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860B1 -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860B1
KR102183860B1 KR1020180087556A KR20180087556A KR102183860B1 KR 102183860 B1 KR102183860 B1 KR 102183860B1 KR 1020180087556 A KR1020180087556 A KR 1020180087556A KR 20180087556 A KR20180087556 A KR 20180087556A KR 102183860 B1 KR102183860 B1 KR 10218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ical
price
indicator
real estate
manage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283A (ko
Inventor
안오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갱노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갱노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갱노노
Priority to KR102018008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86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상기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1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1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1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에 대한 지정된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량을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의 크기를 나타내고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은 가격의 증감을 나타내는 것인,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제2 지도 영역은 상기 제1 지도 영역과 적어도 일부는 중첩된 영역을 갖는 것인, 단계 및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2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에 대한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량을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price fluctuatio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일정 기간 동안 부동산의 가격 변화를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을 GUI 객체를 이용하여 디지털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고객에게 보다 편리하고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를 총칭한다.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 서비스가 기존 PC 중심에서 SNS, 앱(app) 등의 모바일 플랫폼 중심의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는 대표적인 O2O 서비스 중의 하나이다.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는 짧은 시간 내에 원하는 매물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내세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단말의 활용에 능숙한 20 ~ 30대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대다수의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을 통해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를 이용한다.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부동산 정보는 매우 방대하나 이동 단말은 한정된 화면 크기를 갖기 때문에, 한정된 화면 내에서 다양한 부동산 정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부동산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가장 관심을 갖는 정보는 부동산 가격에 관한 정보이다. 사용자들은 해당 부동산의 현재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의 해당 부동산의 가격 변동 정보, 일정한 지역 내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 정보 등의 정보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합리적인 부동산 거래 가격 또는 거래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정보들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의 모바일 중개 서비스는 특정 부동산에 대한 가격 정보 또는 가격 변동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자로부터 특정 부동산에 대한 선택 입력을 요구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화면에서 특정 부동산을 선택한 경우에 한하여, 선택된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 정보가 표 또는 그래프 등의 형태로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서비스는 특정 부동산의 단편적인 가격 정보 또는 가격 변동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 해당 지역의 종합적인 가격 변동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또한, 현재 모바일 부동산 중개 서비스에서, 특정 지역 내에 복수의 부동산에 대한 종합적인 가격 변동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646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지도 상에 복수의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 정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이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정의된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디지털 지도 상의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각각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이 클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상기 디지털 지도 상에서 지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부동산들의 가격 변동량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는, 상기 디지털 지도 상에서 지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부동산들의 평균 가격 변동량과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의 차이가 클수록 더 짙은 농도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중 어느 하나의 관심 부동산에 대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관심 부동산의 상기 기준 시점과 제1 시점 사이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제1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중심점과 상기 제1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격 변동량의 기준 시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이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지정된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디지털 지도 상의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각각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상기 디지털 지도 상의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각각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이 클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이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정의된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디지털 지도 상의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각각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이 클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치 변화량 디스플레이 방법은, 시계열 수치 데이터를 갖는 대상 객체의 수치 변화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준 시점 및 제2 기준 시점을 가리키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시점 및 상기 제2 기준 시점 사이의 상기 대상 객체의 수치 변화량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수치 변화량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수치 변화량을 가리키는 GUI 객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치 변화량의 부호를 기초로 상기 GUI 객체의 색상을 결정하되, 상기 수치 변화량이 양수인 경우와 음수인 경우에 서로 다른 색으로 결정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크기 및 상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상기 GUI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은,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1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1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1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에 대한 지정된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량을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의 크기를 나타내고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은 가격의 증감을 나타내는 것인,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제2 지도 영역은 상기 제1 지도 영역과 적어도 일부는 중첩된 영역을 갖는 것인, 단계 및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2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에 대한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량을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된 영역에 위치한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 지정된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에 대한 지정된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량을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의 크기를 나타내고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은 가격의 증감을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지정된 지도 영역을 제1 지도 영역으로 지정하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1 지도 영역을 상기 제1 지도 영역과 적어도 일부의 중첩된 영역을 갖는 제2 지도 영역으로 변경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1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1 가격 관리 부동산 각각에 대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2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부동산 각각에 대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된 영역에 위치한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가 갱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제1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1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1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1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지정된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량을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의 크기를 나타내고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은 가격의 증감을 나타내는 것인,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제2 지도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가리키는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제2 지도 영역은 상기 제1 지도 영역과 적어도 일부는 중첩된 영역을 갖는 것인, 단계 및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2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량을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된 영역에 위치한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갱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의 크기, 증감/감소 여부 및 평균 가격 변동량과의 차이 등의 정보를 GUI 객체의 크기, 색채 및 농도에 반영하여 각각의 부동산 아이콘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일정한 영역 내의 복수의 부동산의 종합적인 가격 변동량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격 변동량 산출 기준 시점을 변동해가며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부동산 또는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 추세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공받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는 관심 부동산 매물의 합리적인 가격과 거래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 디스플레이 단계(S400)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부동산은 특정 지역, 예를 들어, 행정 구역 상의 임의의 동에 위치한 거래 대상이 되는 부동산, 특히 아파트 단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동산은 상기 아파트 단지에 속한 아파트 동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특정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아파트 단지, 동/구/시 단위의 행정 구역 상의 복수 아파트 단지를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부동산 중개 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임대인, 임차인, 부동산 중개업자 및 잠재적 거래 대상자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부동산의 가격 정보는 부동산의 매매가, 전세 보증금, 반전세 보증금 및 월세 가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동산 가격 정보는 상기 행정 구역 또는 임의의 동에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아파트 단지 또는 복수의 아파트 단지에 대한 평균 가격 정보일 수도 있다.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은 일정 기간 동안 해당 부동산의 가격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가격 변동량은 비율 단위 또는 금액 단위로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산출 방식에 관계 없이 가격 차이를 가리키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은 가격 정보 제공 장치에 등록되어 해당 부동산의 가격 정보가 수집되는 부동산을 의미한다. 가격 정보 제공 장치는 국토 교통부에서 공개하는 부동산 실거래 정보 또는 부동산 중개업소의 단말로부터 가격 정보를 제공받거나,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수행하여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정보 제공 장치가 부동산의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indicator)는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GUI 객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격 변동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서 가격 변동 정보 제공 시스템에 사용자 단말(100)이 복수 개(사용자 단말 #1, 사용자 단말 #2 내지 사용자 단말 #N) 포함된 경우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사용자 단말(100)은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라는 명칭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및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는 서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 및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하여 매매금, 보증금 및 월세 가액 정보를 포함하는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격 정보는 예를 들어 국토 교통부에서 공개하는 부동산 실거래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나,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는 웹 크롤링을 이용하여 실거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는 웹 상에 기록된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정보를 수집하여 특정 행정 구역/지역/아파트 단지/아파트 동 별로 매매가, 전세 보증금, 월세 보증금 및 월세 가액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고, 이에 대한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는 부동산 중개업소의 단말로부터 상기 가격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는 획득된 가격 정보를 기초로 일정 기간 동안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가격 변동량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단, 실시예에 따라,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가격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가격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을 포함하는 디지털 지도 상에 각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의 위치에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은 도 4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신부(110)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며, 외부 장치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가격 정보 또는 가격 변동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각종 선택, 설정에 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는 각종 처리 결과를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통신 방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신호,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입력 받는다. 특히, 입력부(120)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이벤트 정보 및/또는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격 변동량 산출을 위한 기준 시점(산출 대상 기간의 시작 시점에 대응됨) 또는 산출 대상 기간을 가리키는 데이터를 사용자 등으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시점만이 입력되는 경우,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의 가격 변동량이 디스플레이부(13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시점 또는 산출 대상 기간을 입력 받는 방식은 슬라이드 바의 이동, 타이핑을 통한 숫자 입력 등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입력부(12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모바일 기기인 경우,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키패드, 버튼, 터치 스크린 등 등의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정식 컴퓨팅 장치인 경우 입력부(12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에게 각종 데이터, 명령, 정보 및/또는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는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 받은 디지털 지도 정보, 각종 부동산 정보,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정보 또는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등을 GUI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3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입력부(120)로 기능할 수도 있다.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 입력부(120)을 통해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등을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스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 외에도, 저장부(14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메모리, 예를 들어 RAM을 구성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가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50)가 실행하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 4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성요소가 모두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부 구성요소가 제외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버스(10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03)와,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109a)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09)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09)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9a)을 로드할 수 있다. 도 3에서 메모리(103)의 예시로 RAM이 도시되었다.
버스(105)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05)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109)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9a)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9a)의 예시로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109a)가 도시되었다.
스토리지(109)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10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부동산 각각을 가리키는 부동산 아이콘이 오버레이된 디지털 지도 상에 상기 복수의 부동산 각각에 대한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109a)는 메모리(103)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에 의해,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이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오퍼레이션 및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정의된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디지털 지도 상의 상기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각각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이 클수록 크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 있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에 포함되는 각 동작의 주체는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참고로,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의 각 단계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109a)가 프로세서(101) 또는 제어부(15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도 4는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이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디지털 지도를 디스플레이한다 (S10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디지털 지도(300)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지도 상에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301)을 가리키는 아이콘이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지도에는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각종 정보(e.g. 평형, 현재 가격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디지털 지도의 줌 레벨(zoom level)이 조절됨에 따라, 아파트 단지 정보보다 세분화된 아파트 동 정보 또는 아파트 단지 정보보다 상위 정보인 행정구역 상의 동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301) 또한 줌 레벨에 따라 아파트 동, 아파트 단지 또는 복수의 아파트 단지 등을 가리킬 수 있고, 일정한 지역 내의 복수의 아파트 단지, 행정구역 상에 위치한 모든 아파트 단지를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줌 레벨에 따라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은 아파트 동의 가격 변동량, 아파트 단지의 가격 변동량, 복수의 아파트 단지의 가격 변동량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지도 상에서 상기 아파트 단지, 아파트 동, 행정구역 상의 동 정보 등을 서로 다른 GUI 객체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지도가 도시된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부(130)의 다른 영역에 부동산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필터링 할 수 있는 검색 인터페이스(310) 및/또는 가격 변동량의 기준 시점 또는 산출 대상 기간을 입력 받기 위한 기간 입력 인터페이스(320)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간 입력 인터페이스(320)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영역과 슬라이드 바를 갖는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슬라이드 바를 조절하여 가격 변동량의 기준 시점을 사용자 편의적인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예시된 인터페이스(320)는 1개의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기준 시점만을 입력 받는 것으로 예시(이때, 산출 대상 기간은 '기준 시점 ~ 현재 시점'으로 설정될 수 있음)되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제1 시점(시작 시점) 및 제2 시점(마지막 시점)으로 구성된 산출 대상 기간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2개의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가격 변동량의 산출 대상 기간을 "6개월 전 ~ 3개월 전" 등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가격 변동량의 기준 시점만을 입력 받는다고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기간 입력 인터페이스(320)는 가격 변동량의 산출 기준을 변동 비율 기준 또는 변동 금액 기준 등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321, 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6에 도시된 인터페이스(320)는 하나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에 불과할 뿐이며,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인터페이스(320)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가격 변동량의 기준 시점을 입력 받는다(S200).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 대상 기간이 '3개월'로 입력된 경우,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개월 전 시점의 현재 시점 사이의 가격 차이를 나타내는 가격 변동량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사용자로부터의 기준 시점의 입력에 응답하여,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지도 상에 표시된 복수의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을 조회한다(S300). 예를 들어, 상기 조회는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로 가격 변동량을 요청하고 요청된 결과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로 가격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직접 가격 변동량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는 구현 방식의 차이에 불과하다
다음으로,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조회된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지털 지도 상의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들 각각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한다(S400). 여기에서,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는 원, 사각형 등 도형 형태의 GUI 객체, 아이콘 형태의 GUI 객체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표시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표시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 14a 또는 도 14b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단계(S4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단계(S400)의 예시적인 상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조회된 가격 변동량의 크기를 기초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결정한다(S410). 예를 들어, 가격 변동량이 클수록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 또한 커질 수 있다. 또한, 조회된 가격 변동량이 증가인 경우 또는 감소인 경우에 따라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이 결정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증가인 경우에는 제1 색(e.g. 빨간색)으로 결정되고, 감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색과 다른 제2 색(e.g. 파란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색상이 아니라 크기 이외의 다른 시각적 요소(e.g. 모양, 질감 등)로 증가 또는 감소가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지도 상에서 해당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과 지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평균 가격 변동량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가 결정될 수 있다(S430). 결과적으로,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S410 내지 S430)에서 결정된 크기, 색상 및 농도를 갖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의 위치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44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지정된 영역 내의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위치에 인접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지정된 영역 내의 복수의 가격 관리 부동산에 대한 종합적인 가격 변동량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 색상 및 색상 농도를 이용하여 다양한 측면의 가격 변동량 정보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가격 변동량에 관한 집약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14b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는 기준 시점이 '3개월'인 경우,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에 부동산 A 내지 C(401, 411, 421)의 가격 변동량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변동 비율에 기초하여 산출된 가격 변동량(이하, '가격 변동 비율')을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며, 도 8c는 변동 금액에 기초하여 산출된 가격 변동량(이하, '가격 변동 금액)'을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집 모양의 GUI 객체는 부동산 아이콘을 의미하고, 원 모양의 GUI 객체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의미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부동산 A 내지 C(401, 411, 421) 각각의 가격 변동 비율은 각각 '50%', '100%', '-33.3%'가 되고, 각각의 가격 변동 금액은 각각 '1억', '2억', '-1억'이 된다. 참고로, 도 8a의 경우, 기준 시점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 비율이 산출(e.g. 부동산 A의 경우, 1억/2억*100 = 50%로 산출됨)되었으나, 상기 가격 변동 비율을 산출하는 방식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격 변동 비율 또는 가격 변동 금액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 실시예에 따라, 두 가지 정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격 변동 비율을 가리키는 제1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가격 변동 금액을 가리키는 제2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제2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등의 시각적 요소가 다르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가격 변동량 또는 가격 변동 금액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부동산의 가격 변동 비율을 원 모양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02, 412, 422)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부동산을 가리키는 아이콘의 중심점과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 비율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A(411)의 가격 변동 비율이 가장 크므로 가장 큰 원(412)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부동산 C(421)의 가격 변동 비율이 가장 작으므로 가장 작은 원(422)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복수의 부동산에 대한 종합적이고 상대적인 가격 변동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격 변동량의 수치가 부동산 아이콘에 인접(e.g. 아이콘의 내부)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A(401)의 경우, 부동산 아이콘(401)의 내부에 가격 변동 비율의 수치(5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격 변동량의 수치와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통해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기준 시점의 또는 현재 시점의 가격 정보가 부동산 아이콘에 인접하여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A(401)의 경우, 부동산 아이콘(401)의 내부에 가격 변동 비율의 수치(50%) 외에 기준 시점의 가격 정보(2억)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격 변동량 외에 기준 시점의 정확한 부동산의 가격을 알 수 있고, 가격 변동량과 기준 시점의 가격을 통해 현재 시점의 가격까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정보가 표시되는 바, 사용자는 해당 지역의 가격 변동 정보 외에 대략적인 시세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8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가격 변동량이 증가인지 또는 감소인지에 따라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A 및 B(401, 411)에 대응되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02, 412)와 부동산 C(422)에 대응되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22)는 서로 다른 색(e.g. 증가된 경우 빨간색, 감소된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의 크기뿐만 아니라 가격 변동의 방향까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단, 실시예에 따라, 색상과 크기 이외의 다른 시각적 요소에 의해 가격 변동량의 증가/감소 여부가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c를 참조하면, 가격 변동량의 표시 방식이 가격 변동 비율에서 가격 변동 금액으로 선택된 경우,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 또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격 변동 금액을 기준으로 할 때, 부동산 C(421)는 부동산 A(401)와 동일한 크기(1억)를 갖기 때문에, 부동산 C(421)에 대응되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22)의 크기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03)와 동일한 크기(423)로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디지털 지도 상에서 지정된 영역 내의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가격 변동량의 크기에 따라 절대적인 크기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지나치게 큰 크기 또는 작은 크기로 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이 '1억'인 경우, 상기 제1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주변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이 1억 미만인 경우 주변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이 1억 초과인 경우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지도를 확대/축소 또는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 디지털 지도 상에서 지정된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각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9a 내지 9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는 사용자의 입력(405)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에 도시된 디지털 지도의 영역이 이동된 경우를 도시하고, 도 9b는 상기 이동에 따라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가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디지털 지도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405)에 의해, 지정된 영역(e.g.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영역)의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405)에 따라 부동산 C(421)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고, 가격 변동량이 '5억'인 부동산(431)이 디지털 지도 상에 새롭게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지정된 영역 내의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03, 413)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참고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33)의 크기도 조정될 수 있으나,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해당 부분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동산(401, 411)의 가격 변동량은 부동산(431)의 가격 변동량보다 작은 값이므로 부동산(401, 411)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03, 413)의 크기는 더 작은 크기로 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결정 및/또는 조정하기 위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격 변동량의 정규 분포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영역 내의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에 대한 정규 분포(또는 표준 정규 분포)를 구하고, 상기 정규 분포에서 상위 n%(단, n은 0 초과 50미만의 실수) 구간에 대한 평균 가격 변동량과 하위 n% 구간에 대한 평균 가격 변동량에 대한 절대값 중 큰 값을 갖는 구간을 기준 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도 9c의 경우 n이 5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기준 구간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지정된 영역 내에서 최대 크기를 갖는 기준 인디케이터로 결정하고, 나머지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는 상기 기준 인디케이터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크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지정된 영역 내에서 가격 변동량이 가장 작은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와 가격 변동량이 가장 큰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각각 기 설정된 최소 크기 및 최대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최소 크기 및 상기 최대 크기를 갖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기준으로 나머지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상대적인 크기를 갖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외에도 가격 변동폭이 추가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격 변동폭은 일정 기간 동안의 최대 가격과 최소 가격의 차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격 변동폭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폭 인디케이터를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에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가격 변동폭 인디케이터의 크기는 가격 변동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격 변동폭 인디케이터의 크기 이외의 다른 시각적 요소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와 다르게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격 변동폭 인디케이터의 색상이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도 8a 및 도 9b를 참조하여,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를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는 디지털 지도 상에서 지정된 영역 내의 복수의 부동산의 평균 가격 변동량과 해당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이가 클수록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는 더 짙은 농도로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색상 농도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투명도 또는 불투명도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으나, 동의한 의미를 지칭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0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각 부동산(441, 451, 461)의 가격 변동량이 각각 '2억', '2억', '-1천'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지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부동산(441, 451, 461)의 평균 가격 변동량은 '1억 3천'(3억 9천/3 = 1억 3천)이 된다. 따라서, 평균 가격 변동량과 차이가 더 큰 부동산(461)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62)는 부동산(441, 451)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42, 452)보다 더 짙은 농도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평균 가격 변동량과 차이가 클수록 짙은 농도로 강조되어 표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이 주변의 평균 가격 변동량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평균과 차이가 큰 정보인 경우는 보통 유의미한(또는 주의해야 할) 정보(e.g. 주변 부동산의 가격은 일정한 반면 가격이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한 부동산)일 확률이 높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지털 지도 상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 또한 지정된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에 대한 정규 분포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정규 분포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는 짙은 농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색상 농도를 상대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정규 분포에서 상위 n%에 대응되는 구간과 하위 n%에 대응되는 구간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가장 짙은 농도를 갖는 기준 인디케이터로 결정하고, 상기 기준 인디케이터를 기준으로 다른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지도를 확대/축소 및/또는 이동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는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를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1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관심 부동산에 대한 추가 가격 변동 정보를 제공하는 몇몇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관심 부동산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관심 부동산의 추가 가격 변동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관심 부동산에 대한 선택 입력은 상기 관심 부동산을 가리키는 부동산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 외에도 상기 관심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관심 부동산과 관련된 다른 GUI 객체 또는 디지털 지도 상의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추가 가격 변동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72)는 기준 시점이 '3개월'이고 지속적으로 가격이 증가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11a는 사용자가 관심 부동산(471)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7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클릭한 것을 예로 도시하고 있고, 도 11b는 상기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추가 가격 변동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택 입력은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영역의 클릭, 터치 또는 상기 영역으로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키는 것 등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관심 부동산(471)의 과거 가격 변동량 등의 추가 가격 변동 정보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4, 475)가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2)와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중첩하여 동심원(또는 중첩된 도형)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추가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4, 475)는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2)와 동일한 모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1b에서 인디케이터(473)는 사용자의 직관성을 위한 기준선으로 과거 가격 변동 정보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이하, '더미 인디케이터'로 명명함). 또한, 제1 추가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4)는 제1 과거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고, 제2 추가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5)는 제2 과거 가격 변동량을 가리킨다.
과거 가격 변동량의 산출 대상 기간은 예를 들어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72)가 '3개월 전(기준 시점) ~ 현재 시점'의 가격 변동량을 나타낼 때, "3개월 전(제1 시점) ~ 2개월 전(제2 시점)', "3개월 전(제3 시점)~ 1개월 전(제4 시점)" 등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과거 가격 변동량의 산출 대상 기간의 시작 시점(제1 시점, 제3 시점)은 가격 변동량(472)의 기준 시점과 동일하고, 마지막 시점(제2 시점, 상기 제4 시점)은 예를 들어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72)의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의 시간 구간(3개월)을 균등하게 분할하는 시점(e.g. 3등분 시 2개월, 1개월)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 다른 실시예에서는, 과거 가격 변동량의 산출 대상 기간은 "3개월 전 ~ 2개월 전', "2개월 전~ 1개월 전", "1개월 전 ~ 현재 시점"과 같이 동일한 길이의 연속된 구간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1b의 경우, 제1 추가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4)는 '3개월 전 ~ 2개월 전(제2 시점)' 사이의 과거 가격 변동량을 나타내고, 제2 추가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5)는 "3개월 전 ~ 1개월 전" 사이의 과거 가격 변동량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가격 변동 인디케이터(474, 475)의 크기는 나타내는 과거 가격 변동량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인디케이터(472, 473, 474, 475) 사이의 간격을 통해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한 시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의 경우, 간격이 넓은 구간(477)은 "3개월 전 ~ 현재 시점'에 대응되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72)와 "3개월 전 ~ 1개월 전'에 대응되는 추가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76) 사이의 구간이므로, 사용자는 관심 부동산(471)이 최근 1개월 사이에 가격이 크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한 기간에 대한 추가 정보까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 사이의 구간(476, 477)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구간이 가리키는 기간 동안에 포털 사이트 등에 게시된 콘텐츠 중에서 관심 부동산(471)과 관련된 콘텐츠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를 참조하면, 최근 1개월 사이에 포털 사이트에서 관심 부동산(471)에 관한 뉴스 콘텐츠 중에서 핵심 키워드(또는 콘텐츠 제목) 등의 정보(49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가 포함된 뉴스 콘텐츠의 URL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심 부동산(471)의 가격 변동 요인에 대한 관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정보(491)는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는 주기 또는 비주기 적으로 웹 크롤링을 통해 부동산과 관련된 뉴스 등의 콘텐츠를 수집하고, TF/IDF 등의 랭킹 기법을 이용하여 중요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중요 콘텐츠에서 노출 빈도 또는 기 설정된 중요도 사전 기준으로 각 부동산과 관련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해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해시태그 추출 기법, 키워드 추출 기법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된 중요 콘텐츠와 핵심 키워드 등을 가격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편의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의 테두리 또는 인디케이터 사이의 구간 등의 기 지정된 위치에 각 인디케이터의 순서를 가리키는 숫자 등의 정보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이는 도 11a 내지 도 11c 는 관심 부동산의 가격이 계속 증가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인디케이터의 순서 정보가 없더라도 가격이 급변한 기간을 명확하게 알 수 있으나, 관심 부동산의 가격의 등락이 반복되는 경우는 인디케이터의 순서 정보 없이 가격이 급변한 기간을 명확하기 알기 힘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월 전 ~ 현재 시점'에 대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82)에는 '0', '3개월 전 ~ 1개월 전'에 대한 추가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79)에는 '1', '3개월 전 ~ 2개월 전'에 대한 추가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480) 에는 '2', 더미 인디케이터(478)에는 '3'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숫자의 순서에 따른 화살표 등의 추가 GUI 객체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된 숫자의 순서(3->2->1>0) 또는 화살표에 따라 관심 부동산의 가격 변동 추세와 기간 별 가격 변동량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화살표의 길이가 길수록(또는 인디케이터 사이의 간격이 넓을 수록) 가격 변동이 큰 구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화살표의 방향(또는 표시된 숫자의 순서)에 따라 가격 변동 추세 또한 파악할 수 있다. 도 12b는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2a에 도시된 관심 부동산의 가격 변동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도시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의 이해를 위해 참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부동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시간에 따른 상기 관심 부동산의 가격 변동 정보를 나타내는 차트(이하 '가격 변동 차트')가 상기 관심 부동산의 인접한 위치(e.g. 관심 부동산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점이 3개월 전인 경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부동산(493)의 가격 변동 차트(493)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a의 경우, 관심 부동산(493)의 상단에 가격 변동 차트(493)가 표시되고, 가격 변동 차트(493)는 직선 그래프의 형태(e.g. 라인 차트)로 표시된 것이 예시되었다. 그러나, 가격 변동 차트(493)의 표시 위치 및 표시 유형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격 변동 차트는 막대 그래프, 파이 그래프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3b를 참조하여, 가격 변동 차트(493)에 대하여 살펴보면, 가격 변동 차트(493)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기간(493a)이 다양한 방식으로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3b의 경우, 사용자가 3개월 전을 기준 시점으로 지정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관심 부동산의 이름(부동산 A)이 가격 변동 차트(493)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격 변동 차트(493)에는 거래량 정보, 세분화된 가격 변동 정보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격 변동 차트(493)에 관심 부동산의 월별 거래량 정보(493e)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13c에서 상기 월별 거래량 정보(493e)가 막대 그래프로 표시된 것이 예시되었으나, 이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거래량 정보와 가격 변동 정보는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인 바, 바람직하게는 다른 유형의 그래프 또는 GUI 객체를 이용하여 두 정보가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가격 변동 차트(493)에 표시되는 가격 정보는 최고 거래 가격(493b), 평균 거래 가격(493c) 및 최저 거래 가격(493d)로 세분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3c의 경우 삼각형, 사각형 및 원 도형이 각각 관심 부동산의 최고 거래 가격(493b), 평균 거래 가격(493c) 및 최저 거래 가격(493d)을 가리키고, 각 거래 가격(493a 내지 493c)이 하나의 그래프로 도시된 것이 예시되었으나, 이 또한 얼마든지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1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관심 부동산에 대한 추가 가격 변동 정보를 제공하는 몇몇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14a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활용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디지털 지도(500) 상에,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의 위치에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한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14a는 기준 시점이 4개월 전인 경우이고, 도 14b는 기준 시점이 9개월 전인 경우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간 입력 인터페이스(520)를 통해 기준 시점을 변경해가며 가격 변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심 있는 지역의 복수의 부동산, 또는 특정 관심 부동산에 대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가격이 증가했는지 또는 감소했는지 등의 추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간 입력 인터페이스(52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없더라도,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준 시점을 연속한 시점으로 자동으로 변경해가며, 변경된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의 가격 변동량을 가리키는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지털 지도(500) 상의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 각각의 위치에 연속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에 재생 버튼 등의 GUI 객체가 제공되고, 상기 재생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지도(500) 상의 복수의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의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가 기준 시점을 자동으로 변경해가며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격 변동 추세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편의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검색 인터페이스(510)를 이용하여 필터링된 일부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만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검색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색 기준(e.g. 평형, 거래 유형(매매/전세/월세), 가격대, 출퇴근 거리 등)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검색 기준에 부합하는 가격 관리 대상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 인디케이터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심 있는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 정보만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격 변동 정보에 따른 필터링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검색 인터페이스(510)에 가격 변동 금액 또는 비율에 기초한 검색 기준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격 변동 금액 또는 비율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필터링 된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이 디지털 지도(5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격 변동 금액이 2천만원 이상이라는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사이에 2천만원 이상 가격이 변동된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량만이 디지털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심 있는 부동산에 대한 가격 변동 정보만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활용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부동산의 가격 변동 정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시계열 수치 데이터의 수치 변화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도 기술적 사상의 변경 없이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복수의 부동산의 전력 사용량 변화, 국가 별 환율 변화 등 시간에 따라 값이 변하는 시계열 수치 데이터의 수치 변화량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수치 변화량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기준 시점 및 제2 기준 시점을 가리키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기준 시점과 상기 제2 기준 시점 사이의 대상 객체(e.g. 부동산, 국가)의 수치 변화량(e.g. 전력 사용량 변화, 환율 변화)을 조회하고, 수치 변화량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수치 변화량을 가리키는 GUI 객체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수치 변화량의 부호를 기초로 상기 GUI 객체의 색상을 다른 색상으로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크기 및 상기 결정된 색상을 갖는 상기 GUI 객체를 각 대상 객체의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수치 변화량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금까지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GUI 객체를 농도를 결정하거나 다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수치 관리 대상 객체에 대한 수치 변동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가리키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1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 각각에 대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수치 변동량을 나타내는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가리키는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는 상기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와 적어도 일부 중첩된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2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 각각에 대한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수치 변동량을 나타내는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의 수치 변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된 객체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에 대한 상기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의 농도는 해당 객체의 수치 변동량과 상기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의 변동량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의 수치 변동량에 대한 정규 분포 상에서, 상위 n%(단, n은 0 초과 50 미만의 실수)에 대응되는 구간에 대한 평균 수치 변동량의 제1 절대값과 하위 n%에 대응되는 구간에 대한 평균 수치 변동량의 제2 절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절대값과 상기 제2 절대값 중 큰 값에 대응되는 구간에 포함된 객체의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기준 인디케이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중첩된 객체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크기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 각각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 농도는,
    해당 객체의 수치 변동량과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의 수치 변동량과의 차이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관심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시간에 따른 상기 관심 객체의 수치 변동을 나타내는 수치 변동 차트를 상기 관심 객체를 가리키는 아이콘에 인접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치 변동 차트에 표시된 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지정된 기간에 대응되는 구간이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부동산인,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7.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부;
    복수의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가리키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수치 관리 대상 객체 각각에 대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수치 변동량을 나타내는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는 상기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와 적어도 일부 중첩된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가리키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객체 각각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가리키는 제2 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객체 각각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의 수치 변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된 객체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이 갱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
  8.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가리키는 제1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1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 각각에 대한 지정된 기간 동안의 수치 변동량을 나타내는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색상의 농도는 해당 객체의 수치 변동량과 상기 복수의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의 변동량과의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치 변동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를 가리키는 제2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는 상기 제1 수치 관리 대상 객체와 적어도 일부 중첩된 객체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제2 아이콘에 인접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 각각에 대한 상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수치 변동량을 나타내는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수치 관리 대상 객체의 수치 변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중첩된 객체에 대한 수치 변동량 인디케이터의 표시 속성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87556A 2018-07-27 2018-07-27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218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56A KR102183860B1 (ko) 2018-07-27 2018-07-27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56A KR102183860B1 (ko) 2018-07-27 2018-07-27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170A Division KR101884649B1 (ko) 2017-10-23 2017-10-23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283A KR20180101283A (ko) 2018-09-12
KR102183860B1 true KR102183860B1 (ko) 2020-11-27

Family

ID=6359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556A KR102183860B1 (ko) 2018-07-27 2018-07-27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491B1 (ko) * 2019-06-27 2022-05-31 주식회사 호갱노노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5834B1 (ko) * 2020-01-22 2022-07-01 주식회사 호갱노노 부동산 클러스터를 시각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1274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데이터노우즈 인공지능 모델과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부동산 정보 표시 단말 및 부동산 정보 제공 서버
KR102600944B1 (ko) * 2020-12-09 2023-11-10 (주)복부인 부동산 거래 기반의 맞춤 시세 정보 제공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9343B2 (ja) * 1999-12-02 2010-04-28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不動産情報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710A (ko) * 2000-07-07 2002-01-16 권오억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가격관련 정보 표시방법,지리정보시스템 또는 인터넷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부동산 가격정보 표시방법, 및 인터넷상 또는인터넷지리정보시스템상 지아이에스 지(적)도면을 이용한부동산감정가격 자동산정 방법 및 인터넷 홈페이지를이용한 이의 표시방법
KR20050064605A (ko) 2003-12-24 2005-06-29 아이디어플라자(주) 부동산의 지리적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101636953B1 (ko) * 2014-05-30 2016-07-07 조성환 데이터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9343B2 (ja) * 1999-12-02 2010-04-28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不動産情報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283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860B1 (ko)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JP6359570B2 (ja) バイナリーオプション取引における操作の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11034B1 (ko)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의 그래픽 표현들의 편성
US9128595B2 (en) Managing data content on a computing device
US9213478B2 (en) Visualization interaction design for cross-platform utilization
US20150073866A1 (en) Data visualization and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resource allocation to customers
KR101884649B1 (ko)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20170270089A1 (en) Dynamic report building using a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filtering criteria
US8704782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viewing desktop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WI539361B (zh)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books on a terminal computer
CN106775755B (zh) 一种应用推荐方法及移动终端
US20130290355A1 (en) Method and System of Selecting Business Object
US10860675B2 (en) Informational tabs
KR101791054B1 (ko) 가격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20190065020A1 (en) Guided menu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951477B (zh) 用于过滤数据的方法和装置
WO2022262440A1 (zh) 数据对比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0045907A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JP2014067314A (ja) 電子商取引サーバ装置
US20160300292A1 (en) Product navigation tool
WO2014128709A1 (en) A system for dynamic menus
CN111026981B (zh) 热点话题的可视化展示方法、装置和设备
Games et al. An evaluation-guided approach for effective data visualization on tablets
CN105243132A (zh) 一种搜索记录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402491B1 (ko) 데이터 변동량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