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669A -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669A
KR20220081669A KR1020200171421A KR20200171421A KR20220081669A KR 20220081669 A KR20220081669 A KR 20220081669A KR 1020200171421 A KR1020200171421 A KR 1020200171421A KR 20200171421 A KR20200171421 A KR 20200171421A KR 20220081669 A KR20220081669 A KR 20220081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ment
content
experimental
learning
servi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디교육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디교육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디교육그룹
Priority to KR102020017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1669A/ko
Publication of KR2022008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및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기반으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실험 영상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하는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송신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Content service system and the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 및 평가하기 용이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검사는 환자의 조직과 혈액을 통해 유전자를 확인하여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찾아낼 수 있는 최신 진단 기술로, 기존의 단일 유전자 검사와는 달리 한 번에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유전자를 하나의 패널로 구성해 고속 분석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정확도 높은 다량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검사는 조직 검사를 위해 추출한 환자 검체를 염기서열 분석이 용이하도록 전처리 과정을 거친 뒤 시료와 특수 장비를 통해 정밀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시료는 한 번의 분석을 위해 수천만 원의 비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NGS 실험 장비 판매처는 구매처 사용자의 사용법 교육 시 막대한 시료 제공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들어, NGS 실험 장비에 대한 사용법 교육 시 비용을 낮추고, 사용자가 원활하게 NGS 실험 장비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 및 평가하기 용이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 실험 시, 실험 장비에 대한 사용법을 익히기 용이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및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기반으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실험 영상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하는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송신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송신하고,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에서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상기 서버 통신부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교육용 콘텐츠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계 학습부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부로 출력하는 콘텐츠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 학습부는,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학습한 학습 실험 시간 및 학습 실험 정확도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업데이트부는,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설정된 기준 실험 시간 및 기준 실험 정확도를 상기 학습 실험 시간 및 상기 학습 실험 정확도에 따라 재설정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된 상기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상기 실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실험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도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감지값에 대응하여 상기 실험 영상 내에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이 실행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포함한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험 영상에는,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을 위한 상기 사용자 도구, 실험 장치, 실험 장소 및 가상 실험 결과에 대한 결과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값에 따라 상기 실험 영상 내에서 상기 사용자 도구를 이동시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이 수행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험 영상 내에서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상기 실험 수행 시간 및 상기 실험 수행 시간에 따른 결과에 대한 상기 실험 정확도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콘텐츠 서버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기반으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상기 실험 영상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하는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육용 콘텐츠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콘텐츠 서버로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험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도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감지값에 대응하여 상기 실험 영상 내에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이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포함한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험 영상에는,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을 위한 상기 사용자 도구, 실험 장치, 실험 장소 및 가상 실험 결과에 대한 결과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학습한 학습 실험 시간 및 학습 실험 정확도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설정된 기준 실험 시간 및 기준 실험 정확도를 상기 학습 실험 시간 및 상기 학습 실험 정확도에 따라 재설정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를 기반으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에 따라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시 사용되는 실험 장비를 실험 영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실험 장비에 대한 사용법을 습득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실험 영상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하는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실험 결과 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교육용 콘텐츠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실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콘텐츠 서버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교육 콘텐츠에 대한 시나리오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준비 시나리오 구성에 대한 실험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은 콘텐츠 서버(11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110)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교육용 콘텐츠(content)는 가상현실(VR) 및 혼합현실(MR) 교육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콘텐츠 서버(11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부터 콘테츠 요청(cq)를 수신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서버(110)는 통신망을 통해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제공하거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회사로부터 콘텐츠 사용 계약을 맺은 상태이면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콘텐츠 서버(11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부터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수신하면,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기계 학습하여 학습 데이터(미도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서버(110)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 재송신하거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부터 콘텐츠 요청(cq)가 재송신되면 업데이트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 재송신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제공받기 위해 콘텐츠 서버(110)로 콘테츠 요청(cq)을 송신할 수 있다.
이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수신하여 저정한 후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간으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기반으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미도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상기 실험 영상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하는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는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생성하여, 콘텐츠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콘텐츠 서버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콘텐츠 서버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은 콘텐츠 서버(11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110)는 서버 통신부(122), 콘텐츠 제공부(124), 기계 학습부(126) 및 콘텐츠 업데이트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버 통신부(122)는 통신망을 통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요청(cq)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요청(cq)를 수신하는 경우, 서버 통신부(122)는 콘텐츠 제공부(124)로 콘텐츠 요청(cq)를 전달하고, 콘텐츠 제공부(124)로부터 교육용 콘텐츠(content)가 입력되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 통신부(12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와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서버 통신부(12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부터 송신된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수신하면,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실험 결과 데이터(data)로 전달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22)로부터 콘텐츠 요청(cq)이 전달되는 경우, 콘텐츠 제공부(124)는 콘텐츠 요청(cq)에 해당하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추출하여, 서버 통신부(122)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content)는 가상현실(VR) 및 혼합현실(MR) 교육용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컨텐츠 제공부(124)는 콘텐츠 업데이트부(128)에서 업데이트된 교육용 콘텐츠(up_content)를 제공받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 제공할 수 있다.
기계 학습부(126)는 서버 통신부(122)로부터 전달된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기계학습할 수 있다.
이때, 기계 학습부(126)는 실험 결과 데이터(data)에 포함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학습한 학습 실험 시간 및 학습 실험 정확도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e_data)를 생성할 수 있다.
기계 학습부(126)는 학습 데이터(e_data)를 콘텐츠 업데이트부(128)로 전달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e_data)를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 업데이트부(128)는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설정된 기준 실험 시간 및 기준 실험 정확도를 상기 학습 실험 시간 및 상기 학습 실험 정확도에 따라 재설정하여 업데이트한 교육 콘텐츠(up_content)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업데이트부(128)는 업데이트한 교육 콘텐츠(up_content)를 콘텐츠 제공부(124)로 제공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통신부(162), 디스플레이부(164), 인터페이스부(166) 및 제어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2)는 서버 통신부(12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부(162)는 서버 통신부(122)로 콘텐츠 요청(cq) 및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송신하고, 서버 통신부(122)로부터 송신된 교육 콘텐츠(content)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4)는 제어부(168)의 제어에 따라 교육 콘텐츠(content)를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s_view)을 출력할 수 있다.
실험 영상(s_view)은 분석 실험 과정별로 가상 체험 실험을 위한 사용자 도구, 실험 장치, 실험 장소 및 가상 실험 결과에 대한 결과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6)는 실험 영상(s_view)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도구를 통해 사용자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value)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도구를 이동시키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66)는 상기 사용자 도구의 이동 방향 및 이동 크기에 대응하는 감지값(value)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66)는 감지값(value)을 제어부(168)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8)는 교육 콘텐츠(content)를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실험 영상(s_view)이 시각화되게 디스플레이부(164)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8)는 인터페이스부(166)에서 입력된 감지값(value)에 따라 실험 영상(s_view)에서 상기 사용자 도구가 이동시켜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8)는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실험 영상(s_view)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수행 시간에 따른 결과에 대한 실험 정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며, 제어부(168)는 사용자에 의해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실험 영상(s_view)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완료되면, 실험 영상(s_wiew)을 시작한 시점부터 완료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실험 수행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8)는 상기 실험 수행 시간이 연산되면, 상기 실험 수행 시간에 대응하여 가상 체험 실험을 통해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실험 정확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68)는 상기 실험 수행 시간 및 상기 실험 정확도를 포함하는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생성하여, 콘텐츠 서버(110)로 송신되게 통신부(162)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교육 콘텐츠에 대한 시나리오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및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준비 시나리오에 대한 실험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복수의 시나리오(SC1 내지 SC5)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구성하는 분석 과정별 시나리오로써,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준비 시나리오(SC1)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을 위한 준비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실험의 정확도를 위해 착용해야할 부분을 체크하기 위한 시나리오일 수 있다.
DNA 샘플 준비 시나리오(SC2)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을 위한 DNA를 제작 및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낸 시나리오일 수 있다.
DNA 분석 시나리오(SC3)는 DNA 샘플 준비 시나리오(SC2)에서 준비한 DNA에 대한 품질을 체크하고, DNA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라이브러리 준비 시나리오(SC4)는 DNA를 자른 후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양과 질을 확인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라이브러리 분석 시나리오(SC5)는 라이브러리에 대한 품질을 체크하는 시나리오일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시나리오(SC1 내지 SC5)는 교육용 콘텐츠(content)에서 분석 과정별로 나타내는 실험 영상(s_view)을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다음 시나리오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준비 시나리오(SC1)에 대한 실험 영상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도 4(a)는 준비 시나리오(SC1)의 실험실 내에 진입한 상태로, 사용자 도구(aa) 및 가상 실험실 내부를 나타낸 제1 실험 영상(s_view1)을 나타낸다.
즉, 도 4(a)는 준비 시나리오(SC1)의 실험 준비에 해당된다.
도 4(b)는 도 4(a)의 제1 실험 영상(s_view1) 이후 사용자 도구(aa)의 이동에 따른 실험복을 착용하기 위한 제2 실험 영상(s_view2)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 도구(aa)는 제2 실험 영상(s_view2)에서 실험복으로 이동하면, "실험복"이 표시되고, 클릭 또는 클릭하여 이동함으로써, 실험복을 착용할 수 있다.
즉, 도 4(b)는 준비 시나리오(SC1)의 실험복 착용에 해당된다.
도 4(c)는 도 4(b)의 제2 실험 영상(s_view) 이후 사용자 도구(aa)의 이동에 따른 장갑을 착용하기 위한 제3 실험 영상(s_view)를 나타낸다.
도 4(c)는 도 4(b)와 동일하게 사용자 도구(aa)가 이동 및 클릭함으로써, 장갑을 착용할 수 있으며, 준비 시나리오(SC1)의 장갑 착용에 해당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100)의 콘텐츠 서버(110)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 제공할 수 있다(S110).
즉, 콘텐츠 서버(110)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요청(cq)를 수신하면,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로 제공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수신하고, 교육용 콘텐츠(content)를 기반으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s_view)을 출력할 수 있다(S12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실험 영상(s_view)에 포함된 사용자 도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value)을 출력하고(S130), 감지값(value)에 대응하여 실험 영상(s_view) 내에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을 실행할 수 있다(S140).
이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150)는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포함한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생성하여, 콘텐츠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S150).
실험 결과 데이터(data)를 수신하는 경우, 콘텐츠 서버(110)는 실험 결과 데이터(data)에 포함된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학습한 학습 실험 시간 및 학습 실험 정확도를 포함하는 학습 데이터(e-data)를 생성할 수 있다(S160).
이후, 콘텐츠 서버(110)는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설정된 기준 실험 시간 및 기준 실험 정확도를 상기 학습 실험 시간 및 상기 학습 실험 정확도에 따라 재설정하여 업데이트한 교육 콘텐츠(up_content)를 생성할 수 있다(S170).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 및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기반으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실험 영상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하는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 송신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는,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송신하고,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에서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상기 서버 통신부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교육용 콘텐츠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계 학습부; 및
    상기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부로 출력하는 콘텐츠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부는,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학습한 학습 실험 시간 및 학습 실험 정확도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업데이트부는,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설정된 기준 실험 시간 및 기준 실험 정확도를 상기 학습 실험 시간 및 상기 학습 실험 정확도에 따라 재설정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제공된 상기 교육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상기 실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실험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도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감지값에 대응하여 상기 실험 영상 내에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이 실행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포함한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 영상에는,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을 위한 상기 사용자 도구, 실험 장치, 실험 장소 및 가상 실험 결과에 대한 결과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값에 따라 상기 실험 영상 내에서 상기 사용자 도구를 이동시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이 수행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험 영상 내에서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상기 실험 수행 시간 및 상기 실험 수행 시간에 따른 결과에 대한 상기 실험 정확도를 연산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9. 콘텐츠 서버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험에 대한 교육용 콘텐츠를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기반으로 분석 실험 과정별로 시각화한 실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상기 실험 영상을 통해 가상 체험 실험을 수행하는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상기 교육용 콘텐츠의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콘텐츠 서버로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험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도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감지값에 대응하여 상기 실험 영상 내에서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이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포함한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 영상에는,
    상기 가상 체험 실험을 위한 상기 사용자 도구, 실험 장치, 실험 장소 및 가상 실험 결과에 대한 결과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서버가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실험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수행한 실험 수행 시간 및 실험 정확도를 기계학습하여,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학습한 학습 실험 시간 및 학습 실험 정확도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실험 과정별로 설정된 기준 실험 시간 및 기준 실험 정확도를 상기 학습 실험 시간 및 상기 학습 실험 정확도에 따라 재설정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00171421A 2020-12-09 2020-12-09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81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21A KR20220081669A (ko) 2020-12-09 2020-12-09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421A KR20220081669A (ko) 2020-12-09 2020-12-09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669A true KR20220081669A (ko) 2022-06-16

Family

ID=8221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421A KR20220081669A (ko) 2020-12-09 2020-12-09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16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ldán et al. Multi-robot systems, virtual reality and ROS: developing a new generation of operator interfaces
Gabbard et al. User-centered design and evaluation of virtual environments
Brata et al. An effective approach to develop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upport
JP7017712B2 (ja) 関係性分析装置、関係性分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onial et al. Laying down the yellow brick road: Development of a wizard-of-oz interface for collecting human-robot dialogue
KR20220128655A (ko) 제조 또는 산업 환경에서 협동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가상/증강 현실 사용 시스템 및 방법
Schuetz et al. vexptoolbox: A software toolbox for human behavior studies using the Vizard virtual reality platform
CN109284167B (zh) 训练飞机用户的方法和设备
Yaxley et al. Life Learning of Smart Autonomous Systems for Meaningful Human‐Autonomy Teaming
Iquira et al. A gamified mobile-based virtual reality laboratory for physics education: Results of a mixed approach
KR20180078572A (ko) 전투체계와 통합연동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Ivanova et al. Design of a Multifunctional Operating St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MOSAR)
de Giorgio et al. Adopting extended reality? A systematic review of manufacturing training and teaching applications
Perez-Colado et al. Integrating learning analytics into a game authoring tool
Filippeschi et al. Evaluation of diagnostician user interface aspects in a virtual reality-based tele-ultrasonography simulation
KR20220081669A (ko)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e Cock et al. Comparing written and photo-based indoor wayfinding instructions through eye fixation measures and user ratings as mental effort assessments
Arévalo Arboleda et al. Exploring the visual space to improve depth perception in robot teleope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the role of distance and target’s pose in time, success, and certainty
KR102117008B1 (ko)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Ivanova et al. Augmented reality based training of surgical staff to operate a laparoscopic instrument
Bandeira et al. Using gesture-based interfaces to control robots
KR102469149B1 (ko) 3차원 설계데이터 기반 실물 객체 다방향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46054A1 (en) A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real and/or virtual instruments
KR102665091B1 (ko) 의료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78661A (ko) 통합연동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