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919A -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919A
KR20220080919A KR1020200170205A KR20200170205A KR20220080919A KR 20220080919 A KR20220080919 A KR 20220080919A KR 1020200170205 A KR1020200170205 A KR 1020200170205A KR 20200170205 A KR20200170205 A KR 20200170205A KR 20220080919 A KR20220080919 A KR 20220080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automotive parts
nitriding
internal space
treat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휘
권순우
이충안
김현기
홍승현
강민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919A/ko
Priority to US17/175,384 priority patent/US11479842B2/en
Publication of KR20220080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24Nitriding
    • C23C8/26Nitriding of ferr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06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 C23C8/08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gas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자동차용 부품이 배치된 열처리 로(furnace)의 상기 내부 공간을 승온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공간에 수소(H2)를 투입시켜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내부 공간에 암모니아(NH3)만을 투입하여 상기 부품을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암모니아 가스에 추가적 가스 투입 없이 KN 대신 진공도와 유량을 조절하여 기존과 유사한 품질의 질화 열처리를 짧은 시간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HEAT TREATMENT METHOD OF COMPONENT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의 내구 특성 확보를 위한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부품은 각각의 특징적인 구동환경에 맞춰 다양한 방법의 열처리 공정을 통해 내구 특성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기어나 샤프트처럼 안장/비틀림/굽힘과 동시에 접촉이 일어나는 부품은 내마모성과 피로특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질화 열처리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지금까지 질화 열처리는 상압(1기압) 이상의 설비에서 온도-KN(질소 포텐셜)-시간의 조합을 통해 열처리 조건을 설계해왔다.
특히 종래기술에서는 KN의 조정을 위해 질화열처리 시 암모니아 가스에 질소 혹은 수소를 추가 투입하는데, 이러한 혼합가스는 KN 제어에는 유리하지만 실제 반응에 참여하는 암모니아 가스의 분압을 떨어뜨려 반응속도를 느리게 하는 근본 원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저압 질화 공법과 관련된 일부 선행특허가 확인되지만, 이 역시 암모니아/질소/수소 혼합가스를 활용하여 반응속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9253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37789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0036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950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암모니아 가스에 추가적 가스 투입 없이 KN 대신 진공도와 유량을 조절하여 기존과 유사한 품질의 질화 열처리를 짧은 시간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은, 내부 공간에 자동차용 부품이 배치된 열처리 로(furnace)의 상기 내부 공간을 승온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공간에 수소(H2)를 투입시켜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내부 공간에 암모니아(NH3)만을 투입하여 상기 부품을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암모니아를 0.5~6m3/h의 속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을 230~400torr로 유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승온시키는 단계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의 온도가 400~600도인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6~15 시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소를 0.5~15m3/h의 속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을 230~400torr로 유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승온시키는 단계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의 온도가 400~600도인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는 2 시간 이내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 표면에 형성되는 화합물층의 두께는 8~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 표면에 형성되는 기공층의 두께는 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의 표면 경도는 620~710 H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 표면의 확산층의 깊이는 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 표면의 미세조직의 γ′상은 50~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은, 내부 공간에 자동차용 부품이 배치된 열처리 로(furnace)의 상기 내부 공간이 400~600도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암모니아(NH3)만을 0.5~6m3/h의 속도로 투입하여 상기 부품을 질화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질화 열처리는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을 230~400torr로 유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6~15 시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에 의하면, 암모니아 가스 단독 사용에도 기존 질화 열처리와 동등 이상의 화합물층, 기공층, 표면 경도, 확산층, γ′상의 확보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물성은 기존에 비해 짧은 시간에 구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의 온도 및 기압 등을 선행기술문헌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과 기존 방법의 원리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열처리에 의한 미세조직이며, 도 4는 비교예 1의 열처리에 의한 미세조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열처리에 의한 미세조직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열처리에 의한 미세조직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의 온도 및 기압 등을 종래기술과 비교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에서 자동차용 부품의 내구성을 위한 열처리는 저압공정으로 암모니아에 N2를 추가 투입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암모니아 분해능(Kn)에 기반한 평형 조건을 조절해 화합물층 품질을 제어하였다.
암모니아 분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H3 -> N + 2/3H2
그리고, 반응 평형상수(K)는 다음과 같다.
K = PNH3 / {[N] × PH2 2/3}
따라서, 암모니아 분해능 Kn은 다음과 같다.
Kn = K × [N] = P NH3 / P H2 2/3
그러므로, Kn이 높은 경우 NH3의 분압이 높아 가용 질소량이 커지게 된다.
실제 열처리시, N2 또는 H2를 투입하여 Kn을 제어하며, N2 투입시 Kn이 증가하고 H2 투입시 Kn이 감소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의한 열처리 조건을 다음 표에 정리하였으며, 종래기술 1의 경우 저압공법이긴 하지만 NH3에 N2를 추가하여 Kn을 조절하며 화합물의 물성을 제어하는 형태로 공정이 구성된다.
구분 온도 가스 기압 유량 시간 비고
종래기술1 승온:400~600도
1차 질화 : 400~600도
2차 질화 : 400~600도
승온 : N2 혹은 불활성 가스
1차 질화 : NH3+N2
2차 질화 : N2
승온 : ㅧ
1차 질화 : 10~800torr
2차 질화 : 400~800torr
× 승온 : X
1차 질화 : 1~6시간
2차 : 2시간 이상
종래기술2 승온 : 480~560도
질화 : 480~560도(최종 승온 유지)
냉각 : 최종승온-10~30도
산화 : 최종냉각 유지
승온 : NH3
질화 : NH3+N3+N2O
냉각 : N2
산화 : N2+H2O
승온 : ㅧ
질화 500~300mbar(38.5~230.9torr)
냉각 : ×
산화 : ×
× 승온 : 40~80분
질화 : 60~120분
냉각 : 10~30분
산화 : 10~50분
질화가스 NH3 50~80%
N2 10~30%
N2O 5~20%
종래기술3 1차 열처리 : 440~490도
2차 열처리 : 500~580도
3차 열처리 : 550~580도
1차 질화 : 3차 열처리 온도 유지
2차 질화 :온도 유지
3차 질화 : 450~500도
냉각 0도
1차 열처리 : N2
2차 열처리 : N2+CO2
3차 열처리 : N2+CO2
1차 질화 : NH3+CO2+N2
2차 질화: ×(배출)
3차 질화: ×(유지)
냉각 : N2
1차 열처리 : 0.5~1.2기압(390~936torr)
2차 열처리 : 0.8~1.2기압
3차 열처리 : ×
1차 질화 : 1.2~3.5기압(936~2730torr)
2차 질화 : ×(배출)
3차 질화: ×(유지)
냉각 : ×
× 1차 : 15~25분
2차 : 8~13분
3차 : 15~25분
질화1차 : 45~120분
2차 : 15~25분
3차 : ×
4차 : 30~60분
2/3차 가스
N2 50%
CO2 50%

질화 1차 가스
NH3 55~90%
CO2 5~10%
N2 5~35%
종래기술4 승온 : 180~350도
예비산화 : ×
2차 승온 : ×
질화 : 450~600도
냉각 및 산화 : 450~520도
냉각 : 산화
승온 : 진공 후 N2
예비산화 : 산화성 가스
2차 승온 : NH3
질화 : NH3+N2+산화성가스
냉각 및 산화 : H2O
냉각 : N2
승온 : 진공 배기
예비산화 : ㅧ
2차 승온 : 진공 배기
질화 : 50~1000mbar
냉각 및 산화 : 1기압
냉각 : 진공 배기
× 승온 : ×
예비산화 : 30~60분
2차승온 : X
질화 : X
냉각 및 산화 : 5~100분
냉각 : ×
산화성가스
NOx
COx
공기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들과는 달리 암모니아 가스를 단독 투입하여 열처리 로 내에서 기압과 유량을 조절하여 화합물층의 품질(반응속도)을 제어한다.
즉, 가스의 반응(분해) 속도는 가스분자의 밀도에 반비례한다.(밀도↑→ 가스분자 간 충돌↑→ 반응속도↓)
그리고, 가스의 반응(분해) 속도는 로 내 가스 흐름 속도에 반비례한다.(가스 유속↑→ 가스분자-부품 충돌↓→ 반응속도↓)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열처리 시 온도, 로 내 압력, 로 내 유속의 조합을 통해 암모니아 분해속도를 조절하여 화합물층의 두께 및 상분율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과 기존 방법의 원리 차이를 설명하면, 암모니아 분해능(Kn)을 가스혼합을 통해 조절 후 투입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열처리 온도+Kn에 의해 결정된 평형상분율로 수렴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별도로 Kn을 조절하는 개념이 아니고, H2 분압이 0이기 때문에 Kn은 무한대가 된다.(Kn=NH3분압/H2분압에 의해 결정)
다시 말하면, 암모니아는 부품 표면에서 즉각적으로 무한정 분해되기 때문에 온도/기압/유량을 조절해서 화합물층의 품질(반응속도)를 조절해야 하는, 평형상태에 수렴시키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조건에서 멈추는 개념에 가깝다 할 수 있다.
표 1에 대비되도록 본 발명을 정리하면 다음 표 2와 같고,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온도, 압력 등의 조건을 그래프에 표시한 것이 도 1과 같다.
구분 온도 가스 기압 유량 시간
본 발명 승온:400~600도
1차 안정화 : 400~600도
2차 질화 : 400~600도
승온 : H2 퍼지
1차 안정화 : H2(진공)
2차 질화 : NH3(진공)
승온 : 230~780torr
1차 안정화 : 230~400torr
2차 질화 : 230~400torr
1차 안정화 : 0.5~15m3/h
2차 안정화 : 0.5~6m3/h
승온 : X
1차 안정화 : 2시간 이내
2차 질화 : 6~15 시간
표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즉 진공질화 열처리 공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는 제조된 금속(철계일 수 있다) 부품을 열처리를 위한 로(furnace)의 내부 공간에 배치 후, 승온 및 H2 퍼지(purge)를 실시한다.
승온은 400~60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압력이 230~780torr가 될 때까지 H2 퍼지한다.
이후, 1차 안정화를 위해 승온된 온도를 유지하고, H2를 0.5~15m3/h의 속도로 공급하여 내부 압력이 230~400torr 가 되게 하며, 안정화 시간은 2시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안정화 후 400~600도를 유지시키며, NH3를 단독으로 공급한다.
NH3는 0.5~6m3/h의 속도로 내부 압력이 230~400torr가 되도록 공급하며, 2차 질화 시간은 6~15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열처리 조건에 의해 화합물층과 표면 경도를 짧은 시간에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하 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정리한 것이다.
온도(℃) 기압(atm) 시간(h) NH3 유량(m3/h) 화합물 두께(㎛) 기공층 두께(㎛) 확산층 깊이(mm) γ′분율(%) 경도(Hv)
실시예1 540 0.5 6 1 9.7 2.1 0.31 68.7 678
실시예2 540 0.5 10 1 11.6 3.5 0.39 75.9 691
실시예3 540 0.5 15 1 12.5 4.0 0.43 85.3 682
실시예4 540 0.3 6 1 12.1 3.6 0.30 72.8 670
실시예5 540 0.3 10 1 12.3 3.9 0.40 65.4 637
실시예6 540 0.3 15 1 13.1 4.0 0.41 62.1 625
실시예7 540 0.3 10 0.5 10.8 4.0 0.38 72.4 671
실시예8 540 0.3 10 6 11.5 3.7 0.40 69.7 668
실시예9 580 0.5 6 1 14.7 4.6 0.42 51.4 651
실시예10 580 0.5 15 1 16.8 4.8 0.49 58.7 620
실시예11 580 0.3 6 1 13.9 3.9 0.40 62.1 664
실시예12 580 0.3 15 1 17.2 4.3 0.47 54.2 630
실시예13 510 0.5 6 1 9.1 2.0 0.23 79.1 708
실시예14 510 0.5 15 1 9.8 2.2 0.31 88.4 689
실시예15 510 0.3 6 1 9.3 2.1 0.22 80.4 696
실시예16 510 0.3 15 1 10.0 2.2 0.30 85.7 695
실시예17 450 0.3 6 0.5 8.0 2.1 0.20 89.7 707
실시예18 450 0.3 15 1 9.1 2.2 0.24 83.4 699
실시예19 580 0.5 15 6 19.8 4.3 0.49 51.1 624
온도 기압 시간 유량
실시예1 - 상한 하한 -
실시예2 - 상한 - -
실시예3 - 상한 상한 -
실시예4 - 하한 하한 -
실시예5 - 하한 - -
실시예6 - 하한 상한 -
실시예7 - 하한 - 하한
실시예8 - 하한 - 상한
실시예9 상한 상한 하한 -
실시예10 상한 상한 상한 -
실시예11 상한 하한 하한 -
실시예12 상한 하한 상한 -
실시예13 - 상한 하한 -
실시예14 - 상한 상한 -
실시예15 - 하한 하한 -
실시예16 - 하한 상한 -
실시예17 하한 하한 하한 하한
실시예18 하한 하한 상한 -
실시예19 상한 상한 상한 상한
위 표에 정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질화 조건(온도, 기압, 유량, 시간) 범위 내에서 열처리시 화합물의 두께는 8~20㎛, 기공층의 두께는 2~5㎛, 표면경도는 Hv 620~710, 확산층은 0.5mm 이하의 표면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50~90%의 γ′상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음 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를 정리한 것이다.
온도(℃) 기압(atm) 시간(h) NH3 유량(m3/h) 화합물 두께(㎛) 기공층 두께(㎛) 확산층 깊이(mm) γ′분율(%) 경도(Hv)
비교예1 540 1.0 22 10 13.9 3.0 0.41 87.3 677
비교예2 540 1.0 10 1 5.5 0.7 0.37 78.5 708
비교예3 580 1.0 15 6 22.4 4.8 0.42 25.8 626
비교예4 430 0.5 15 1 3.8 0.7 0.19 92.1 716
비교예5 430 0.5 20 1 5.1 0.7 0.20 90.4 706
비교예6 600 0.5 6 1 25.7 5.7 0.37 27.1 594
비교예7 540 0.5 10 0.3 6.9 2.4 0.34 77.2 661
비교예8 510 0.2 15 1 - - 0.08 - -
비교예9 540 0.2 10 1 4.2 0.8 0.34 77.2 661
비교예10 540 0.5 5 1 7.1 1.8 0.26 60.2 659
비교예11 580 0.5 5 1 11.3 3.9 0.37 37.4 609
비교예1은 NH3에 N2가 혼합된 경우이며, 비교예 2는 NH3 단독으로 실시예 2와 상압/저압을 비교한 것으로 화합물이 부족함을 알 수 있고, 비교예 3은 NH3 단독으로 실시예 19와 상압/저압을 비교한 것으로 기공측 과다, 경도, 상분율이 미달임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는 온도가 미달이어서 화합물이 부족하고, 비교예 5는 온도 미달, 시간 초과 조건에서 화합물이 부족함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6은 온도 초과로 인해 γ′(감마 프라임 상, Fe4N)분율이 급감하여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7은 유량 미달로 화합물이 부족하고, 비교예 8, 9는 기압 미달로 화합물이 미형성 내지 부족하며, 비교예 10, 11은 시간 미달로 화합물이 부족하거나 화합물 분율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교예들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당 열처리 진행 시 화합물층 8~20㎛, 기공층 2~5㎛, 표면경도 Hv 620~710, 확산층 0.5mm 이하의 표면 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50~90%의 γ′상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3 내지 도 6은 실제 미세조직을 촬영한 것으로서, 도 3은 540도, 1기압, 22시간 조건의 비교예 1의 미세조직으로서, 두께가 13.9㎛, 기공층이 3.0㎛, 경도가 677Hv, γ′분율이 87.3%로 나타난다.
도 4는 540도, 1기압, 10시간 조건의 비교예 2의 미세조직으로서, 두께가 5.5㎛, 기공층이 0.7㎛, 경도가 708Hv, γ′분율이 78.5%로 나타났다.
반면, 도 5는 540도, 0.5기압, 10시간 조건의 실시예 2의 미세조직으로서, 두께가 11.6㎛, 기공층이 3.5㎛, 경도가 691Hv, γ′분율이 75.9%로 나타나, 비교예2에 비해 화합물이 부족하지 않으며 비교예1과 동등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540도, 0.3기압, 6시간 조건의 실시예 4의 미세조직으로서, 두께가 12.1㎛, 기공층이 3.6㎛, 경도가 670Hv, γ′분율이 72.8%로 나타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내부 공간에 자동차용 부품이 배치된 열처리 로(furnace)의 상기 내부 공간을 승온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공간에 수소(H2)를 투입시켜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내부 공간에 암모니아(NH3)만을 투입하여 상기 부품을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암모니아를 0.5~6m3/h의 속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을 230~400torr로 유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승온시키는 단계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의 온도가 400~600도인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6~15 시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소를 0.5~15m3/h의 속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을 230~400torr로 유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승온시키는 단계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의 온도가 400~600도인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시키는 단계는 2 시간 이내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 표면에 형성되는 화합물층의 두께는 8~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 표면에 형성되는 기공층의 두께는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의 표면 경도는 620~710 H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 표면의 확산층의 깊이는 0.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된 상기 부품 표면의 미세조직의 γ′(감마 프라임) 상은 5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15. 내부 공간에 자동차용 부품이 배치된 열처리 로(furnace)의 상기 내부 공간이 400~600도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암모니아(NH3)만을 0.5~6m3/h의 속도로 투입하여 상기 부품을 질화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는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을 230~400torr로 유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질화 열처리하는 단계는 6~15 시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KR1020200170205A 2020-12-08 2020-12-08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KR20220080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05A KR20220080919A (ko) 2020-12-08 2020-12-08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US17/175,384 US11479842B2 (en) 2020-12-08 2021-02-12 Heat treatment method for a vehicle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05A KR20220080919A (ko) 2020-12-08 2020-12-08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919A true KR20220080919A (ko) 2022-06-15

Family

ID=8184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205A KR20220080919A (ko) 2020-12-08 2020-12-08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79842B2 (ko)
KR (1) KR2022008091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000B1 (ko) 2004-05-04 2006-06-30 주식회사 케이피티 압력조절이 자유로운 철계 금속의 저온/저압 가스산질화 방법
KR100800362B1 (ko) 2006-08-22 2008-02-01 주식회사 엘티 강선소재로 제조된 녹방지 리드스크류의 제조방법
KR100837789B1 (ko) 2007-03-02 2008-06-13 정익수 질화처리방법
KR101892531B1 (ko) 2017-02-03 2018-08-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철계 금속의 질화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767B1 (ko) 2004-12-03 2005-11-23 주식회사 한국베랄 철강제 기계부품의 질화처리방법
US7640887B2 (en) 2005-04-26 2010-01-05 Shimadzu Corporation Surface wave excitation plasma generator and surface wave excitatio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US8182617B2 (en) * 2010-10-04 2012-05-22 Moyer Kenneth A Nitrogen alloyed stainless steel and process
KR101564670B1 (ko) 2013-10-31 2015-11-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속표면질화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표면질화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000B1 (ko) 2004-05-04 2006-06-30 주식회사 케이피티 압력조절이 자유로운 철계 금속의 저온/저압 가스산질화 방법
KR100800362B1 (ko) 2006-08-22 2008-02-01 주식회사 엘티 강선소재로 제조된 녹방지 리드스크류의 제조방법
KR100837789B1 (ko) 2007-03-02 2008-06-13 정익수 질화처리방법
KR101892531B1 (ko) 2017-02-03 2018-08-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철계 금속의 질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8010A1 (en) 2022-06-09
US11479842B2 (en)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6256B1 (en) Carburized induction-hardened component
JP4655528B2 (ja) 高強度機械構造用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機械構造用部品
KR101830221B1 (ko) 기어용 강의 질화 열처리 방법
KR102657327B1 (ko) 탈탄층 및 질화층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64106A (zh) 包含在渗碳之前唯一的渗氮期的热化学处理方法
JP4876668B2 (ja) 鋼部材の熱処理方法
KR20220080919A (ko) 자동차용 부품의 열처리 방법
WO2011115255A1 (ja) ばね用鋼および鋼材の表面処理方法
US5240514A (en) Method of ion nitriding steel workpieces
JP3996482B2 (ja) 真空浸炭方法
CN109923219B (zh) 用于对由高合金钢制成的工件进行热处理的方法
KR102255936B1 (ko) 질화 처리 방법
JP3986996B2 (ja) 金属リングの窒化処理方法
KR102360999B1 (ko) 탄소강 침탄 방법
KR100999151B1 (ko) 침탄 열처리 방법 및 침탄 열처리된 차량 부품
EP1954848B1 (en) A process for raising the tempering resistance of a steel work piece
KR20000027040A (ko) 열변형 저감을 위한 강의 표면 열처리 방법
KR102293648B1 (ko) 강 부품의 저변형 열처리방법
KR100526389B1 (ko) 가스질화의 열처리 방법
JP6759842B2 (ja) 鋼材の製造方法
KR102360964B1 (ko) 기어용 강의 복합 열처리 방법
KR102494316B1 (ko) 침탄원료의 저감 및 입계산화의 저감을 위한 가스침탄방법
KR100530767B1 (ko) 철강제 기계부품의 질화처리방법
KR101054775B1 (ko) 차량 변속기 기어류용 합금강 및 침탄 열처리 방법
JP2009270155A (ja) 浸窒焼入れ方法および浸窒焼入れ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