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121A -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121A
KR20220083121A KR1020200173022A KR20200173022A KR20220083121A KR 20220083121 A KR20220083121 A KR 20220083121A KR 1020200173022 A KR1020200173022 A KR 1020200173022A KR 20200173022 A KR20200173022 A KR 20200173022A KR 20220083121 A KR20220083121 A KR 2022008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achine tool
holder
injection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0017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121A/ko
Publication of KR2022008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7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with a cutting liquid nozzle specially adaptable to different kinds of machi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4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by means of grippers also magnetic or pneumatic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구를 통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일측이 상기 분사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공작기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사부의 미사용시에 상기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분사부를 공작기계에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분사장치{Injection device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부가 공작기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사부의 미사용시에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분사부를 공작기계에 거치함에 따라 분사장치의 위치를 편리하게 변경하여 거치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복합가공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작기계 중 복합가공기란 선삭가공과 드릴, 탭핑, 밀링가공 등 가공형태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는 다기능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와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터닝센터를 의미한다. 복합가공기에서 작업자가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로딩하거나 교환시에 공구를 수동으로 공구 매거진에 장착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 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툴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 사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 Tool Changer)를 구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 Automatic Palette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가공방법에 따라 크게 터닝센터(TURNING CENTER)와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로 분류된다. 터닝센터는 주로 소재를 회전시키면서 공구를 접근시켜서 선삭가공을 하거나, 정지된 소재에 드릴링(Drilling), 태핑(Tapping), 밀링(Milling)가공을 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작기계의 가공 중에는 먼지나 칩(Chip)이 발생되어 공작물 등에 부착되는데 공작물 등에 부착된 먼지나 칩(Chip)을 제거하기 위해 유체(예를 들면 쿨런트(Coolant), Air 등)를 분사하는 분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작업자가 유체를 공작물 등이 있는 분사위치에 분사하기 위해서는 분사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분사장치를 가져와야 했고, 이 후 작업자가 분사작업을 완료하거나 일시 중단하는 경우에는 다시 분사장치를 수납하기 위해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로 다시 이동하여 분사장치를 반납해야 되었으므로 부품의 설치위치에 따라 작업자의 이동동선에 방해가 되거나 작업자가 부품의 위치로 접근해야 하므로 작업상의 불편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분사장치가 수납되는 부품이 공작기계에 고정 설치되므로, 설치되는 부품의 위치를 최대한 작업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로 설정하게 되는데 이는 오히려 빈번하게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공간상에 설치되는 부품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에 간섭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유체의 분사를 완료한 후 남아있는 잔여 유체를 처리하기 위해 분사장치를 분사구의 위치가 하부를 향하도록 부품에 수납하였었는데, 이는 부품에 누적적으로 적재되는 유체를 별도로 제거하는 작업을 수반하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부담을 증대하고, 분사장치의 수납을 위한 부품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비용증대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여 공간상 활용의 제약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 - 003015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하게 분사장치의 위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분사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홀더부가 공작기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사부의 미사용시에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분사부를 공작기계에 거치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구를 통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일측이 상기 분사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공작기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사부의 미사용시에 상기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분사부를 공작기계에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분사구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및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을 힌지축으로 상기 바디부에 선회하도록 상기 바디부와 함께 상기 연결부에 결합 설치되는 래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에 상기 분사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부와 상기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여 상기 홀더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홀더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의 일측과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유체공급라인은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에 상기 유체공급라인의 중심축이 직교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구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의 미사용시에 상기 분사구가 상방향을 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부는, 베이스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을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 연통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분사부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부는 자기력을 가지는 마그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부의 상기 공작기계에 부착되는 부착면은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별도의 분사장치의 수납을 위한 부품을 구비할 필요 없이 분사장치 자체의 홀더부를 통해 용이하게 분사장치를 공작기계에 탈부착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작업과정 중 필요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위치에 분사장치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분사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분사장치 탈부착 작업시간을 줄여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종래의 분사장치가 특정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부품에 수납되는 구조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에 설치되어 오히려 작업간섭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설치되는 부품을 제거하고 작업자의 작업동선에 따라 즉각적으로 분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분사장치의 수납을 위한 부품이 제거되어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비용절감 및 부품 설치를 위한 별도공간이 불필요하여 공간상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분사완료 후 남아있는 잔여 유체가 다시 분사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분사부의 미사용시에는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홀더부가 공작기계에 부착 되어 공작기계에 거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부품에 적재되는 유체처리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유체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작기계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가 도 1과는 다른 위치에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에서 분사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에서 분사부가 제거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A-A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가 도 1과는 다른 위치에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에서 분사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에서 분사부가 제거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A-A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을 의미하며, "수직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는 분사부(10), 연결부(20), 홀더부(30), 고정부(40) 및 조절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의 분사부(10)는 유체(예를 들면 쿨런트(Coolant), Air 등)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체가 유입되는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관을 통해 분사위치까지 유동시킨 후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분사위치에 유체를 분사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사부(10)는 분사구(11), 바디부(12), 유체공급라인(13), 및 래버부(14)를 포함한다.
분사구(11)는 직접적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공작물 또는 Ficture 의 먼지나 Chip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바디부(12)에 형성된다.
바디부(12)는 직접적으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유체공급라인(13)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분사구(11)로 유동시키고, 유체공급라인(13)은 바디부(12)에 결합 설치되어 분사구(11)로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래버부(14)는 분사구(11)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연결부(20)의 중심축(K)을 힌지축으로 하여 바디부(12)에 선회하도록 바디부(12)와 함께 연결부(20)에 결합 설치된다.
예를들면, 래버부(14)는 작업자가 래버부(14)를 바디부(12)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는 유체를 분사시키고, 반대로 작업자가 래버부(14)를 당기는 힘을 풀게 되면 유체가 분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의 홀더부(30)는 공작기계(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업자가 유체의 분사를 완료하거나 작업 도중 잠시 분사를 중단하는 경우 즉, 분사부(10)의 미사용시에는 분사구(11)가 상방을 향하도록 분사부(10)가 공작기계(2)에 거치된다.
즉, 유체가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분사구(11)가 분사장치(1)가 공작기계(2)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항상 분사부(11)가 상방을 향하도록 연결부(20)에 홀더부(3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체의 분사를 완료하거나 작업 도중 잠시 분사를 중단하여 분사부(10)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분사구(11)가 상방을 향하도록 분사부(10)가 공작기계(2)에 거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40)와 홀더부(30)는 연결부(20)의 중심축(K)의 일측과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고, 유체공급라인(13)은 연결부(20)의 중심축(K)에 유체공급라인(13)의 중심축(J)이 직교(β)하도록 바디부에(12) 결합되며, 분사구(11)는 연결부(20)의 중심축(K)에 대해 예각(α)을 형성하도록 바디부(12)에 형성되어, 분사부(10)의 미사용시에 분사구(11)가 상방향을 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공급라인은 상대적으로 분사부보다 무게가 무겁게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체의 분사를 완료하거나 작업 도중 잠시 분사를 중단하여 분사장치를 공작기계에 거지하게 되면 분사구보다 유체공급라인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바디부에 결합설치되어 있는 유체공급라인은 자체의 자중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분사부는 연결부의 중심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바디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체공급라인이 아래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 분사부는 위쪽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므로 분사부는 상방향을 향한 상태로 유지 될 수 있다.
예각이란 0°보다 크고, 직각(90°)보다 작은 각을 의미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 분사구(11)가 연결부(20)의 중심축(K)에 대해 바디부(12)형성되는 예각(α)은 20°이상 내지 70°이하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만약, 분사구(11)가 연결부(20)의 중심축(K)에 대해 바디부(12)형성되는 각도가 20°보다 작은 경우에는 유체가 사용완료 된 후 공작기계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분사구(11)에 남은 유체가 다시 분사구(11)로 유입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바닥으로 낙하하여 바닥을 오염기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11)가 연결부(20)의 중심축(K)에 대해 바디부(12)형성되는 각도가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하우징부를 파지하여 분사를 하는 경우에 분사구가 연결부(20)의 중심축(K)에 대해 너무 큰 각을 이루며 하우징에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분사구를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워지게 되므로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분사완료 후 남아있는 잔여 유체가 다시 분사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분사부의 미사용시에는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홀더부가 공작기계에 부착 되어 공작기계에 거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부품에 적재되는 유체처리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자중에 의해 바닥으로 낙하하여 바닥을 오염기키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으며, 유체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작기계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의 고정부(40)는 연결부(20)에 분사부(10)를 고정하기 위해 연결부(20)의 일측에 결합 설치된다. 일측이란 도 4 또는 도 7에서 오른쪽을 의미하고, 타측이란 일측의 반대쪽인 도 4 또는 도 7에서 왼쪽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부(40)는 너트와 와셔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너트를 통해 편리하게 분사부(10)를 연결부(20)에 설치 할 수 있고, 와셔를 통해 견고하게 분사부(10)와 연결부(2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의 연결부(20)는 일측(도 4 또는 도 7에서 오른쪽)이 분사부(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0)의 일측(즉, 도 4에서 오른쪽)에 분사부(10)가 결합되고 연결부(20)의 타측 도 4에서 왼쪽에는 후술하는 홀더부(30)가 결합되어 있다.
즉, 홀더부(30)를 공작기계(2)에 탈착하는 동작을 통해 분사부(10)를 공작기계(2)로부터 제거하여 분사부(10)를 통해 유체를 분사하거나 반대로 홀더부(30)를 공작기계(2)에 부착하는 동작을 통해 공작기계(2)에 분사부(10)를 거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20)는 본체부(21) 및 단차부(22)를 포함한다. 본체부(21)는 홀더부(3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본체부(21)의 일부는 플랜지부(32)에 수용되거나 또는 플랜지부(32) 및 베이스부(31)의 수용홈부(33)에 모두 수용될 수 있다.
단차부(22)는 본체부(21)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분사부(10)를 관통하면서 분사부(10)와 결합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차부(22)는 본체부(21)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분사부(10)가 단차부(22)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우에 분사부(10)의 타측이 본체부(21)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분사부(10)를 단차부(22)에 관통하여 설치하고, 단차부(22)는 본체부(21)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면 분사부(10)의 타측은 본체부(21)와 단차부(22)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에 걸려 고정되므로 연결부(20)의 일측에 결합 설치 고정부(40)를 통해 분사부(10)의 일측만을 고정시키면 별도의 추가적인 고정부품 없이 분사부(10)의 타측도 동시에 고정되어 작업공수를 최소화 하고, 부품수 감소에 따른 비용절감 및 부품제거를 통한 분사장치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의 홀더부(30)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도 4 또는 도 7에서 왼쪽)에 결합된다. 또한, 홀더부(30)는 공작기계(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홀더부(30)는 자기력을 가지는 마그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2)는 자성을 가지는 금속성분으로 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부(30)가 자기력을 가지는 마그네틱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공작기계(2)의 대부분의 위치에 편리하게 분사부(10)를 용이하게 탈착하거나 부착 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부(30)가 공작기계(2)에 부착되는 경우에 부착되는 부착면은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부(30)는 공작기계(2)에 탈부착되는 과정에서 공작기계(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몰딩 처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소재는 고무, 가죽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별도의 분사장치의 수납을 위한 부품을 구비할 필요없이 분사장치 자체의 홀더부를 통해 용이하게 분사장치를 공작기계에 탈부착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작업과정 중 필요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위치에 분사장치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분사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분사장치 탈착 작업시간을 줄여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종래의 분사장치가 특정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부품에 수납되는 구조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에 설치되어 오히려 작업간섭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설치되는 부품을 제거하고 작업자의 작업동선에 따라 즉각적으로 분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분사장치의 수납을 위한 부품이 제거되어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비용절감 및 부품 설치를 위한 별도공간이 불필요하여 공간상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홀더부(30)는 베이스부(31)와 플랜지부(3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는 공작기계(2)에 직접적으로 탈부착 되는 부분이며, 플랜지부(32)는 연결부(20)의 타측을 수용하도록 홈 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부(31)의 일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홀더부(30)가 플랜지부(32)를 구비함에 따라 플랜지부(32)에 연결부(20)의 타측, 즉 본체부(21)의 일부를 수용하게 되어 홀더부(30)가 연결부(20)를 수용하여 서로 중첩되게 결합되는 부분이 많도록 하여 비교적 무게가 있는 분사부(10)가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20)를 견고하게 홀더부(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의 조절부(50)는 홀더부(30)와 분사부(10)사이의 이격거리(D)를 조절하기 위해 연결부(20)를 수용하여 설치되고, 홀더부(3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부(50)는 너트와 와셔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너트를 통해 편리하게 작업자가 홀더부(30)와 분사부(10)사이의 이격거리(D)를 조절 할 수 있고, 와셔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부(20)를 홀더부(3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분사장치(1)의 홀더부(30)는 홀더부(30)와 분사부(10) 사이의 이격거리(D)를 확장하기 위해 플랜지부(32)와 연통하면서 베이스부(31)의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더부(30)와 분사부(10)사이의 이격거리(D)는 작업자가 분사장치(2)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작업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작업자마다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지게 되므로 홀더부(30)와 분사부(10)사이의 이격거리(D)를 작업자에 맞게 조절부(5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즉 이격거리(D)를 넓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되어 있던 조절부(50)를 해제하여 플랜지부(32)에 수용되어 있는 연결부(20)를 도 4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킨 뒤 조절부(50)를 견고하게 고정결합하고, 반대로 이격거리(D)를 좁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되어 있던 조절부(50)를 해제하여 연결부(20)를 도 4에서 왼쪽으로 이동시켜 플랜지부(32)에 수용시킨 뒤 조절부(5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하면 된다.
더욱이 홀더부(30)는 플랜지부(32)와 연통하면서 베이스부(31)의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33)를 통해 연결부(20)를 도 4에서 왼쪽으로 이동시켜 플랜지부(32)에 더하여 수용홈부(33)의 홈의 깊이만큼 더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홀더부(30)와 분사부(10) 사이의 이격거리(D)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분사장치는 조절부를 통해 홀더부와 분사부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고, 수용홈부를 통해 홀더부와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확장하여 작업자가 분사장치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작업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작업자에 맞게 작업자가 조절부(50)(예를들어, 너트)를 통해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가 분사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분사장치가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분사장치, 2 : 공작기계,
10 : 분사부, 11 : 분사구,
12 : 바디부, 13 : 유체공급라인,
14 : 래버부,
20 : 연결부, 21 : 본체부,
22 : 단차부, 30 : 홀더부,
31 : 베이스부, 32 : 플랜지부,
33 : 수용홈부, 40 : 고정부,
50 : 조절부

Claims (10)

  1.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구를 통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일측이 상기 분사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공작기계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사부의 미사용시에 상기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분사부를 공작기계에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분사구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및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을 힌지축으로 상기 바디부에 선회하도록 상기 바디부와 함께 상기 연결부에 결합 설치되는 래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상기 분사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와 상기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여 상기 홀더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홀더부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의 일측과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유체공급라인은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에 상기 유체공급라인의 중심축이 직교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구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의 미사용시에 상기 분사구가 상방향을 향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베이스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을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 연통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분사부와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자기력을 가지는 마그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상기 공작기계에 부착되는 부착면은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KR1020200173022A 2020-12-11 2020-12-11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KR20220083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22A KR20220083121A (ko) 2020-12-11 2020-12-11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022A KR20220083121A (ko) 2020-12-11 2020-12-11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121A true KR20220083121A (ko) 2022-06-20

Family

ID=8224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022A KR20220083121A (ko) 2020-12-11 2020-12-11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1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152A (ko) 2001-10-08 2003-04-1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주축 내부에서의 절삭유 분사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152A (ko) 2001-10-08 2003-04-1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주축 내부에서의 절삭유 분사 각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733B1 (ko) 공작기계의 터렛 공구대
US20220168858A1 (en) Automatic tool chang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machine tool including same
EP3907039B1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20200102685A (ko) 매거진 공구 착탈 장치
KR102449379B1 (ko) 스핀들 클램프 장치
KR20220083121A (ko)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KR102617688B1 (ko) 심압대
KR102536393B1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장치
KR102562141B1 (ko) 공작기계
CN115443205B (zh) 机床的挠曲补偿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机床
KR20210129478A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클램핑 장치
KR20220124002A (ko) 스핀들 클램프 장치
US20230072409A1 (en) Long boring bar device of machine tool
KR102461865B1 (ko) 터렛 공구대 장치
KR20190083105A (ko) 공작기계의 공구 클램핑 장치
KR20230139018A (ko) 공작기계의 겐트리 로더 확장장치 및 확장방법
KR102435068B1 (ko) 공작기계
KR20230119395A (ko) 공작기계의 분사장치
KR20230147358A (ko) 공작기계의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
KR20190096015A (ko) 도어 장치
KR200171444Y1 (ko) 절삭유 비산방지구조를 갖는 공작기계용 공구
KR102507372B1 (ko) 보링스핀들의 서포트 장치
KR20220151890A (ko) 공작기계 공구매거진의 공구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공작기계의 공구매거진
JP3701753B2 (ja) 2本のスピンドルヘッドを有する工作機械
KR20220085923A (ko) 공작기계의 툴 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