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479A -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479A
KR20220080479A KR1020200169632A KR20200169632A KR20220080479A KR 20220080479 A KR20220080479 A KR 20220080479A KR 1020200169632 A KR1020200169632 A KR 1020200169632A KR 20200169632 A KR20200169632 A KR 20200169632A KR 20220080479 A KR20220080479 A KR 2022008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inductive load
power receiver
capacit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천용
박성범
유영호
이경민
이상욱
최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479A/ko
Priority to PCT/KR2021/018126 priority patent/WO2022124696A1/ko
Publication of KR2022008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479A/ko
Priority to US18/200,969 priority patent/US202302996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진 회로, 상기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WIRELESS POWER RECEIVER}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중심으로 전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예: 스마트 폰)가 무선 전력 송신기(예: 무선 충전 패드)에 접촉하거나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송 코일과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 코일 사이의 전자기 유도 또는 전자기 공진에 의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될 수 있다.
스마트 폰과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터리를 포함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된 무선 전력이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이용되는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의 전압 및 전류를 변형시키기 위한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60)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100)는 공진 회로(110)에서 수신된 무선 전력을 배터리(160)를 충전하기 적절한 전압 및/또는 전류를 갖는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정류 회로(120), 커패시터(130), DC/DC 컨버터(140), 및 차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100)는 정류 회로(120), 커패시터(130), DC/DC 컨버터(140), 및 차저(150)를 포함하므로, 무선 전력 수신기(100)를 소형화하거나, 무선 전력 수신기(100)의 제조에 필요한 소자의 개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100)와는 달리, 배터리(160) 대신에 교류 성분을 갖는 전력이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된 다이오드 및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된 유도성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진 회로, 상기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진 회로, 상기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100)와는 달리, 배터리(160) 대신에 교류 성분을 갖는 전력이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되고, 유도성 부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는 공진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정류할 수 있고, 유도성 부하가 교류 성분을 갖는 전력이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정류 회로(120), 커패시터(130), DC/DC 컨버터(140), 및 차저(15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100)에 비하여 적은 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100)에 비하여 소형화될 수 있고, 낮은 제조 단가에 생산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1 코일 양단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1 코일 양단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1 코일 양단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7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1 코일 양단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8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100)는, 공진 회로(110), 정류 회로(120), DC/DC 컨버터(140), 차저(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110)는 코일(111) 및 커패시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111)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 및/또는 전기장에 기반하여 유도 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명명할 수 있다. 코일(111)에서는 교류 전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한 교류 전력은 정류 회로(120)로 전달될 수 있다.
정류 회로(120)는 4개의 다이오드(121, 122, 123, 124)를 포함하는 브릿지 정류 회로일 수 있다. 정류 회로(120)는, 공진 회로(110)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40)는, 정류 회로(120)로부터 전달받은 정류 전압을 컨버팅(converting)하거나, 레귤레이팅(regulat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DC/DC 컨버터(140)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압을 가지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DC/DC 컨버터(140)는, 구현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기(10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DC/DC 컨버터(140)가 포함되지 않는 실시예에서는, 본 개시에서 기재된 “DC/DC 컨버터(140)로 제공되는”의 표현은 “차저(150)로 제공되는”의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DC/DC 컨버터(140)로부터 제공되는”의 표현은 “정류 회로(120)로부터 제공되는”의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차저(150)는, DC/DC 컨버터(14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차저(150)에 연결된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다. 차저(150)는, 다양한 충전 모드(예: CC(constant current) 모드, CV(constant voltage) 모드, 또는 급속 충전 모드 등)에 기반하여, 배터리(160)로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저(150)는, 배터리(160)의 충전 상태에 기반하여 배터리(160)로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200)는, 공진 회로(210), 다이오드(220), 및 유도성 부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공진 회로(210)는 코일(211) 및 제1 커패시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211)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 및/또는 전기장에 기반하여 유도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자기장 및/또는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것으로 명명할 수 있으며, 코일(211)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명명할 수 있다. 코일(211)에서는 교류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코일(211)은, 하나 이상의 코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다이오드(220)는 공진 회로(210)의 양단에 연결되고, 유도성 부하(23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오드(220)의 제1단은 공진 회로(210)의 제1단 및 유도성 부하(230)의 제1단에 연결되고, 다이오드(220)의 제2단은 공진 회로(210)의 제2단 및 유도성 부하(230)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다이오드(220)는 공진 회로(210)에서 발생하는 무선 전력을 정류하여 유도성 부하(230)에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다이오드(220)는 유도성 부하(23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유도성 부하(230)에 양의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유도성 부하(230)는 임피던스의 리액턴스가 양의 값을 갖는 부하일 수 있다. 도 1의 배터리(160)가 특정한 범위 내의 전압 및 전류를 갖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을 것을 요구하는 반면, 유도성 부하(230)는 유도성 부하(230)에 공급되는 전원이 교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유도성 부하(23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성 부하(230)가 모터를 포함하고, 유도성 부하(230)에 주기적인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 모터의 회전 속도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한 주기 동안의 평균에 의존할 수 있다.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한 주기 동안의 평균이 클수록 모터의 회전 속도가 빠를 수 있다.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한 주기 동안의 평균이 0인 경우, 모터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유도성 부하(230)가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기(200)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전력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그라인더 또는 블렌더일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유도성 부하(230)가 유도성 부하(230)에 공급되는 전원이 교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허용하고, 특정한 범위 내의 전압 및 전류를 갖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을 것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공진 회로(210)에서 발생하는 무선 전력을 정류하는 다이오드(220)는 유도성 부하(230)가 동작하기 위한 적절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100)와는 달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정류 회로(120), 커패시터(130), DC/DC 컨버터(140), 및 차저(150)를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 단일의 다이오드(22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코일 양단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3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코일(211) 양단의 전압을 도시한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유도성 부하(230)에 인가되는 전압을 도시한다.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유도성 부하(230)에 흐르는 전류를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코일(211)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의 값 및 음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일정한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도 3a의 전압 파형이 반복되는 빈도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 예를 들어, 60Hz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다이오드(220)가 공진 회로(210) 및 유도성 부하(230) 둘 다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유도성 부하(230)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의 값만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의 전압 파형은 도 3a의 전압 파형과 동일한 빈도로 반복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유도성 부하(230)에 흐르는 전류는 양의 값만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의 전류 파형은 도 3a의 전압 파형과 동일한 빈도로 반복될 수 있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코일 양단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파형의 t-1에서 t2 사이의 구간을 확대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3b에 도시된 파형의 t-1에서 t2 사이의 구간을 확대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4c는 도 3c에 도시된 파형의 t-1에서 t2 사이의 구간을 확대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200)의 코일(211)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의 값 및 음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일정한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도 4a의 전압 파형이 반복되는 빈도는 무선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내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주파수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다이오드(220)가 공진 회로(210) 및 유도성 부하(230) 둘 다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유도성 부하(230)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의 값만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의 전압 파형은 도 4a의 전압 파형과 동일한 빈도로 반복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유도성 부하(230)에 흐르는 전류는 양의 값만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500)는, 공진 회로(510), 다이오드(520), 및 유도성 부하(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520), 및 유도성 부하(530)에 관해서는, 도 2의 다이오드(220) 및 유도성 부하(230)에 관하여 상술한 상세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공진 회로(510)는 코일(511), 제1 커패시터(512), 및 제2 커패시터(5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커패시터(513)는 전류의 저주파 성분을 차단하고 고주파 성분만 통과시키는 블로킹 커패시터(blocking capacitor)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커패시터(513)의 커패시턴스는 제1 커패시터(512)의 커패시턴스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패시터(513)의 커패시턴스는 제1 커패시터(512)의 커패시턴스의 5배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도 2의 무선 전력 수신기(200)와 비교하여, 도 5의 무선 전력 수신기(500)는 개선된 역률(power factor)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600)는, 코일(611) 및 제1 커패시터(612)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610), 다이오드(620), 제3 커패시터(625), 및 유도성 부하(6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610), 다이오드(620), 및 유도성 부하(630)에 관해서는, 도 2의 공진 회로(210), 다이오드(220) 및 유도성 부하(230)에 관하여 상술한 상세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공진 회로(610)는 도 2의 공진 회로(210) 대신 도 5에 도시된 공진 회로(51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3 커패시터(625)의 커패시턴스는 공진 회로(610)에 포함된 제1 커패시터(612)의 커패시턴스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커패시터(625)의 커패시턴스는 제1 커패시터(612)의 커패시턴스의 20% 미만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3 커패시터(625)의 커패시턴스는 제1 커패시터(612)의 커패시턴스의 10% 미만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3 커패시터(625)는 유도성 부하(630)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상쇄할 수 있다. 유도성 부하(630)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제3 커패시터(625)에 의하여 상쇄됨에 따라, 도 7b 및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할 바와 같이, 도 6의 무선 전력 수신기(600)에서 유도성 부하(630)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은 도 2의 무선 전력 수신기(200)에서 유도성 부하(230)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에 비하여 고주파의 리플 성분이 적을 수 있다. 유도성 부하(630)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의 고주파의 리플 성분이 적으므로, 도 6의 무선 전력 수신기(600)는 도 2의 무선 전력 수신기(200)에 비하여 개선된 EMI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3 커패시터(625)의 커패시턴스는 공진 회로(610)에 포함된 제1 커패시터(612)의 커패시턴스보다 충분히 작게 설계될 수 있다. 만약 제3 커패시터(625)의 커패시턴스가 충분히 작게 설계되지 않고 제1 커패시터(612)의 커패시턴스와 유사할 정도로 크다면, 제3 커패시터(625)의 임피던스가 작기 때문에, 공진 회로(610)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 중 상당 부분이 다이오드(620) 대신 제3 커패시터(625)를 통하여 흐를 수 있고, 제3 커패시터(625)의 커패시턴스가 클수록 제3 커패시터(625)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클 수 있다. 제3 커패시터(625)를 거쳐 유도성 부하(630)에 공급되는 전력은 다이오드(620)를 거쳐 유도성 부하(630)에 공급되는 전력과 달리 양의 값과 음의 값을 번갈아가면서 갖는 전압 및/또는 전류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성 부하(630)에 포함되는 모터의 회전 속도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한 주기 동안의 평균에 의존하므로, 제3 커패시터(625)를 거쳐 유도성 부하(630)에 공급되는 전력은 유도성 부하(630)에 포함되는 모터의 회전에 기여하지 못한다. 제3 커패시터(625)의 커패시턴스가 클수록 제3 커패시터(625)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크므로, 공진 회로(610)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 중 더 많은 부분이 유도성 부하(630)에 포함되는 모터의 회전에 기여하지 못하고 낭비될 수 있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코일 양단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7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500)의 코일(511) 양단의 전압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500)의 유도성 부하(530)에 인가되는 전압을 도시한다. 도 7c는 도 5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500)의 유도성 부하(530)에 흐르는 전류를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500)의 코일(511)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의 값 및 음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일정한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도 7a의 전압 파형이 반복되는 빈도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 예를 들어, 60Hz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다이오드(520)가 공진 회로(510) 및 유도성 부하(530) 둘 다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유도성 부하(530)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의 값만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b의 전압 파형은 도 7a의 전압 파형과 동일한 빈도로 반복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유도성 부하(530)에 흐르는 전류는 양의 값만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c의 전류 파형은 도 7a의 전압 파형과 동일한 빈도로 반복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도 3a 내지 도 3c에 비교하면,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파형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파형에 비하여 고주파의 리플 성분이 적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제3 커패시터(625)가 유도성 부하(630)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코일 양단의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도 8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의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예시적인 파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도 7a에 도시된 파형의 t-1에서 t2 사이의 구간을 확대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8b는 도 7b에 도시된 파형의 t-1에서 t2 사이의 구간을 확대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8c는 도 7c에 도시된 파형의 t-1에서 t2 사이의 구간을 확대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500)의 코일(511)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의 값 및 음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일정한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 도 8a의 전압 파형이 반복되는 빈도는 무선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내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주파수일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다이오드(520)가 공진 회로(510) 및 유도성 부하(530) 둘 다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유도성 부하(530)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의 값만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b의 전압 파형은 도 8a의 전압 파형과 동일한 빈도로 반복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유도성 부하(530)에 흐르는 전류는 양의 값만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를 도 4a 내지 도 4c에 비교하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파형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파형에 비하여 고주파의 리플 성분이 적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제3 커패시터(625)가 유도성 부하(630)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900)는, 공진 회로(910), 다이오드(920), 유도성 부하(930), 검출 회로(940), 비교 회로(950), 프로세서(960), 입력 인터페이스(970), 및 통신 회로(9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공진 회로(910)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공진 회로(210)이거나,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공진 회로(51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비록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전력 수신기(900)는 공진 회로(910), 다이오드(920), 및 유도성 부하(930)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6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920) 및 유도성 부하(930)에 대해서는 도 2의 다이오드(220), 유도성 부하(230)에 관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검출 회로(940)는 다이오드(941) 및 커패시터(94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회로(940)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의 피크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검출 회로(9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게, 유도성 부하(930)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검출 회로(9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검출 회로(940)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 및/또는 유도성 부하(930)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낼 수 있는 대표값을 출력할 수 있다면 그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의 피크 값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유도성 부하(930)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 값, 또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 및/또는 유도성 부하(930)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대표값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비교 회로(950)는 증폭기(951) 및 비교기(9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예시에서, 증폭기(951)는 검출 회로(940)에서 출력된,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의 피크 값과 특정한 전압 값(Vref)의 차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비교 대상이 되는 특정한 전압 값(Vref)은 후술할 입력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비교기(952)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의 피크 값과 특정한 전압 값(Vref)의 차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들어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프로세서(96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960)는 한 개 이상일 수 있으며,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960)는 비교 회로(95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 회로(980)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60)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의 피크 값과 특정한 전압 값(Vref)의 차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 회로(9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60)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의 피크 값과 특정한 전압 값(Vref)의 차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 회로(980)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960)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의 피크 값과 특정한 전압 값(Vref)의 차가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 회로(9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회로(98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에 송신되는 신호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의 피크 값과 특정한 전압 값(Vref)의 차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회로(98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에 송신되는 신호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을 대표하는 임의의 파라미터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회로(980)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에 송신되는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 하여금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무선 전력 수신기(900)에 전달되는 무선 전력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960)는 입력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값(Vref)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확인된 전압 값(Vref)을 비교기(952)에 인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수신기(9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960)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입력들과 전압 값들 사이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입력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값(Vref)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 인터페이스(970)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기(900)의 작동 강도에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970)는 물리적 버튼,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은 무선 전력 수신기(900)의 작동 강도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성 부하(930)가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은 모터의 회전 속도를 지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무선 전력 수신기(900) 외의 다른 전자 장치에 이루어질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기(900)는 통신 회로(980)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회로(980)는 무선 전력 수신기(900) 외의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980)는 무선 전력 수신기(900)에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회로(980)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0)은 무선 전력 수신기(1001) 및 무선 전력 송신기(100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001)는 공진 회로(1010), 다이오드(1020), 유도성 부하(1030), 검출 회로(1040), 비교 회로(1050), 프로세서(1060), 입력 인터페이스(1070), 및 통신 회로(10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00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2)는 통신 회로(1085), 프로세서(1065), 및 무선 전력 송신 회로(10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2)는 인덕션 쿠커일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기(1001)는 인덕션 쿠커 위에 올려진 상태로, 인덕션 쿠커에 의하여 제공되는 무선 전력에 기초하여 작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회로(1085)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2) 외의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085)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2)로부터 무선 전력을 제공받는 무선 전력 수신기(1001)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회로(1085)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1001)의 프로세서(1060)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 또는 유도성 부하(930)를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1002)의 통신 회로(1085)에 신호(S)를 송신하도록 통신 회로(9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신호(S)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 또는 유도성 부하(930)를 흐르는 전류가 입력 인터페이스(107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보다 작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2)의 프로세서(1065)는 무선 전력 수신기(1001)에 전달되는 무선 전력의 양이 증가하도록 무선 전력 송신 회로(1015)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신호(S)는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 또는 유도성 부하(930)를 흐르는 전류가 입력 인터페이스(107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보다 큼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2)의 프로세서(1065)는 무선 전력 수신기(1001)에 전달되는 무선 전력의 양이 감소하도록 무선 전력 송신 회로(1015)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2)의 프로세서(1065)는 무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무선 전력 송신 회로(1015)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의 주파수인 스위칭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무선 전력 송신 회로(1015)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S)가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 또는 유도성 부하(930)를 흐르는 전류가 입력 인터페이스(107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보다 작음을 나타내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2)의 프로세서(1065)는 스위칭 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무선 전력 송신 회로(1015)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신호(S)가 유도성 부하(930)에 인가되는 전압(Vo) 또는 유도성 부하(930)를 흐르는 전류가 입력 인터페이스(107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보다 큼을 나타내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2)의 프로세서(1065)는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도록 무선 전력 송신 회로(1015)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진 회로, 상기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진 회로는 코일 및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진 회로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1단은 상기 코일의 제1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도성 부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20%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10%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통신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비교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회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회로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과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차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류와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상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진 회로, 상기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진 회로는 코일 및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공진 회로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1단은 상기 코일의 제1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유도성 부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회로, 제1 통신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칭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비교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보다 크거나,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류보다 클 때, 상기 신호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게 하고,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보다 작거나,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류보다 작을 때, 상기 신호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감소시키게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20)

  1. 무선 전력 수신기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진 회로,
    상기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코일 및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1단은 상기 코일의 제1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1단에 연결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부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20% 이하인, 무선 전력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10% 이하인, 무선 전력 수신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회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통신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비교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회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 회로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과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의 차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류와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상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
  13.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공진 회로,
    상기 공진 회로의 양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유도성 부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코일 및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1단은 상기 코일의 제1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단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1단에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부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회로,
    제1 통신 회로, 및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1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칭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 또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비교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보다 크거나,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류보다 클 때, 상기 신호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게 하고,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압보다 작거나, 상기 검출 회로에서 검출된 상기 유도성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류보다 작을 때, 상기 신호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감소시키게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200169632A 2020-12-07 2020-12-07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220080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32A KR20220080479A (ko) 2020-12-07 2020-12-07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CT/KR2021/018126 WO2022124696A1 (ko) 2020-12-07 2021-12-02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8/200,969 US20230299617A1 (en) 2020-12-07 2023-05-23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32A KR20220080479A (ko) 2020-12-07 2020-12-07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479A true KR20220080479A (ko) 2022-06-14

Family

ID=8197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632A KR20220080479A (ko) 2020-12-07 2020-12-07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99617A1 (ko)
KR (1) KR20220080479A (ko)
WO (1) WO202212469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2254A (ja) * 2008-04-23 2009-11-12 Katsuyuki Totsu コードレス電動工具と非接触充電装置との組合せ
KR101818773B1 (ko) * 2011-10-24 201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방식 무선 충전 시스템용 수신 전력 변환 장치
KR102674446B1 (ko) * 2018-11-02 2024-06-11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급전장치
KR102639744B1 (ko) * 2018-11-21 202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210359B1 (ko) * 2018-12-18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무선전력공급장치가 구비된 가습청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696A1 (ko) 2022-06-16
US20230299617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2544B2 (en) Hybri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EP3267559B1 (en)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US10069340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adjusting magnitude of wireless power
US7602142B2 (en) System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US8421267B2 (en) Packaging and details of a wireless power device
EP3108565B1 (en) Device detection through dynamic impedance change measurement
JP4893755B2 (ja)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電子機器及び負荷状態検出回路
US9424985B2 (en) Feed unit and feed system
US20130257167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transfer adjustment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20220393519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 receiver device, and an associated method thereof
JP2014143776A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ワイヤレス送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装置
JP5674013B2 (ja) 給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KR20220080479A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0355532B2 (en) Inductive power transfer
US20210376642A1 (en) Electronic device to wirelessly receive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57951A (ko)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KR20120008634A (ko) 개선된 구조의 무접점 전력 리시브 장치 및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20130012853A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2091215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N117178456A (zh) 用于无线充电的方法和装置
KR20220112428A (ko)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40064101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2360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50053536A (ko)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제어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자기 공명식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23001975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