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882A -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 - Google Patents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882A
KR20220081882A KR1020210102986A KR20210102986A KR20220081882A KR 20220081882 A KR20220081882 A KR 20220081882A KR 1020210102986 A KR1020210102986 A KR 1020210102986A KR 20210102986 A KR20210102986 A KR 20210102986A KR 20220081882 A KR20220081882 A KR 2022008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ucer
energy
substrate
energy harvesting
light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6757B1 (ko
Inventor
김영한
안현석
윤창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8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01L51/42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1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heterojunctions between organic semiconductors and inorganic semi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전극이 형성되는 기판,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광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광 모듈 및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Transducer for energy harvesting RF signal and light energy and IoT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듀서에 관한 것으로, RF(Radion Frequence) 에너지하베스팅 및 무선통신 안테나를 유기질 태양광 셀 배열 모듈에 집적하여 다중 입력 에너지하베스팅을 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확산됨에 따라 초소형/저전력의 IoT 장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나, 최근 IoT 장치의 배터리 교체 또는 전원코드 연결 등의 전원 공급 방식의 한계는 IoT 서비스 확산의 걸림돌 중 하나이다.
이에 IoT 장치 전원 공급 기술로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이 주목되고 있으며, 에너지하베스팅과 IoT 기술의 융합을 통하여 IoT 장치의 무전원 구동 기술 또는 배터리 사용 시간 확장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에너지 하베스팅 에너지원으로는 광 에너지, 진동 에너지 등이 있으며, 해당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은 한정된 환경 내에서 한 가지의 에너지원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당 에너지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환경인 경우, 활용도가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 가지의 에너지원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9002호(2016.07.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RF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통신 안테나 및 태양광 셀 모듈을 일원화된 부품으로 제작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전극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광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광 모듈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은, 복수의 태양광 셀(cell)을 포함하고, 각 태양광 셀이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복수의 태양광 셀이 배치되고 남은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셀이 막대 형상인 경우, 상기 안테나 패턴은, 직사각형파(square wave) 형상의 패턴으로 상기 이격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포함하는 유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기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기판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에너지 하베스팅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및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듀서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전극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광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광 모듈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는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 안테나과 유기질 태양광 셀 배열 모듈을 집적하여 일원화된 부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자가발전을 하는 IoT 장치의 크기, 무게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듀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장치(200)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자가발전을 통해 스스로 전원을 공급 문제를 해결한다. 이를 위해 IoT 장치(200)는 트랜스듀서(transducer)(100),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하고, 출력부(230) 및 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200)는 센서부, 카메라부 등과 같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장치가 구현되는 환경에 맞게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200)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소형 가전기기, 휴대용 기기 등일 수 있다.
트랜스듀서(100)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한다. 트랜스듀서(100)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한다. 이때 트랜스듀서(100)는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 안테나와 태양광 모듈을 일원화된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100)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하베스팅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210)로 전달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트랜스듀서(100)의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210)는 트랜스듀서(100)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배터리(210)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충전량을 측정하고, 제어부(220)의 요청 또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해당 측정값을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IoT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트랜스듀서(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IoT 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가 사용자 입력인 경우, 해당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IoT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이 포함되면 IoT 장치(10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전원이 온 상태가 되도록 배터리(210)에 전원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배터리(21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로 충전량이 떨어지면 제어부(220)는 출력부(230)로 충전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시켜 전원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IoT 장치(100)의 현재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230)는 시각적 효과, 청각적 효과 등을 통해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부(230)는 IoT 장치(100)의 제어 상태, 충전 상태, 고장 상태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IoT 장치(100)가 구동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저장부(240)는 IoT 장치(100)의 현재 상태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240)는 IoT 장치(100)의 제어 상태, 충전 상태, 고장 상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듀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스듀서(100)는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 안테나와 유기질 태양광 셀 배열 모듈을 집적하여 일원화된 부품으로 제작된다. 이를 통해 트랜스듀서(100)는 트랜스듀서(100)가 탑재된 IoT 장치의 크기, 무게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트랜스듀서(100)는 기판(10), 태양광 모듈(30) 및 안테나 패턴(50)를 포함한다.
기판(10)은 기 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고, 전극은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0)은 세라믹 기판, 유리 기판 등 다양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30)은 기판(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광 에너지를 수집한다. 태양광 모듈(30)은 복수의 태양광 셀(cell)을 포함하고, 각 태양광 셀이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태양광 셀은 배치된 형상이 기판(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태양광 셀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30)은 기판(10)의 폭 길이보다 짧은 막대 형상의 태양광 셀이 기판(10)의 양끝단에 맞춰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태양광 셀은 기판(10)의 일끝단과 타끝단에 맞춰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태양광 모듈(30)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포함하는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페로브스카이트는 [CaTiO3]와 같은 결정 구조를 갖는 물질을 총칭하는 용어로 일반식 ABX3로 표현되며, 여기서 A와 B는 크기가 매우 다른 양이온이고, X는 두 양이온에 결합하여 있는 음이온이다. 일반적으로 입방 구조(cubic structure)로 되어 있는 페로브스카이트는 육팔면체(cuboctahedral) 환경의 음이온과 12배위를 하는 A 양이온의 크기가 팔면체(octahedron) 환경의 음이온들로 둘러싸여 6배위를 하고 있는 B 양이온보다 크다. 환경에 따라 단위 세포(unit cell)가 뒤틀린 형태나 양이온의 배위수가 감소한 변형된 형태들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에는 SrTiO3, SrZrO3, BaTiO3, BaSnO3 등이 포함된다.
안테나 패턴(50)은 기판(10)의 하부에 형성되고,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안테나 패턴(50)은 복수의 태양광 셀이 배치되고 남은 공간에 형성된다. 즉 안테나 패턴(50)은 복수의 태양광 셀과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50)은 태양광 셀의 이격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 셀이 막대 형상이면 안테나 패턴(50)은 직사각형파(square wave) 형상의 패턴으로 각 태양광 셀이 이격된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패턴(50)의 형상은 기판(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랜스듀서(100)는 기판(10), 태양광 모듈(30) 및 안테나 패턴(50)을 포함한다고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판(10)과 태양광 모듈(30)이 하나의 복합 모듈로 형성되고, 안테나 패턴(50)이 복합 모듈에 집적되는 형태로 일원화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판
30: 태양광 모듈
50: 안테나 패턴
100: 트랜스듀서
200: IoT 장치
210: 배터리
220: 제어부
230: 출력부
240: 저장부

Claims (8)

  1.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전극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광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광 모듈;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패턴;
    을 포함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은,
    복수의 태양광 셀(cell)을 포함하고, 각 태양광 셀이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복수의 태양광 셀이 배치되고 남은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셀이 막대 형상인 경우, 상기 안테나 패턴은,
    직사각형파(square wave) 형상의 패턴으로 상기 이격된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포함하는 유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기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및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기판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8.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에너지 하베스팅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및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듀서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전극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광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광 모듈;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RF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패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
KR1020210102986A 2020-12-08 2021-08-05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 KR102456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392 2020-12-08
KR20200170392 2020-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882A true KR20220081882A (ko) 2022-06-16
KR102456757B1 KR102456757B1 (ko) 2022-10-21

Family

ID=8221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986A KR102456757B1 (ko) 2020-12-08 2021-08-05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7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14A (ko) * 2014-08-11 2016-0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60136027A (ko) * 2015-05-19 2016-11-29 대하테크원(주) 진동 검출 및 에너지 하베스팅 센서 장치
KR20200006834A (ko) * 2018-07-11 2020-01-21 (주)프런티어에너지솔루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KR20200071187A (ko) * 2018-12-10 2020-06-19 전자부품연구원 Disposable IoT 디바이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14A (ko) * 2014-08-11 2016-0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639002B1 (ko) 2014-08-11 2016-07-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60136027A (ko) * 2015-05-19 2016-11-29 대하테크원(주) 진동 검출 및 에너지 하베스팅 센서 장치
KR20200006834A (ko) * 2018-07-11 2020-01-21 (주)프런티어에너지솔루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KR20200071187A (ko) * 2018-12-10 2020-06-19 전자부품연구원 Disposable IoT 디바이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757B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0540B2 (ja) 磁歪/圧電体による遠隔発電、電池、および方法
CN102138270A (zh) 用于产生、储存及输送电能的装置与方法
KR101932663B1 (ko) 리프레쉬 주기 정보를 저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1826416A (zh) 用于接触器最优化的开关相位补偿
ATE358876T1 (de) Multi-level speicherzelle
KR102456757B1 (ko) RF 신호 및 광 에너지를 에너지 하베스팅하는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IoT 장치
CN108711679B (zh) 一种可调谐液体平面反射阵列天线
US20170104360A1 (en) Wireless po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orting multiple charging schemes
US20210208124A1 (en) Soil moistur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mutual inductance of area of influence using radio frequency stimulus
WO2017168427A1 (en)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and system having static cooling capacity
Carvalho Baptista et al. Giant Polarization in Quasi‐Adiabatic Ferroelectric Na+ Electrolyte for Solid‐State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US10796113B2 (en) Reader device and table with reader device
CN108321552A (zh) 射频传能装置、射频猎能装置及其射频传能方法
CN207201944U (zh) 一种便携式保鲜装置
KR20170039462A (ko) 열전 모듈을 이용한 전력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684109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CN113777158A (zh) 气体传感器、包括其的传感器阵列模块和移动装置
KR101692752B1 (ko) 멤리스터 기반 메모리 장치
CN113937511A (zh) 可编程的大规模天线
US20140176370A1 (en) Antenna,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same, and antenna manufacturing method
JP2007329422A (ja) 電磁界感応機能性材料
KR20240005534A (ko) 분할 전극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7878611A (zh) 一种基于电磁超构材料的涡旋波束发生器制作方法及系统
CN106599973A (zh) 一种电磁耦合式无接口移动存储器及移动数据交换方法
CN204794923U (zh) 一种直接加热式恒温晶体振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