하고 있다.
충전기(1)는 종래의 궐련 패킷의 일반적인 크기 및 형상을 갖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3) 및 전기 회로(4)는 충전기(1) 내에 수용된다. 충전기(1)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0)를 수용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원형-원통형 공동(5)을 더 포함하고 있다. 공동(5)은 하우징(2)에 의해 정의된다. 전기 접촉부(미도시함)는 공동(5)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 장치(1)의 배터리(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공동(5)의 폐쇄 말단에 배열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종래의 엽궐련의 일반적인 치수를 가지고 있다. 장치(20)의 길이는 공동(5)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장치(20)의 직경은 공동(5)의 직경보다 약간 작아서, 장치(20)가 공동(5) 내에 꼭 맞게 끼워진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근위 말단에 공동(21)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30)이 공동(21) 내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3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열하기 위해 공동(21) 내에 배열되는 전기 히터(미도시함)와 장치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배터리(미도시함)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30)은 담배의 주름진 권축된(crimped) 시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미도시함), 및 로드 형태로 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함께 서로 뒤를 맞대고 배열되는 필터(미도시함)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30)은 장치(20)의 공동(2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및 공동(21)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물품(30)이 장치(20)의 공동(21) 내에 수용될 때, 필터가 공동(21) 밖으로 연장되고, 종래 궐련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흡인할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장치(20)의 공동(21) 내로 물품(30)을 삽입하고 장치(20)를 켜서 전기 히터를 활성화시킨다. 전기 히터는 물품(30)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해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휘발성 화합물이 방출되고 분무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하게 된다. 사용자는 물품(30)의 마우스피스를 흡인하고 가열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한다. 장치(20)의 사용 후, 물품(30)은 폐기를 위해 장치(2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장치(20)는 장치(20)의 배터리의 보관 및 충전을 위해 충전기(1) 내에 놓일 수 있다.
도 2는 충전기 하우징(102), 커버(110) 및 회전식 디스크(130) 형태의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충전기(100)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충전기는 또한 공동 내에 위치되는 2개의 전기 접촉부들(도 2에는 미도시) 및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형태로 된 전력 공급부(미도시함)를 포함하고 있다.
충전기 하우징(102)은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회전식 디스크(130)는 또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회전식 디스크(130)의 직경은 충전기 하우징(102)의 직경과 동일하고, 회전식 디스크(130)는 충전기 하우징(102)과 동심이다.
커버(110)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의 보다 상세한 도면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커버는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 작동 링(114) 및 4개의 이동식 요소(116)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서, 이동식 요소(116)는 폐쇄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개별 이동식 요소는 2개의 다른 이동식 요소와 접촉하고 있다. 이동식 요소(116)는 중첩되지 않는다. 이동식 요소(116)는 이동식 요소(11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식 요소 사이의 접촉이 연속 표면을 생성하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120)은 충전기 하우징(102)에 의해 정의된다. 공동(120)은 공동 벽면(122) 및 공동 개구부(124)를 포함하고, 이는 충전기 하우징(102)의 상단 표면(104)에 정의된다. 공동 개구부(124)는 커버와 정렬되어 있다. 공동이 충전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커버(110)가 도 2의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기 때문에, 공동(120), 공동 벽면(122) 및 공동 개구부(124)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충전기 내의 공동의 위치는 점선(121)으로 표시된다. 공동(120)의 특징부는 도 4에서 볼 수 있다.
이동식 요소(116)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다.
커버는 도 3에서 충전기(100)의 나머지 부분과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는 홍채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동식 요소(116) 각각은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 및 작동 플레이트 링(114)에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링에 대한 각각의 이동식 요소(116)의 연결은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에 형성된 핀을 통한다. 각각의 핀은 각각의 이동식 요소(116) 상의 연결부(306)에서 이동식 요소(116)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식 요소는 연결부(306)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작동 링(114)에 대한 이동식 요소(116)의 연결은 연결 아암(302)을 통해 이루어진다. 각각의 연결 아암은 연결 아암(302)의 한 말단에서 연결부(304)에 있는 이동식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아암(302)의 다른 말단은 작동 링(114) 내의 핀을 통해 작동 링(114)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이동식 요소(116)는 연결부(30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각각의 작동 아암(302)은 작동 지점(30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작동 링(112)은 베이스 플레이트 링(114)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작동 링(112)의 회전은 이동식 요소(116)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은 각각의 연결부(304, 305 및 306)가 연결부 주위로의 회전을 허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연결 지점의 오프셋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작동 링(114)이 회전할 때, 이동식 요소(116)는 도 3a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도 3b에 도시된 거의 폐쇄 위치로 작동된다. (홍채 기구에서 공통인 바와 같이) 작동 링에 직접 연결되기 보다는 연결 아암(302)을 통해 이동식 요소(116)를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이동식 요소(116)의 움직임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서 다른 이동식 요소와의 임의의 중첩을 회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형성하도록 이동식 요소의 내부 표면이 기울어지게 한다.
도 3b는 이동식 요소가 도 2에 도시된 폐쇄 위치(즉, 이동식 요소가 연속 표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완료되지 않은 거의 폐쇄 위치에서의 이동식 요소를 보여주고 있다.
작동 링(114)의 직경은 공동(120)(공동은 원통형임)의 직경에 대응한다. 작동 링(114)은 또한 공동(120)과 동심이다. 따라서, 이동식 요소(11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공동(120)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120) 내의 충전기(10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하다. 폐쇄 위치에서, 이동식 요소(116)는 공동(120)과 대면하여 공동(120)을 폐쇄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공동을 폐쇄하는 것은 주위의 먼지 및 때로부터 공동(120)을 보호하고, 사용자가 충전기의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한다. 충전기 하우징(102)은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케이스로서 작용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폐쇄 위치에서, 이동식 요소(116)는 또한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공동 내에 수용된 충전기(도 2에 미도시)의 전기 접촉부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보장하도록 작용한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공동(120)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를 갖춘 충전기(100)의 단면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4개의 이동식 요소(116) 중 2개는 횡단면에서 보여질 수 있다. 도 4a는 개방 위치에 있는 이동식 요소(116)를 보여주고 있다. 도 4b는 폐쇄 위치에 있는 이동식 요소(116)를 보여주고 있다. 도 4c는 도 4a의 개방 위치와 도 4b의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는 이동식 요소를 보여주고 있다.
이동식 요소(116) 각각은 내부 표면(410)을 포함하고, 그 일부분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를 정의한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는 선단 에지(414) 및 후단 에지(416)를 포함하고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요소(11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는 공동(120)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의 기울기는 선단 에지(414)로부터 테일링 에지(416)로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의 기울기는 커버의 나머지 부분과 별도로 도시된 작동 부재(116)의 사시도인 도 5에 더 명확하게 도시된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의 기울기는, 2개의 연결 지점들(304 및 306)로부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의 가장 먼 지점에서 정의된 선단 에지(414)로부터 후단 에지(416)까지 증가한다. 후단 에지 후에, 이동식 요소(116)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부분(502)을 정의한다. 내부 표면의 부분(502)은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커버의 다른 특징부(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 위로 연장되기 때문에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리지 않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2개의 전기 접촉부들(402 및 403)을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또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형태의 전력 공급부(미도시함)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는 2개의 전기 접촉부들(402 및 403)과 전기적으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2개의 전기 접촉부들(404 및 405)이 충전기의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접촉부(402 및 403)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404 및 405)와 정렬되어 있다.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있을 때, 충전기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신뢰성있게 충전되게 하기 위해, 전기적 연결은 거의 일정하다.
전기 접촉부(404, 405)는 캔틸레버 스프링 형태의 탄성 요소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촉부(404 및 405)는 이동식 요소(11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공동 개구부의 방향으로 공동의 폐쇄 말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가 공동 내에 수용되고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기가 직립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전기 접촉부(404 및 405) 상에 놓인다.
공동은 전기 접촉부(404 및 405)가 위치된 폐쇄 말단으로부터 공동 개구부(124)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구현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이 공동 개구부(124)의 상단과 정렬되도록 충전기 하우징 내에 설정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는 공동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전기 접촉부(404 및 405)의 상향 연장으로 인해, 전기 접촉부(404 및 405) 상에 안착하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공동 개구부(124)의 레벨 위로 연장된다.
이동식 요소(116)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전기 접촉부(402 및 404 및 403 및 405) 사이의 전기 통신은 보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일관성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100)가 직립 위치에 보관되지 않거나, 흔들리거나, 떨어지면, 전기 접촉부들 사이에서 전기 통신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동식 요소(11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전기 접촉부(402 및 404 및 403 및 405) 사이의 전기 통신이 보장된다. 이는, 폐쇄 위치에서,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가 공동(120)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의 상단 표면(422)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맞물림은, 예를 들어 충전기가 떨어지는 경우에, 충전기의 배향 및 충전기에 적용된 임의의 갑작스러운 힘에 관계없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가 전기 접촉부(402 및 404 및 403 및 405)와 전기 통신하는 것을 보장한다. 즉, 맞물림은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402 및 403)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접촉부(404 및 405) 사이에 접촉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단 표면(422)에 힘을 적용하고, 이를 공동(120) 내로 그리고 전기 접촉부(404 및 405)의 방향으로 그리고 전기 접촉부에 대해 밀어내기 때문에 전기 통신이 보장된다. 적용된 힘은 전기 접촉부(404 및 405)가 변형되게 하고,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가 전기 접촉부(404 및 405)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가압하는 반작용력(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를 공동(120) 밖으로 다시 밀어내는 반작용력)을 발생시킨다. 이동식 요소(11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전기 접촉부(404 및 405)에 의해 적용되는 반작용력은 이동식 요소(116)에 대해, 특히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에 대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한다. 이러한 배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와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404 및 405) 사이의 접촉을 보장한다.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는 커버의 중간 위치(즉,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공동(120)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의 상단 표면(422)과 먼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도 4c에 도시된 위치이다.
이동식 요소(116)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됨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의 각각은 공동(120)과의 중첩 관계로 이동한다. 이는 먼저 상기 공동과의 중첩 관계로 이동하는 선단 에지(414)이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기울어져 있는 결과로서, 각각의 프로파일 맞물림 부재(412)는 이동식 요소(116)가 폐쇄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점점 공동을 향해 돌출한다. 도 4c에 도시된 중간 위치에서, 중첩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116)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의 상단 표면(422)과 먼저 접촉하고 맞물리기에 충분하게 공동을 향해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열은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분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300) 사이의 매끄러운 맞물림을 초래한다.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는, 이동식 요소(116)가 도 4c의 중간 위치에서 도 4b의 폐쇄 위치로 작동됨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와 맞물린 채로 유지된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가 공동을 향해 점점 돌출됨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전기 접촉부(404 및 405)와 접촉하게 하는 증가하는 힘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300) 상에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전기 접촉부(404 및 405)는 그들의 연장된 상태로부터 점점 변형되고, 따라서 증가하는 반작용력을 적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공동 밖으로 다시 밀어낸다.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는 유사한 경로를 따라, 각각의 이동식 요소(116)의 움직임으로 등가 지점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와 맞물린다.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 각각의 기울기는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는 다른 이동식 요소(116)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와 비교하여 각각의 이동식 요소(116)의 움직임에 있어서 동등한 지점에서 공동을 향해 유사하게 돌출된다. 이는, 균일한 힘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보장하는 이동식 요소 각각에 의해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동일한 힘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에 적용되는 것을 초래한다. 이는 또한 힘이 이동식 요소(116)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보장한다.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는 캠 표면으로서 작용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는 캠 표면들의 움직임에 따라 캠 라이더로서 작용한다.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됨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412)의 횡 방향 움직임은 공동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의 종 방향 움직임으로 전달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식 요소(116)는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에 대해 회전하는 작동 링(114)의 결과로서 작동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충전기는 회전 디스크(130) 형태의 작동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에 대한 작동 링(114)의 회전을 야기하여 이동식 요소(116)를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이다.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는 작동 플레이트(114)의 중심과 정렬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2개의 강성 샤프트들(432)은 회전식 디스크(130)를 작동 링(114)에 부착한다. 강성 샤프트(432)는 충전기 하우징(102)에 정의된 중공형을 통과한다. 사용자가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를 회전시킬 때, 회전 운동은 강성 샤프트(432)에 의해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로부터 작동 링(114)으로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의 회전에 의해 이동식 요소(116)를 조작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에 코일(450) 형태의 편향 요소가 부착된다. 코일(450)은 제1 말단(452)에서 충전기 하우징(102)에 부착되고, 제2 말단(454)에서 회전식 디스크(130)에 부착된다. 코일은 탄성 요소이고, 코일(450)의 자연적이고 변형되지 않은 상태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가 이동식 요소(116)가 폐쇄 위치에 있는 위치에 있을 때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가 이동식 요소(116)가 개방 위치에 있도록 하는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450)은 변형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동식 요소(11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450)은 회전 가능한 디스크가 이동식 요소(116)가 공동(120)을 폐쇄하는 위치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에 힘을 적용한다.
이동식 요소(116)가 개방 위치, 또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마다, 이동식 요소(116)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 상에 힘을 적용하는 코일(450)에 의해 폐쇄 위치를 향해 다시 가압된다. 이는 충전기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커버를 개방 위치에 두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가 우발적으로 강제로 개방되는 경우, 코일(450)은 커버를 자동적으로 다시 폐쇄할 것이다.
코일(450)은 한 말단에서 회전 가능한 디스크(130)에 부착되고 다른 말단에서 충전기 하우징(102)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설계가 가능하다. 이동식 요소(11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자연 상태에 있지만, 이동식 요소(116)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변형되는 임의의 편향 요소는 동일한 효과를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편향 요소는 한 말단에서 작동 링(114)에 부착될 수 있고, 타 말단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편향 요소는 이동식 요소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편향 요소 각각의 다른 말단은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회전 가능한 디스크보다는 작동 부재로서 슬라이더 탭(602)을 포함하는 충전기의 구현예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충전기 하우징(102)은,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더 탭(602)은 충전기 하우징(102) 내의 세장형 개구부(604)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슬라이더 탭(602)의 위치에서, 이동식 요소(116)는 폐쇄 위치에 있다. 세장형 개구부(604)를 따라 슬라이더 탭(602)을 슬라이딩하면 이동식 요소(116)를 개방 위치로 작동시킨다. 도 6의 커버는 이전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구현예에서, 슬라이딩 탭(602)의 슬라이딩 운동은 작동 링(114)으로 전달되기 전에 먼저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충전기의 단면 개략도인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슬라이더 탭(slider tab, 602)이 코그(cog, 704)와 맞물리는 치형 레일(toothed rail, 702)에 부착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치형 레일(702) 및 코그(704)는 랙 및 피니언 관계를 갖는다. 슬라이더 탭(602)을 이동시키면 치형 레일(702)(랙)의 선형 운동이 야기된다. 치형 레일(701)은 치형 레일(702)의 선형 운동이 코그(704)를 회전시키도록 코그(704)(피니언)와 맞물린다. 이는 슬라이더 탭(602)의 라이너 움직임을 코그(704)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코그(704)는 강성 샤프트(706)에 부착되어 있다. 강성 샤프트(706)의 한 말단에는 휠(708)이 있다. 휠(708)은 커버(110)의 작동 링(114)과 접촉한다. 코그(704)가 슬라이더(602)의 선형 운동에 반응하여 회전할 때, 이는 또한 강성 샤프트(706)를 회전시켜 휠(708)이 회전하게 한다. 휠(708)과 작동 링(114) 사이의 마찰은 작동 링이 베이스 플레이트 링(112)에 대해 회전하도록 강제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탭(602)을 슬라이딩하는 것은 이동식 요소(116)를 작동시킨다.
편향 요소(미도시함)는 한 말단에서 슬라이더 탭(602)에 부착될 수 있고, 타 말단에서 충전기 하우징(102)에 부착될 수 있다. 편향 요소의 자연 상태는 슬라이더 탭(602)이 이동식 요소(116)가 폐쇄 위치에 있도록 위치에 있을 때이다. 세장형 개구부(604)를 따라 슬라이더 탭(602)을 슬라이딩하면 편향 요소가 변형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기는 슬라이더 또는 회전식 디스크 대신에 충전기 하우징(102) 내에 위치된 버튼 또는 스위치(미도시함)의 형태인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어기(미도시함)에 신호를 보내는 버튼 또는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기는 조작에 응답하여 이동식 요소(116)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를 제어한다.
도 8은 전기 모터(802)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전기 모터(802)는 도 7의 랙 및 피니언 배열을 대체한다. 강성 샤프트(804)는 전기 모터(802)에 연결되어 있다. 전기 모터(802)는 제어기를 통해 버튼 또는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전환할 때, 제어기는 전기 모터로 하여금 강성 샤프트(804)를 회전시킨다. 이는 차례로 강성 샤프트(804)의 말단에 위치된 휠(806)을 회전시킨다. 휠(806)은 작동 링(114)과 접촉하고, 작동 링(114)과 휠 사이의 마찰은 휠(806)의 회전이 작동 링(114)을 회전시켜 이동식 요소(116)를 작동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를 포함하는, 충전기의 단면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커버(110)는 개방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는 전기 접촉부들(404 및 405) 사이의 공동(120) 내에 위치된 나선형 스프링(902)이다. 나선형 스프링은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공동(120) 밖으로 (즉, 공동 개구부(12)의 위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902)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의 하단 표면(904)을 밀어낸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를 공동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400)는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충전기로부터 더욱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유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분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902)이 압축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전기 접촉부(404 및 405)에 대해 밀린다. 그러나, 커버를 폐쇄하기 위해, 장치의 사용자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공동과의 중첩 관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110)의 레벨 아래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동으로 밀어야 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1002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기의 공동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는 이동식 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단계 1004에서, 사용자는 이동식 요소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작동시킨다.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로 작동됨에 따라 이동식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린다. 폐쇄 위치에서, 커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가압한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도록 보장하고,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기에 의해 신뢰성있게 충전되게 한다.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 부재를 조작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 슬라이더, 버튼 또는 스위치의 형태일 수 있다.
단계 1006에서, 사용자는 이동식 요소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작동시킨다. 사용자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접근하고 (방법의 단계 1008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거하기 위해 이를 수행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동식 요소는 편향되어 폐쇄된다. 이들 구현예에서, 이동식 요소는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단계 1004는 자동일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에 의해 공동 밖으로 밀어낸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공동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분은 공동 밖으로 연장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거 가능하도록 돕기 위해 이 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 충전기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를 포함하는 경우, 단계 1004는 이동식 요소를 폐쇄 위치로 작동시키기 전에,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공동 내로 수동으로 밀어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를 압축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로서:
    충전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동은 개구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식 요소 각각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가지고,
    상기 커버의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갖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profiled engagement member)를 정의하고,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상기 공동 내로 또는 상기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기울기는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요소 각각은,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동 내로 또는 상기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는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충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충전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한 작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플레이트의 회전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충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홍채 기구(iris mechanism)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상기 홍채 기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충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2개 내지 6개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충전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이동식 요소는 중첩되지 않는, 충전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상기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작동될 때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캠 표면이고,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단 표면은 캠 라이더인, 충전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이동식 요소는 작동 평면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상기 작동 평면으로부터 기울어져 있는, 충전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작동 부재 및 상기 충전기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작동 부재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커버의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충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 또는 슬라이더이고, 상기 커버의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작동 부재와 상기 커버 사이의 기계적 연동(mechanical linkage)인, 충전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버튼 또는 스위치이고, 상기 커버의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전기 모터 및 상기 전기 모터와 상기 커버 사이의 기계적 연동을 포함하는, 충전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동 개구부의 방향으로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방출 기구를 더 포함하는, 충전기.
  14.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상기 충전기는: 충전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동은 개구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식 요소 각각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가지고,
    상기 커버의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갖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정의하며,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상기 공동 내로 또는 상기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기울기는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5.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충전기는: 충전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동은 개구부를 갖는, 상기 하우징;
    상기 공동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식 요소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식 요소 각각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동을 향하는 내부 표면을 가지고,
    상기 커버의 이동식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선단 에지 및 후단 에지를 갖는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를 정의하고,
    각각의 이동식 요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가 상기 공동 내로 또는 상기 공동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기울기는 상기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의 선단 에지로부터 후단 에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상기 충전기의 공동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단 커버를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커버의 프로파일링된 맞물림 부재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게 하도록 하는, 방법.
KR1020227015976A 2019-10-17 2020-10-16 다중 구성요소 커버를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20083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3950 2019-10-17
EP19203950.1 2019-10-17
PCT/EP2020/079290 WO2021074436A1 (en) 2019-10-17 2020-10-16 Charger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 multi-component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756A true KR20220083756A (ko) 2022-06-20

Family

ID=6829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976A KR20220083756A (ko) 2019-10-17 2020-10-16 다중 구성요소 커버를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11319A1 (ko)
EP (1) EP4044857B1 (ko)
JP (1) JP2022552523A (ko)
KR (1) KR20220083756A (ko)
CN (1) CN114585271A (ko)
WO (1) WO2021074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7794A1 (en) * 2022-07-20 2024-01-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cover
WO2024046877A1 (en) * 2022-08-31 2024-03-07 Imperial Tobacco Limited Cap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6543B2 (en) * 2012-07-31 2015-06-30 The Safe Cig, Llc Container device and apparatus
US10709171B2 (en) * 2014-12-18 2020-07-14 Jt International S.A. Contain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0292436B2 (en) * 2017-07-10 2019-05-21 Arc Innovations, Inc. Electronic smok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WO2019081602A1 (en) * 2017-10-24 2019-05-02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RETENTION MECHANISM
GB201717476D0 (en) *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and removable member
KR102099929B1 (ko) * 2017-10-30 2020-04-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8016915U (zh) * 2018-01-19 2018-10-30 深圳市艾维普思科技有限公司 供电组件及电子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4857B1 (en) 2023-11-29
CN114585271A (zh) 2022-06-03
US20230111319A1 (en) 2023-04-13
EP4044857C0 (en) 2023-11-29
EP4044857A1 (en) 2022-08-24
WO2021074436A1 (en) 2021-04-22
JP2022552523A (ja)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44855B1 (en) Charger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closing means
KR20220083756A (ko) 다중 구성요소 커버를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EP4044856B1 (en) Charger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rotatable cover
US11910839B2 (en) Case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detector
CA3124448A1 (en) Electronic cigarette and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JP7465262B2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CN110179165B (zh) 一种具有推动装置的电子烟
RU2816488C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поворотной крышкой
RU2816489C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й крышкой
RU2816153C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и средствами закрытия
US20240057664A1 (en) Aerosol Generation Set Comprising a Pair of Magnetic Elements, and Associated Operation Method
CN210695962U (zh) 一种具有推动装置的电子烟
KR20230169272A (ko) 경첩식 리드 및 마우스피스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CN215941027U (zh) 雾化装置
RU2792796C2 (ru) Футляр с детектором дл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а
RU2795216C2 (ru) Футляр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с получающим электропитание держателем, обеспечивающим подачу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EP4026442A1 (en) Aerosol generation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uch assembly
KR20240057551A (ko) 홀더의 오토 팝업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JP2023544149A (ja) 挿入機構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用充電器
KR20230147956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230098847A (ko) 이동 가능한 상류 커버 및 하류 커버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