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416A - 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 Google Patents

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416A
KR20220082416A KR1020200172308A KR20200172308A KR20220082416A KR 20220082416 A KR20220082416 A KR 20220082416A KR 1020200172308 A KR1020200172308 A KR 1020200172308A KR 20200172308 A KR20200172308 A KR 20200172308A KR 20220082416 A KR20220082416 A KR 2022008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oasting
meat
discharge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찬솔
Original Assignee
엄찬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찬솔 filed Critical 엄찬솔
Priority to KR102020017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416A/en
Publication of KR2022008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4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constructed from refractory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구이실이 마련된 구이부를 구비한 가마에서, 구이실에서 발생한 기름을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기름배출관에 설치된 1차 기름배출관, 구이실에서 발생한 기화된 고기 기름 입자와 냄새가 혼합된 고온의 악취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출관에 설치된 증기배출관, 증기배출관에서 유입된 악취 증기가 상온에서 냉각되어 고기 기름 입자가 액체인 기름으로 전환되면서 액체인 기름과 기체인 냄새로 분리되도록 설치된 냉각관과, 냉각관에서 유입된 기름을 배출하도록 설치된 2차 기름배출관을 구비하는 냉각탈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고기 굽는 냄새를 완전히 제거하고, 기화된 고기 기름 입자를 제거하므로 기름 찌든 그을음을 제거함은 물론 찌든 냄새 역시 제거하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having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Oil discharge pipe, steam exhaust pipe installed in the steam discharge pipe processed at the rear of the roasting unit to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malodorous vapor mixed with oil particles and odor of vaporized meat from the roasting room.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having a cooling pipe installed so that oil particles are converted into liquid oil and separated into liquid oil and gaseous odor, and a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installed to discharge oil introduced from the cooling pipe; , It completely removes the smell of roasting meat and removes vaporized meat oil particles, so it not only removes oily soot, but also removes stinky smell.

Description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본 발명은 고기 구이용 가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실의 후면에 고기 기름 입자 및 냄새가 혼합된 악취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과 냉각관이 설치됨으로써, 이 배기관 및 냉각관을 통해 배출된 악취 증기는 기름과 냄새로 분리되어 수집 및 탈취되도록 한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ln for roasting meat, and more particularly, an exhaust pipe and a cooling pipe for discharging malodorous vapor mixed with meat oil particles and odors ar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roasting room, so that the exhaust pipe and cooling pipe are discharged It relates to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equipped with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for collecting and deodorizing the odor vapor separated into oil and odor.

일반적으로 고기구이기는 직화에 의한 방식으로 불길이 고기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굽기 때문에 고기가 불에 그슬려 타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발암 물질 등이 생성되어 건강에 유해하였다. 또한, 고기의 한 면만 일방적으로 타지 않도록 자주 뒤집어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균일하게 고기를 익히기 어려웠다. In general, since meat is grilled with a flame positioned close to the meat in a direct fire method, the meat is often charred and burnt, and as a result, carcinogens are generated, which is harmful to health. In addition, it was inconvenient and difficult to cook the meat uniformly because only one side of the meat had to be turned over frequently so that it did not burn unilaterally.

이로 인해, 근래에 들어서는 고기를 보다 맛있게 즐기기 위하여 황토 가마, 전기 가마 또는 가마솥 등의 가마에 고기를 넣고 고열로 구워 익히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njoy meat more deliciously, a method of putting meat in a kiln such as a loess kiln, an electric kiln or a cauldron and roasting it at high heat is used.

일례로, 황토 가마는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효능을 굽는 과정에서 각종 구이에 침투시켜 구이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지방 섭취를 크게 줄이면서 높은 열량으로 구이시간을 최대한 짧게 하여 황토 구이의 맛을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황토를 가열하여 황토에서 방출되는 복사열과 원적외선에 의해 타지 않으면서 영양분의 손실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속까지 골고루 매우 양호하게 맛있게 구울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ess kiln penetrates into various types of roasting during the process of baking the effect of far-infrared rays emitted from loess and discharges the fat contained in the roasting to the outside. It makes it easy for anyone to enjoy the taste of Therefore, by heating the loess, it is not burned by radiant heat and far-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loess, and without loss of nutrients, it can be baked evenly and deliciously to the inside in a short time.

하지만, 황토 가마는 물론 전기 가마 및 가마솥에서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한 악취 증기, 즉 고기 기름 입자와 냄새가 혼합된 증기를 그대로 가마의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마의 외부에는 고기 굽는 냄새가 진동함은 물론, 증기에 포함된 고기 기름 입자 역시 의류에 침투하여 찌든 냄새가 지속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However, odor steam generated while roasting meat in loess kilns as well as electric kilns and cauldrons, that is, steam mixed with meat oil particles and od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kiln as it i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mell of roasting meat vibrates outside the kiln, and the meat oil particles contained in the steam also penetrate into the clothes and the stench smell persis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97544호(2006.07.06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0597544 (published on July 6, 2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4148호(2007.07.02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34148 (published on 2007.07.02)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마 내부의 구이실에 배기관이 연결되고, 배기관에 냉각관이 설치됨으로써, 가마 내에서 배기된 고온의 악취 증기가 냉각되어 기름과 냄새로 분리되고, 기름은 수집되고, 냄새는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한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at an exhaust pipe is connected to the roasting room inside the kiln, and a cooling pipe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so that the high-temperature odor steam exhausted from the kiln is cooled and separated into oil and odor It is to provide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having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such that the oil is collected and the smell is filtered and discharg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마 내에서 상향으로 전도되는 직화열을 분산하고, 하향으로 전도되는 복사열을 석쇠 아래로 반사하도록 방열판이 설치됨으로써, 대부분 하향 전도되는 복사열 중 일부를 상향으로 반전시켜 고기의 위, 아래 면이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도록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를 제공함에 있다.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tribute the direct fire heat conducted upward in the kiln, and a heat sink is installed to reflect the radiant heat conducted downward to the bottom of the grill, so that some of the most downwardly conducted radiant heat is reversed upwards of the meat. It is to provide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having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be uniformly baked.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는 일례로, 내부에 구이실이 마련된 구이부를 구비한 가마에서, 구이실에서 발생한 기름을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기름배출관에 설치된 1차 기름배출관, 구이실에서 발생한 기화된 고기 기름 입자와 냄새가 혼합된 고온의 악취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출관에 설치된 증기배출관, 증기배출관에서 유입된 악취 증기가 상온에서 냉각되어 고기 기름 입자가 액체인 기름으로 전환되면서 액체인 기름과 기체인 냄새로 분리되도록 설치된 냉각관과, 냉각관에서 유입된 기름을 배출하도록 설치된 2차 기름배출관을 구비하는 냉각탈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provided with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in a kiln having a roasting unit provided with a roasting chamber insi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to discharge the oil generated in the roasting chamber. The primary oil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processed oil discharge pipe Cooling having a cooling pipe installed so that the odor vapor is cool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meat oil particles are converted to liquid oil, and separated into liquid oil and gaseous odor, and a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installed to discharge the oil introduced from the cooling pipe Deodorizing means; may be included.

여기서, 냉각탈취수단은 2차 기름배출관에서 유입된 냄새 중에서 잔류하는 고기 기름 입자를 상온에서 더 냉각시키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과, 1차 기름배출관, 2차 기름배출관 및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이 연결되어 기름을 수집하고 냄새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집유 및 탈취통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includes a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order to further cool the meat oil particles remaining among the odors introduced from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at room temperature, a primary oil discharge pipe, a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and 3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container for collecting oil by connecting the tea oil and odor discharge pipe, and filtering and discharging the odor.

추가로, 구이실의 상부에 설치된 석쇠, 이 석쇠의 아래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구이실 내면에서 반사된 복사열을 상향으로 굴절시키도록 설치된 방열판, 이 방열판의 아래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석쇠 및 방열판에서 떨어진 기름을 구이실의 측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기름유도판; 이 기름유도판의 하단의 아레에는 기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기름받이; 이 기름받이의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기름배출구;와, 이 구이실 내부의 악취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출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grill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room, a heat sink disposed at an angle below the grill to refract the radiant heat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room upward. Oil guide plate installed to guide the side of the roasting room; A drip tra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il guide plate to collect oil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An oil outlet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to discharge the oil of the drip tray to the outside; and a steam outlet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to discharge the odor vapor inside the roasting chamber to the outside.

이때, 연소실에서 상향 유동하는 직화열의 일부가 기름유도판 및 방열판 사이의 공간을 통해 측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direct fire heat flowing upward in the combustion chamber may flow laterally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il guide plate and the heat sink.

또한, 구이실의 곡면인 내면에 직화열이 반사되어 하향으로 굴절된 복사열이 방열판에 의해 상향으로 굴절되어 석쇠에 놓인 고기의 하부를 익힐 수 있다. In addition, direct fire heat is reflected on the inner surface, which is the curved surface of the roasting room, and the radiant heat refracted downward is refracted upward by the heat sink to cook the lower part of the meat placed on the gril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는 다른 예로, 내부에 구이실이 성형된 구이부와, 구이실의 아래에 연소실이 성형된 연소부를 구비한 가마에서, 구이실의 상부에 설치된 석쇠, 이 석쇠의 아래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구이실 내면에서 반사된 복사열을 상향으로 굴절시키도록 설치된 방열판, 이 방열판의 아래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석쇠 및 방열판에서 떨어진 기름을 구이실의 측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기름유도판; 이 기름유도판의 하단의 아레에는 기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기름받이; 이 기름받이의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기름배출구;와, 이 구이실 내부의 악취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having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example, in a kiln having a roasting part in which a roasting chamber is molded, and a combustion part in which a combustion chamber is formed under the roasting chamber, A grill installed at the top, a heat sink installed at an angle below the grill to refract the radiant heat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room upward, and a heat sink disposed below the heat sink to guide oil that has fallen from the grill and heat sink to the side of the roasting room. oil guide plate installed to A drip tra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il guide plate to collect oil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An oil outlet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to discharge the oil of the drip tray to the outside; and a steam outlet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to discharge the odor steam inside the roasting chamber to the outside.

이때, 연소실에서 상향 유동하는 직화열의 일부가 기름유도판 및 방열판 사이의 공간을 통해 측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direct fire heat flowing upward in the combustion chamber may flow laterally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il guide plate and the heat sink.

또한, 구이실의 곡면인 내면에 직화열이 반사되어 하향으로 굴절된 복사열이 방열판에 의해 상향으로 굴절되어 석쇠에 놓인 고기의 하부를 익힐 수 있다. In addition, direct fire heat is reflected on the inner surface, which is the curved surface of the roasting room, and the radiant heat refracted downward is refracted upward by the heat sink to cook the lower part of the meat placed on the grill.

일례로, 석쇠는 구이실의 상부이면서 연소실을 기준으로 중앙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방열판은 석쇠의 아래의 양측이면서 연소실을 기준으로 중앙쪽 측부가 높게 경사져 배치되어 구이실 내면에서 반사된 복사열을 상향으로 굴절시키도록 설치되며, 기름유도판은 방열판의 아래의 양측에는 구이실의 측부 하단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석쇠 및 방열판에서 떨어진 기름을 기름받이로 안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rill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roasting chamber an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nd both sides based o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eat sink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grill and the central side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with a high incline to reduce the radiant heat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It is installed to refract upward, and the oil guide plat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heat sink inclined toward the bottom of the side of the roasting chamber and may be installed to guide the oil that has fallen from the grill and the heat sink to the drip tray.

추가적으로, 기름배출구에 기름받이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1차 기름배출관, 구이실에서 발생한 고기 기름 입자와 냄새가 혼합된 고온의 악취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이부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출관에 설치된 증기배출관, 증기배출관에서 유입된 악취 증기가 상온에서 냉각되어 고기 기름 입자가 액체인 기름으로 전환되면서 액체인 기름과 기체인 냄새로 분리되도록 설치된 냉각관, 냉각관에서 유입된 기름을 배출하도록 설치된 2차 기름배출관, 이 2차 기름배출관에서 유입된 냄새 중에서 잔류하는 고기 기름 입자를 상온에서 더 냉각시키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과, 1차 기름배출관, 2차 기름배출관 및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이 연결되어 기름을 수집하고 냄새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집유 및 탈취통을 구비하는 냉각탈취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mary oil discharge pipe installed at the oil discharge port to be connected to the drip tray, the steam discharge pipe and the steam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steam discharge pipe processed at the rear of the roasting part to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odor steam mixed with meat oil particles and odors generated in the roasting room. A cooling pipe installed to separate the odorous vapor from the liquid oil and gaseous odor as the meat oil particles are converted to liquid oil by cooling at room temperature, a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installed to discharge the oil introduced from the cooling pipe, and A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of a certain length, a primary oil discharge pipe, a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and a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It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connected to collect oil and having an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container for filtering and discharging odors.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황토 가마의 구이실을 황토로 만들기 때문에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고, 고기 기름 입자와 냄새가 혼합된 악취 증기가 완전히 배출되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더 맛있을 수 있다. 또, 돼양고기에 소금만 뿌려도 고기의 잡내가 없어지고, 기름 냄새가 전혀 안 나며, 양념이 안 타는 것은 물론 내부에 기름이 배지 않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asting room of the loess kiln is made of loess, the internal temperature is uniform, the odor vapor mixed with meat oil particles and odors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far-infrared rays are emitted, making it more delicious . Also, even if you just sprinkle salt on the pork, the smell of the meat disappears, there is no smell of oil at all, the seasoning does not burn, and the oil does not leak inside.

또한, 상향 유동하는 직화열이 기름유도판 및 방열판에 의해 굴절되고, 기름유도판 및 방열판 사이로 굴절되어 빠져 나가기도 하며, 구이실 내면에서 반사되면서 복사열 및 대류열이 형성되고,이 복사열 및 대류열에 의해 고기의 상면 및 하면까지 균일한 온도로 고루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 fire heat flowing upward is refracted by the oil guide plate and heat sink, refracted between the oil guide plate and the heat sink, and escaped. This has the effect of cooking the meat evenly to the top and bottom at a uniform temperature.

그리고 구이실 내부의 기화된 고기 기름 입자 및 냄새가 혼합된 악취 증기가 증기배기관 및 기름배출관 등을 통해 배출된 후 냉각되도록 하여 기름 입자가 액화되면서 냄새와 분리되고, 액화된 기름은 별도 수집되며, 냄새는 여과되어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고기 굽는 냄새를 완전히 제거하고, 기화된 고기 기름 입자를 제거하므로 기름 찌든 그을음을 제거함은 물론 찌든 냄새 역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the odor vapor mixed with vaporized meat oil particles and odors inside the roasting room is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exhaust pipe and oil exhaust pipe, and then cooled, so that the oil particles are liquefied and separated from the smell, and the liquefied oil is collected separately, By allowing the odor to be filtered and exhausted, the smell of grilling meat is completely removed, and vaporized meat oil particles are removed, so that not only the oily soot is removed, but also the stinky smell has the effect of removing i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황토 가마의 냉각탈취수단이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황토 가마의 내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having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of the loess kiln shown in FIG. 1 .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loess kiln shown in FIG. 1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mong the components mentioned in various embodiments, mutually similar components and related components in each embodiment may be replaced, replaced, or added.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는 구이부(100), 연소부(200)와 냉각탈취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having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includes a roasting unit 100, a combustion unit 200 and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300. can be done

구이부(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황토의 흙 또는 벽돌로 내부가 대략 반원 형상이 되도록 만들어진다. 이 구이부(100)는 구이실(110), 석쇠(120), 방열판(130), 기름유도판(140)과, 기름받이(150), 기름배출구(160)와 증기배기구(170)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roasting unit 100 is made of loess soil or bricks so that the inside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he roasting unit 100 includes a roasting chamber 110 , a grill 120 , a heat sink 130 , an oil guide plate 140 , a drip tray 150 , an oil outlet 160 and a steam exhaust port 170 . can do.

먼저, 구이실(110)은 구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고기를 굽기 위한 공간이다. 이 구이실(110)은 황토벽돌과 황토 흙으로 만들 수 있다. 또, 구이실(110)의 내면은 직화열이 부딪혀 복사되어 반사되기에 최적은 대략 반원 현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향으로 유동하는 직화열이 분산 및 굴절되어 곡면의 내면 전체에서 반사되면서 복사열과 대류열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이실(110)의 고기 굽는 온도는 300℃가 되는 것이 좋고, 이 온도는 구이실(110) 입구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111)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구이실(110)의 굽는 온도, 굽는 시간 및 알람 등을 조정하는 버튼 및 다이얼 등을 조작하도록 된 제어기(112)가 연소부(20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First, the roasting chamber 110 is an internal space of the roasting unit 100 and is a space for grilling meat. This roasting room 110 can be made of loess bricks and loess soil.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may be optimally formed as a semicircular phenomenon for direct fire heat to be radiated and reflected. Accordingly, direct fire heat flowing upward is dispersed and refracted and reflect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and can be converted into radiant heat and convective hea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asting temperature of the meat in the roasting chamber 110 be 300° C., and this temperature can be confirmed with a thermometer 111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to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In addition, a controller 112 configured to operate buttons and dials for adjusting the baking temperature, baking time, and alarm of the roasting chamber 11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combustion unit 200 .

또한, 석쇠(120)는 고기가 올려지는 부재로, 구이실(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석쇠(120)는 일례로 도 2에서처럼 중앙에 1개, 양측으로 1개씩, 3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석쇠(120)는 돌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rill 120 is a member on which meat is placed,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hamber 110 . As an example, the grill 120 may be arranged in three pieces, one in the center, one on each side, as in FIG. 2 . Such a grill 120 may be replaced with a stone plate.

또한, 방열판(130)은 복사열 및 대류열을 석쇠(120)의 아래를 향하도록 상향 전환시키도록 석쇠(120)의 아래에 배치된다. 이 방열판(130)은 도 2에서처럼, 대략 상면이 오목한 형상이면서 구이실(110)의 내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방열판(130)의 상면의 오목한 곡률은 구이실(110)의 측면에서 오는 복사열 및 하류열을 상향으로 굴절시키는 정도일 수 있다. 일례로, 방열판(130)은 2개의 판이 대칭으로 마주하여 중앙 상단부위가 뚫린 대략 '∧'자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다른 예로 2개의 판이 마주하면서 일측 판의 상단 부위와 타측 판의 상단 부위가 엇갈려 배치된 대략 '팔(八)'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lso, the heat sink 130 is disposed under the grill 120 to upwardly convert radiant heat and convective heat toward the bottom of the grill 120 . As shown in FIG. 2 , the heat sink 130 may have a substantially concave upper surface and may be disposed obliquel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 In this case, the concave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ink 130 may be such that the radiant heat and downstream heat coming from the sid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are refracted upward. As an example, the heat sink 130 is dispos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in which the two plates face symmetrically and the upper center part is drilled, or, as another example, the upper part of one plate and the upper part of the other plate are crossed while the two plates are facing each other. It may be arranged in an approximately arranged 'eight (八)' shape.

또, 방열판(130)의 불록한 하면은 상향 직진하는 직화열을 굴절시켜 측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열판(130)은 복사열을 반사하거나 대류열의 흐름을 전환할 수 있는 돌판이거나 세라믹판이거나 금속판일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판(130)의 하면에 의해 상향 직직하는 직화열이 측방으로 굴절되고, 상면에 의해 구이실(110)의 내면에서 부딪혀 나온 복사열 및 대류열이 상측의 석쇠(120)를 향해 굴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vex lower surface of the heat sink 130 can refract the direct heat of direct upward movement and disperse it laterally. The heat sink 130 may be a stone plate, a ceramic plate, or a metal plate capable of reflecting radiant heat or diverting the flow of convective heat. Accordingly, the direct heat of direct fire directed upwar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sink 130 is refracted laterally, and the radiant and convective heat colli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by the upper surface can be refracted toward the upper grill 120. have.

또한, 기름유도판(140)은 상향 직진하는 직화열을 측방으로 분산시키고, 석쇠(120)에서 떨어진 액화된 고기 기름을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부재이다. 이 기름유도판(140)은 방열판(130)의 아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이실(110)의 내면 하단을 향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il guide plate 140 is a member for dispersing the heat of direct fire moving upward to the side, and collecting the liquefied meat oil away from the grill 120 in one place. The oil guide plate 140 may be disposed obliquely toward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nder the heat sink 130 .

또, 기름유도판(140)과 방열판(13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상향의 직화열이 굴절되어 측방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리고 기름유도판(140)은 비스듬하게 배치됨으로써, 석쇠에서 떨어지는 고기 기름을 구이실(110) 내면 하단에 설치된 기름받이(150)로 유도할 수 있다. 물론, 기름유도판(140)은 2개의 판이 구이실(110)의 내부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 fire heat upward pas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il guide plate 140 and the heat sink 130 may be refracted and dispersed laterally. And the oil guide plate 140 is disposed at an angle, so that the meat oil dripping from the grill can be guided to the drip tray 15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 Of course, the oil guide plate 140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inside the two plates of the roasting chamber 110 .

또한, 기름받이(150)는 구이실(110)의 내면의 하단 부위에 배치되어 기름유도판(140)에서 흘러내린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기름받이(150)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의 관(管)이고, 구이실(110)의 양측에 배치된 기름유도판(140)의 아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 기름받이(150)는 구이부(100)의 후면에 설치된 기름배출구(160)로 기름을 배출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p tray 15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to discharge the oil flowing down from the oil guide plate 140 to the outside. The drip tray 150 is a tube having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under the oil guide plate 14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asting chamber 110 . In addition, the drip tray 150 may be inclined to discharge oil to the oil outlet 160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100 .

또한, 기름배출구(160)는 도 3에서 보듯이, 기름받이(150)에 수집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구이실(110)이 외부와 통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기름배출구(160)는 구이실(110)의 양측의 하단 부위에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름배출구(160)에는 기름받이(150)와 1차 기름배출관(310)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기름배출구(160)는 기름받이(150)와 더불어 1개 이상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il outlet 160 may be processed so that the roasting chamber 1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oil collected in the oil pan 150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3 . . The oil outlet 160 may be processed at the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roasting chamber 110 . The oil pan 150 and the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may be connected to the oil outlet 160 . Of course, the oil outlet 160 may be one or more together with the oil pan 150 .

그리고 증기배기구(170)는 도 3에서 보듯이, 구이실(110) 내부의 악취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구이실(110)과 외부가 통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증기배기구(170)는 구이실(110) 양측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가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처럼 일측에는 상부에, 타측에는 하부에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증기배기구(170)에는 증기배기구(170)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증기배기구(170)는 1개 이상 가공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3 , the steam exhaust port 170 may be processed so that the roasting chamber 110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the rear of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odor gas inside the roasting chamber 110 to the outside. The steam exhaust port 170 may be processed in the upper and/or lower sides of the roasting chamber 110 . As shown in the drawings, one side may be proces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n the lower side. The steam exhaust por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steam exhaust port 170 . Of course, one or more steam exhaust ports 170 may be processed.

한편, 연소부(200)는 구이실(110)의 하부에 마련되고, 화덕(220)이 출입하는 연소실(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연소부(200)는 화덕(220)에 담긴 숯불의 열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 단열재(230)로 만들 수 있다. 또, 연소실(210)은 화덕(220)에서 구이실(110) 입구까지 대략 50~60cm의 거리가 되도록 하여 직화열이 가급적 석쇠(120)에 직접 닿지 않도록 만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bustion unit 20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asting chamber 110, the furnace 220 may be provided with a combustion chamber 210 in and out. The combustion unit 200 may be made of an insulator 230 in order to block the heat of the charcoal contained in the furnace 220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combustion chamber 210 can be made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furnace 220 to the entran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is approximately 50 to 60 cm, so that the heat of direct fir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grill 120 as much as possible.

또한, 연소부(200)는 연소실(210)의 아래에는 화덕(220)에 숯이 다 타고 남은 재를 하방 낙하하면 받을 수 있도록 재받이(240)가 출입하는 공간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화덕(220)의 바닥은 축회전하도록 제작되고, 숯이 다 탄 후 재만 남으면 회전시켜 재를 재받이(240)에 떨어뜨릴 수 있다. 이 연소부(200)의 하면에는 황토 가마의 이동을 위한 바퀴(250)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bustion unit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pace under the combustion chamber 210 through which the ash tray 240 enters and exits to receive the ash remaining after burning down the charcoal in the furnace 220 .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furnace 220 is manufactured to rotate axially, and if only ashes remain after the charcoal is burned, it can be rotated to drop the ashes on the ash tray 240 . A wheel 250 for moving the loess kiln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mbustion unit 200 .

한편, 냉각탈취수단(300)은 도 3에서 보듯이, 구이부(100)의 후면에 구이실(110)의 기름받이(150)의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고, 기름 입자 및 냄새가 혼합된 고온의 기체인 악취 증기를 배기 및 냉각하여 기름과 냄새로 다시 분리한 후 여과 및 배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탈취수단(300)은 1차 기름배출관(310), 증기배기관(320), 냉각관(330), 2차 기름배출관(340),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과, 집유 및 탈취통(360)을 구비할 수 있습니다. 이들 1차 기름배출관(310), 증기배기관(320), 냉각관(330), 2차 기름배출관(340),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은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300 discharges the oil of the drip tray 150 of the roasting chamber 110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100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It can be installed to exhaust and cool the odor vapor, which is the gas of the , separate it into oil and odor, and then filter and exhaust. To this end, the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300 includes a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a steam exhaust pipe 320, a cooling pipe 330, a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a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and oil collecting and A deodorizing container (360) may be provided. These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steam exhaust pipe 320, cooling pipe 330,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and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are each equipped with an on/off valve for controlling discharge. can

먼저, 1차 기름배출관(310)은 구이실(110)에 설치된 기름받이(150)에 모인 기름을 집유 및 탈취통(360)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집유통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1차 기름배출관(310)은 구이실(110)의 양측에 설치된 기름받이(150)와 기름배출구(160)를 통해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1차 기름배출관(310)은 기름받이(150) 및 기름배출구(160)와 더불어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First, the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may be installed to discharge the oil collected in the drip tray 150 installed in the roasting chamber 110 to the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container 360 . Of course, it may be installed to discharge to a separate collection distribution channel. The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may be installed by connecting the oil tray 15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sting chamber 110 and the oil discharge port 160 . At this time, one or more, preferably two, of the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oil pan 150 and the oil discharge port 160 .

또한, 증기배기관(320)은 구이실(110)에서 고기를 구우면서 발생한 고온의 악취 증기, 즉 기름 입자 및 냄새가 혼합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온에서 기름 입자를 냉각시켜 액체인 기름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액체인 기름과 기체인 냄새를 구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증기배기관(320)은 구이실(110)의 양측에 각각 내부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구이실(110) 내부의 고온의 악취 증기가 배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증기배기관(320)은 증기배기구(170)와 더불어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am exhaust pipe 320 discharges high-temperature odor steam generated while roasting meat in the roasting room 110, that is, steam mixed with oil particles and odors, and cools the oil particles at room temperature into liquid oil. By converting it, it can be install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liquid oil and the gaseous odor. The steam exhaust pipe 32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sting chamber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respectively, so that high-temperature odor steam inside the roasting chamber 110 is discharged. Of course, the steam exhaust pipe 320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steam exhaust port 170, one, or three or more.

일례로, 증기배기관(320)은 도 3의 좌측에서 보듯이, 악취 증기가 유입되면서 일부 기름 입자가 상온에 의해 바로 냉각된 기름을 1차 배출하고, 나머지 기름 입자와 냄새를 제1냉각관(330)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우측에서 보듯이, 위의 1차 배출을 배제하고, 모든 악취 증기를 제2냉각관(330)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증기배기관(320)과 제2증기배기관(320)은 서로 연결되어 1개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증기배기관(320)은 좌측의 예와 우측의 예 중 1가지 또는 혼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 증기배기관(320)은 구이부(100)의 후면 양측에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가볍거나 무거운 악취 증기를 원활히 배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team exhaust pipe 320 primarily discharges oil, in which some oil particles are immediately cooled by room temperature, as odor steam is introduced, and the remaining oil particles and odors are removed from the first cooling pipe ( 330) may be installed to guide. As another example, as seen from the right side of FIG. 3 , it may be installed to exclude the above primary discharge and guide all odor vapors to the second cooling pipe 330 . Here, the first steam exhaust pipe 320 and the second steam exhaust pipe 3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as one. Of course, the steam exhaust pipe 320 may be installed in one or a mixture of the example on the left and the example on the right. In addition, the steam exhaust pipe 320 may be installed to smoothly exhaust light or heavy odorous vapor by varying the height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100 .

또한, 냉각관(330)은 고온의 악취 증기를 상온에서 냉각시키기 위해 증기배기관(320)과 2차 기름배출관(34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냉각관(330)은 상하로 배치되고, 직선의 관이거나 나선형의 관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온의 노출 시간을 더 길게 하기 위해 나선형의 관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관(330)을 따라 유동하는 악취 증기는 대부분 상온에서 냉각되어 대부분의 기름 입자가 액체로 변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ling pipe 330 may be installed by connecting the steam exhaust pipe 320 and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to cool the high-temperature malodorous vapor at room temperature. The cooling tube 330 is disposed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straight tubes or spiral tubes may be installed. Of course, a spiral tube may be more suitable for a longer exposure time at room temperature. Most of the malodorous vapor flowing along the cooling pipe 330 is cooled at room temperature so that most of the oil particles can be converted into a liquid.

또한, 2차 기름배출관(340)은 냉각관(330)에서 액체로 변환된 기름을 집유 및 탈취통(360)으로 배출하고, 냉각이 더 필요한 악취 증기를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2차 기름배출관(340)은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과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discharges the oil converted into liquid in the cooling pipe 330 to the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tank 360, and the odor vapor requiring further cooling to the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It can be installed to guide.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may be connected to the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

또한,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은 2차 기름배출관(340)에서 고온의 악취 증기를 더 냉각시켜 남은 기름 입자를 전부 액체로 변환시키고, 냄새까지 배출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은 2차 기름배출관(340)에서 유입된 악취 증기가 상향 유동한 뒤 하방으로 전환되는 대략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은 도 3의 좌측에서 보듯이 2차 기름배출관(340)에 관이 연결되어 설치되거나, 우측에서 보듯이 2차 기름배출관(340)과 일체로 가공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may be installed to further cool the high-temperature odor vapor in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to convert all remaining oil particles into a liquid, and to discharge even odors. To this end, the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may be installed in an approximately '∩' shape in which the odor vapor introduced from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flows upward and then is converted downward. As an example, the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is install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as seen from the left side of FIG. 3 , or processed integrally with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as seen from the right side and may be installed.

그리고 집유 및 탈취통(360)은 1차 기름배출관(310), 2차 기름배출관(340),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집유 및 탈취통(360)은 기름을 수집하는 집유통과, 냄새를 여과하여 강제 배출하는 필터 및 송풍기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집유 및 탈취통(360)은 도 3에서 보듯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집유 및 탈취통(360)은 연소실(210)에서 숯이 연소되면서 발생한 연소가스와 재를 수집하도록 연통관(361)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tank 360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 and the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 The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tube 360 may have a built-in oil collecting tube for collecting oil, a filter and a blower for filtering and forcibly discharging odors. These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tanks 36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3 . In addition, the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tube 360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ipe 361 to collect the combustion gas and ash generated while charcoal i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21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구이부
110:구이실 111:온도계
112:제어기 120:석쇠
130:방열판 140:기름유도판
150:기름받이 160:기름배출구
170:증기배기구
200:연소부
210:연소실 220:화덕
230:단열재 240:재받이
250:바퀴
300:냉각탈취수단
310:1차 기름배출관 320:증기배기관
330:냉각관 340:2차 기름배출관
350: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 360:집유 및 탈취통.
361:연통관.
100: grilled
110: roasting room 111: thermometer
112: controller 120: grill
130: heat sink 140: oil guide plate
150: oil pan 160: oil outlet
170: steam exhaust port
200: combustion unit
210: combustion chamber 220: furnace
230: insulation 240: ash tray
250: wheel
300: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310:1 primary oil discharge pipe 320: steam exhaust pipe
330: cooling pipe 340: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50: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60: Oil collection and deodorization bin.
361: Communication tube.

Claims (6)

내부에 구이실(110)이 마련된 구이부(100)를 구비한 가마에서,
상기 구이실(110)에서 발생한 기름을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가공된 기름배출구(160)에 설치된 1차 기름배출관(310), 구이실(110)에서 발생한 기화된 고기 기름 입자와 냄새가 혼합된 고온의 악취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기구(170)에 설치된 증기배기관(320), 증기배기관(320)에서 유입된 악취 증기가 상온에서 냉각되어 고기 기름 입자가 액체인 기름으로 전환되면서 액체인 기름과 기체인 냄새로 분리되도록 설치된 냉각관(330)과, 냉각관(330)에서 유입된 기름을 배출하도록 설치된 2차 기름배출관(340)을 구비하는 냉각탈취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
In a kiln equipped with a roasting unit 100 provided with a roasting chamber 110 therein,
The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installed in the oil outlet 160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oil generated in the roasting chamber 110, and vaporized meat oil particles generated in the roasting chamber 110 and The steam exhaust pipe 320 installed in the steam exhaust port 170 processed on the rear side of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malodorous vapor mixed with the odor, and the malodorous vapor introduced from the steam exhaust pipe 320 is cooled at room temperature to make meat A cooling pipe 330 installed so that oil particles are converted into liquid oil and separated into liquid oil and gaseous odor, and a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installed to discharge oil flowing in from the cooling pipe 330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300;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having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청구항 1에서,
상기 냉각탈취수단(300)은 2차 기름배출관(340)에서 유입된 냄새 중에서 잔류하는 고기 기름 입자를 상온에서 더 냉각시키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과, 1차 기름배출관(310), 2차 기름배출관(340) 및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이 연결되어 기름을 수집하고 냄새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집유 및 탈취통(3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
In claim 1,
The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300 includes a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further cool the meat oil particles remaining among the odors introduced from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at room temperature, and the primary oil The discharge pipe 310,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and the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are connected to collect oil and filter the odor and discharge at least one of the oil collecting and deodorizing tank 360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equipped with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구이실(110)의 상부에 설치된 석쇠(120), 이 석쇠(120)의 아래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구이실(110) 내면에서 반사된 복사열 및 대류열을 상향으로 굴절시키도록 설치된 방열판(130), 이 방열판(130)의 아래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석쇠(120) 및 방열판(130)에서 떨어진 기름을 구이실(110)의 측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기름유도판(140); 이 기름유도판(140)의 하단의 아레에는 기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기름받이(150); 이 기름받이(150)의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가공된 기름배출구(160);와, 이 구이실(110) 내부의 악취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기구(170);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210)에서 상향 유동하는 직화열의 일부가 기름유도판(140) 및 방열판(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측방으로 유동하고,
상기 구이실(110)의 곡면인 내면에 직화열이 반사되어 하향으로 굴절된 복사열이 방열판(130)에 의해 상향으로 굴절되어 석쇠(120)에 놓인 고기의 하부를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
In claim 1 or 2,
The grill 12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asting chamber 110, the heat sink 130 installed to refract upwardly the radiant heat and convective heat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by being inclined below the grill 120. , The oil guide plate 140 is installed obliquely below the heat sink 130 to guide the oil away from the grill 120 and the heat sink 130 to the side of the roasting room 110; A drip tray 150 installed to collect oil and discharge to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oil guide plate 140; The oil outlet 160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oil of the drip tray 150 to the outside; and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odor vapor inside the roasting chamber 110 to the outside ) of the steam exhaust port 170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including,
A portion of the direct fire heat flowing upward in the combustion chamber 210 flows laterally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il guide plate 140 and the heat sink 130,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 fire heat is reflected on the curved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and the downwardly refracted radiant heat is refracted upward by the heat sink 130 to cook the lower part of the meat placed on the grill 120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equipped with
내부에 구이실(110)이 성형된 구이부(100)와, 구이실(110)의 아래에 연소실(210)이 성형된 연소부(200)를 구비한 가마에서,
상기 구이실(110)의 상부에 설치된 석쇠(120), 이 석쇠(120)의 아래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구이실(110) 내면에서 반사된 복사열을 상향으로 굴절시키도록 설치된 방열판(130), 이 방열판(130)의 아래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석쇠(120) 및 방열판(130)에서 떨어진 기름을 구이실(110)의 측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기름유도판(140); 이 기름유도판(140)의 하단의 아레에는 기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기름받이(150); 이 기름받이(150)의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가공된 기름배출구(160);와, 이 구이실(110) 내부의 악취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기구(170);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210)에서 상향 유동하는 직화열의 일부가 기름유도판(140) 및 방열판(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측방으로 유동하고,
상기 구이실(110)의 곡면인 내면에 직화열이 반사되어 하향으로 굴절된 복사열이 방열판(130)에 의해 상향으로 굴절되어 석쇠(120)에 놓인 고기의 하부를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
In a kiln having a roasting unit 100 in which a roasting chamber 110 is molded, and a combustion unit 200 in which a combustion chamber 210 is formed under the roasting chamber 110,
A grill 12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hamber 110, a heat sink 130 disposed at an angle below the grid 120 and installed to refract the radiant heat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upward. This heat sink The oil guide plate 140 is installed to guide the oil separated from the grill 120 and the heat sink 130 to the side of the grilling room 110, which is disposed below the (130) obliquely; A drip tray 150 installed to collect oil and discharge to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oil guide plate 140; The oil outlet 160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oil of the drip tray 150 to the outside; and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odor vapor inside the roasting chamber 110 to the outside ) of the steam exhaust port 170 processed on the rear surface; including,
A portion of the direct fire heat flowing upward in the combustion chamber 210 flows laterally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il guide plate 140 and the heat sink 130,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 fire heat is reflected on the curved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and the downwardly refracted radiant heat is refracted upward by the heat sink 130 to cook the lower part of the meat placed on the grill 120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equipped with
청구항 4에서,
상기 석쇠(120)는 구이실(110)의 상부이면서 연소실(210)을 기준으로 중앙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130)은 석쇠(120)의 아래의 양측이면서 연소실(210)을 기준으로 중앙쪽 측부가 높게 경사져 배치되어 구이실(110) 내면에서 반사된 복사열을 상향으로 굴절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름유도판(140)은 방열판(130)의 아래의 양측에는 구이실(110)의 측부 하단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석쇠(120) 및 방열판(130)에서 떨어진 기름을 기름받이(150)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
In claim 4,
The grill 120 is installed at the center and on both si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210 as the upper portion of the roasting chamber 110, respectively,
The heat sink 130 is installed so as to refract the radiant heat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upward, as both sides of the grill 120 and the central side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210 are inclined high,
The oil guide plate 140 is disposed inclin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side of the roasting chamber 110 on both sides under the heat sink 130 to guide the oil that has fallen from the grill 120 and the heat sink 130 to the drip tray 150.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with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청구항 4 또는 5에서,
상기 기름배출구(160)에 기름받이(15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1차 기름배출관(310), 구이실(110)에서 발생한 고기 기름 입자와 냄새가 혼합된 고온의 악취 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이부(100)의 후면에 가공된 증기배출구(170)에 설치된 증기배기관(320), 증기배기관(320)에서 유입된 악취 증기가 상온에서 냉각되어 고기 기름 입자가 액체인 기름으로 전환되면서 액체인 기름과 기체인 냄새로 분리되도록 설치된 냉각관(330), 냉각관(330)에서 유입된 기름을 배출하도록 설치된 2차 기름배출관(340), 이 2차 기름배출관(340)에서 유입된 냄새 중에서 잔류하는 고기 기름 입자를 상온에서 더 냉각시키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과, 1차 기름배출관(310), 2차 기름배출관(340) 및 3차 기름 및 냄새배출관(350)이 연결되어 기름을 수집하고 냄새를 여과하여 배출하는 집유 및 탈취통(360)을 구비하는 냉각탈취수단(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탈취수단을 구비한 고기 구이용 황토 가마.
In claim 4 or 5,
The first oil discharge pipe 310 installed at the oil outlet 160 to be connected to the drip tray 150, and the roasting unit 100 to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odor vapor mixed with the meat oil particles and the smell generated in the roasting chamber 110 ), the odor steam introduced from the steam exhaust pipe 320 and the steam exhaust pipe 320 installed in the steam outlet 170 processed on the rear side is cool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meat oil particles are converted into liquid oil, which is liquid oil and gas. The cooling pipe 330 installed to be separated by odor,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installed to discharge the oil introduced from the cooling pipe 330, and the meat oil particles remaining among the odors introduced from the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A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having a certain length, a primary oil discharge pipe 310, a secondary oil discharge pipe 340, and a tertiary oil and odor discharge pipe 350 are connected to further cool the product at room temperature. A loess kiln for roasting meat having a cooling and deodoriz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00172308A 2020-12-10 2020-12-10 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KR202200824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308A KR20220082416A (en) 2020-12-10 2020-12-10 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308A KR20220082416A (en) 2020-12-10 2020-12-10 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416A true KR20220082416A (en) 2022-06-17

Family

ID=8226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308A KR20220082416A (en) 2020-12-10 2020-12-10 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41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544B1 (en) 2005-12-20 2006-07-06 장인락 The roasting meat device with a loess tunnel
KR100734148B1 (en) 2006-06-20 2007-07-02 모종원 The stove for roast m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544B1 (en) 2005-12-20 2006-07-06 장인락 The roasting meat device with a loess tunnel
KR100734148B1 (en) 2006-06-20 2007-07-02 모종원 The stove for roast m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9481A (en) Broiler
EP2084460B1 (en) Radiant tube broiler
US3386432A (en) Barbeque grill
KR101776683B1 (en) Grill using heat conduction of hot smoke
CA2871441C (en) Flame resistant cooking grate and cooking apparatus
US11678766B2 (en) Firebox for a grill
JPH08224174A (en) Gas grill type cooking apparatus
KR101315045B1 (en) apparatus for smokeless charcoal fire roast
KR200444305Y1 (en) Removable charcoal roaster using gas burner fitted in table
KR101522716B1 (en) Roasting grill using mixed heat and steam method
CN114286639A (en) Multipurpose cooking device
KR101756006B1 (en) Charcoal Roaster
KR20220082416A (en) Loess kiln having deodorant means for roasting meat
KR20170039108A (en) oven for unglazed
KR200486314Y1 (en) square down draft roaster
KR20110002669U (en) Meat roaster
KR101890418B1 (en) Barbecue grill device
KR101803028B1 (en) Charcoal Fire Smoking Oven for Roasting meat
KR101629604B1 (en) Table for roasting
KR100763832B1 (en) Grill for roasting meat
KR200479654Y1 (en) Roaster
JP4681021B2 (en) Grilled gas roaster
KR20200100510A (en) Double faced pan
KR100447249B1 (en) Advanced roaster without smoke
KR200179567Y1 (en) A roaster using charco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