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007A - 차량용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007A
KR20220083007A KR1020200172627A KR20200172627A KR20220083007A KR 20220083007 A KR20220083007 A KR 20220083007A KR 1020200172627 A KR1020200172627 A KR 1020200172627A KR 20200172627 A KR20200172627 A KR 20200172627A KR 20220083007 A KR20220083007 A KR 20220083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insulator
connection terminal
electric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995B1 (ko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995B1/ko
Priority to CN202180081977.9A priority patent/CN116601388A/zh
Priority to US18/256,660 priority patent/US20240039357A1/en
Priority to PCT/KR2021/018215 priority patent/WO2022124707A1/ko
Publication of KR2022008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5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having an annular coil, e.g. of the claw-pol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2Compressor drive is electric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60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인버터 유닛과 전동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밀봉단자와 전동 모터의 권선 코일 간의 전기적 접속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동 압축기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전동 압축기는, 고정자와 회전자 및 회전축이 구비된 전동 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와; 상기 전동 모터와 인버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밀봉단자; 및 상기 고정자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자에 권선된 코일과 상기 밀봉단자에 구비된 복수의 접속핀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버터와 전동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밀봉단자와 전동 모터의 권선 코일 간의 전기적 접속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에 구비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된 냉매를 흡입하여 액화하기 쉬운 고온 및 고압 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으로 분류되며, 회전식 압축기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을 하는 기계식과,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을 하는 전동식이 있다.
여기서, 전동식 압축기는 내부의 전동 모터를 통해 압축기를 구동하는 방식으로서, 상기 전동 모터는 전동식 압축기에 구비되는 인버터(inverter)에 의해 그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전동식 압축기의 일 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91557호에는 축 방향을 따라 압축 기구부, 전동 모터, 및 인버터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전동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보에 개시된 전동 압축기는 하우징의 내부가 칸막이 판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지고, 그 한쪽 공간에는 전동 모터가, 다른 한쪽 공간에는 인버터가 수용된다. 또한, 칸막이 판에는 전동 모터와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밀봉단자(기밀단자)가 설치되어, 전동 모터 및 인버터가 상기 밀봉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동식 압축기는 전동 모터와 인버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밀봉단자가 적용되는데, 그 이유는 전동 모터가 위치되는 공간과 인버터가 위치되는 공간 사이는 높은 압력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와 같은 높은 압력 차가 발생하는 환경에서 밀봉단자를 통해 양측 공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밀봉단자의 경우 전동 모터 측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핀 형상의 수컷단자가 구비되고, 밀봉단자와 연결되는 전동 모터 측 부분에는 밀봉단자의 수컷단자 형상에 대응하는 암컷단자와, 이 암컷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단자대 형태의 고정 기구물이 설치된다. 이 경우, 전동 모터 측에 구비된 암컷단자는 리드 선(Lead wire)의 한쪽 끝단과 납땜을 통해 용접되고, 리드 선의 다른 한쪽 끝단과 전동 모터의 탈피된 권선코일이 납땜을 통해 용접됨으로써, 밀봉단자와 전동 모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구조를 갖는 종래의 전동 압축기는 인버터와 전동 모터를 밀봉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전동 모터의 권선코일의 단부를 탈피한 후, 전동 모터 측에 구비된 암컷단자에 리드 선의 한쪽 끝단을 납땜으로 용접하고, 다른 한쪽 끝단을 암컷단자와 납땜을 통해 용접하여 연결해야 하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고, 또한, 전동 압축기 내부의 냉매 및 오일의 유동 환경, 진동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전동 모터의 권선코일과 리드 선, 리드 선과 암컷단자 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전동 모터의 권선코일을 함침하거나, 실꿰기(Lacing)하는 등의 추가적인 공정이 수반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압축기 조립시 작업 공수 및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전동 압축기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생산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91557호(2000.10.1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버터와 전동 모터 사이를 연결하는 밀봉단자를 연결단자를 통해 전동 모터의 권선 코일에 직결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과 같은 권선의 탈피, 권선과 리드 선과의 결선, 리드 선과 단자 간의 결선, 권선의 함침, 실꿰기(Lacing) 등의 공정을 생략 및 축소하여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동 압축기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는, 고정자와 회전자 및 회전축이 구비된 전동 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 유닛과; 상기 전동 모터와 인버터 유닛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밀봉단자; 및 상기 고정자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자에 권선된 코일과 상기 밀봉단자에 구비된 복수의 접속핀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는, 고정자 코어와, 상기 고정자 코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절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버터 유닛과 인접한 위치의 절연체 상에는 클러스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스터는 상기 절연체의 외주면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연결단자의 일부분이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연결단자 고정부와, 상기 연결단자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와 결합되는 연결단자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고정홈 부분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상기 절연체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단부와 접속을 이루는 수컷단자와, 상기 수컷 단자과 결합되며 상기 밀봉단자의 접속핀과 맞물려 접속되는 암컷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의 내측에는 상기 암컷단자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암컷단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단자의 접속핀은 상기 암컷단자 수용홈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컷단자와 맞물려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수컷단자의 일부분이 절연체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컷단자의 단부와 접속되는 상기 코일의 단부는 상기 절연체 내에서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컷단자의 단부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를 감싸며 접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컷단자의 단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의 단부가 접합된 상기 수컷단자의 단부는 상기 절연체의 내주면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는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는, 상기 암컷단자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암컷단자 수용홈이 형성된 암컷단자 수용부와, 상기 암컷단자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고정된 수컷단자 부분을 차폐하는 수컷단자 차폐부와, 상기 수컷단자 차폐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는, 상기 암컷단자 수용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의 결합시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와,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와 초기 접촉되는 상기 안내홈 및 상기 결합돌기 부분에는 완만한 곡면 형상의 만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전동 압축기 구조에 따르면,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자의 절연체 부분에 연결단자가 구비된 클러스터를 일체로 형성하고, 절연체 내부에서 연결단자의 한쪽 끝단을 코일의 단부와 접합시키면서, 클러스터에 고정된 연결단자의 다른 한쪽 끝단에 밀봉단자의 접속핀이 직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밀봉단자의 접속핀을 클러스터에 구비된 연결단자 부분에 맞물리게 하여 접속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밀봉단자와 전동 모터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기술과 같이 모터 권선 코일의 탈피, 모터 권선 코일과 리드 선과의 결선, 리드 선과 단자 간의 결선 등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특히 진동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기존의 권선 코일의 함침, 실꿰기(Lacing)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을 생략 및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압축기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 압축기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고정자의 절연체 부분에 연결단자가 구비된 클러스터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단자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5는 고정자의 절연체 부분에 형성된 연결단자 고정부에 연결단자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연결단자 고정부에 연결단자 덮개부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고정자의 절연체 부분에 클러스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압축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압축기의 전체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100)는, 고정자(124)와 회전자(126) 및 회전축(128)을 갖는 전동 모터(120)와, 회전축(128)의 회전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30)와, 전동 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 유닛(140)과, 전동 모터(120)와 인버터 유닛(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밀봉단자(Hermetic terminal; 150)와, 고정자(124)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고정자(124)의 권선 코일(129)과 밀봉단자(150)의 접속핀(154)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복수의 연결단자(160)가 구비된 클러스터(Cluster; 170)를 포함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30)와, 압축부(130)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120)는 모터 하우징(110) 내에 수용된다.
모터 하우징(110)의 일측 단부에는 인버터 유닛(140)의 장착을 위한 단부 벽을 구성하는 장착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12) 부분에 전동 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 유닛(140)이 결합된다.
인버터 유닛(140)은 전동 모터(120)의 구동을 위한 각종 구동 소자가 회로 구성되는 회로기판(141)이 설치된 인버터(142)와, 상기 인버터(142)가 수용되는 인버터 하우징(144)을 포함한다.
인버터(142)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직류 전류(DC)를 교류(AC) 전류의 형태로 변환하여 전동 모터(120)에 인가하며, 이를 통해 전동 모터(120)의 동작 및 출력을 제어한다.
전동 모터(120)는 모터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고정자(124)와, 회전축(128)과 일체로 결합되며 고정자(124)의 내부에서 회전축(128)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126)를 포함한다.
고정자(124)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자기 판이 복수 개 적층되어 형성된 고정자 코어(121)와, 고정자 코어(121)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절연체(122) 및 제2절연체(123)와, 상기 제1 및 제2절연체(122,123)의 내주부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129)을 포함한다.
제1절연체(122)와 제2절연체(123)는 전기가 통전되지 않은 합성수지와 같은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며, 고정자 코어(121)의 양쪽 단부에 축방향(S)을 따라 삽입되어 고정자 코어(1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자 코어(121)의 양단에 결합된 제1절연체(122)와 제2절연체(123)의 내주 부분에는 축방향을 따라 코일(129)이 반복적으로 권선됨으로써, 제1절연체(122) 및 제2절연체(123)는 고정자 코어(121)의 양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권선된 코일(129)에 의해 고정자 코어(121)와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압축부(130)는 모터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고정 스크롤(131)과, 고정 스크롤(131)과 맞물리는 가동 스크롤(133)을 포함하며, 고정 스크롤(131)과 가동 스크롤(133) 사이에는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실(132)이 형성된다.
가동 스크롤(133)은 전동 모터(120)의 회전축(128)과 편심된 위치에 결합되며, 회전축(128)의 회전에 따라 고정 스크롤(131)이 편심 회전하면서 고정 스크롤(131)과 가동 스크롤(133) 사이에 형성된 압축실(132)의 용적을 가변시키게 됨으로써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밀봉단자(150)는 전동 모터(120)와 인버터(142) 사이에 위치한 모터 하우징(110)의 장착부(11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112)에는 밀봉단자(150)에 구비된 접속핀(154)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115)이 형성되어, 상기 밀봉단자(150)의 접속핀(154)은 상기 관통홀(115)을 관통하여 고정자(124)의 제1절연체(122) 부분에 형성된 클러스터(170) 내부의 연결단자(160)와 맞물려 접속됨으로써, 인버터(142)와 전동 모터(120)는 상기 연결단자(160)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124)의 단부 측에 구비된 클러스터(17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클러스터(170)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단자(160)의 구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제1절연체(122)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단자 고정부(174) 부분에 연결단자(160)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연결단자 고정부(174) 부분에 연결단자 덮개부(178)가 체결되는 모습을 배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고정자(124)의 제1절연체(122) 부분에 클러스터(170)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인버터(14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자(124)의 단부 측, 즉 제1절연체(122)의 일측에는 밀봉단자(150)의 접속핀(154)과 고정자(124) 내부의 권선 코일(129)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줄 수 있는 연결단자(160)가 구비된 클러스터(170)가 구비된다.
클러스터(170)는 제1 및 제2절연체(122,123)와 동일한 비전도성 재질(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제1절연체(122)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단자(160)가 고정되는 연결단자 고정부(174)와, 상기 연결단자(160)를 감싸며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174)와 결합되는 연결단자 덮개부(178)를 포함한다.
연결단자 고정부(174)는 제1절연체(122)의 외주면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이루며 형성되고, 내측에는 연결단자(160)의 일부분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홈(171)이 형성된다.
이 경우, 고정홈(171)은 연결단자(160)의 형상과 대응하는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71) 부분에 끼워진 상태의 연결단자(160)는 상기 고정홈(171)의 형상에 의해 연결단자 고정부(174) 상에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174)는 제1절연체(122)와 한 몸(Body)을 형성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단자 덮개부(178)는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174)의 고정홈(171)에 고정된 연결단자(160)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며 연결단자 고정부(174)와 결합됨으로써, 밀봉단자(150)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클러스터(170)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연결단자(160)는 전동 모터(120) 측과 연결되는 수컷단자(161)와, 밀봉단자(150) 측과 연결되는 암컷단자(165)를 포함하여, 상기 수컷단자(161)와 암컷단자(165)는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연결단자(160)를 형성한다.
즉, 연결단자(160)는 연결단자 고정부(174)의 고정홈(171) 부분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제1절연체(122)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코일(129)의 단부와 접속을 이루는 수컷단자(161)와, 상기 수컷단자(161)와 접합되며 밀봉단자(150)의 접속핀(154)과 맞물려 접속되는 암컷단자(165)를 구비한다.
수컷단자(161)는 얇고 긴 바(Bar) 형상의 도전체를 1회 이상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실시 예의 형태와 같이 3개의 연결단자(160)가 설치된 3상 전동 모터(120)의 경우 연결단자 고정부(174)의 고정홈(171)에 고정되는 각 수컷단자(161)의 단부는 고정자(124)의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코일(129)들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코일(129)의 단부와 접속된다.
이와 대응하여 수컷단자(161)가 고정되는 연결단자 고정부(174)의 고정홈(171)은 수컷단자(161)의 형상과 대응되는 좁고 긴 굴곡진 홈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컷단자(161)는 고정홈(171)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단부의 일부분이 제1절연체(122)의 내주부 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코일(129)의 단부와 접속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절연체(122)에는 수컷단자(161)의 단부 일부분이 제1절연체(122)를 관통하여 제1절연체(122)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 가능하도록 고정홈(171)과 연통되는 슬롯(122a)이 형성된다.
제1절연체(122)의 내주부 공간으로 인입된 수컷단자(161)의 단부는 제1절연체(122) 내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이웃하는 코일(129)들 사이에 배치되며, 이 경우 3개의 수컷단자(161)들 중 중앙에 위치한 수컷단자(161)의 길이는 그 양쪽에 위치한 수컷단자(16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실시 예 형태와 같이 3개의 수컷단자(161) 단부 부분이 제1절연체(122)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코일(129)들 사이에서 정렬된다.
그리고, 수컷단자(161)의 단부(162)와 접속되는 코일(129)의 단부(129a)는 제1절연체(122) 내에서 회전축(128)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컷단자(161)의 단부와 접속된다.
이때, 코일(129)의 단부(129a)와 접속되는 수컷단자(161)의 단부(162)는 갈고리 형상으로 밴딩되어 상기 갈고리 형상의 수컷단자(161)의 단부(162)가 코일(129)의 단부(129a)를 감싸는 구조로 코일(129)과 접합된다.
이 경우, 코일(129)의 단부(129a)와 수컷단자(161)의 단부(162)와의 접합시 코일(129)의 단부(129a)는 별도의 탈피(코일의 에나멜 외피의 탈피)를 거치지 않고 수컷단자(161)의 갈고리 형상의 단부(162) 내측에 코일(129)의 단부(129a)를 안착시킨 후 모재의 일부분을 용융시키는 퓨징(Fusing) 방식을 통해 접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퓨징을 통해 코일(129)의 단부(129a)가 접합된 수컷단자(161)의 갈고리 형상 단부(162) 부분은 제1절연체(122)의 내주면 부분에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전동 모터(120)가 구동되는 진동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체결력과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1절연체(122)의 내주부 공간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코일(129)들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수컷단자(161)의 갈고리 형상 단부(162)는 시계방향을 따라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인접한 각 코일(129) 측면부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컷단자(161)와 연결되는 암컷단자(165)는 밀봉단자(150)에 구비된 접속핀(154)이 맞물려 접속되는 부분으로, 바 타입(Bar-type)으로 형성된 밀봉단자(150)의 접속핀(154)이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기 바 타입의 접속핀(154)과 대응되는 형상(쌍안경 모양으로 굽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암컷단자(165)의 일측에는 'V'자 형상을 가지는 접합부(166)가 형성되어, 수컷단자(161)의 일측 단부가 상기 'V'자 형상을 갖는 암컷단자(165)의 접합부(166)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실시 예에서는 수컷단자(161)와 암컷단자(165)를 별개의 독립적인 구조물 형태로 제작 후 용접을 통해 상호 접합하여 연결단자(160)를 제작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수컷단자(161) 및 암컷단자(165)를 일정 수준의 형상 변경을 통해 하나의 구조물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단자(160)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제1절연체(122)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연결단자 고정부(174)는 제1절연체(122)와 한 몸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174) 부분에는 고정홈(171) 내에 고정된 연결단자(160)의 절연을 위한 연결단자 덮개부(178)가 조립됨으로써 밀봉단자(150)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클러스터(170) 구조가 완성된다.
연결단자 덮개부(178)의 내측에는 암컷단자(165)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격벽(175a)으로 구획된 직육면체 공간인 암컷단자 수용홈(175b)이 형성된다. 따라서, 밀봉단자(150)의 접속핀(154)은 암컷단자 수용홈(175b) 내부로 인입되어 암컷단자(165)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연결단자(160)와 접속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178)는 연결단자 고정부(174)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연결단자 고정부(174)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단자 덮개부(178)는 복수의 암컷단자 수용홈(175b)이 형성된 암컷단자 수용부(175)와, 암컷단자 수용부(175)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홈(171)에 고정된 수컷단자(161)를 차폐하는 수컷단자 차폐부(176)와, 수컷단자 차폐부(176)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연결단자 고정부(174)와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177)를 포함한다.
수컷단자 차폐부(176)는 제1절연체(122)의 원주 형상과 대응하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어, 수컷단자(161)가 고정된 연결단자 고정부(174) 부분에 맞닿아 수컷단자(16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 쌍의 체결부(177)는 수컷단자 차폐부(176)로부터 고정자(124)의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연결단자 고정부(174)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요입된 구조를 갖는 체결홈(172) 부분과 맞물려 후크(hook) 체결 방식으로 탄성 체결된다.
즉, 연결단자 덮개부(178)는 양측 체결부(177) 부분을 연결단자 고정부(174)의 양 측면에 위치한 체결홈(172) 부분에 맞춘 후 축방향(S)으로 밀어넣는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단자 고정부(174)에 체결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연결단자 덮개부(178)에 있어서 수컷단자 차폐부(176)의 맞은편에 위치한 암컷단자 수용부(175) 부분에는 한 쌍의 체결부(177)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부(178a)가 구비되고, 결합부(178a)의 내측에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결합공(178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78a)와 대응하는 연결단자 고정부(174)의 후면 부분에는 연결단자 덮개부(178)를 연결단자 고정부(174)에 조립하는 경우 결합부(178a)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단차진 구조의 사각형 홈 형상을 갖는 안내홈(173)이 형성된다. 아울러, 안내홈(173)의 내측에는 연결단자 덮개부(178)의 조립시 결합부(178a)의 결합공(178b)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78b)과 대응하는 육면체 모양을 갖는 결합돌기(174a)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단자 덮개부(178)가 연결단자 고정부(174)에 조립되는 경우 암컷단자 수용부(175)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178a)가 연결단자 고정부(174)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홈(173)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공(178b)과 결합돌기(174a)의 상호 간의 결합작용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178a)와의 결합 초기에 접촉되는 안내홈(173) 및 결합돌기(174a) 부분에는 완만한 곡면 형상을 갖는 만곡면(173a,174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178a)가 안내홈(173)의 입구 부분에 형성된 만곡면(173a)을 통해 안내홈(173)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고, 또한, 결합부(178a)가 결합돌기(174a) 부분에 형성된 만곡면(174b)을 타고 조립방향(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결합공(178b)이 결합돌기(174a)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단자 덮개부(178)는 양 측면부에 위치한 한 쌍의 체결부(177)와, 후면부에 위치한 한 쌍의 결합부(178a)를 통해 연결단자 고정부(174)에 한층 견고한 구조로 안정적으로 체결 및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압축기(100) 내에서 전동 모터(120) 및 압축부(130)의 구동시 발생하는 각종 진동환경에서도 클러스터(170)는 견고한 조립성 및 체결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기구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전동 압축기 구조에 따르면, 코일(129)이 권선되는 고정자(124)의 제1절연체(122) 부분에 연결단자(160)가 구비된 클러스터(170)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1절연체(122) 내부에서 연결단자(160)의 한쪽 끝단을 코일(129)의 단부(129a)와 접합시키면서, 클러스터(170)에 고정된 연결단자(160)의 다른 한쪽 끝단에 밀봉단자(150)의 접속핀(154)이 직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밀봉단자(150)의 접속핀(154)을 클러스터(170)에 구비된 연결단자(160) 부분에 맞물리게 하여 접속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밀봉단자(150)와 전동 모터(12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압축기(100) 제품의 제조시 기존처럼 모터 권선 코일의 탈피, 모터 권선 코일과 리드 선과의 결선, 리드 선과 단자 간의 결선 등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특히 진동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기존의 권선 코일의 함침, 실꿰기(Lacing)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을 생략 및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전동 압축기 110 : 모터 하우징
120 : 전동 모터 121 : 고정자 코어
122 : 제1절연체 123 : 제2절연체
124 : 고정자 126 : 회전자
128 : 회전축 129 : 코일
130 : 압축부 131 : 고정 스크롤
132 : 압축실 133 : 가동 스크롤
140 : 인버터 유닛 142 : 인버터
144 : 인버터 하우징 150 : 밀봉단자
160 : 연결단자 161 : 수컷단자
165 : 암컷단자 170 : 클러스터
171 : 고정홈 172 : 체결홈
173 : 안내홈 174 : 연결단자 고정부
175 : 암컷단자 수용부 176 : 수컷단자 차폐부
177 : 체결부 178 : 연결단자 덮개부
178a : 결합부 178b : 결합공
174a : 결합돌기 173a, 174b : 만곡면

Claims (14)

  1. 고정자와 회전자 및 회전축이 구비된 전동 모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 유닛;
    상기 전동 모터와 인버터 유닛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밀봉단자; 및
    상기 고정자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자에 권선된 코일과 상기 밀봉단자에 구비된 복수의 접속핀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클러스터;
    를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고정자 코어와;
    상기 고정자 코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유닛과 인접한 위치의 절연체 상에 상기 클러스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는,
    상기 절연체의 외주면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연결단자의 일부분이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연결단자 고정부와;
    상기 연결단자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와 결합되는 연결단자 덮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고정홈 부분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상기 절연체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단부와 접속을 이루는 수컷단자와;
    상기 수컷 단자과 결합되며, 상기 밀봉단자의 접속핀과 맞물려 접속되는 암컷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의 내측에는 상기 암컷단자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암컷단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봉단자의 접속핀은 상기 암컷단자 수용홈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암컷단자와 맞물려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에는 상기 수컷단자의 일부분이 상기 절연체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는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단자의 단부와 접속되는 상기 코일의 단부는 상기 절연체 내에서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단자의 단부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단부를 감싸며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컷단자의 단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가 접합된 상기 수컷단자의 단부는 상기 절연체의 내주면에 맞닿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는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는,
    상기 암컷단자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암컷단자 수용홈이 형성된 암컷단자 수용부와;
    상기 암컷단자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고정된 수컷단자 부분을 차폐하는 수컷단자 차폐부와;
    상기 수컷단자 차폐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컷단자 수용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연결단자 고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자 덮개부의 결합시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와;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초기 접촉되는 상기 안내홈 및 상기 결합돌기 부분에는 완만한 곡면 형상의 만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200172627A 2020-12-10 2020-12-10 차량용 전동 압축기 KR102444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27A KR102444995B1 (ko) 2020-12-10 2020-12-10 차량용 전동 압축기
CN202180081977.9A CN116601388A (zh) 2020-12-10 2021-12-03 车辆用电动压缩机
US18/256,660 US20240039357A1 (en) 2020-12-10 2021-12-03 Electric compressor for vehicle
PCT/KR2021/018215 WO2022124707A1 (ko) 2020-12-10 2021-12-03 차량용 전동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27A KR102444995B1 (ko) 2020-12-10 2020-12-10 차량용 전동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007A true KR20220083007A (ko) 2022-06-20
KR102444995B1 KR102444995B1 (ko) 2022-09-22

Family

ID=8197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27A KR102444995B1 (ko) 2020-12-10 2020-12-10 차량용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39357A1 (ko)
KR (1) KR102444995B1 (ko)
CN (1) CN116601388A (ko)
WO (1) WO202212470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557A (ja) 1999-04-07 2000-10-17 Sanden Corp 電動式圧縮機
KR101936102B1 (ko) * 2013-01-25 2019-01-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90030890A (ko) * 2017-09-15 2019-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5003B2 (ja) * 2016-02-29 2019-12-04 株式会社ケーヒン 空調用ブロアモータユニット
JP6881378B2 (ja) * 2018-03-30 2021-06-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KR102172263B1 (ko) * 2019-06-17 2020-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557A (ja) 1999-04-07 2000-10-17 Sanden Corp 電動式圧縮機
KR101936102B1 (ko) * 2013-01-25 2019-01-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90030890A (ko) * 2017-09-15 2019-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01388A (zh) 2023-08-15
WO2022124707A1 (ko) 2022-06-16
KR102444995B1 (ko) 2022-09-22
US20240039357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065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조립 방법
WO2015146677A1 (ja) 電動圧縮機
US924632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CN113287233B (zh) 用于插塞连接电连接的装置
JP6943197B2 (ja) 電動圧縮機
KR20110135221A (ko) 전동식압축기의 스테이터 및 그 조립방법
US9194394B2 (en) Motor-driven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59901B1 (ko) 압축기 구동 장치용 밀봉 어레인지먼트 및 압축기 구동 장치
KR102118607B1 (ko)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KR20230101852A (ko) 압축기 구동 장치를 위한 밀봉 장치 및 압축기 구동 장치 및 밀봉 장치를 장착하는 방법
KR102444995B1 (ko) 차량용 전동 압축기
JP2883409B2 (ja) 小型電動機
US20230047683A1 (en) Motor, compressor, and fan motor
KR101573970B1 (ko) 전동 압축기
KR102336621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CN111852864B (zh) 电动压缩机及电动压缩机的组装方法
JP2019193562A (ja) 圧縮機の駆動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80111594A (ko) 전동 압축기
US11855503B2 (en) Motor-driven compressor
CN110323871B (zh) 电动压缩机
JPH08228450A (ja) 冷蔵庫用コンプレッサモータの固定子の改良
US20230107796A1 (en) Motor-driven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driven compressor
KR20190019574A (ko) 전동 컴프레서용 터미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