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366A -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3366A KR20220083366A KR1020200173538A KR20200173538A KR20220083366A KR 20220083366 A KR20220083366 A KR 20220083366A KR 1020200173538 A KR1020200173538 A KR 1020200173538A KR 20200173538 A KR20200173538 A KR 20200173538A KR 20220083366 A KR20220083366 A KR 202200833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electric vehicle
- floor structure
- vehicle
- position correspo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는 차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를 구획하도록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가 형성되며, 하측 중앙부 일정구간이 절개되어 장착홈이 형성되는 양측 사이드 실, 차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 및 상기 사이드 실의 장착홈에 끼워지고, 내부에 배터리 모듈이 내장되며, 내부가 수밀되어 배터리 조립체가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조립체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 유닛을 통해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면서 차실 내부의 수밀을 이룰 수 있어 기존의 중복이 되는 불필요한 구조물을 삭제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환경 및 석유자원 고갈에 대한 위기 인식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에 대한 연구 개발이 부각되고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는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BEV(Battery Electric Vehicle),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이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는 차체에 배터리 케이스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과,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과 관련된 전장품을 수용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어퍼 케이스 및 로어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는 차체의 플로어 패널의 아래에 장착된다.
최근에는 배터리 장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터리 케이스의 어퍼 케이스가 플로어 패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배터리 일체형 플로어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플로어 패널의 양측에는 한 쌍의 사이드 실이 장착되고, 각 사이드 실은 인너 사이드실 및 아웃터 사이드 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로어 케이스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사이드 마운팅을 가지며, 각 사이드 마운팅이 볼트 및 원통형 너트 등을 통해 각 사이드 실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각 사이드 실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 플로어 구조는 인접한 위치에 유사한 기능을 한 부품들이 여러 개가 겹쳐져 있으므로, 부품 중복에 따른 중량 및 공간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 플로어 구조는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측면을 구성하며 충돌에 대응하는 사이드 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전압 배터리 케이스 또한 상부를 구성하는 어퍼 케이스, 측면을 구성하면서 충돌에 대응하는 배터리 사이드 멤버로 구성된다.
더불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 플로어 구조에 적용되는 차체와 배터리 케이스는 분리된 부품으로, 이음 방지를 위해 일정간격을 띄울 수 밖에 없어 불필요한 공간낭비가 있었고,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품들이 인접해 있어 불필요한 중량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자동차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배터리 조립체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 유닛을 통해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고, 차실 내부의 수밀을 이룰 수 있어 기존의 중복이 되는 불필요한 구조물을 삭제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로서, 차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를 구획하도록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가 형성되며, 하측 중앙부 일정구간이 절개되어 장착홈이 형성되는 양측 사이드 실, 차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 및 상기 사이드 실의 장착홈에 끼워지고, 내부에 배터리 모듈이 내장되며, 내부가 수밀되어 배터리 조립체가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각 내부는 상기 리브에 의해 차고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배치된 상측 보강부와 하측 보강부로 구획되며, 상기 장착홈은 상기 하측 보강부의 중앙부 일정구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은 양측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차체 길이방향의 길이가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는 상기 상측 보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측에 장착되는 전방 어퍼 멤버, 상기 상측 보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 장착되는 후방 어퍼 멤버, 및 상기 상측 보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방 어퍼 멤버와 후방 어퍼 멤버 사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어퍼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사이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차실 내부를 수밀하는 판형의 플로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전방 어퍼 멤버의 전방에서, 상기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전방 플로어 패널, 및 상기 후방 어퍼 멤버의 후방에서, 상기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후방 플로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은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장착홈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는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전방 언더 멤버,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후방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후방 언더 멤버, 상기 전방 언더 멤버와 후방 언더 멤버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언더 멤버, 상기 배터리 사이드 멤버 사이의 상면을 감싸는 배터리 상부 패널, 상기 배터리 사이드 멤버 사이의 하면을 감싸는 배터리 하부 패널, 및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리브의 하면과, 전방 어퍼 멤버의 하면, 및 후방 어퍼 멤버의 하면과 각각 접촉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은 상기 센터 언더 멤버의 상면에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상부패널과 접촉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사이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차실 내부를 수밀하는 판형의 플로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의 하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사이의 전면에 걸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은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장착홈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는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전방 언더 멤버,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후방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후방 언더 멤버, 상기 전방 언더 멤버와 후방 언더 멤버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언더 멤버, 상기 배터리 사이드 멤버 사이의 하면을 감싸는 배터리 하부 패널, 및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상면, 전방 언더 멤버의 상면, 및 후방 언더 멤버의 상면을 따라 구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과 플로어 패널에 접촉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은 상기 센터 언더 멤버의 상면에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과 접촉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는 전기자동차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배터리 조립체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 유닛을 통해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고, 차실 내부의 수밀을 이룰 수 있어 기존의 중복이 되는 불필요한 구조물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는 사이드 실에 장착홈을 형성하여 배터리 케이스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실의 중복되는 부분을 삭제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의 배터리 상부 패널과 플로어 패널 사이의 중복되는 부분를 삭제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차체 길이방향이라하고, 차량의 좌,우방향의 길이를 차폭방향이라하며, 차량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차고방향이라 정의하고, 기준방향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배터리 조립체(1)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는 전기자동차의 하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실(10), 크로스 멤버(20), 플로어 패널(30), 및 배터리 케이스 유닛(4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자동차는 고용량의 배터리 조립체(1)가 차체 하부에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조립체(1)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미도시)이 적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조립체(1)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40)에 내장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40)은 상기 사이드 실(10), 크로스 멤버(20), 플로어 패널(30)과 함께,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여 차량의 실내를 수밀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이드 실(10)은 차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실(10)은 차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실(10)에는 내부를 구획하도록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11)가 형성된다.
각 상기 사이드 실(10)의 내부는 상기 리브(11)에 의해 차고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배치된 상측 보강부(13)와 하측 보강부(15)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실(10)은 상기 하측 보강부(15)의 중앙 일정구간이 절개되어 장착홈(17)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7)은 차체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19)을 이룬다.
이에, 상기 장착홈(17)은 상측으로 갈수록 차체 길이방향의 길이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이드 실(10)은 그 내부의 리브(11)에 의해 상측 보강부(13)와 하측 보강부(15)로 구획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리브(110의 개수를 달리하여 상기 보강부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실(10)의 내부는 리브(11)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의 보강부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20)는 차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 사이에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크로스 멤버(20)는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20)는 그 하면이 상기 리브(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20)는 상기 상측 보강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측에 장착되는 전방 어퍼 멤버(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어퍼 멤버(21)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압출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 멤버(20)는 상기 상측 보강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 장착되는 후방 어퍼 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어퍼 멤버(23)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압출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 멤버(20)는 상기 상측 보강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방 어퍼 멤버(21)와 후방 어퍼 멤버(23) 사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어퍼 멤버(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터 어퍼 멤버(25)는 상기 전방 어퍼 멤버(21)와 후방 어퍼 멤버(23) 사이의 2개소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센터 어퍼 멤버(25)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압출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30)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의 사이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20)들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플로어 패널(30)은 상기 전방 어퍼 멤버(21)의 전방에서, 상기 리브(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전방 플로어 패널(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플로어 패널(31)은 각 상기 사이드 실(10)의 전단부와 상기 전방 어퍼 멤버(21) 사이의 상기 리브(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플로어 패널(30)은 상기 후방 어퍼 멤버(23)의 후방에서, 상기 리브(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후방 플로어 패널(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플로어 패널(33)은 각 상기 사이드 실(10)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어퍼 멤버(23) 사이의 상기 리브(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장착된다.
즉, 상기 플로어 패널(30)은 상기 사이드 실(10) 사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40)은 상기 사이드 실(10)의 장착홈(17)에 끼워지고, 내부에 배터리 조립체(1)가 내장되며, 차체 하부를 구성하여 차실 내부를 수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40)은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41), 전방 언더 멤버(43), 후방 언더 멤버(45), 센터 언더 멤버(47), 배터리 상부 패널(50), 배터리 하부 패널(51), 및 실링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41)는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의 장착홈(17)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41)는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과 마찬가지로 차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41)는 상기 장착홈(17)의 형상에 대응하여 차체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착홈(17)과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41)의 형상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40)의 조립을 좀더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언더 멤버(43)는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41)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전방 언더 멤버(43)는 차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 어퍼 멤버(2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전방 언더 멤버(43)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압출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언더 멤버(45)는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41)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후방 언더 멤버(45)는 차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어퍼 멤버(2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후방 언더 멤버(45)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압출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언더 멤버(47)는 상기 전방 언더 멤버(43)와 후방 언더 멤버(45) 사이에 복수개 장착된다.
이러한 센터 언더 멤버(4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어퍼 멤버(25)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센터 언더 멤버(47)는 사각단면을 가지는 압출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 언더 멤버(47)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연결핀(49)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49)은 상기 센터 언더 멤버(4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핀(49)은 이하에서 설명할 배터리 상부 패널(50)과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50)을 강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50)은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 사이드 멤버(41) 사이의 상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하부 패널(51)은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50)과 마찬가지로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 사이드 멤버 사이(41)의 하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50)에는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부(53)가 구성된다.
상기 실링부(53)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실링부(53)는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의 리브(11)의 하면과, 전방 어퍼 멤버(21)의 하면, 후방 어퍼 멤버(23)의 하면과 각각 접촉된다.
상기 실링부(53)는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 전방 어퍼 멤버(21), 및 후방 어퍼 멤버(23)과 접촉되어 차실 내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배터리 케이스 유닛(40)은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에 끼워져 용접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조립체(1)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40)의 내부에서 상기 전방 언더 멤버(43), 후방 언더 멤버(45), 및 복수개의 센터 언더 멤버(47) 사이사이의 구획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배터리 조립체(1)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으로 하면서, 플로어 패널(300)이 전방 플로어 패널(31)과 후방 플로어 패널(33)로 구분되지 아니하고,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 사이의 전면에 걸쳐 구성되도록 하나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에 적용되는 플로어 패널(300)은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20)의 하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리브(1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 사이의 전면에 걸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에 적용되는 배터리 케이스 유닛(400)은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으로 하면서,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50)을 삭제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실링부(53)는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50)을 삭제하면서,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41)의 상면, 전방 언더 멤버(43)의 상면, 및 후방 언더 멤버(45)의 상면을 따라 구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10)과 상기 플로어 패널(300)에 접촉되어 수밀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에 적용되는 연결핀(49)은 센터 언더 멤버(47)의 상면에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300)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는 전기자동차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배터리 조립체(1)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 유닛(40, 400)을 통해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고, 차실 내부의 수밀을 이룰 수 있어 기존의 중복이 되는 불필요한 구조물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는 사이드 실(10)에 장착홈(17)을 형성하여 배터리 케이스 유닛(40, 400)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실(10)의 중복되는 부분을 삭제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40, 400)의 배터리 상부 패널(50)과 플로어 패널(40, 400) 사이의 중복되는 부분를 삭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는 부품수를 줄이고, 중량을 절감하며, 결과적으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배터리 조립체 10: 사이드 실
11: 리브 13: 상측 보강부
15: 하측 보강부 17: 장착홈
19: 경사면 20: 크로스 멤버
21: 전방 어퍼 멤버 23: 후방 어퍼 멤버
25: 센터 어퍼 멤버 30, 300: 플로어 패널
31: 전방 플로어 패널 33: 후방 플로어 패널
40, 400: 배터리 케이스 유닛 41: 배터리 사이드 멤버
43: 전방 언더 멤버 45: 후방 언더 멤버
47: 센터 언더 멤버 49: 연결핀
50: 배터리 상부 패널 51: 배터리 하부 패널
53: 실링부
11: 리브 13: 상측 보강부
15: 하측 보강부 17: 장착홈
19: 경사면 20: 크로스 멤버
21: 전방 어퍼 멤버 23: 후방 어퍼 멤버
25: 센터 어퍼 멤버 30, 300: 플로어 패널
31: 전방 플로어 패널 33: 후방 플로어 패널
40, 400: 배터리 케이스 유닛 41: 배터리 사이드 멤버
43: 전방 언더 멤버 45: 후방 언더 멤버
47: 센터 언더 멤버 49: 연결핀
50: 배터리 상부 패널 51: 배터리 하부 패널
53: 실링부
Claims (10)
-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로서,
차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내부를 구획하도록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가 형성되며, 하측 중앙부 일정구간이 절개되어 장착홈이 형성되는 양측 사이드 실;
차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 및
상기 사이드 실의 장착홈에 끼워지고, 내부에 배터리 모듈이 내장되며, 내부가 수밀되어 배터리 조립체가 수용되는 배터리 케이스 유닛;
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각 내부는 상기 리브에 의해 차고방향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배치된 상측 보강부와 하측 보강부로 구획되며,
상기 장착홈은 상기 하측 보강부의 중앙부 일정구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양측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측으로 차체 길이방향의 길이가 좁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는
상기 상측 보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측에 장착되는 전방 어퍼 멤버;
상기 상측 보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 장착되는 후방 어퍼 멤버; 및
상기 상측 보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전방 어퍼 멤버와 후방 어퍼 멤버 사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어퍼 멤버;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사이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차실 내부를 수밀하는 판형의 플로어 패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전방 어퍼 멤버의 전방에서, 상기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전방 플로어 패널; 및
상기 후방 어퍼 멤버의 후방에서, 상기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후방 플로어 패널;
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은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장착홈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는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전방 언더 멤버;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후방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후방 언더 멤버;
상기 전방 언더 멤버와 후방 언더 멤버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언더 멤버;
상기 배터리 사이드 멤버 사이의 상면을 감싸는 배터리 상부 패널;
상기 배터리 사이드 멤버 사이의 하면을 감싸는 배터리 하부 패널; 및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리브의 하면과, 전방 어퍼 멤버의 하면, 및 후방 어퍼 멤버의 하면과 각각 접촉되는 실링부;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은
상기 센터 언더 멤버의 상면에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 상부 패널과 접촉되는 연결핀;
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사이에서, 상기 크로스 멤버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차실 내부를 수밀하는 판형의 플로어 패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은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멤버의 하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양측 사이드 실 사이의 전면에 걸쳐 장착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은
상기 양측 사이드 실의 장착홈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는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방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전방 언더 멤버;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사이에서, 차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후방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후방 언더 멤버;
상기 전방 언더 멤버와 후방 언더 멤버 사이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센터 어퍼 멤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 언더 멤버;
상기 배터리 사이드 멤버 사이의 하면을 감싸는 배터리 하부 패널; 및
상기 양측 배터리 사이드 멤버의 상면, 전방 언더 멤버의 상면, 및 후방 언더 멤버의 상면을 따라 구성되어 상기 양측 사이드 실과 플로어 패널에 접촉되는 실링부;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 유닛은
상기 센터 언더 멤버의 상면에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과 접촉되는 연결핀;
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3538A KR20220083366A (ko) | 2020-12-11 | 2020-12-11 |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3538A KR20220083366A (ko) | 2020-12-11 | 2020-12-11 |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3366A true KR20220083366A (ko) | 2022-06-20 |
Family
ID=8225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3538A KR20220083366A (ko) | 2020-12-11 | 2020-12-11 |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83366A (ko) |
-
2020
- 2020-12-11 KR KR1020200173538A patent/KR2022008336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68602B (zh) | 车身的电池支撑结构 | |
KR102552511B1 (ko) | 차량용 후방구조 | |
KR102645055B1 (ko) | 차량용 센터플로어 구조 | |
KR102703743B1 (ko) | 차량용 배터리 장착구조 | |
KR102610755B1 (ko) | 차량용 플로어 구조 | |
KR101565981B1 (ko) | 전기 자동차용 플로워 패널 조립체 | |
KR101565980B1 (ko) | 전기 자동차용 플로워 패널 조립체 | |
US20130068548A1 (en) | Vehicle battery pack housing structure | |
CN112606905B (zh) | 车辆下部构造 | |
US11654974B2 (en) | Vehicle body | |
KR20210076425A (ko) | 차량용 사이드실구조 | |
KR20210155260A (ko) | 차량 플로어구조 | |
CN213413529U (zh) | 用于车辆的电池组件 | |
CN215590471U (zh) | 一种车身及汽车 | |
KR102586066B1 (ko)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 |
KR20220083366A (ko) | 전기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 |
KR20210103624A (ko) | 고전압배터리를 탑재하는 차량의 차체 | |
CN218505966U (zh) | 车身结构、车身和电池包壳体的集成结构及车辆 | |
US12109879B2 (en) | Vehicle floor structure | |
KR102299497B1 (ko) | 차량용 하중분산구조 | |
KR20180125249A (ko) | 배터리 조립체 | |
US20200075917A1 (en) | Battery wiring module | |
CN221757457U (zh) | 车辆的密封组件、车辆的车身组件以及车辆 | |
CN219321504U (zh) | 电池箱组件及车辆 | |
CN210123768U (zh) | 电芯模组的外壳和电芯模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