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954A -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954A
KR20220081954A KR1020220062827A KR20220062827A KR20220081954A KR 20220081954 A KR20220081954 A KR 20220081954A KR 1020220062827 A KR1020220062827 A KR 1020220062827A KR 20220062827 A KR20220062827 A KR 20220062827A KR 20220081954 A KR20220081954 A KR 20220081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amount
real estate
indicat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414B1 (ko
Inventor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갱노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갱노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갱노노
Priority to KR1020220062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4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의 화면 상에, 주기를 가지고 빈도수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가리키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변동량 산출 시점이 입력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는 상기 데이터 변동량 산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주기와 상기 제1 주기 직전의 제2 주기 간의 데이터 변동량을 나타내는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DATA FLUCTUATIO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단 한번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특정 데이터의 현재 주기와 직전 주기 간의 데이터 변동량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대중화로 인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기존 PC 중심에서 SNS, 앱(App) 등의 모바일 플랫폼 중심의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는 대표적인 O2O 서비스의 하나로, 짧은 시간 내에 원하는 매물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내세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강점으로,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는 특히 모바일 단말의 활용에 능숙한 20대 ~ 30대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는 사용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방대한 양의 부동산 정보를 제공하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화면의 크기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한정된 화면 내에서 다양한 부동산 정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부동산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가장 관심을 갖는 정보는 부동산 가격에 관한 정보와, 부동산의 거래량 및 거래 변동량에 대한 정보이며, 사용자들은 자신이 구매할 부동산의 가격뿐만 아니라, 현재 부동산 가격이 얼마나 변동이 있었는지, 향후 부동산 가격이 어떻게 변동될 것인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많은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들은 단편적인 가격 정보 또는 가격 변동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 향후 부동산 가격이 어떻게 변동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인 부동산 거래 변동량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646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단한번의 입력 동작만으로 데이터에 대한 현재 주기와 직전 주기 간의 데이터 변동량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에서, 디지털 지도 상에 복수의 부동산에 대한 거래 변동량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의 화면 상에, 주기를 가지고 빈도수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가리키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변동량 산출 시점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는 상기 데이터 변동량 산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주기와 상기 제1 주기 직전의 제2 주기 간의 데이터 변동량을 나타내는 것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 주기를 가지고 빈도수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가리키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변동량 산출 시점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는 상기 데이터 변동량 산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주기와 상기 제1 주기 직전의 제2 주기 간의 데이터 변동량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컴퓨팅 장치의 화면 상에, 주기를 가지고 빈도수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가리키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변동량 산출 시점이 입력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티어는 상기 데이터 변동량 산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주기와 상기 제1 주기 직전의 제2 주기 간의 데이터 변동량을 나타내는 것인,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및 6은 몇몇 실시예에서, 거래 변동량에 따라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속성을 변경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14는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정보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 네트워크(20) 및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변동량 제공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복수 개(사용자 단말 #1, 사용자 단말 #2, 사용자 단말 #N)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며,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라는 명칭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를 통하여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 및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는 외부 서버로부터 주기를 가지고 빈도수를 나타내는 시계열 복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빈도수로써 부동산 거래량을 나타내는 부동산 거래량 데이터일 수 있고, 외부 서버는 국토 교통부 서버일 수 있으며,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는 국토 교통부 서버로부터 부동산 실 거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각각의 부동산에 대한 거래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는 산출된 데이터 변동량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는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만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직접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0) 즉,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이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신부(110)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며, 외부 장치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예를 들어, 부동산에 대한 각종 거래량 정보 및 거래 변동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각종 선택, 설정에 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각종 처리 결과를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통신 방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부동산에 대한 거래 변동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주기와 거래 변동량을 보고자 하는 거래 변동량 산출 시점을 가리키는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모바일 기기인 경우,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키패드, 버튼, 터치 스크린 등 등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정식 컴퓨팅 장치인 경우 입력부(12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에게 각종 데이터, 명령, 정보 및 G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지도 정보, 각종 부동산 정보, 각각의 부동산에 대한 거래량 정보 및 거래 변동량 정보 등을 GUI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입력부(12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등을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지도 정보, 각종 부동산 정보, 각각의 부동산에 대한 거래량 정보 및 거래 변동량 정보 등을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메모리, 예를 들어 RAM을 구성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가 거래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14를 참조하여,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데이터 변동량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은 주기를 가지며 빈도수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데이터 변동량 산출을 위한 기준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S12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1 주기를 획득하는 단계(S130), 제1 주기와 제1 주기 직전의 제2 주기 간의 데이터 변동량 산출하는 단계(S140) 및 데이터 변동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주기를 가지며 빈도수를 나타내는 시계열 데이터가 부동산의 거래량에 대한 데이터인 경우에 데이터 변동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부동산에 대한 거래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상에 복수의 부동상들이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GUI(200)가 출력된다.
일 실시예에서, GUI(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200) 상단에 위치하며, 특정 지역 및 부동산을 선택 및 검색하기 위한 검색 GUI(210), 부동산에 대하여 제공될 정보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카테고리 설정 GUI(220), 디지털 지도에 대한 상세 설정을 위한 지도 설정 GUI(230) 및 사용자로부터 거래 변동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주기 및 기준 시점을 입력받기 위한 기준 설정 GUI(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GUI(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변동량의 확인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거래 변동량 확인에 불필요한 검색 GUI(210), 카테고리 설정 GUI(220) 및 지도 설정 GUI(230)를 숨길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GUI에 출력되는 디지털 지도의 제1 지도 영역에 제1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1 아이콘이 출력된다(S210). 예를 들어,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출력된 검색 GUI(210)를 통해 특정 지역을 검색하는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제1 지도 영역(240)을 디스플레이 하고, 제1 지도 영역(240)에 제1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1 아이콘(27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아이콘(270)과 인접한 위치에 제1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을 나타내는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을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7 및 8과 같이 제1 지도 영역(240)이 확대되어 부동산 단위로 식별이 가능한 경우, 제1 부동산에 대한 제1 아이콘(270) 및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와 함께 실 거래값 정보(29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제1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 산출을 위한 기준 주기가 입력된다(S220).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설정 GUI(250)에 포함된 기준 주기 선택 버튼(251)을 통해 기준 주기를 입력할 수 있다. 도 9에서, 기준 설정 GUI(25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기준 주기는 1개월 또는 1년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제1 부동산에 대한 제1 주기를 얻는다(S230).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220단계에서 입력된 기준 주기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거래 변동량 산출 시점을 이용하여 제1 주기 및 제2 주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준 설정 GUI(250)를 통해, 기준 주기를 1개월로 입력하고, 거래 변동량 산출 시점을 2018년 4월로 입력하는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거래 변동량 산출 시점을 포함하며 1개월 주기를 가지는 제1 주기 즉, “4월” 한달을 나타내는 제1 주기와 제1 주기 직전의 1개월 주기를 가지는 제2 주기 즉, 4월 직전인 “3월” 한달을 나타내는 제2 주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준 설정 GUI(250)를 통해, 기준 주기를 1년으로 입력하고, 거래 변동량 산출 시점을 2018년 4월로 입력하는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거래 변동량 산출 시점을 포함하며 1년 주기를 가지는 제1 주기 즉, “2018년” 1년을 나타내는 제1 주기와 제1 주기 직전의 1년 주기를 가지는 제2 주기 즉, 2018월 직전인 “2017년” 1년을 나타내는 제2 주기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주기별 거래 변동량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주기의 시작 시점, 제1 주기의 종료 시점, 제2 주기의 시작 시점 및 제2 주기의 종료 시험을 입력하여 각각의 주기를 지정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기준 주기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거래 변동량 산출 시점을 입력하는 단 한번의 동작만으로 제1 주기와 제2 주기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S230단계에서 얻은 제1 주기와 제2 주기 간의 거래 변동량이 산출된다(S240). 예를 들어, 제1 주기가 “4월” 한달을 나타내고, 제2 주기가 “3월” 한달을 나타내는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정보 제공 장치(도 1의 10)로부터 제공된 부동산 거래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4월 한달동안의 부동산 거래량과 3월 한달 동안의 부동산 거래량의 차이를 계산하여 거래 변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S240단계에서 산출된 거래 변동량을 나타내는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S250). 예를 들어,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1 아이콘(270)상에 원형의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거래 변동량 산출 시점을 입력하는 단 하나의 동작만으로, 비교 대상이 되는 2개의 주기를 설정하고, 2개의 주기간의 거래 변동량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변동량의 크기 및 데이터 변동량의 증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데이터 변동량에 따라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속성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240단계에서 산출된 거래 변동량의 증감에 따라,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의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변동량이 감소하는 경우 즉, 음수 값을 가지는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를 제1 색상으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거래 변동량이 증가하는 경우 즉, 양수 값을 가지는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를 제2 색상으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변동량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변동량의 크기는 데이터 변동량의 절대값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가 부동산 거래량 데이터이고, 데이터 변동량이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인 경우, S240단계에서 산출된 거래 변동량과 기준 거래 변동량이 비교된다(S310). 여기서, 기준 거래 변동량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량이 0건이고 거래 변동량이 -100%인 제1 부동산(270-1)의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1)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거래 변동량이 기준 거래 변동량 대비 증가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20). S320단계에서 거래 변동량이 기준 거래 변동량 대비 증가한 경우, 거래 변동량이 증가한 정도에 대응하여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증가시킨다(S330).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동산(270-2)의 거래 변동량이 +150%인 경우, 거래 변동량의 크기는 기준 거래 변동량의 크기 대비 50% 증가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1)의 크기를 기준으로 50%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제2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2)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거래 변동량이 기준 거래 변동량 대비 감소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40). S340단계에서, 거래 변동량이 기준 거래 변동량 대비 감소한 경우, 거래 변동량이 감소한 정도에 대응하여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킨다(S350).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동산(270-3)의 거래 변동량이 -75%인 경우, 거래 변동량의 크기는 기준 거래 변동량의 크기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1)의 크기를 기준으로 25%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제3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3)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 S320 및 S340단계에서, 거래 변동량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은 경우,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기준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로 유지한다(S360).
따라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거래 변동량이 큰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거래 변동량이 작은 부동상의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 보다 크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거래 변동량이 큰 부동산을 식별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는(100)는 데이터 변동량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투명도를 갱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240단계에서 산출된 거래 변동량과 기준 거래 변동량이 비교된다(S410).
다음으로, 거래 변동량이 기준 거래 변동량 대비 증가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420). S420단계에서 거래 변동량이 기준 거래 변동량 대비 증가한 경우, 거래 변동량이 증가한 정도에 대응하여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투명도를 감소킨다(S430).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동산(270-2)의 거래 변동량이 +175%인 경우, 거래 변동량의 크기는 기준 거래 변동량의 크기 대비 75% 증가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1)의 크기를 기준으로 75%에 대응하여 제2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2)의 투명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거래 변동량이 기준 거래 변동량 대비 감소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440). S440단계에서, 거래 변동량이 기준 거래 변동량 대비 감소한 경우, 거래 변동량이 감소한 정도에 대응하여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투명도를 증가시킨다(S450).
만약, S420 및 S440단계에서, 거래 변동량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은 경우,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투명도를 기준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투명도로 유지한다(S460).
따라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거래 변동량이 큰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거래 변동량이 작은 부동상의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 보다 투명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즉, 색상을 더욱 진하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거래 변동량이 큰 부동산을 식별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부동산에 대한 제1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와 제2 부동산에 대한 제2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지도 영역 상에 중첩되는 경우, 거래 변동량이 큰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전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지도 영역을 확대 및 축소함에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동산에 대한 제1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1), 제2 부동산에 대한 제2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2) 및 제3 부동산에 대한 제3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3)이 일부분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부동산에 대한 거래 변동량이 제1 부동산에 대한 거래 변동량 보다 클 경우, 제2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2)를 제1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1)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부동산에 대한 거래 변동량이 제3 부동산에 대한 거래 변동량 보다 클 경우, 제2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2)를 제3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3)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거래 변동량이 큰 거래 변동량 인디케이터(280)를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좁은 화면 상에 다수의 인디케이터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환경에서, 거래 변동량이 큰 부동산 즉, 중요도가 높은 부동산을 우선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래의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에서 제공되지 않는 부동산에 대한 주기별 거래 변동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주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입력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 없이, 거래 변동량 관측 시점을 입력하는 동작만을 수행하여 비교 대상의 제1 주기 및 제2 주기를 설정하고, 제1 주기 및 제2 주기 간의 거래 변동량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지도 이미지 상에 부동산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지도 이미지와 별도의 영역에 표시되는 기준 설정 GUI를 통해 변동량 산출 시점이 입력되면, 상기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을 나타내는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상기 아이콘과 인접한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변동량 산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주기와 상기 제1 주기 직전의 제2 주기 사이의 상기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을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에 표기하고, 상기 거래 변동량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변동량의 크기 및 상기 거래 변동량의 증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부동산을 다른 부동산과 구별하는 제1 텍스트를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 상에 표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기에서의 상기 부동산의 거래량을 나타내는 제2 텍스트를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 상에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지도의 축척 변경에 응답하여, 제1 부동산에 대한 제1 변동량 인디케이터와 제2 부동산에 대한 제2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1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 및 상기 제2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 중 거래 변동량이 더 큰 부동산에 대한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거래 변동량이 더 작은 부동산에 대한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전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디지털 지도 이미지 상에 부동산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디지털 지도 이미지와 별도의 영역에 표시되는 기준 설정 GUI를 통해 변동량 산출 시점이 입력되면, 상기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을 나타내는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상기 아이콘과 인접한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변동량 산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주기와 상기 제1 주기 직전의 제2 주기 사이의 상기 부동산의 거래 변동량을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에 표기하고, 상기 거래 변동량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속성을 설정하는,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62827A 2019-06-27 2022-05-23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2620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827A KR102620414B1 (ko) 2019-06-27 2022-05-23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821A KR102402491B1 (ko) 2019-06-27 2019-06-27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0062827A KR102620414B1 (ko) 2019-06-27 2022-05-23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821A Division KR102402491B1 (ko) 2019-06-27 2019-06-27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954A true KR20220081954A (ko) 2022-06-16
KR102620414B1 KR102620414B1 (ko) 2024-01-03

Family

ID=741281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821A KR102402491B1 (ko) 2019-06-27 2019-06-27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0062827A KR102620414B1 (ko) 2019-06-27 2022-05-23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821A KR102402491B1 (ko) 2019-06-27 2019-06-27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24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605A (ko) 2003-12-24 2005-06-29 아이디어플라자(주) 부동산의 지리적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20120137572A (ko) * 2011-04-29 2012-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도서비스에서 마커 표시방법
KR20150137771A (ko) * 2014-05-30 2015-12-09 조성환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80101283A (ko) * 2018-07-27 2018-09-12 주식회사 호갱노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605A (ko) 2003-12-24 2005-06-29 아이디어플라자(주) 부동산의 지리적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20120137572A (ko) * 2011-04-29 2012-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도서비스에서 마커 표시방법
KR20150137771A (ko) * 2014-05-30 2015-12-09 조성환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80101283A (ko) * 2018-07-27 2018-09-12 주식회사 호갱노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491B1 (ko) 2022-05-31
KR20210001167A (ko) 2021-01-06
KR102620414B1 (ko)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7972A1 (en) Populating values in a spreadsheet using semantic cues
US114553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and presenting a state of a communication session
US10394921B2 (en) Career path navigation
KR102183860B1 (ko)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44204A (ko) 동적 눈금의 표시
US20160180439A1 (en) Expressions of user interest
KR101884649B1 (ko)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980474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N-streams of recommendations
KR102402491B1 (ko)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10824595B1 (en) Personalized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KR101791054B1 (ko)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350843A1 (en) Mobile device auction paddle
KR20160085332A (ko) 디지털 콘텐츠 리스팅의 제공 기법
JP2015079467A (ja) 情報処理装置、支出状況可視化方法および支出状況可視化プログラム
US20200133454A1 (en)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10049374B (zh) 一种焦点框确定方法及装置
CN109656664B (zh) 一种桌面显示方法、控制装置、终端及系统
US20150339751A1 (en) Dynamic pricing model
CN110298679A (zh) 一种计算样本数据之间的距离的方法及设备
US11908050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669424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evaluation of compatibility of data structures and user devices based on explicit user feedback
US20230222420A1 (en) Operation support devic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operation support program
CN112328815B (zh) 一种幻灯片存储方法及装置
US202401122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product summary images
US20160292640A1 (en) Compare profiles visua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