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846A - 시험용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시험용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846A
KR20220081846A KR1020200171770A KR20200171770A KR20220081846A KR 20220081846 A KR20220081846 A KR 20220081846A KR 1020200171770 A KR1020200171770 A KR 1020200171770A KR 20200171770 A KR20200171770 A KR 20200171770A KR 20220081846 A KR20220081846 A KR 2022008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ing
vibration
bottom plate
vibrat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피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피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피손
Priority to KR102020017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846A/ko
Publication of KR2022008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4Monodirectional test st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2Vibration control arrangements, e.g. for generating random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판의 상부로 편심추가 구비된 모터를 갖는 안착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안착대에 지지 고정구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시험용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고정구는 안착대의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심추를 갖는 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발생된 진동력이 안착대의 상부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DNA, RNA, 측정물과 진단용액의 분리 및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검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험용 진동장치{VIBRATION APPARATUS FOR TEST}
본 발명은 시험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심추를 갖는 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발생된 진동력이 안착대의 상부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DNA, RNA, 측정물과 진단용액의 분리 및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검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종 또는 균질 출발 물질의 균일한 분포를 만들어 산출물을 형성하는 유체의 혼합 공정은 물과 알코올과 같은 혼합 가능한 유체, 물에 기름을 유화시키는 것과 같은 비혼화성 유체, 담체 유체 중의 안료 입자의 현탁액과 같은 미립자 물질, 건조 물질과 모래, 시멘트 및 물과의 유체 혼합물, 고형 미립자가 함유된 요변성 유체, 의약품의 화학 성분의 균일한 분포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들의 혼합 공정에서 종래에는 유체 혼합물에 잠긴 샤프트 상에 장착된 회전 임펠러가 혼합될 유체/고체 물질을 혼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고, 이러한 방법은 원하는 균질성을 얻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드러내 왔으며, 이에 따라 혼합 유체의 균질성을 빠르게 달성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095호(2004.09.04)의 액체 혼합용 진동장치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진동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이 변환된 왕복직선운동력이 동력전달부를 경유하여 액체가 담겨있는 수용통이 지지된 지지부를 회동시켜 비중차에 의한 분리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액체를 혼합시켜 주도록 하였으나, 모터의 회전력이 왕복직선운동력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획일적인 방향으로만 작용하게 됨에 따라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095호(2004.09.04)
본 발명은 진동이 발생 및 전달되는 구조를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진동이 상하, 좌우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하여 측정물과 진단용액의 분리 및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판(100)의 상부로 편심추(210)가 구비된 모터(220)를 갖는 안착대(20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0)과 안착대(200)에 지지 고정구(3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시험용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고정구(300)는 안착대(200)의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측은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하부만이 개방된 "
Figure pat00001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측은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하부만이 개방된 "
Figure pat00002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되, 일측의 개방된 상부에 상부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나사(S)로 모터(220)를 지지하는 브라켓(230)에 결합되고, 타측의 개방된 하부에 하부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나사(S)로 바닥판(10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측은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하부만이 개방된 "
Figure pat00003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되, 일측의 개방된 외측에 하부를 향하여 절취된 일측 장홀(311)이 구비되고, 타측의 개방된 외측에 상부를 향하여 절취된 타측 장홀(32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심추를 갖는 모터의 구동으로 인하여 상하, 좌우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때 발생된 진동력이 안착대의 상부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DNA, RNA, 측정물과 진단용액의 분리 및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검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진동이 발생 및 전달되는 구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용 진동장치는 진동의 발생 및 전달되는 구조를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상하, 좌우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DNA, RNA, 측정물과 진단용액의 분리 및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검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의 상부로 편심추(210)가 구비된 모터(220)를 갖는 안착대(20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100)과 안착대(200)에 지지 고정구(3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판(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틸로 이루어져 충분한 진동력에 의하여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100)의 측면에 각각 피스홀(H)이 구비되어 나사(S)를 이용하여 고정 지지구(300)의 하부가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200)는 상부에 미도시한 DNA, RNA, 측정물과 진단용액이 들어 있는 캡슐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하부는 ×형태를 갖는 브라켓(2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230)의 중앙에는 편심추(210)를 갖는 모터(220)의 상부가 미도시한 피스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30)의 가장자리에는 바닥판(100)에 구비된 동일한 형태를 갖는 피스홀(H)이 구비되어 나사(S)를 이용하여 고정 지지구(300)의 상부가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 고정구(300)는 바닥판(100)과 안착대(200)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가운데 모터(220)의 회전으로 인한 편심추(210)에서 발생된 진동을 안착대(200)에 용이하게 절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고정구(300)는 안착대(200)의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는 구조상 코일 스프링이 아닌 판스프링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고정구(300)의 스프링부재는 상부는 안착대(200)의 하부에 구비된 브라켓(230)에 결합되도록 하고, 하부는 바닥판(100)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진동력이 상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측은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하부만이 개방된 "
Figure pat00004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고정구(300)의 스프링부재는 도1 내지 도4에서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수평방향 이외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방향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판(100)과 안착대(200)의 형태에 따라 수평,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경우, "Z"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측의 개방된 상부에 상부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나사(S)로 모터(220)를 지지하는 브라켓(230)에 결합되고, 타측의 개방된 하부에 하부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나사(S)로 바닥판(1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 고정구(300)의 스프링부재는 일측은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하부만이 개방된 단순한 "
Figure pat00005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하부만이 개방된 "
Figure pat00006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는 가운데 일측의 개방된 외측에 하부를 향하여 절취된 일측 장홀(311)이 구비되고, 타측의 개방된 외측에 상부를 향하여 절취된 타측 장홀(321)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편심추(210)와 모터(220)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력이 상부와 하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측 장홀(311)과 타측 장홀(321)이 형성된 부분에 의하여 진동이 증폭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00:바닥판 200:안착대
210:편심추 220:모터
230:브라켓 300:지 고정구
310:상부 관통홀 320:하부 관통홀

Claims (4)

  1. 바닥판(100)의 상부로 편심추(210)가 구비된 모터(220)를 갖는 안착대(20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0)과 안착대(200)에 지지 고정구(300)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시험용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고정구(300)는 안착대(200)의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진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측은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하부만이 개방된 "
    Figure pat00007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진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측은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하부만이 개방된 "
    Figure pat00008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되, 일측의 개방된 상부에 상부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나사(S)로 모터(220)를 지지하는 브라켓(230)에 결합되고, 타측의 개방된 하부에 하부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나사(S)로 바닥판(10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용 진동장치.
KR1020200171770A 2020-12-09 2020-12-09 시험용 진동장치 KR20220081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770A KR20220081846A (ko) 2020-12-09 2020-12-09 시험용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770A KR20220081846A (ko) 2020-12-09 2020-12-09 시험용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846A true KR20220081846A (ko) 2022-06-16

Family

ID=8221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770A KR20220081846A (ko) 2020-12-09 2020-12-09 시험용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19882A (zh) * 2023-10-24 2024-01-19 青岛连山铸造有限公司 一种桥梁支座抗震性能测试平台及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95Y1 (ko) 2004-06-10 2004-09-16 모야플라스틱 주식회사 액체 혼합용 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95Y1 (ko) 2004-06-10 2004-09-16 모야플라스틱 주식회사 액체 혼합용 진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19882A (zh) * 2023-10-24 2024-01-19 青岛连山铸造有限公司 一种桥梁支座抗震性能测试平台及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0006B1 (en) Resonant-vibratory mixing
US20100254212A1 (en) Method for resonant-vibratory mixing
Holdich et al. Membrane emulsification with oscillating and stationary membranes
CN201140052Y (zh) 液体混合器
KR20220081846A (ko) 시험용 진동장치
CN106434288B (zh) 多层式回旋振荡器及其吊架
JP2013226552A (ja) 共鳴振動式混合方法
CN211963962U (zh) 一种化学实验用试管震荡装置
CN111185121A (zh) 一种石墨烯润滑油的生产装置
JP2008131928A (ja) 混合装置
CN104474951B (zh) 夹紧式震荡乳化装置
CN204602571U (zh) 一种可调节式小型振动器
US4264559A (en) Mixing device for medical laboratory tests
CN212758379U (zh) 一种用于悬浮剂加工的均质釜
CN2899971Y (zh) 泥浆直线振动筛
CN212445808U (zh) 一种振动搅拌机
CN211217546U (zh) “反巴西果”颗粒分级装置
Xu et al. Study on the Strengthening Mechanism of a MIBC–PEG Mixed Surfactant on Foam Stability
CN210332437U (zh) 一种立式混合机
CN205127853U (zh) 一种医用变频超声旋涡振荡器装置
CN203139947U (zh) 一种三维运动混合机
JP2014077638A (ja) 撹拌装置
CN214287813U (zh) 一种实验室悬臂机械搅拌器
CN211905350U (zh) 一种具有搅拌震荡功能的海水检验装置
US20130188442A1 (en) Method and an apparatus/universal combine for agitation of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