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514A -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514A
KR20220082514A KR1020200172482A KR20200172482A KR20220082514A KR 20220082514 A KR20220082514 A KR 20220082514A KR 1020200172482 A KR1020200172482 A KR 1020200172482A KR 20200172482 A KR20200172482 A KR 20200172482A KR 20220082514 A KR20220082514 A KR 2022008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market
inventory
amount
product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313B1 (ko
Inventor
박태경
Original Assignee
박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경 filed Critical 박태경
Priority to KR102020017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3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오픈마켓들의 재고량을 통합관리하고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재고량을 업데이트한 뒤 다른 오픈마켓에 연동시킬 수 있는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에 관한것으로서, 제1 오픈마켓으로부터 상품 판매에 따라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받는 접수 모듈; 재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판매된 상품의 현재 재고량을 상기 통지된 재고량으로 업데이트하는 갱신 모듈; 및 상기 업데이트된 재고량을 제2 오픈마켓으로 통지하는 동기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INVENTORY MANAGEMENT SYSTEM LINKED WITH OPENMARKET}
본 발명은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매자로부터 상품이 등록된 복수의 오픈마켓들의 재고량을 통합관리하고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변동된 재고량을 다른 오픈마켓에 연동시킬 수 있는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과 오픈 마켓 및 이러한 온라인 상품 판매를 지원하는 가격 비교나 상품 추천 사이트 등의 다양한 온라인 쇼핑 서비스가 일상화됨에 따라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는 다양한 경로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소비자 역시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 시장은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 역시 일반화되고 있어 온라인 상품 판매는 대부분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의 주요 판매 경로가 되고 있다.
특히, 오픈 마켓의 경우 여러 판매자들이 자신의 상품을 제한 없이 등록하여 판매하거나 입점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판매자가 여러 오픈 마켓에 자신의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판매자가 복수의 오픈 마켓들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를 진행하는 경우에, 오픈마켓별 재고량이 연동되지 않고, 판매자가 수시로 오픈마켓마다 판매된 수량을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실제 상품에 대한 재고량을 명확하게 관리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로인해 다른 오픈마켓에서 보유한 수량이 모두 판매되어 상품이 품절되는 경우에도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주문 상황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구매자 불만과 거래 취소 요청 등에 대응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이 누적될 경우 해당 판매자에 대한 신뢰도가 악화되어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59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오픈마켓들의 재고량을 통합관리하고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변동된 재고량을 다른 오픈마켓에 연동시킬 수 있는 재고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이 품절된 경우에 다른 오픈마켓에서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주문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재고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재고 관리 서버는 복수의 오픈마켓들과 연동하여 재고량을 동기화하는 재고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오픈마켓으로부터 상품 판매에 따라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받는 접수 모듈; 재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판매된 상품의 현재 재고량을 상기 통지된 재고량으로 업데이트하는 갱신 모듈; 및 상기 업데이트된 재고량을 제2 오픈마켓으로 통지하는 동기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오픈마켓 및 상기 제2 오픈마켓에 접근하여 재고량을 수집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갱신 모듈은, 재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판매된 상품의 현재 재고량을 상기 수집된 재고량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오픈마켓이 상품 판매 과정에서 재고량을 문의해 오면, 상기 재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현재 재고량을 통지해 주는 응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오픈마켓이 상품 판매 과정에서 재고량을 문의해 온 경우, 상기 문의 대상 상품의 현재 재고량이 1개이면, 상기 제2 오픈마켓에 상기 문의 대상 상품이 품절 임박 상태임을 통지하고, 상기 제2 오픈마켓으로부터 해당 상품의 결제 완료 또는 결제 포기가 통지되면 상기 제1 오픈마켓에 전달하는 가로채기 권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재고 데이터 베이스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품절 임박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미리 설정된 마케팅 조건에 부합하는 오픈마켓에 재고량을 통지하고 그 외 다른 오픈마켓에는 재고량 없음을 통지하는 마케팅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복수의 오픈마켓들의 재고량을 통합관리하고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변동된 재고량을 다른 오픈마켓에 연동시켜 구매자가 정확한 재고량을 확인한 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에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고 다른 오픈마켓에 업데이트된 재고량이 연동되는 과정이 실시간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상품이 품절된 경우에 다른 오픈마켓에서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주문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재고 관리 서버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재고 관리 서버의 동작 순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은, 재고 관리 서버(100)가 복수의 오픈마켓들(20)의 재고량을 통합관리하고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21 내지 23 중 하나)에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변동된 재고량을 다른 오픈마켓들(20)에 연동시킨다.
판매자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복수의 오픈마켓(20) 모두에 등록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오픈마켓(20) 모두에서 해당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재고 관리 서버(100)는 판매자로부터 판매할 상품의 현재 재고량을 입력 받고, 동일한 상품이 판매되는 복수의 오픈마켓(20) 중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21 내지 23 중 하나)에서 상품이 판매되면 해당 오픈마켓(21 내지 23 중 하나)으로부터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받는다. 그리고 재고 관리 서버(100)는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된 현재 재고량에서 변동된 재고량을 업데이트하여 다른 오픈마켓들(20)에 통지할 수 있다.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는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상품의 재고량이 기록되고, 재고 관리 서버(100)에 의해 해당 상품의 변동 재고량이 계속해서 업데이트되어 기록될 수 있다. 재고 관리 서버(100)는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기록된 자료를 통계 내어 판매자에게 상품의 기간별 판매 현황 및 누적 판매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가 복수의 오픈마켓(20)에 등록한 상품은 고유코드가 입력되어 있으며, 재고 관리 서버(100)는 해당 상품의 고유코드를 통해 복수의 오픈마켓(20)에서 판매된 상품의 재고량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오픈마켓(20)을 제1 오픈마켓(21) 및 제2 오픈마켓(22)으로 정의하여 설명하지만, 복수의 오픈마켓(20)의 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판매자는 제1 오픈마켓(21) 및 제2 오픈마켓(22) 외에 제N 오픈마켓(23)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재고 관리 서버(100)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재고 관리 서버(100)는 접수 모듈(110), 갱신 모듈(120), 동기화 모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모니터링 모듈(140), 응답 모듈(150),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 마케팅 모듈(17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수 모듈(110)은 판매자가 복수의 오픈마켓(20)에서 판매할 상품의 현재 재고량을 입력 받고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한다. 접수 모듈(110)은 복수의 오픈마켓(20) 중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21 내지 23 중 하나)에서 상품이 판매되어 해당 오픈마켓(21 내지 23 중 하나)의 재고량이 변동되면 그 재고량을 통지받는다.
예를 들면, 최초 입력된 상품의 재고량이 10인 경우, 제1 오픈마켓(21)의 재고량 및 제2 오픈마켓(22)의 재고량은 모두 10일 수 있다. 이때, 제1 오픈마켓(21)에서 1개의 상품의 판매되면 제1 오픈마켓(21)의 재고량은 9로 변동되고, 접수 모듈(110)은 제1 오픈마켓(21)에서 변동된 9의 재고량을 접수 받는다. 이때, 제2 오픈마켓(22)의 재고량은 동기화 모듈(130)의 의해 재고량이 동기화 되기 전까지 재고량의 변동없이 10을 유지한다.
갱신 모듈(120)은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된 해당 상품의 현재 재고량에서 접수 모듈(110)을 통해 통지받은 제1 오픈마켓(21)의 변동된 재고량을 업데이트하여 다시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한다. 즉, 갱신 모듈(120)은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최초 저장된 재고량이 10이고 제1 오픈마켓(21)에서 1개의 상품이 판매되면,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의 재고량 10에서 1을 차감하여 재고량을 9로 업데이트한다.
동기화 모듈(130)은 갱신 모듈(120)에서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재고량을 다른 오픈마켓들(20)에 통지하여 오픈마켓들(20)의 재고량을 업데이트된 재고량으로 동기화한다.
예를 들면,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최초 저장된 재고량이 10이고 제1 오픈마켓(21)에서 1개의 상품이 판매되어 갱신 모듈(120)에 의해 재고량이 9로 업데이트되면, 동기화 모듈(130)은 업데이트된 재고량을 제2 오픈마켓(22)에 통지하여 제2 오픈마켓(22)의 재고량을 9로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제1 오픈마켓(21)에서 상품이 판매되면, 접수 모듈(110)이 제1 오픈마켓(21)으로부터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받는 동작과, 갱신 모듈(120)이 현재 재고량에서 접수 모듈(110)로 통지된 재고량으로 업데이트하는 동작 및 동기화 모듈(130)이 업데이트된 재고량을 제2 오픈마켓(22)에 통지하는 동작 모두 실시간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제1 오픈마켓(21)에서 모두 판매되어 상품이 품절되는 경우에도 제2 오픈마켓(22)에서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주문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고 관리 서버(100)는 모니터링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40)은 복수의 오픈마켓들(20)에 접근하여 복수의 오픈마켓(20) 각각에서 보유 중인 상품의 재고량을 수집한다.
예컨대, 모니터링 모듈(140)은 복수의 오픈마켓(20) 각각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오픈마켓(20) 각각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고량을 수집하거나, 오픈마켓(20) 사이트에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를 크롤링(crawling)하여 오픈마켓(20) 각각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고량을 수집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40)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오픈마켓(20) 각각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고량을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 주기를 짧게 할수록 오픈마켓들(20)과의 재고량 파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모니터링 모듈(140)과 접수 모듈(110)은 서로 병행하여 동작할 수도 있으며 모니터링 모듈(140) 및 접수 모듈(110)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이용해서 오픈마켓(20)의 재고량을 파악할 수도 있다.
만약, 모니터링 모듈(140)과 접수 모듈(110)을 병행하여 오픈마켓의 재고량을 파악할 경우, 제1 오픈마켓(21)에서 상품이 판매되었지만 전산오류로 인해 접수 모듈(110)이 제1 오픈마켓(21)으로부터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모니터링 모듈(140)에 의해 제1 오픈마켓(21)의 변동된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40)에서 오픈마켓들(20)의 재고량을 수집하면, 갱신 모듈(120)은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된 현재 재고량에 모니터링 모듈(140)에 의해 수집된 오픈마켓(예를 들면, 상품이 판매된 제1 오픈마켓(21))의 재고량을 반영시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어서 동기화 모듈(130)은 갱신 모듈(120)에 의해 업데이트된 재고량을 제2 오픈마켓(22)에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고 관리 서버(100)는 응답 모듈(150) 및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답 모듈(150)은 복수의 오픈마켓들(20)에서 상품의 판매가 진행될 때마다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된 현재 재고량을 상품이 현재 판매 진행중인 오픈마켓에 통지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픈마켓(20)은 상품이 판매되는 과정에서 응답 모듈(150)에 해당 상품의 재고량을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응답 모듈(150)은 재고량을 문의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재고량을 통지해줄 수 있다.
오픈마켓(20)은 상품이 판매되는 과정에서 응답 모듈(150)에 해당 상품의 재고량을 문의하는 시점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픈마켓(20)은 해당 제품의 구매 페이지에서 상품을 선택하는 순간 또는 상품을 선택한 후 구매 수량을 입력하는 순간마다 응답 모듈(150)에 해당 상품의 재고량을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은 재고량인 1개 남은 상품이 제1 오픈마켓(21)에서 현재 판매 과정에 있을 때 제2 오픈마켓(22)에서 그 상품을 가로챈 상태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해당 상품을 가로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1 오픈마켓(21)에서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제1 오픈마켓(21)이 응답 모듈(150)에 문의 대상 상품의 재고량을 문의하고, 해당 상품의 재고량이 품절에 임박한 개수(예를 들면, 1개)이면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은 제2 오픈마켓(22)에 해당 문의 대상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품절 임박 상태로 통지한다.
그리고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은 제2 오픈마켓(22)을 통해 제2 오픈마켓(22)의 구매자에게 “가로채기” 버튼을 제공하고, 구매자가 “가로채기” 버튼을 클릭하면 제1 오픈마켓(21)에 이를 통지하여, 제1 오픈마켓(21)에서 해당 상품의 결제 완료가 되는 것을 보류(예컨대, 가결제)시킨다. 즉, 제2 오픈마켓(22)의 구매자는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에서 제공된 “가로채기” 버튼을 클릭하여 제1 오픈마켓(21)의 구매자보다 품절 임박 상품을 먼저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픈마켓(22)에서 “가로채기” 버튼이 클릭되면,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은 제1 오픈마켓(21)에서 해당 상품에 대해 가결제 모드로 전환시킨다. 제2 오픈마켓(22)에서 “가로채기”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제1 오픈마켓(21)의 구매자는 제2 오픈마켓(22)에서 해당 상품의 결제가 포기될 때까지 제1 오픈마켓(21)에서 해당 상품을 가결제 상태로만 구매할 수 있다.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은 “가로채기” 버튼을 클릭한 제2 오픈마켓(22)의 구매자가 해당 상품을 결제하여 구매하거나 또는 결제를 포기함에 따라 제1 오픈마켓(21)에서 가결제한 구매자에게 가결제 취소 또는 결제완료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은 제2 오픈마켓(22)의 구매자가 “가로채기” 버튼을 클릭하면 제1 오픈마켓(21)에서 해당 상품에 대해 가결제 모드로 전환시키고, 제2 오픈마켓(22)의 구매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예를 들면, 10분)내에 실제 구매를 완료하면 제1 오픈마켓(21)의 가결제 내역을 취소시킨다.
그리고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은 제2 오픈마켓(22)의 구매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예를 들면, 10분)내에 실제 구매를 완료하지 않으면, 제1 오픈마켓(21)의 가결제 내역을 결제완료로 변경하여 제1 오픈마켓(21)의 구매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가로채기 권고 모듈(160)은 제2 오픈마켓(22)의 구매자에게 “가로채기” 버튼을 제공할 때, 해당 상품의 가격을 인상시킬 수 있다. 제2 오픈마켓(22)을 통해 품절 임박된 상품을 구매할 때 가로채기 기능을 사용하는 대신 상품의 가격이 소폭 인상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고 관리 서버(100)는 마케팅 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케팅 모듈(170)은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품절 임박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미리 설정된 마케팅 조건에 부합하는 오픈마켓(20)에 재고량을 통지하고 그 외 다른 오픈마켓(20)에는 재고량 없음을 통지할 수 있다.
마케팅 모듈(17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마케팅 조건은 판매자의 수익을 높이거나 또는 빠른 재고 처리를 위해 설정된 조건이다.
예컨대, 마케팅 모듈(170)은 복수의 오픈마켓들(20) 중 판매조건이 더 유리한 오픈마켓에만 재고량을 통지하고 나머지 오픈마켓들(20)에는 재고량 없을 통지한다. 예를 들면, 마케팅 모듈(170)은 제1 오픈마켓(21)에서는 해당 상품에 적용 가능한 쿠폰이 없고, 제2 오픈마켓(22)에서는 해당 상품에 적용 가능한 쿠폰이 있을 경우에 제1 오픈마켓(21)에만 재고량을 통지하여 제1 오픈마켓(21)에서만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판매자의 판매 수익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케팅 모듈(170)은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된 오픈마켓들(20)의 구매내역을 기초로 상품의 판매량이 가장 높은 오픈마켓(21 또는 22)에만 재고량을 통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재고 관리 서버(100)의 동작 순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재고 관리 서버(100)는 접속된 판매자로부터 판매할 상품의 전체 재고량을 입력 받고, 재고량의 복수의 오픈마켓들(20)에 통지한다.
그리고 재고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오픈마켓(20) 중 어느 하나의 오픈마켓(21 또는 22)에서 상품이 판매되면 해당 오픈마켓(21 또는 22)으로부터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받는다. 재고 관리 서버(100)는 오픈마켓(21 또는 22)으로부터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 받으면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된 현재 재고량에서 변동된 재고량을 업데이트하여 다른 오픈마켓들(20) 및 판매자로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재고 관리 서버(100)는 상품이 판매된 오픈마켓(20)으로부터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 받기 전에 오픈마켓들(20)에 먼저 접근하여 각각의 오픈마켓(20)에서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재고량을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재고 관리 서버(100)는 재고 데이터 베이스(101)에 저장된 현재 재고량에 오픈마켓(20)으로부터 수집된 재고량을 반영시켜 업데이트한 후, 업데이트된 재고량을 판매자 및 오픈마켓들(2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오픈마켓
100: 재고 관리 서버
101: 재고 데이터 베이스
110: 접수 모듈
120: 갱신 모듈
130: 동기화 모듈
140: 모니터링 모듈
150: 응답 모듈
160: 가로채기 권고 모듈
170: 마케팅 모듈

Claims (5)

  1. 복수의 오픈마켓들과 연동하여 재고량을 동기화하는 재고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제1 오픈마켓으로부터 상품 판매에 따라 변동된 재고량을 통지받는 접수 모듈;
    재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판매된 상품의 현재 재고량을 상기 통지된 재고량으로 업데이트하는 갱신 모듈; 및
    상기 업데이트된 재고량을 제2 오픈마켓으로 통지하는 동기화 모듈
    을 포함하는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픈마켓 및 상기 제2 오픈마켓에 접근하여 재고량을 수집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갱신 모듈은, 재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판매된 상품의 현재 재고량을 상기 수집된 재고량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픈마켓이 상품 판매 과정에서 재고량을 문의해 오면, 상기 재고 데이터 베이스에서 현재 재고량을 통지해 주는 응답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픈마켓이 상품 판매 과정에서 재고량을 문의해 온 경우, 상기 문의 대상 상품의 현재 재고량이 1개이면, 상기 제2 오픈마켓에 상기 문의 대상 상품이 품절 임박 상태임을 통지하고, 상기 제2 오픈마켓으로부터 해당 상품의 결제 완료 또는 결제 포기가 통지되면 상기 제1 오픈마켓에 전달하는 가로채기 권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고 데이터 베이스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품절 임박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미리 설정된 마케팅 조건에 부합하는 오픈마켓에 재고량을 통지하고 그 외 다른 오픈마켓에는 재고량 없음을 통지하는 마케팅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KR1020200172482A 2020-12-10 2020-12-10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KR10257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82A KR102578313B1 (ko) 2020-12-10 2020-12-10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82A KR102578313B1 (ko) 2020-12-10 2020-12-10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14A true KR20220082514A (ko) 2022-06-17
KR102578313B1 KR102578313B1 (ko) 2023-09-13

Family

ID=8226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482A KR102578313B1 (ko) 2020-12-10 2020-12-10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555B1 (ko) * 2022-06-28 2023-07-17 김진석 재고관리가 자동화되며 결제조건이 다양한 이커머스 플랫폼의 운영방법
KR102616648B1 (ko) * 2023-06-05 2023-12-21 김윤상 인터넷 쇼핑몰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969A (ko) 2014-02-12 2015-08-24 주식회사 예감 오픈마켓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753480B1 (ko) * 2015-09-30 2017-07-04 이승욱 오픈 마켓별 통합 재고 자동 모니터링 및 변경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969A (ko) 2014-02-12 2015-08-24 주식회사 예감 오픈마켓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753480B1 (ko) * 2015-09-30 2017-07-04 이승욱 오픈 마켓별 통합 재고 자동 모니터링 및 변경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555B1 (ko) * 2022-06-28 2023-07-17 김진석 재고관리가 자동화되며 결제조건이 다양한 이커머스 플랫폼의 운영방법
KR102616648B1 (ko) * 2023-06-05 2023-12-21 김윤상 인터넷 쇼핑몰 재고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313B1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1377B2 (ja) 収益配分システム、収益配分方法、および、収益配分プログラム
KR101753480B1 (ko) 오픈 마켓별 통합 재고 자동 모니터링 및 변경 시스템
JP2002024668A (ja) ポイント取引サービスの方法及びそのサービスシステム
CN112074858A (zh) 供应方与销售方之间的电子商务中介系统及中介方法
KR20220082514A (ko) 오픈마켓과 연동하는 재고 관리 서버
KR102334336B1 (ko) 온라인 공유판매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KR20200025212A (ko) 오픈 마켓의 상생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50909A (ko) 이알피 연계형 전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8293A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재고 상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226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중고컴퓨터 보상판매방법
KR101830213B1 (ko) 장기할부서비스를 이용하여 결합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스마트할부 방법 및 시스템
KR101949034B1 (ko) 부동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부동산 업무진행 방법
KR101937328B1 (ko)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물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01171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2251541A (ja) オークション管理装置、オークション管理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9197446A (ja) クーポン発行システム
KR20110055941A (ko) 포인트 거래 시스템, 거래소 서버를 이용한 포인트 거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80031452A (ko)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실시간 흥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16510B2 (ja) 優待確認システム、支払システム、株主優待システム、優待確認方法、株主優待方法、支払決定プログラムおよび優待確認プログラム
KR100426388B1 (ko) 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시스템
US20130268341A1 (en) Method for managing bonuses and service server thereof
JP2004265268A (ja) 商品又はサービス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27265A (ko) 균일가 판매상품을 거래하기 위한 균일가상품거래시스템 및 균일가상품거래방법
KR102556916B1 (ko) 전자상거래에 대한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20190054876A (ko) 상품 거래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