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008B1 -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008B1
KR102117008B1 KR1020190092358A KR20190092358A KR102117008B1 KR 102117008 B1 KR102117008 B1 KR 102117008B1 KR 1020190092358 A KR1020190092358 A KR 1020190092358A KR 20190092358 A KR20190092358 A KR 20190092358A KR 102117008 B1 KR102117008 B1 KR 102117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content
power generation
panorama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정찬욱
강기수
박봉성
노홍관
최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주)포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주)포미트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19009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6Human interface functionality, e.g. monitoring system providing help to the user in the selection of tests or in its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 설비 점검을 위한 실사 VR 파노라마 콘텐츠 생성 및 플랫폼 구축으로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전소 설비의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여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설비 실사 파노라마 영상 처리를 하고,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VR 환경 세팅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플랫폼 DB 설계 및 플랫폼 UI 설계를 지원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20)에서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탑재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플랫폼 지원부;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 동작을 구현하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구현을 위한 HMD 연동 및 UI 테스트를 지원하는 HMD 연동 및 UI 테스트 지원부;VR 플랫폼 지원부에 탑재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의 운용 지원을 하는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Power Plant using VR Panoramic Contents}
본 발명은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발전 설비 점검을 위한 실사 VR 파노라마 콘텐츠 생성 및 플랫폼 구축으로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는 특성이 다른 수많은 종류의 단위 설비와 자재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하나의 설비가 고장나도 전체 공정이 중단되어 커다란 손실을 유발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정비관리가 필요하며, 최근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 ERP) 도입과 함께 그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독립적인 컴퓨터 기반의 정비관리 시스템(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MMS) 또는 ERP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는 운전자, 설계자 그리고 정비수행자 상호 간에 운전, 고장 및 정비 정보의 유기적 전달이 어려우며, 정비 이력의 체계적인 관리가 불완전하여 단순한 정비 작업의 이력 관리 역할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으며, 통계 및 분석 업무를 통한 체계적인 예방정비나 최적의 정비주기를 선정하는 예측정비 관리 수준에는 못 미치고 있다.
그리고 정비 및 운전 결과를 반영하여 설비의 성능과 손상 정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실시간 감시하여 장기사용에 따른 성능저하 및 열화 정도 등을 정비계획 수립 시 반영하는 정책 또한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발전소의 자원관리 및 정비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의 하나로는 발전소 시뮬레이터가 있다.
발전소 시뮬레이터는 하나의 발전소를 대상으로 구현되며 그 활용이 해당 발전소 교육훈련에 국한되는 등의 유연성이 부족하여 활용도가 제한적이었고, 또한 운전원 훈련용 시뮬레이터와 발전소 설비를 전문적으로 감시하는 감시 진단 장치가 분리되어 있어서 감시 진단 장치의 알고리즘을 파악하고 운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발전소 설비는 수명이 제한되어 있어 무한정 운전을 할 수가 없으며 장기 사용에 따른 불시 고장 및 정지 발생 시 그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에 수명이 다된 설비의 교체 및 정밀검사를 통한 열화도 진전 설비의 보강 등 계획예방정비를 일정 주기마다 시행(Time Based Maintenance, TBM)하여 왔으나, 발전소 특성상 초기안정화 기간이 지나고 나면 노후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전까지 손상 및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TBM 방식의 적용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가상현실(VR) 기술은 하드웨어 및 그래픽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현실에서 재현이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환경과 장비 등을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가상공간에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가상현실(VR) 기술은 게임, 영화 등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서의 성장 가능성도 크지만, 다른 산업과 연계할 경우 그 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 적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가상현실(VR) 기반의 교육(훈련)의 경우, 기존 이러닝 형태의 학습자료보다 학습몰입도가 높고, 학습자 주도의 능동적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가상현실(VR) 기술을 발전소 설비를 전문적으로 감시하는 감시 진단 장치에 적용하는 방법이 일부 연구되고 있으나, 설비 점검 실사 VR 파노라마 콘텐츠의 부재, 점검도구 3D 모델링 및 최적화의 어려움 등으로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VR) 기술을 이용하여 설비 상태 정보 및 운전 조작 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종합적으로 발전설비를 감시하고 운전을 지원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27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57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255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 설비 점검을 위한 실사 VR 파노라마 콘텐츠 생성 및 플랫폼 구축으로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VR) 기술을 적용한 설비점검 콘텐츠 개발로 발전 설비 점검 및 교육의 선진화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Unity3D Graphic 기반의 VR 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행파일로 구동되고,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이동 가능한 자동 헤드 트래킹에 의해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한 다양한 동작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터렉션 기술을 적용하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 과정에서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은 발전소 설비의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여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설비 실사 파노라마 영상 처리를 하고,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VR 환경 세팅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플랫폼 DB 설계 및 플랫폼 UI 설계를 지원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20)에서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탑재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플랫폼 지원부;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 동작을 구현하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구현을 위한 HMD 연동 및 UI 테스트를 지원하는 HMD 연동 및 UI 테스트 지원부;VR 플랫폼 지원부에 탑재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의 운용 지원을 하는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는,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기 위하여 발전소 설비의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을 하는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부와,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는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부와,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통하여 분석된 결과를 기준으로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는,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VR 엔진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설비 실사 영상 처리부와,각 설비 점검에 맞는 밸브 조작 및 스위치, 버튼 조작, 점검도구 선택 및 조작을 위한 인터렉션 기술 적용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비점검 데이터 UI 제공부와,발전 설비의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는 도구 3D 모델링 및 최적화부와,3D 모델링 및 최적화가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발전 설비 점검 환경에 맞게 세팅하는 VR 환경 세팅부와,3D 모델링 및 최적화, VR 환경 세팅이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VR 플랫폼 지원부에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VR 플랫폼 지원부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의 운용 지원을 위한 플랫폼 기능 명세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플랫폼 기능 명세 작성부와,플랫폼 기능 명세에 따라 플랫폼 구성 및 기능 정의를 DB화하는 플랫폼 DB 설계 지원부와,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및 UI 디자인 설계를 지원하고 배경 사운드 지원을 하는 플랫폼 UI 설계 지원부와,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에서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탑재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탑재부와,점검 대상 설비로부터 수집되는 상태 데이터를 반영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와의 연계를 지원하는 VR 콘텐츠 연계모듈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VR 플랫폼 지원부는, Unity3D Graphic 기반의 VR 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행파일로 구동되고,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이동 가능한 자동 헤드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방법은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VR 엔진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설비 실사 영상 처리 단계;설비 실사 영상 처리 단계에서 VR 엔진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VR 파노라마 영상을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에 이용될 수 있도록 VR 환경 세팅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구축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 단계;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 단계에서 구축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VR 플랫폼에 탑재하고, HMD 연동 및 UI 테스트를 하여 발전 설비 현장에 적용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하는 발전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설비 실사 영상 처리를 위하여,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여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는 단계와,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하여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촬영 포인트를 결정하여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에서, 파노라마 사진에 보이는 주변 파노라마 위치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컨트롤러의 레이저로 선택하면 설비점검을 위한 현장 이동의 효과를 갖도록 맵 기능을 갖고, 현재 파노라마 사진위치 확인 기능, 현재 파노라마 사진의 바라보는 방향 파악을 위한 기능, 해당 층의 특정 위치 선택 및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에서,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점검 대상을 직접 클릭하여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에서,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직접 윤활유 게이지를 조작하는 기능,컨트롤러의 버튼을 이용하여 레이저 빔으로 대상을 선택한 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손이 닿지 않는 원거리 점검대상을 확인하는 기능,발전설비 기동을 위한 단위 조작 기능,발전 설비 엔진의 기동전에 전기 계장 장치의 세팅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발전 설비 기동을 위한 단위 조작 기능은, 발전 설비 기동 상황 자막 및 점검 주요 현장 이미지의 팝업 기능을 제공하고, 팝업 기능은 하부 자막은 사용자가 이동하여도 상시 앞 위치에 고정 표시하고, 반투명 형태로 컨트롤러 또는 대상 3D 모델 형상을 투시하여 나타내고, 상부의 상세 내용을 표현한 현장 사진은 고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에서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은, 점검절차 카테고리 선택을 위한 화면, 점검 시트에서의 점검항목 선택을 위한 화면, 점검 대상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화면, 2D 맵상에서 이동 경로 표시 및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화면, 파노라마 이동 포인트를 표시하는 화면, 점검 항목의 위치 표시하는 화면, 표시된 점검항목 위치 선택에 의한 상세 정보창,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을 표시하는 화면, 3D 모델 팝업 창에서 입력 수치를 확인 및 스크롤하여 선택값을 시트에 입력하는 화면,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 의해 각 점검항목 입력이 이루어진 화면 및 발전 설비 점검 완료후의 결과 페이지 확인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전 설비 점검을 위한 실사 VR 파노라마 콘텐츠 생성 및 플랫폼 구축으로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가상현실(VR) 기술을 적용한 설비점검 콘텐츠 개발로 발전 설비 점검 및 교육의 선진화 실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Unity3D Graphic 기반의 VR 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행파일로 구동되고,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이동 가능한 자동 헤드 트래킹에 의해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한 다양한 동작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터렉션 기술을 적용하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 과정에서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발전 설비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VR 플랫폼 지원부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7은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한 발전설비의 촬영 포인트 지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a와 도 8b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한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의 현장 이동 효과 구현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발전 설비 점검시의 현장 이동 및 위치 확인 맵 구현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a내지 도 11l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발전 설비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은 발전 설비 점검을 위한 실사 VR 파노라마 콘텐츠 생성 및 플랫폼 구축으로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은 Unity3D Graphic 기반의 VR 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행파일로 구동되고,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이동 가능한 자동 헤드 트래킹을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한 다양한 동작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터렉션 기술을 적용하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여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은 발전 설비의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촬영 포인트를 결정하여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을 하는 구성 및 설비 실사 파노라마 영상 처리를 하고,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VR 환경 세팅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VR 플랫폼에 탑재하고, HMD 연동 및 UI 테스트를 하여 발전 설비 현장에 적용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전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은 도 2에서와 같이, 발전소 설비의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여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10)와, 설비 실사 파노라마 영상 처리를 하고,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VR 환경 세팅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20)와, 플랫폼 기능 명세를 작성하고, 플랫폼 DB 설계 및 플랫폼 UI 설계를 지원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20)에서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탑재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플랫폼 지원부(30)와,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 동작을 구현하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구현을 위한 HMD 연동 및 UI 테스트를 지원하는 HMD 연동 및 UI 테스트 지원부(40)와, VR 플랫폼 지원부(30)에 탑재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의 운용 지원을 하는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1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10)는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기 위하여 발전소 설비의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을 하는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부(11)와,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는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부(12)와,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통하여 분석된 결과를 기준으로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제공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2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20)는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VR 엔진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설비 실사 영상 처리부(21)와, 각 설비 점검에 맞는 밸브 조작 및 스위치, 버튼 조작, 점검도구 선택 및 조작을 위한 인터렉션 기술 적용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비점검 데이터 UI 제공부(22)와, 발전 설비의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는 도구 3D 모델링 및 최적화부(23)와, 3D 모델링 및 최적화가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발전 설비 점검 환경에 맞게 세팅하는 VR 환경 세팅부(24)와, 3D 모델링 및 최적화, VR 환경 세팅이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VR 플랫폼 지원부(30)에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제공부(2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20)는 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상현실(VR) 사용자 환경(UI) 및 사운드 제작 및, 사용자 움직임과 시각 시점을 고려한 VR 전문 UI 설계 및 디자인, 각종 진단 설비 사용 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UI 환경 구축, VR 전용 성우 내레이션 녹음 및 배경 사운드 제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VR 플랫폼 지원부(3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VR 플랫폼 지원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VR 플랫폼 지원부(30)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의 운용 지원을 위한 플랫폼 기능 명세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플랫폼 기능 명세 작성부(31)와, 플랫폼 기능 명세에 따라 플랫폼 구성 및 기능 정의를 DB화하는 플랫폼 DB 설계 지원부(32)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및 UI 디자인 설계를 지원하고 배경 사운드 지원을 하는 플랫폼 UI 설계 지원부(33)와,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20)에서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탑재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탑재부(34)와, 점검 대상 설비로부터 수집되는 상태 데이터를 반영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와의 연계를 지원하는 VR 콘텐츠 연계모듈 지원부(3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VR 플랫폼 지원부(30)는 Unity3D Graphic 기반의 VR 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행파일로 구동되고,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이동 가능한 자동 헤드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여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한다.(S601)
이어,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하여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촬영 포인트를 결정하여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을 진행한다.(S602)
그리고 설비 실사 파노라마 영상 처리를 하고,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VR 환경 세팅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 제공을 한다.(S603)
이어,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VR 플랫폼에 탑재하고, HMD 연동 및 UI 테스트를 하여 발전 설비 현장에 적용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전설비 점검을 지원한다.(S604)
여기서, 기기 3D 상세 모델링을 위하여, 발주처에서 제공한 도면자료가 부족할 경우 현장을 방문, 사진촬영 및 실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제품의 형상을 분해조립이 가능한 형태의 정밀도로 모델링하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설비에 대한 사전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프로그램을 이용한 규격 형상을 구현하는 기술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사실적인 가상 3D 환경구축을 위하여, 3D 전문 디자이너가 참여하여 환경을 구축, 다양한 발전 계통흐름 동영상, 발전 주요설비 분해조립 동영상 등을 제작하면서 축적한 전문적인 발전설비 3D 표현 디자인 기술을 적용한다.
그리고 Unity3D Graphic 기반의 VR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행파일로 구동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이동 가능한 자동 헤드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한 다양한 동작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터렉션 기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원활한 동작 기능 기술을 적용한다.
그리고 가상현실(VR) 콘텐츠 제작용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위하여, VR 엔진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그래픽 Data 포맷 변환 및 Data 최적화/경량화 및, 정밀점검에 필요한 각종 점검도구 및 훈련도구 3D 모델링(두께 측정기, 열화상카메라, 소음진단기, 무전기 등), 각 설비 점검에 맞는 인터렉션 기술(밸브 조작 및 스위치/버튼 조작, 점검 도구 선택/조작 등)을 적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방법의 각 단계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하여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촬영 포인트를 결정하여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을 진행한다.
도 7은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한 발전설비의 촬영 포인트 지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8a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한 VR 파노라마 촬영 사진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는 파노라마 사진에 보이는 주변 파노라마 위치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컨트롤러의 레이저로 선택하면 설비점검을 위한 현장 이동의 효과를 갖도록 구현된다.
도 9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의 현장 이동 효과 구현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는 현장 이동 및 현장 위치 확인 맵 기능을 갖는 것으로, 현재 파노라마 사진위치 확인 기능, 현재 파노라마 사진의 바라보는 방향 파악을 위한 기능, 해당 층의 특정 위치 선택 및 이동 기능을 구현한다.
도 10은 발전 설비 점검시의 현장 이동 및 위치 확인 맵 구현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점검 대상을 직접 클릭하여 선택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아이콘이 점검대상의 위치를 지시하면 사용자는 점검대상위치로 이동하여 점검대상을 알려주는 H/L 3D구를 직접 클릭하고, 단순 게이지를 확인하거나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내지 도 11l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은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제공될 수 있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화면 형태 및 구조, 점검 대상 및 항목, 이동 경로 등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a는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점검 대상을 직접 클릭하는 과정에서 점검절차 대분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b는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점검 대상을 직접 클릭하는 과정에서 점검절차 소분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c는 점검절차 대분류 카테고리 선택 및 소분류 카테고리 선택에 의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점검 시트에서 점검항목을 선택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점검항목의 선택에 의한 점검 대상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e는 점검 대상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2D 맵상에서 이동 경로 표시 및 현재 위치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f는 화면상에 파노라마 이동 포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g는 화면상에 점검 항목의 위치를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1h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점검항목 표시 위치를 선택하여 표시되는 상세 정보창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1i는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을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j는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 창에서 입력 수치를 확인 및 스크롤하여 선택값을 시트에 입력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k는 도 11a내지 도 11j에서와 같은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을 이용하는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 의해 각 점검항목 입력이 이루어진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l은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을 이용하는 발전 설비 점검 완료후의 결과 페이지 확인 화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은 발전 설비 점검을 위한 실사 VR 파노라마 콘텐츠 생성 및 플랫폼 구축으로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Unity3D Graphic 기반의 VR 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행파일로 구동되고,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이동 가능한 자동 헤드 트래킹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한 다양한 동작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인터렉션 기술을 적용하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전 설비 점검 및 진단관리 과정에서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
20.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
30. VR 플랫폼 지원부
40. HMD 연동 및 UI 테스트 지원부
50.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부

Claims (12)

  1. 발전소 설비의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여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설비 실사 파노라마 영상 처리를 하고,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VR 환경 세팅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
    플랫폼 DB 설계 및 플랫폼 UI 설계를 지원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에서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탑재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플랫폼 지원부;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인터렉티브 동작을 구현하고, 공간센서 인식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구현을 위한 HMD 연동 및 UI 테스트를 지원하는 HMD 연동 및 UI 테스트 지원부;
    VR 플랫폼 지원부에 탑재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의 운용 지원을 하는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부는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직접 윤활유 게이지를 조작하는 기능, 컨트롤러의 버튼을 이용하여 레이저 빔으로 대상을 선택한 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손이 닿지 않는 원거리 점검대상을 확인하는 기능, 발전 설비 기동을 위한 단위 조작 기능, 발전 설비 엔진의 기동전에 전기 계장 장치의 세팅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은, 점검절차 카테고리 선택을 위한 화면, 점검 시트에서의 점검항목 선택을 위한 화면, 점검 대상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화면, 2D 맵상에서 이동 경로 표시 및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화면, 파노라마 이동 포인트를 표시하는 화면, 점검 항목의 위치 표시하는 화면, 표시된 점검항목 위치 선택에 의한 상세 정보창,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을 표시하는 화면, 3D 모델 팝업 창에서 입력 수치를 확인 및 스크롤하여 선택값을 시트에 입력하는 화면,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 의해 각 점검항목 입력이 이루어진 화면 및 발전 설비 점검 완료후의 결과 페이지 확인 화면을 포함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점검항목을 선택하면 점검 대상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고, 화면상에 표시되는 점검항목 표시 위치를 선택하면 위치 선택에 의한 불투명의 상세 정보창을 표시하고, 상세 정보창에서 수치 조절을 위한 선택을 하면 접근이 어렵거나 육안 확인이 쉽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게이지의 확인 및 수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을 화면에 표시하고,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 창에서 입력 수치를 확인 및 스크롤하여 선택값을 시트에 입력하면,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불투명 점검 시트에 필기체로 입력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구축부는,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기 위하여 발전소 설비의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을 하는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부와,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는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부와,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통하여 분석된 결과를 기준으로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는,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VR 엔진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설비 실사 영상 처리부와,
    각 설비 점검에 맞는 밸브 조작 및 스위치, 버튼 조작, 점검도구 선택 및 조작을 위한 인터렉션 기술 적용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설비점검 데이터 UI 제공부와,
    발전 설비의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수행하는 도구 3D 모델링 및 최적화부와,
    3D 모델링 및 최적화가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발전 설비 점검 환경에 맞게 세팅하는 VR 환경 세팅부와,
    3D 모델링 및 최적화, VR 환경 세팅이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VR 플랫폼 지원부에 제공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R 플랫폼 지원부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의 운용 지원을 위한 플랫폼 기능 명세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플랫폼 기능 명세 작성부와,
    플랫폼 기능 명세에 따라 플랫폼 구성 및 기능 정의를 DB화하는 플랫폼 DB 설계 지원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및 UI 디자인 설계를 지원하고 배경 사운드 지원을 하는 플랫폼 UI 설계 지원부와,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부에서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탑재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탑재부와,
    점검 대상 설비로부터 수집되는 상태 데이터를 반영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와의 연계를 지원하는 VR 콘텐츠 연계모듈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VR 플랫폼 지원부는,
    Unity3D Graphic 기반의 VR 기술을 적용하여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행파일로 구동되고,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이동 가능한 자동 헤드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6. 설비 점검 콘텐츠 시나리오에 따라 이루어진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VR 엔진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설비 실사 영상 처리 단계;
    설비 실사 영상 처리 단계에서 VR 엔진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VR 파노라마 영상을 3D 모델링 및 최적화를 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에 이용될 수 있도록 VR 환경 세팅을 하여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구축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 단계;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 단계에서 구축된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VR 플랫폼에 탑재하고, HMD 연동 및 UI 테스트를 하여 발전 설비 현장에 적용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하는 발전설비 점검을 지원하는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를 포함하고,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에서,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직접 윤활유 게이지를 조작하는 기능,컨트롤러의 버튼을 이용하여 레이저 빔으로 대상을 선택한 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손이 닿지 않는 원거리 점검대상을 확인하는 기능,발전 설비 기동을 위한 단위 조작 기능,발전 설비 엔진의 기동전에 전기 계장 장치의 세팅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제공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 화면은, 점검절차 카테고리 선택을 위한 화면, 점검 시트에서의 점검항목 선택을 위한 화면, 점검 대상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화면, 2D 맵상에서 이동 경로 표시 및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화면, 파노라마 이동 포인트를 표시하는 화면, 점검 항목의 위치 표시하는 화면, 표시된 점검항목 위치 선택에 의한 상세 정보창,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을 표시하는 화면, 3D 모델 팝업 창에서 입력 수치를 확인 및 스크롤하여 선택값을 시트에 입력하는 화면,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 의해 각 점검항목 입력이 이루어진 화면 및 발전 설비 점검 완료후의 결과 페이지 확인 화면을 포함하고,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점검항목을 선택하면 점검 대상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고, 화면상에 표시되는 점검항목 표시 위치를 선택하면 위치 선택에 의한 불투명의 상세 정보창을 표시하고, 상세 정보창에서 수치 조절을 위한 선택을 하면 접근이 어렵거나 육안 확인이 쉽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게이지의 확인 및 수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을 화면에 표시하고, 반투명 형태로 3D 모델 팝업 창에서 입력 수치를 확인 및 스크롤하여 선택값을 시트에 입력하면,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불투명 점검 시트에 필기체로 입력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설비 실사 영상 처리를 위하여,
    설비점검 로그시트 분석 및 설비점검 로깅 경로 분석 및 확인을 하여 설비점검 콘텐츠 시나리오를 구축하는 단계와,
    VR 파노라마 콘텐츠 구성을 위하여 파노라마 촬영을 위한 촬영 포인트를 결정하여 VR 파노라마 촬영 및 단위 점검 대상 상세 스냅 촬영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에서,
    파노라마 사진에 보이는 주변 파노라마 위치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컨트롤러의 레이저로 선택하면 설비점검을 위한 현장 이동의 효과를 갖도록 맵 기능을 갖고,
    현재 파노라마 사진위치 확인 기능, 현재 파노라마 사진의 바라보는 방향 파악을 위한 기능, 해당 층의 특정 위치 선택 및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VR 발전설비 점검 운용 지원 단계에서,
    발전 설비 점검 과정에서 점검 대상을 직접 클릭하여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92358A 2019-07-30 2019-07-30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11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358A KR102117008B1 (ko) 2019-07-30 2019-07-30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358A KR102117008B1 (ko) 2019-07-30 2019-07-30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008B1 true KR102117008B1 (ko) 2020-06-01

Family

ID=7108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358A KR102117008B1 (ko) 2019-07-30 2019-07-30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098B1 (ko) * 2022-01-03 2022-06-02 기가찬 주식회사 빌딩 내 층별 기계 설비 관리를 위한 인도어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220076191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크레아코퍼레이션 실감형 인터랙티브 스마트 콘텐츠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57B1 (ko) 2008-06-19 2010-04-12 한국전력공사 발전소용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화면정보 제어, 저장, 복원장치 및 방법
KR20130035713A (ko) 2011-09-30 2013-04-09 한국전력공사 발전소 시뮬레이터
KR101329395B1 (ko) * 2012-06-04 2013-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5001851A (ja) * 2013-06-17 2015-01-05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点検支援装置、点検支援方法および点検支援プログラム
KR20180049587A (ko) * 2016-11-03 2018-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플랜트 생산 공정 관리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0818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유오케이 가상현실 기반의 시설관리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20190052742A (ko) 2017-11-09 2019-05-17 한국전력공사 감시 진단 장치를 탑재한 발전소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57B1 (ko) 2008-06-19 2010-04-12 한국전력공사 발전소용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화면정보 제어, 저장, 복원장치 및 방법
KR20130035713A (ko) 2011-09-30 2013-04-09 한국전력공사 발전소 시뮬레이터
KR101329395B1 (ko) * 2012-06-04 2013-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설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5001851A (ja) * 2013-06-17 2015-01-05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点検支援装置、点検支援方法および点検支援プログラム
KR20180049587A (ko) * 2016-11-03 2018-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플랜트 생산 공정 관리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0818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유오케이 가상현실 기반의 시설관리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20190052742A (ko) 2017-11-09 2019-05-17 한국전력공사 감시 진단 장치를 탑재한 발전소 시뮬레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191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크레아코퍼레이션 실감형 인터랙티브 스마트 콘텐츠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0690B1 (ko) * 2020-11-30 2022-06-20 주식회사 크레아코퍼레이션 실감형 인터랙티브 스마트 콘텐츠 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4098B1 (ko) * 2022-01-03 2022-06-02 기가찬 주식회사 빌딩 내 층별 기계 설비 관리를 위한 인도어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gger et al. Augmented reality in support of intelligent manufacturing–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US10878634B2 (en)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Marino et al. An Augmented Reality inspection tool to support workers in Industry 4.0 environments
CN108170611B (zh) 自动化测试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García-Pereira et al. A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annotation tool for the inspection of prefabricated buildings
KR102117008B1 (ko) Vr 파노라마 콘텐츠를 이용한 발전 설비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N111047685B (zh) 一种电厂bim模型全景漫游的实现方法
Di Gironimo et al. From virtual reality to web-based multimedia maintenance manuals
CN113868102A (zh) 用于信息显示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Johansson et al. BIM and Virtual Reality (VR) at the construction site
KR20190140759A (ko)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Bellalouna Industrial use cases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Berglund et al. Virtual reality and 3D imaging to support collaborative decision making for adaptation of long-life assets
KR102103272B1 (ko) 혼합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자재의 최적조립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117905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nu directed inspection
Berglund et al. Using 3D laser scanning to support discrete event simulation of production systems: lessons learned
Wang Improving human-machine interfaces fo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s with mixed and augmented reality
Eriksson et al. Automating the CAD to Virtual Reality Pipeline for Assembly Simulation
Eggert et al. Digital Assistance in the Maintenance of Offshore Wind Parks
GB2581013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trol apparatus
US202302217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Mosca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for Quality Control of Aircraft Interiors
Gloy et al. Assistance Systems in Textile Production
La Rivera et al. Extended Reality (XR) as an Interaction Tool for Digital Twins: Application to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Megaprojects
Sujanthi Augmented Reality for Industrial Maintenance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