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729A -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729A
KR20220079729A KR1020200168278A KR20200168278A KR20220079729A KR 20220079729 A KR20220079729 A KR 20220079729A KR 1020200168278 A KR1020200168278 A KR 1020200168278A KR 20200168278 A KR20200168278 A KR 20200168278A KR 20220079729 A KR20220079729 A KR 20220079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rossover pipe
turbine
lifting rod
centr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463B1 (ko
Inventor
이찬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4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4Jacks with screw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D2260/31Retaining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판과, 암나사 체결부가 형성된 중공 포스트와; 4방향에 걸쳐 설치되는 보강판재와, 중공 포스트의 암나사 체결부에 조립 설치되는 승강로드와, 다수의 스틱 삽입홈이 형성된 조작핸들과, 상기 승강로드의 최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받침부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로드는, 최상단에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을 둘레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볼트나사 홈이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상단 볼트나사 홈에 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승강로드의 상단에 테프론 재질을 이용한 일정 곡률의 플랜지 접촉면을 형성한 회전받침부를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500MV 표준화력 이상 터빈에 설치된 중량물인 크로스 오버 파이프 및 기타 발전설비에 대한 분해와 조립 및 이동 후 안착시킬 때 간단한 레벨 조정 작업을 통하여 지지 대상물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Support for TBN Crossover pipe}
본 발명은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승강로드의 상단에 테프론 재질을 이용한 일정 곡률의 플랜지 접촉면을 형성한 회전받침부를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500MV 표준화력 이상 터빈에 설치된 중량물인 크로스 오버 파이프 및 기타 발전설비에 대한 분해와 조립 및 이동 후 안착시킬 때 간단한 레벨 조정 작업을 통하여 지지 대상물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는, 이미 널리 개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등록특허 제10-1059506호 “선박의 블록 탑재용 스크류 잭”와, 공개특허 제10-1998-081974호 “선박건조용 스크류 잭”등을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박의 블록 탑재용 스크류 잭”는, 선박건조시 작업장 내에서 선박을 형성하는 블록중 곡률반경을 갖는 선수 블록을 탑재할 때에 수평 조정이 용이하고, 고소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지만, 볼형 조인트부에 볼하우징으로 결합된 헤드프레이트가 일정 각도 내에서 유동 가능함에 따라 곡률반경을 갖는 선체의 선수 블록 지지를 용이하게 하지만 수평 레벨 조정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박건조용 스크류 잭”은, 선박건조시 P.E 작업장의 내부에서 선박을 형성하는 블록을 탑재하여 수평을 조정하기 용이하도록 승강가능하도록 하면서 구형두부에 지지판이 결합 설치됨에 따라 일정 각도내에서 유동하도록 하고 있지만 수평레벨 조정시 나사회전으로 승강되는 스크류를 통해 레벨이 조정된다 하지만 선박의 수평 레벨 ??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 잭은 선박 건조시 사용되는 외에도 발전소에서 중량물인 크로스 오버 파이프를 분해 조립하거나 이동 후 안착시킬 때 수평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서 침목, 금속 환봉 등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때 사용되는 침목, 금속 환봉등은 미세 조정 작업을 실시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아 또 다른 유압 실린더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를 사용할 때에는, 지지대상물까지의 이격거리가 긴 경우 유압실린더의 하부에 별도의 고임장치를 더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고임장치를 여러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중지지가 불안정하고, 장시간 지지가 요구가 될 때에는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작동 펌프를 분리하지 못해 작동펌프를 필요로 하는 작업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장치를 설치할 위치가 높거나 또는 지지장치를 원거리까지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지지하는데 필요한 고임 장치도 별도로 이동시켜야 하고, 작업 대상물의 규격이 상이할 경우 준비된 지지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 예상치 못한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제10-1059506호 "선박의 블록 탑재용 스크류 잭" (공고 2011.08.25.) [특허문헌 0002] 공개특허 제10-1998-081974호 "선박건조용 스크류 잭" (공개 1998.11.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로드의 상단에 테프론 재질을 이용한 일정 곡률의 플랜지 접촉면을 형성한 회전받침부를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500MV 표준화력 이상 터빈에 설치된 중량물인 크로스 오버 파이프 및 기타 발전설비에 대한 분해와 조립 및 이동 후 안착시킬 때 간단한 레벨 조정 작업을 통하여 지지 대상물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로스 오버 파이프를 받쳐 정확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크로스 오버 파이프의 플랜지간을 체결하고 있는 볼트의 체결 또는 볼트의 분리 작업시에 간섭을 유발하는 볼트 홀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가 긴 크로스 오버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로스 오버 파이프 같은 중량물인 경우에도 플랜지부분을 받치는 테프론 재질의 회전받침부가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받치기 때문에 상하 레벨을 조정시 조작핸들만 돌려주면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가 단일품으로 형성됨에 따라 침목 및 원형 파이프 같은 고임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등 작업장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형상의 판 형태이면서 안착용구멍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중심에 부착 설치되되, 일정 높이와 직경으로 형성되고 암나사 체결부의 상단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중공 포스트와; 상기 중공 포스트의 외주면과 베이스판의 상면에 리프팅용 홀을 갖추고서 4방향에 걸쳐 각각 부착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보강판재와, 회전 조작시에 승강하도록 상기 중공 포스트의 암나사 체결부에 나사결합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부에 부착 설치되고 조작스틱을 삽입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스틱 삽입홈이 형성된 조작핸들과, 상기 승강로드의 최상단에 중량물을 받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받침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는, 최상단에 외경을 축소시켜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을 둘레에 형성하면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상단부에 볼트나사 홈이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상단의 볼트나사 홈에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받침부는, 크로스 오버 파이프에 밀착되도록 일정 두께와 넓이로 형성되되, 상부에 일정 곡률의 플랜지 접촉면이 형성된 받침몸체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에 승강로드의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베어링과 고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베어링 설치홈과 상부에 고정판 삽입홈이 각각 구비한 중심축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 접촉면은, 크로스 오버 파이프에 형성된 플랜지 형태를 따라 접촉하도록 받침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축공은, 승강로드의 중심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되, 받침몸체의 하부에 베어링이 억지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베어링 설치홈과; 받침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 접촉면 상에 고정판이 돌출되지 않고 일정 깊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은, 받침몸체의 베어링 설치홈에 설치되되, 받침몸체의 회전과 크로스 오버 파이프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로드의 중심축에 삽입되고 단턱에 걸리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몸체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의 플랜지에 밀착할 수 있도록 플랜지 외경으로 플랜지 접촉면으로 형성하고, 플랜지 접촉면에 밀착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의 플랜지에서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테프론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은, 플랜지 접촉면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되고, 받침몸체의 중심축공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받침몸체의 회전 유지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심축의 볼트 나사 홈에 볼트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에 의하면, 승강로드의 상단에 일정 곡률로 테프론 재질인 플랜지 접촉면을 형성한 회전받침부를 설치함으로써, 500MV 표준화력 이상 터빈의 크로 오버 파이프 같은 중량물 및 기타 발전설비의 분해/조립 및 이동 후 안착시 간단한 레벨 조정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로스 오버 파이프의 분해 조립시 수평 레벨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랜지용 볼트 설치 및 분리시에 볼트 홀간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아 간섭이 제거됨에 따라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로스 오버 파이프처럼 길이가 길어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로스 오버 파이프 같은 중량물인 경우에도 플랜지부분을 받치는 회전받침부에 테프론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지지 대상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받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대에 형성된 조작핸들만 돌려주면 회전받침부는 플랜지에 밀착된 상태로 있으면서 상하 레벨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가 단일품으로 형성됨에 따라 침목 및 원형 파이프 등 고임장치가 필요없어 작업장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발명에 따른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의 베이스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지지대가 터빈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지지대가 크로스 오버 파이프의 플랜지를 받치도록 설치된 예를 확대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의 판 형태이면서 안착용구멍(4)이 형성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중심에 부착 설치되되, 일정 높이와 직경으로 형성되고 암나사 체결부(22)이 상단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중공 포스트(20)와, 상기 중공 포스트(20)의 외주면과 베이스판(10)의 상면에 리프팅용 홀(32)을 갖추고서 4방향에 걸쳐 각각 부착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보강판재(30)와, 회전 조작시에 승강하도록 상기 중공 포스트(20)의 암나사 체결부(22)에 나사결합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강로드(40)와, 상기 승강로드(40)의 상단부에 부착 설치되고 조작스틱(52)을 삽입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스틱 삽입홈(54)이 형성된 조작핸들(50)과, 상기 승강로드(40)의 최상단에 중량물을 받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받침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단에 외경을 축소시켜 형성되는 단턱(42)과, 상기 단??(42)을 둘레에 형성하면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상단부에 볼트나사 홈(44)이 형성된 중심축(46)과, 상기 중심축(46)의 상단의 볼트나사 홈(44)에 볼트(48)로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9)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받침부(6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에 밀착되도록 일정 두께와 넓이로 형성되되, 상부에 일정 곡률의 플랜지 접촉면(62)이 형성된 받침몸체(64)와, 상기 받침몸체(64)의 중심에 승강로드(40)의 중심축(4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베어링(80)과 고정판(49)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베어링 설치홈(66)과 상부에 고정판 삽입홈(68)이 각각 구비한 중심축공(6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랜지 접촉면(6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에 형성된 플랜지(72) 형태를 따라 접촉하도록 받침몸체(6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접촉면(62)은, 테프론 재질로 코팅되거나 테프론 재질로 받침몸체(64) 자체가 제조될 수도 있다. 즉, 테프론 재질로 형성된 플랜지 접촉면(62)은, 플랜지(72)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받침부(60)가 지지하는 대상물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력을 향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심축공(69)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로드(40)의 중심축(46)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되, 받침몸체(64)의 하부에 베어링(80)이 억지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베어링 설치홈(66)과, 받침몸체(6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 접촉면(62) 상에 고정판(49)이 돌출되지 않고 일정 깊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판 삽입홈(68)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어링(8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몸체(64)의 베어링 설치홈(66)에 설치되되, 받침몸체(64)의 회전과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로드(40)의 중심축(46)에 삽입되고 단턱(42)에 걸리도록 조립된다. 즉, 회전받침부(60)의 받침몸체(64)를 지지하고 승강로드(40)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몸체(64)는, 터빈(76)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플랜지(72)에 밀착할 수 있도록 플랜지 외경으로 플랜지 접촉면(62)으로 형성하고, 플랜지 접촉면(62)에 밀착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플랜지(72)에서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테프론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49)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 접촉면(62)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되고, 받침몸체(64)의 중심축공(69)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받침몸체(64)의 회전 유지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심축(46)의 볼트 나사 홈(44)에 볼트(48)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고정판(49)은, 회전받침부(60)의 교체시 고정판(49)만 교체하면 분리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쉽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터빈(76)의 상부에 설치되고 있는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분해 조립시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플랜지(72)측 저면에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2)를 터빈(76) 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조작핸들(50)의 둘레 형성된 스틱 삽입홈(54)에 조작스틱(52)을 삽입시킨 다음 조작핸들(50)을 회전시킨다. 조작핸들(50)은, 암나사 체결부(22)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조작핸들(50)의 회전으로 나사결합된 승강로드(40)는 상승하게 된다. 또는 승강로드(40)를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승강로드(40)의 최상단 중심축(46)의 단턱(42)에 베어링(80)이 안착되도록 하면서 설치된 회전받침부(60)는,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플랜지(7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회전받침부(60)가 플랜지(72)에 밀착하게 되면, 지지대(2)는, 크로스 오버 파이프(7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조작핸들(5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을 조절을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수평 레벌을 조절하면 된다. 즉, 조작핸들(5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면서 회전받침부(60)의 높낮이를 조정하면, 크로스 오버 파이프(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2)가 크로스 오버 파이프(70)를 수평 레벨을 조정이 쉽고 회전받침부(60)로 플랜지(7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플랜지(70)들을 체결하고 볼트들의 체결 또는 분리 작업 시 간섭이 없어 작업이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승강로드(40)가 일정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물 지지하고자 할 때 지지에 필요한 길이를 충분히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침목과 금속 환봉 등의 고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정확히 지지시킬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2)가 일체형인 단일품임에 따라 침목과 금속 환봉 등의 고임장치가 필요없어 작업장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4: 안착용구멍 10: 베이스판
20: 중공 포스트 22: 암나사 체결부
30: 보강판재 32: 리프팅용 홀
40: 승강로드 42: 단턱
44: 볼트나사 홈 46: 중심축
48: 볼트 49: 고정판
50: 조작핸들 52: 조작스틱
54: 스틱 삽입홈 60: 회전받침부
62: 플랜지 접촉면 64: 받침몸체
66: 베어링 설치홈 68: 고정판 삽입홈
69: 중심축공 70: 크로스 오버 파이프
72: 플랜지 76: 터빈
80: 베어링

Claims (7)

  1. 일정한 형상의 판 형태이면서 안착용구멍(4)이 형성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중심에 부착 설치되되, 일정 높이와 직경으로 형성되고 암나사 체결부(22)가 상단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중공 포스트(20)와; 상기 중공 포스트(20)의 외주면과 베이스판(10)의 상면에 리프팅용 홀(32)을 갖추고서 4방향에 걸쳐 각각 부착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보강판재(30)와; 회전 조작시에 승강하도록 상기 중공 포스트(20)의 암나사 체결부(22)에 나사결합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강로드(40)와; 상기 승강로드(40)의 상단부에 부착 설치되고 조작스틱(52)을 삽입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스틱 삽입홈(54)이 형성된 조작핸들(50)과; 상기 승강로드(40)의 최상단에 중량물을 받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받침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2)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40)는,
    최상단에 외경을 축소시켜 형성되는 단턱(42)과,
    상기 단??(42)을 둘레에 형성하면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상단부에 볼트나사 홈(44)이 형성된 중심축(46)과,
    상기 중심축(46)의 상단의 볼트나사 홈(44)에 볼트(48)로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받침부(60)는,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에 밀착되도록 일정 두께와 넓이로 형성되되, 상부에 일정 곡률의 플랜지 접촉면(62)이 형성된 받침몸체(64)와,
    상기 받침몸체(64)의 중심에 승강로드(40)의 중심축(4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베어링(80)과 고정판(49)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 베어링 설치홈(66)과 상부에 고정판 삽입홈(68)이 각각 구비한 중심축공(6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접촉면(62)은,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에 형성된 플랜지(72) 형태를 따라 접촉하도록 길게 길이방향을 갖는 장방형 받침몸체(64)에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공(69)은,
    승강로드(40)의 중심축(46)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되,
    받침몸체(64)의 하부에 베어링(80)이 억지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베어링 설치홈(66)과,
    받침몸체(64)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 접촉면(62) 상에 고정판(49)이 돌출되지 않고 일정 깊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판 삽입홈(68)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80)은,
    받침몸체(64)의 베어링 설치홈(66)에 설치되되,
    받침몸체(64)의 회전과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로드(40)의 중심축(46)에 삽입되고 단턱(42)에 걸리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64)는,
    터빈(76)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플랜지(72)에 밀착할 수 있도록 플랜지 외경으로 플랜지 접촉면(62)으로 형성하고,
    플랜지 접촉면(62)에 밀착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70)의 플랜지(72)에서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테프론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9)은,
    플랜지 접촉면(62)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되고, 받침몸체(64)의 중심축공(69)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받침몸체(64)의 회전 유지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심축(46)의 볼트 나사 홈(44)에 볼트(48)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KR1020200168278A 2020-12-04 2020-12-04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KR10248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278A KR102487463B1 (ko) 2020-12-04 2020-12-04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278A KR102487463B1 (ko) 2020-12-04 2020-12-04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729A true KR20220079729A (ko) 2022-06-14
KR102487463B1 KR102487463B1 (ko) 2023-01-11

Family

ID=8198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278A KR102487463B1 (ko) 2020-12-04 2020-12-04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4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74A (ko) 1998-08-06 1998-11-25 김병태 선박건조용 스크류 잭
KR20000012119U (ko) * 1998-12-15 2000-07-05 김형벽 선박용 평 블록의 높이 레벨 조정장치
KR101059506B1 (ko) 2008-11-24 2011-08-2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탑재용 스크류 잭
JP2016194256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東芝 クロスオーバー管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74A (ko) 1998-08-06 1998-11-25 김병태 선박건조용 스크류 잭
KR20000012119U (ko) * 1998-12-15 2000-07-05 김형벽 선박용 평 블록의 높이 레벨 조정장치
KR101059506B1 (ko) 2008-11-24 2011-08-2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탑재용 스크류 잭
JP2016194256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東芝 クロスオーバー管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63B1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5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tower sections
EP2580469B1 (en) Lifting device for hoisting components included in wind turbines and similar structures
US8596700B2 (en) Tower erection lift kit tools
EP2441955B1 (en) Tower Connector
KR20110063750A (ko)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베어링
KR920004049B1 (ko) 자동중심조정 사분면 페어리이드
CN109484572B (zh) 船舶系泊装置
EP3684982B1 (en) Reusable offshore installation template and use thereof
CN104400736A (zh) 用于航天器大型舱段对接分解的精密微调支撑装置
GB2460551A (en) Tower Structure and Method of Raising and Lowering Same
US9500178B2 (en) Wind turbine rotor and method of mounting
GB2229419A (en) Jacks for building supports.
US20240051796A1 (en) Adaptor for providing an adjustable connection between an endpiece of a lifting apparatus and a nacelle,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1056420B (zh) 转塔轴的吊装工装及转塔轴与转塔筒体的安装方法
KR20220079729A (ko) 터빈의 크로스 오버 파이프용 지지대
CN114319126A (zh) 供支撑桥梁的顶升装置及其施工方法
CN108532660B (zh) 一种绞吸式挖泥船桥架轴承维护方法
CN103010979A (zh) 俯仰组件及其拆装方法和工程机械设备
EP0585448B1 (en) Apparatus for offshore swivel replacement
CN110436326B (zh) 一种大型可变径可旋转式吊梁
CN110064918A (zh) 一种船舶尾轴螺旋桨压紧螺母装配工装
KR20150092952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조물 지지 장치
CN220412646U (zh) 一种高稳定性的起吊龙门架
CN217055217U (zh) 吊环
CN212156077U (zh) 一种管托整体悬空专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