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425A -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 Google Patents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425A
KR20220083425A KR1020200173655A KR20200173655A KR20220083425A KR 20220083425 A KR20220083425 A KR 20220083425A KR 1020200173655 A KR1020200173655 A KR 1020200173655A KR 20200173655 A KR20200173655 A KR 20200173655A KR 20220083425 A KR20220083425 A KR 20220083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binding
block
prefabricated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폼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폼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폼웍스
Priority to KR102020017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425A/ko
Publication of KR2022008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이 분리된 블럭형태로 서로 끼움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보관 및 운송이 이용한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은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제 1 둘레블럭부과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결속돌기가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결속홈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제 2 둘레블럭부과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측면에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형성된 상부블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Prefabricated helmet for leisure sports}
본 발명은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이 분리된 블럭형태로 서로 끼움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보관 및 운송이 이용한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유자전거, 전동 킥보드와 같은 이동 수단뿐만 아니라 인라인 스케이트, 등산 또는 승마 등에 이르기까지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헬멧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헬멧은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일 먼저 안전성을 확보해야 하며, 아물러 착용자가 장시간 착용하여도 불편함이 없도록 편의성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레저스포츠용 헬멧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슬라이드 결합홈(114)이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기공(111)이 형성된 헬멧 몸체(110)와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14)에 삽입되어 헬멧 몸체(110) 내부로 슬라이딩 삽탈되는 보호안경(120)과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14) 내에 구비되어 보호안경(120)을 지지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부(130) 및 상기 보호안경(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호안경(120)을 슬라이드 결합홈(114)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하는 손잡이(140)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안경(120)은 일측에 결합공(122)이 형성된 프레임(121)과, 상기 프레임(121) 단부에 형성된 실드(1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130)는 안내공(135)과 안내홈(136)이 형성된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 양단에 형성되는 스토퍼(132,13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은 레저 스포츠에 사용되는 헬멧의 경우, 전체가 일체형 머리만 커버하는 구조로 그 크기 그대로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아울러 헬멧을 제조한 후 포장하는 경우에도 그 크기에 대응되는 사이즈의 포장 박스가 있어야 하므로 포장 박스의 부피로 차량의 같은 공간에 적재할 수 있는 헬멧의 개수가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또한, 전체가 일체형으로 단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불가능하며 파손시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되므로 이로 인한 환경적으로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52119호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이 분리된 블럭형태로 서로 끼움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고, 각각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파손시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제 1 둘레블럭부과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결속돌기가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결속홈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제 2 둘레블럭부과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측면에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형성된 상부블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와 상부블럭부는 둘 이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일측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하며 상기 제 2 둘레블럭부의 일측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블럭부는 일측단의 결속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로 형성되고 타측단의 결속돌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로 형성된 결속홈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의 결속홈부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블럭부의 양측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와 상부블럭부의 프레임에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의 프레임에는 홈부가 형성하되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홈부 일측단에는 결속단추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결속단추에 체결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단에 결합단추가 형성된 가압띠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띠의 측면에는 턱끈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은 각각 이 분리된 블럭형태로 서로 끼움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하고, 각각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파손시 파손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저스포츠용 헬멧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둘레블럭부와 제 2 둘레블럭부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2 둘레블럭부와 상부블럭부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둘레블럭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둘레블럭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5c는 본 발명의 상부블럭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는 도 5a 내지 도 5c에 대한 조립구성도를 나타낸 실시예.
도 6b는 도 5a,5b에 대한 정면방향 결합도를 나타낸 실시예.
도 6c는 도 5a,5b에 대한 후면방향 결합도를 나타낸 실시예.
도 6d는 도 5c에 대한 결합도를 나타낸 실시예.
도 6e는 도 6b에 도 5c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
도 6f는 도 6c에 도 5c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2 둘레블럭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에 대한 실시예.
도 7c는 도 7a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7d는 도 7c에 대한 사용실시예.
도 8a는 본 발명의 상부블럭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b는 도 8a에 대한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0a,10b는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1은 도 10a,10b에 대한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1)은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12)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13)이 구비되며 양측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결속돌기(1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결합홈부(16)가 형성된 제 1 둘레블럭부(10)와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22)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23)이 구비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의 결속돌기(14)가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결속홈부(24)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홈부(26)가 형성된 제 2 둘레블럭부(20)와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32)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33)이 구비되며 양측측면에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부(16,26)에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결속돌기(34)가 형성된 상부블럭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와 상부블럭부(30)의 프레임(12,22,32)은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와 상부블럭부(30)의 내주면에 구비된 완충폼(23) 또한, 곡면행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밀착되는 상기 제 1 ,2 둘레블럭부(10,20)와 상부블럭부(30)가 서로 결착되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하고, 각각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일부분이 파손시 파손된 일부분만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1)는 각각 분리형태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보다 서로 결속력을 증대함과 파손시 보다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도 5a,5b,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와 상부블럭부(30)는 둘 이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의 일측 상부에는 결합홈부(16)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돌기(17)가 형성하며 상기 제 2 둘레블럭부(20)의 일측 상부에는 결합홈부(26)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블럭부(30)는 일측단의 결속돌기(34)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로 형성되고 타측단의 결속돌기(34)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로 형성된 결속홈부(35)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머리 둘레부분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와 상부블럭부(30)는 둘 이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와 제 2 둘레블럭부(20)는 마주보는 위치에 구성하되 정면부분의 위치하는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와 제 2 둘레블럭부(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홈부(16,26)가 서로 맞대응되도록 결합되며 후면부분의 위치하는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와 제 2 둘레블럭부(2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돌기(17,27)가 서로 맞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블럭부(3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럭부(30)의 결속돌기(34)가 상기 상부블럭부(30)의 결속홈부(35)에 결착되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분의 위치하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홈부(16,26)에 상기 상부블럭부(30)의 결속돌기(34)가 결착되고, 상기 상부블럭부(30)의 결속홈부(35)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분의 위치하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돌기(17,27)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블럭부(30)의 결속돌기(34)와 결속홈부(35)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로 형성하므로써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홈부(16,26)와 결합돌기(17.27)에 결속되어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홈부(16,26)에 결속되는 상기 상부블럭부(30)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홈부(16)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홈부(16)에 다수의 상부블럭부(30)의 결속돌기(34)가 체결결합되거나 도 7c,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부블럭부(30)가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결합홈부(16)에 체결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헬멧을 사용자에게 제공 및 더욱더 사용자의 머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헬멧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럭부(30)의 양측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삽입홈부(36)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럭부(30)의 삽입홈부(36)에 다수이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의 결속돌기(14)가 체결결합되어 다양하게 형태의 헬멧을 제공 및 더욱 더 사용자의 머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1)은 다양한 형태의 헬멧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카메라, 헤드셋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와 상부블럭부(30)의 프레임(12,22,32)에는 가이드 홈부(18,28,38)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다양한 카메라, 헤드셋이 체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와 상부블럭부(30)의 프레임(12,22,32)에는 가이드 홈부(18,28,38)를 형성하여 다양한 카메라, 헤드셋이 체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와 제 2 둘레블럭부(20) 간에 결속력을 증대하기 위해 도 10a,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프레임(12)에는 홈부(19,29)가 형성하되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의 홈부(19) 일측단에는 결속단추(5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10,20)의 프레임(12,22)에 형성된 홈부(19,29)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의 결속단추(50)에 체결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단에 결합단추(42)가 형성된 가압띠(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져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와 제 2 둘레블럭부(20) 간에 결속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둘레블럭부(10)와 제 2 둘레블럭부(20)에 설치되는 가압띠(40)에는 헬멧이 사용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띠(40)의 측면에는 턱끈(45)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은 각각이 분리된 블럭형태로 서로 끼움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하고, 각각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파손시 파손된 부분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10 : 제 1 둘레블럭부 12 : 프레임
13 : 완충폼 14 : 결속돌기
16 : 결합홈부 17 : 결합돌기
18 : 가이드 홈부 19 : 홈부
20 : 제 2 둘레블럭부 22 : 프레임
23 : 완충폼 24 : 결속홈부
26 : 결합홈부 27 : 결합돌기
28 : 가이드 홈부 29 : 홈부
30 : 상부블럭부 32 : 프레임
33 : 완충폼 34 : 결속돌기
36 : 삽입홈부 38 : 가이드 홈부
40 : 가압띠 42 : 결합단추
45 : 턱끈
50 : 결속단추

Claims (7)

  1.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제 1 둘레블럭부과;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결속돌기가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결속홈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제 2 둘레블럭부과;
    곡면형태로 이룬 프레임으로 내주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폼이 구비되며 양측측면에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끼워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형성된 상부블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와 상부블럭부는 둘 이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일측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하며 상기 제 2 둘레블럭부의 일측 상부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블럭부는 일측단의 결속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로 형성되고 타측단의 결속돌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로 형성된 결속홈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의 결합홈부는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부의 양측단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5.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와 상부블럭부의 프레임에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의 프레임에는 홈부가 형성하되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홈부 일측단에는 결속단추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 둘레블럭부의 프레임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둘레블럭부의 결속단추에 체결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단에 결합단추가 형성된 가압띠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띠의 측면에는 턱끈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KR1020200173655A 2020-12-11 2020-12-11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KR20220083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55A KR20220083425A (ko) 2020-12-11 2020-12-11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55A KR20220083425A (ko) 2020-12-11 2020-12-11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25A true KR20220083425A (ko) 2022-06-20

Family

ID=8225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655A KR20220083425A (ko) 2020-12-11 2020-12-11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4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19B1 (ko) 2011-03-25 2013-04-12 고환복 레저 스포츠용 헬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19B1 (ko) 2011-03-25 2013-04-12 고환복 레저 스포츠용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6011B2 (en) Football helmet with raised plateau
US5101517A (en) Sports helmet with transparent windows in the side walls
KR101252119B1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US20160015111A1 (en) Impact-absorbing helmet
CA2393245C (en) Swimming goggles with improved adjustability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US11259585B2 (en) Hat with flexible panels
CN110381762B (zh) 头盔护目镜带固定夹
US10595577B1 (en) Lewis helmet
KR20220083425A (ko) 레저스포츠용 조립식 헬멧
KR100406219B1 (ko) 헬멧
KR101501701B1 (ko) 스포츠용 헬멧
KR101772773B1 (ko) 분리 가능 헬멧
KR20210055000A (ko) 헬멧
KR200451490Y1 (ko) 스포츠용 보안경
EP3549468A1 (en) Helmet with floating brow band
KR101559752B1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KR102356898B1 (ko) 분리형 헬멧
JP3178391U (ja) 保護メガネ付きヘルメット
KR20030087124A (ko) 유아용 머리 보호대
AU2017204843B2 (en) Swimming Goggle Structure
KR20230001637U (ko) 인에어 헬멧
KR20140131164A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KR101532964B1 (ko) 스포츠용 헬멧
KR20150031052A (ko)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