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555A -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555A
KR20220080555A KR1020200169779A KR20200169779A KR20220080555A KR 20220080555 A KR20220080555 A KR 20220080555A KR 1020200169779 A KR1020200169779 A KR 1020200169779A KR 20200169779 A KR20200169779 A KR 20200169779A KR 20220080555 A KR20220080555 A KR 20220080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amp
sensing
control unit
vehic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안병석
한승식
이기홍
임정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555A/ko
Priority to US17/342,115 priority patent/US11407355B2/en
Priority to DE102021206673.9A priority patent/DE102021206673A1/de
Priority to CN202110760510.9A priority patent/CN114590193A/zh
Publication of KR2022008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 B60Q1/1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3Attitude of the vehicle body
    • B60Q2300/132P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3Attitude of the vehicle body
    • B60Q2300/136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2Road surface or travel path
    • B60Q2300/324Road inclination, e.g. uphill or downh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센싱부를 통해 차량 자세가 변화됨에 따른 헤드램프의 빛 조사영역을 확인하고, 빛 조사영역의 보정을 통해 운전자의 시계가 상시 확보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확보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AIMING ADJUSTING SYSTEM OF HEAD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자세에 따라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도를 조정하여 정확한 위치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램프는 백 램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켜지는 브레이크 램프, 방향지시 램프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차량 주행시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전방 경로를 비추는 헤드램프의 전조등의 경우 야간 주행중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야간에 전방 시야가 확보됨에 따라 도로상에 다른 차량 및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헤드램프는 뒷좌석이나 트렁크에 승객이나 화물이 적재되어 차량이 기울어지거나, 오르막길/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이에 적합하게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048381 A (2010.05.1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자세에 따라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도를 조정하여 운전자의 시계가 상시 확보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은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램프 제어부; 지면에 센싱영역을 형성하고, 센싱영역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센싱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측정된 센싱영역을 기저장된 기준영역과 비교하며, 센싱영역이 기준영역과 상이할 경우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빛의 조사각이 센싱영역의 변화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센싱부의 센싱영역과 제어부의 기준영역은 동일 형상의 패턴을 가지고, 제어부는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상이할 경우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전방으로 길어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하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으로 짧아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상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센싱부를 통해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좌측으로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좌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하향 보정되고 우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조사각이 상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좌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상향 보정되고 우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조사각이 하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센싱부를 통해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우측으로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싱부는 차량의 하부에 센싱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싱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센싱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주행속도를 토대로 차량이 센싱영역과 기준영역이 상이한 지점에 도달하는 도착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도착시간에 헤드램프 제어부를 통한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싱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제1센싱영역을 형성하는 제1센싱부와 차량의 하부에 제2센싱영역을 형성하는 제2센싱부로 구성되고, 제어부는 제1센싱영역에 해당되는 제1기준영역과 제2센싱영역에 해당되는 제2기준영역이 기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정차 상태일 경우 제2센싱영역과 제2기준영역의 비교를 우선으로 하여, 제2기준영역에 대해 제2센싱영역이 변화됨에 따라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상태일 경우 제1기준영역에 대해 제1센싱영역이 변화됨에 따른 빛의 조사각 조정을 도출하고, 제2기준영역에 대해 제2센싱영역이 변화되면 도출된 빛의 조사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주행속도를 토대로 제1센싱영역이 제1기준영역과 상이한 지점에 도달하는 도착시간을 도출하여, 도착시간 이전에 헤드램프 제어부를 통한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은 센싱부를 통해 차량 자세가 변화됨에 따른 헤드램프의 빛 조사영역을 확인하고, 빛 조사영역의 보정을 통해 운전자의 시계가 상시 확보됨으로써 주행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에서 차량의 자세에 따른 센싱영역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미징 조정 시스템에 따른 센싱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의 구성도.★★★<도면 수정>>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미징 조정 시스템에 따른 센싱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에서 차량의 자세에 따른 센싱영역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미징 조정 시스템에 따른 센싱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미징 조정 시스템에 따른 센싱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램프 제어부(100); 지면에 센싱영역(A)을 형성하고, 센싱영역(A)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싱부(200); 및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센싱영역(A)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측정된 센싱영역(A)을 기저장된 기준영역(B)과 비교하며, 센싱영역(A)이 기준영역(B)과 상이할 경우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빛의 조사각이 센싱영역(A)의 변화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램프는 액추에이터 구동을 통해 빛의 조사각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헤드램프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가 동작되어 빛의 조사각이 변동된다.
센싱부(200)는 뎁스(depth)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센싱부(200)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광원부(200a)와 광원부(200a)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패턴을 가지는 센싱영역(A)으로 투사되도록 하는 회절렌즈부(2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싱부(200)는 구조화된 패턴을 가지는 적외선을 지면에 투영함으로써, 이미지 센서로 패턴의 변화를 파악하여 노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뎁스 센서는 LiDar 또는 TOF(Time Of Flight)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노면의 상태 또는 장애물을 입체적으로 파악 가능함에 따라 헤드램프를 통한 빛의 조사각을 정밀히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센싱부(200)를 통해 센싱영역(A)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300)에는 헤드램프를 포함한 차량이 정상 상태일 때, 센싱영역(A)에 대한 기준영역(B)이 미리 저장된다. 즉, 기준영역(B)은 차량 초기 출고시 저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센싱부(200)를 통해 측정되는 센싱영역(A)과 기준영역(B)의 차이를 확인하여 차량의 자세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00)는 센싱부(200)를 통해 측정된 센싱영역(A)을 기저장된 기준영역(B)과 비교하고, 센싱영역(A)이 기준영역(B)과 상이할 경우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빛의 조사각이 센싱영역(A)의 변화에 따라 조정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300)는 센싱영역(A)과 기준영역(B)과 상이함에 따른 차량의 자세를 파악하고, 차량의 자세 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빛의 조사영역이 정상적인 빛의 조사영역으로 보정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방의 시야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싱부(200)의 센싱영역(A)과 제어부(300)의 기준영역(B)은 동일 형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자세가 안정화된 상태에서는 기준영역(B)의 패턴과 센싱영역(A)의 패턴이 일치된다. 한편,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화되면 센싱영역(A)의 패턴이 변화되어 기준영역(B)의 패턴과 일치되지 않음으로써, 제어부(300)는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상이할 경우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헤드램프를 통한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센싱영역(A)과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각 패턴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직관적으로 패턴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격자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300)는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전방으로 길어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하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센싱부(200)를 통해 입력된 패턴 형상이 제어부(300)에 기저장된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전방으로 길어지도록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앞 부분이 올라가도록 자세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헤드램프의 상향된 빛의 조사각이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빛의 조사각이 하향되도록 한다. 이처럼, 제어부(300)는 센싱부(200)를 통해 측정된 센싱영역(A)의 패턴이 변화됨에 따른 차량의 기울기 변화량을 도출하여 차량의 자세를 파악하고, 차량의 자세가 변화됨에 따라 변동된 빛 조사영역을 보정하는 조사각을 도출하여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로 인해, 헤드램프 제어부(1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헤드램프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어 정상적인 위치로 빛이 조사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으로 짧아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상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센싱부(200)를 통해 입력된 패턴 형상이 제어부(300)에 기저장된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으로 짧아지도록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뒷부분이 올라가도록 자세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헤드램프의 하향된 빛의 조사각이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빛의 조사각이 상향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센싱부(200)를 통해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좌측으로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즉,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센싱부(200)를 통해 입력된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제어부에 기저장된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좌측 부분이 올라가도록 자세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헤드램프의 좌향된 빛의 조사각이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빛의 조사각이 좌측으로 보정되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좌측이 올라갈 경우 센싱영역(A)의 좌측 패턴이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전방으로 변화되고, 우측 패턴은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좌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하향 보정되고 우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조사각이 상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즉, 차량의 좌측이 올라가면, 좌측 헤드램프의 빛 조사영역이 확장되고 우측 헤드램프의 빛 조사영역은 축소되는바, 각 헤드램프가 좌측으로 보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좌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하향 보정되고 우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조사각이 상향 보정되도록 한다. 이처럼, 헤드램프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이 조정됨으로써, 좌우측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이 정상 위치로 조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센싱부(200)를 통해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우측으로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즉,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센싱부(200)를 통해 입력된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제어부(300)에 기저장된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우측 부분이 올라가도록 자세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헤드램프의 우향된 빛의 조사각이 보정되도록 빛의 조사각이 우측으로 조정되게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차량의 우측이 올라갈 경우 센싱영역(A)의 우측 패턴은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전방으로 변화되고 좌측 패턴은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센싱영역(A)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B)의 패턴 형상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좌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상향 보정되고 우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하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즉, 차량의 우측이 올라가면, 우측 헤드램프의 빛 조사영역이 확장되고 좌측 헤드램프의 빛 조사영역은 축소되는바, 각 헤드램프가 우측으로 보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좌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상향 보정되고 우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조사각이 하향 보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00)는 차량의 하부에 센싱영역(A)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센싱부(200)가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하측으로 센싱영역(A)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자세 변화시 센싱영역(A)이 동시에 변화됨에 따라 센싱영역(A)과 기준영역(B)의 차이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00)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센싱영역(A)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센싱부(200)가 차량의 차량의 전방으로 센싱영역(A)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주행방향의 노면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주행방향의 노면 상태를 미리 파악함에 따라 노면 상태에 따른 헤드램프의 빛 조사각 조정을 더욱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센싱부(200)가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센싱영역(A)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주행속도를 토대로 차량이 센싱영역(A)과 기준영역(B)이 상이한 지점에 도달하는 도착시간을 도출한다. 즉, 센싱부(200)가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센싱영역(A)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어부(300)는 센싱부(200)를 통해 측정된 센싱영역(A)이 기준영역(B)과 상이한 지점을 미리 파악할 수 있고, 주행속도를 토대로 차량이 센싱영역(A)과 기준영역(B)이 상이한 지점에 도달하는 도착시간을 도출함으로써 도착시간에 도달시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200)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제1센싱영역(A1)을 형성하는 제1센싱부(210)와 차량의 하부에 제2센싱영역(A2)을 형성하는 제2센싱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센싱부(200)는 제1센싱부(210)와 제2센싱부(220)로 복구 구성되고, 제1센싱부(210)와 제2센싱부(220)가 각각 차량의 전방의 하부에 대해 센싱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각 센싱부의 정보를 취합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각을 더 정밀히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제1센싱영역(A1)에 해당되는 제1기준영역(B1)과 제2센싱영역(A2)에 해당되는 제2기준영역(B2)이 기저장된다.
상세하게, 제어부(300)는 차량이 정차 상태일 경우 제2센싱영역(A2)과 제2기준영역의 비교를 우선으로 하여, 제2기준영역(B2)에 대해 제2센싱영역(A2)이 변화됨에 따라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즉, 제2센싱부(220)는 차량의 하부에 제2센싱영역(A2)을 형성함에 따라, 차량의 자세가 변화되는 경우 제2센싱영역(A2)이 동시에 변화된다. 특히, 제2센싱부(220)는 현재 차량이 위치한 노면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제어부(300)는 차량이 정차 상태일 경우 제2센싱부(220)를 통해 측정된 제2센싱영역(A2)과 제2기준영역(B2)의 비교를 우선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300)는 차량이 정차된 상태에서, 제2기준영역(B2)과 제2센싱영역(A2)이 일치되지 않을 경우 제2기준영역(B2)과 제2센싱영역(A2)의 차이에 따라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1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차량이 주행 상태일 경우 제1기준영역(B1)에 대해 제1센싱영역(A1)이 변화됨에 따른 빛의 조사각 조정을 도출하고, 제2기준영역(B2)에 대해 제2센싱영역(A2)이 변화되면 도출된 빛의 조사각을 보정한다. 이렇게, 제1센싱부(210)를 통해 측정된 제1센싱영역(A1)과 제1기준영역(B1)의 비교를 통해 주행방향의 노면 상태를 미리 파악하여 빛의 조사각 조정을 미리 파악하고, 차량이 주행됨에 따라 제2센싱부(220)를 통해 측정된 제2센싱영역(A2)과 제2기준영역(B2)의 차이가 발생되면 제1센싱영역(A1)과 제1기준영역(B1)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빛의 조사각 조정을 보정하여, 빛의 조사각의 더욱 정밀이 조정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300)는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주행속도를 토대로 제1센싱영역(A1)이 제1기준영역(B1)과 상이한 지점에 도달하는 도착시간을 도출하여, 도착시간 이전에 헤드램프 제어부(100)를 통한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한다. 즉, 제1센싱부(210)가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제1센싱영역(A1)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어부(300)는 제1센싱부(210)를 통해 측정된 제1센싱영역(A1)이 제1기준영역(B1)과 상이한 지점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주행속도를 토대로 차량이 제1센싱영역(A1)과 기준영역(B1)이 상이한 지점에 도달하는 도착시간을 도출하고, 도착시간보다 빠른 시간대로 설정되는 설정시간에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차량의 자세가 변화되기 직전에 빛의 조사각이 조정됨으로써, 헤드램프의 제어가 신속히 수행됨에 따라 전방의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후, 제2센싱부(220)를 통해 측정된 제2센싱영역(A2)과 제2기준영역(B2)의 차이가 발생되면 제1센싱영역(A1)과 제1기준영역(B1)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빛의 조사각 조정을 보정하여, 빛의 조사각이 더욱 정밀이 조정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은 센싱부를 통해 차량 자세가 변화됨에 따른 헤드램프의 빛 조사영역을 측정하고, 빛 조사영역의 보정을 통해 운전자의 시계가 상시 확보됨에 따라 주행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헤드램프 제어부
200:센싱부
210:제1센싱부
220:제2센싱부
300:제어부

Claims (15)

  1.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을 조절하는 헤드램프 제어부;
    지면에 센싱영역을 형성하고, 센싱영역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센싱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측정된 센싱영역을 기저장된 기준영역과 비교하며, 센싱영역이 기준영역과 상이할 경우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빛의 조사각이 센싱영역의 변화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싱부의 센싱영역과 제어부의 기준영역은 동일 형상의 패턴을 가지고,
    제어부는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상이할 경우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전방으로 길어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하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후방으로 짧아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상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싱부를 통해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좌측으로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좌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하향 보정되고 우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조사각이 상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싱부를 통해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빛의 조사각이 우측으로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싱영역의 패턴 형상이 기준영역의 패턴 형상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으로 각도가 커지도록 형상이 변화될 경우 좌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 조사각이 상향 보정되고 우측 헤드램프에 따른 빛의조사각이 하향 보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싱부는 차량의 하부에 센싱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싱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센싱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주행속도를 토대로 차량이 센싱영역과 기준영역이 상이한 지점에 도달하는 도착시간을 도출하여, 도출된 도착시간에 헤드램프 제어부를 통한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싱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인 전방에 제1센싱영역을 형성하는 제1센싱부와 차량의 하부에 제2센싱영역을 형성하는 제2센싱부로 구성되고,
    제어부는 제1센싱영역에 해당되는 제1기준영역과 제2센싱영역에 해당되는 제2기준영역이 기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이 정차 상태일 경우 제2센싱영역과 제2기준영역의 비교를 우선으로 하여, 제2기준영역에 대해 제2센싱영역이 변화됨에 따라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헤드램프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상태일 경우 제1기준영역에 대해 제1센싱영역이 변화됨에 따른 빛의 조사각 조정을 도출하고, 제2기준영역에 대해 제2센싱영역이 변화되면 도출된 빛의 조사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주행속도를 토대로 제1센싱영역이 제1기준영역과 상이한 지점에 도달하는 도착시간을 도출하여, 도착시간 이전에 헤드램프 제어부를 통한 빛의 조사각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KR1020200169779A 2020-12-07 2020-12-07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KR20220080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79A KR20220080555A (ko) 2020-12-07 2020-12-07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US17/342,115 US11407355B2 (en) 2020-12-07 2021-06-08 Vehicle headlamp aiming adjustment system for measuring change in sensed area on ground
DE102021206673.9A DE102021206673A1 (de) 2020-12-07 2021-06-28 Fahrzeugscheinwerferausrichtungseinstellungssystem
CN202110760510.9A CN114590193A (zh) 2020-12-07 2021-07-06 车辆前照灯瞄准调整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79A KR20220080555A (ko) 2020-12-07 2020-12-07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55A true KR20220080555A (ko) 2022-06-14

Family

ID=8165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779A KR20220080555A (ko) 2020-12-07 2020-12-07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07355B2 (ko)
KR (1) KR20220080555A (ko)
CN (1) CN114590193A (ko)
DE (1) DE10202120667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381A (ko) 2008-10-31 2010-05-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4067B2 (ja) * 2003-08-28 2010-03-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前照灯光軸方向自動調整装置
KR101832967B1 (ko) * 2016-05-16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381A (ko) 2008-10-31 2010-05-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7355B2 (en) 2022-08-09
CN114590193A (zh) 2022-06-07
US20220176871A1 (en) 2022-06-09
DE102021206673A1 (de)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047B2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adapting an upper headlight beam boundary of a light cone
US8838343B2 (en) Vehicle lamp controller, vehicle lamp system, and vehicle lamp control method
US20010039469A1 (en) Automatic headlight aiming device for vehicles
US5633710A (en) System for self-aligning vehicle headlamps
EP1970249A2 (en) Vehicl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system
US20120275172A1 (en) Vehicular headlight apparatus
US9260051B2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adapting an upper headlight beam boundary of a light cone
US6144159A (e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illumination field of a vehicle headlight
US201302572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lighting of a vehicle in blind curves
US10696209B2 (en) Vehicle lamp to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lamp tool
US10220901B2 (en) Positio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US20040125608A1 (en) Irradiating direction control apparatus of headlamp for vehicle
CN104245422A (zh) 车辆的前灯的配光控制装置以及方法
CN109421586A (zh) 车灯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20170008445A1 (en) Motor vehicle headlamp arrangement, motor vehicle headlamp system,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KR20100018366A (ko) 전조등 및 안개등 자동조절장치
US1189738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vehicle lighting system
KR20220080555A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조정 시스템
KR102419039B1 (ko) 차선이탈 경보시스템을 이용한 헤드램프 레벨 보상 방법
JPH10230777A (ja) 車輌用灯具の照射方向制御装置
US6670723B2 (en) Irradiation directio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lamp
KR101679880B1 (ko) 도로 종방향 기울기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조등 자동 제어 시스템
JP6983011B2 (ja) 前照灯制御装置
JP3680251B2 (ja) 車両走行制御装置
KR102251347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