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213A -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213A
KR20220079213A KR1020200168754A KR20200168754A KR20220079213A KR 20220079213 A KR20220079213 A KR 20220079213A KR 1020200168754 A KR1020200168754 A KR 1020200168754A KR 20200168754 A KR20200168754 A KR 20200168754A KR 20220079213 A KR20220079213 A KR 20220079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terminal
product
guest
virt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포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포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포레
Priority to KR102020016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9213A/ko
Publication of KR2022007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호스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호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로부터 가상공간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공간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DEMONSTRATION SERVICE BASED ON EXTENDED REALITY}
본 발명은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VR(Virtual Reality)기술과 AR(Argmented Reality)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VR기술은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현실에서 인간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을 말한다. 특히 많은 기업에서는 VR기술을 접목하여, 부품, 프로세스 또는 메커니즘의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거나 테스트함으로써, 프로토타입 및 디자인 제작에 있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최근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전세계의 교류가 끊긴 상황에서 VR기술을 이용한 여행 상품 또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AR기술은 현실 세계에 3차원의 가상의 이미지 또는 오브젝트 등의 가상 물체 즉, 디지털 임프린트를 삽입하여 향상된 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끈 '포케몬 고'와 같이 게임 서비스뿐만 아니라 수술 또는 시술 과정에서 AR기술을 도입하여 보다 정확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AR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많은 기업들은 현실 세계의 제약에서 벗어나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된 현실을 체험하도록 하고 있다. AR 기술 또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수업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나 교육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제약된 상황속에서도,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교육자료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최근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 AR기술과 VR기술을 혼합하여,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정보를 융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MR(Mixed reality)기술이 정보의 사용성과 효융성을 극대화한 차세대 정보처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더 나아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술을 융합하여 초실감형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기술 또한 등장했다. 확장현실은 현실과 가상공간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강화되어 현실공간과 정합되는 가상의 물체를 손으로 만지는 것과 같은 생동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최근 확장현실은 5G, AI와 결합하여 초실감 기술로 발전하여 산업전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많은 기업에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제품의 품평 또는 시연 행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이벤트의 경우 고객, 투자자 등과 같은 공간에서 진행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로 인하여 전세계를 비롯한 국내에서의 교류 또한 통제되는 상황 속에서 이러한 이벤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간적인 제약에서 벗어나 대용량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VR, AR, MR기술을 이러한 품평 행상 또는 시연 행사에서 활용한다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황 속에서도 고객들에게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7-0014818호, 2017.02.08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호스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호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로부터 가상공간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로부터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공간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상기 게스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3차원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3차원 오브젝트는,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오브젝트로 구성되고, 상기 호스트의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에 상응하는 3차원 오브젝트를 완성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호스트 단말기,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통신부, 각각의 제품에 상응하는 3차원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호스트로부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받고, 상기 호스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호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로부터 가상공간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로부터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공간상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객들과 분리된 공간 속에서도 기업이 제품을 시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기업과 고객에게 제공되는 3차원 이미지의 동기화를 통해, 고객은 기업을 통해 제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품의 무게, 크기에 제약되지 않고 제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가상공간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품과 관련하여 효율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에 관한 시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에 관한 시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에 관한 시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에 관한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호스트 단말기를 통해 증강현실 기반의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에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의 기준 좌표계를 일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자동차 익스테리어에 관한 정보를 3차원 오브젝트를 통해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자동차 인테리어에 관한 정보를 3차원 오브젝트를 통해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의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을 설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를 통해 가상 공간과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예시도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에 관한 시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에 관한 시연 서비스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공간의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품 시연과 관련하여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하는 시연자 또느 호스트 단말기를 의미한다.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가상공간에 참여하여, 호스트에 요청에 따라서 가상공간에 출력된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받는 참여자 또는 게스트 단말기를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느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AR 기술 및 VR 기술의 실현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스마트워치, 스마트카메라, HMD(Head Mounted Device) 등과 같은 전기 통신 장치, 리모트 콘트롤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10)와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 또는 서버(10)와 외부 서버(미도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서버(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버(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20)에 저장되고, 서버(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30)에 의하여 상기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서버(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호스트 및 게스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특정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오브젝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의 기준좌표계를 설정하고, 상기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에 관한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서버는 호스트로부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받는다(S510).
한편,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는, 호스트 또는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통해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제품에 관한 컨텐츠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CATIA(Computer Aided Three dimensional Interactive Application), SolidWorks 등에 의해 생성된 3차원 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가능한 가공된 3차원 VR, AR, MR 데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본 가상 품평 시스템에서 시연을 위해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특정 제품에 관한 3차원 데이터는, 호스트를 비롯한 사용자가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관한 복수의 2차원 이미지를 제공하면, 서버에 의해 렌더링 되어 해당 제품에 관한 3차원 이미지로 변환되어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3차원 오브젝트의 요청을 출력받으면, 서버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유형을 인식한다. 그리고 출력할 3차원 오브젝트의 추력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단말기가 증강현실 기술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경우, 3차원 오브젝트는 증강현실 상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로 결정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는 복수의 서버 장치로 구성된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서버 시스템은 WEB 서버, PATCH 서버, 인증 서버, 분배 서버 및 동기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호스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호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S520).
구체적으로, 호스트의 GPS 정보를 기초로, 기준 좌표계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 좌표계를 바탕으로,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 좌표계를 바탕으로,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하고, 호스트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실제 영상에 3차원 오브젝트를 정합한다.
도 5는 호스트 단말기를 통해 증강현실 기반의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제품이 자동차의 언더바디라고 가정할 때, 서버의 메모리에는 자동차의 언더바디를 랜더링하여 생성된 3차원 이미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서버는 호스트로부터 자동차의 언더바디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받으면, 호스트의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화면 상에, 상기 자동차의 언더바디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한다. 이때, 자동차의 언더바디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는 호스트 단말기를 기초로 생성된 기준 좌표계 내에서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되어 출력되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서버는 호스트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마커(Marker)을 인식하고, 마커의 크기 및 패턴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마커 정보를 매칭(Matching)하여 기준 좌표계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좌표계를 바탕으로, S120 단계에서의 출력되는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좌표계를 기초로, 가상의 영상인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호스트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실제 영상과 정합(Registration)한다. 한편, 서버가 마커를 인식를 인식하기 위하여, 마커의 추적(Detection)과 인식(Recognition)의 이미지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오브젝트는 상술한 증강현실이 아닌 가상현실상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트 단말기가 HMD 장치이와 같이 가상현실기술 기반의 장치이거나,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가상현실을 통한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받는 경우에는, 서버(100)는 가상현실에 참여한 호스트 단말기에 대해 기준 좌표계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좌표계를 기초로, 제품의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호스트에게 제공되는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제품을 시연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이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호스트로부터 가상공간 생성 요청을 수신한다(S530).
여기서 가상공간은 호스트와 공간적으로 분리된 제2 사용자가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받는 3차원 가상 현실을 의미한다.
한편, 가상공간은 서버에 의해 복수의 컨셉에 따라 생성되는 가상 스테이지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호스트와 게스트는 각각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3차원 오브젝트가 제공되는 가상 스테이지의 컨셉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서버는, 호스트의 요청에 상응하여, 가상공간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로부터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공간상에 출력한다(S540)
이때, 3차원 오브젝트는 가상현실에 참여한 게스트 단말기에 대해 기준 좌표계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위치를 기초로, 제품의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준 좌표계를 기반으로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 및 방향을 결정한다.
한편,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는 하나의 게스트로부터 가상공간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 모바일 기기의 유형을 인식한다. 그리고 게스트 모바일 기기의 유형에 상응하는 3차원 오브젝트의 데이터의 출력 방식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에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호스트의 요청에 따라 가상공간이 생성된 후 해당 가상공간에 참여한 게스트 단말기에는, 자동차를 나타내는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된다.
도 7은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의 기준 좌표계를 일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상기 게스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기준 좌표계 및 기준 좌표게 내 3차원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에 대한 기준 좌표계를 일치시?恣?, 3차원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각각의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스트와 게스트는 서로 상이한 단말기 유형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실시간으로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시연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단말기가 AR 기반의 단말기이고, 게스트 단말기가 VR 또는 MR기반의 단말기인 경우에도, 호스트에게 제공되는 증강현실을 통해 출력되는 3차원 오브젝트와 게스트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상에서 출력되는 3차원 오브젝트가 동일하게 시연 되어, 실시간으로 동일한 3차원 오브젝트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VR, AR 및 MR 디바이스를 실시간 동기화 하는 크로스플랫폼 기술과 다인 동시접속 기술을 통해, 호스트의 증강현실과 관련된 기준 좌표계와 게스트의 가상현실, 가상공간에서의 기준 좌표계를 일치시켜, 호스트의 단말기를 통한 액션에 따라 3차원 오브젝트의 시연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가 증강현실의 3차원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이에 사응하여 게스트의 가상공간에서의 3차원 오브젝트 또한 위치가 조정되게 된다. 이를 통해, 호스트는 해당 제품에 관한 설명을 보다 정확하게 게스트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호스트와 게스트가 가상공간에 참여한 경우 서버(100)는 가상공간상에 배치된 화면을 기준으로 호스트 단말기(200)의 액션에 따라 3차원 오브젝트의 시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호스트 단말장치(200)로부터 액션 요청을 수신하여 액션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정 정보를 가상공간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하여 3차원 오브젝트를 시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연자 단말장치(200)는 효과적으로 시연을 하기 위해 VR 공간상에서 시연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참여자들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단말기(200)는 호스트의 시점 변화에 따른 액션 요청을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는 호스트의 시점 변화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상의 위치 변화 정보 또는 방향 변화 정보를 특정 정보로 생성하여 3차원 오브젝트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게스트 단말기(210)는 가상공간에서 시연되고 있는 3차원 오브젝트에 대한 호스트의 시점 변화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상기 게스트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3차원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에서, 호스트의 액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게스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가 제품에 관한 부연 설명을 위하여,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상에서 동영상 및 PDF파일을 업로드하는 경우, 동시에 해당 동영상 및 PDF파일이 동시에 게스트의 가상현실 상에도 업로드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스트와 게스트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으며, 호스트는 게스트에게 제품에 관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제공하여, 성공적인 제품 시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서버(100)는 호스트 또는 게스트 단말기를 통해 공간상에 표시되는 특정 정보, 예를 들어 시점 정보(증강현실의 경우 기준좌표계 내 단말기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10)의 시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통한(210)의 시선 정보를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단말기(200)는 자신의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게스트들의 시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호스트 단말기(200)는 효과적으로 시연을 하기 위해 3차원 오브젝트상에서 강조하고 싶은 내용이나 영역을 표시하거나 필요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단말기(200)는 3차원 오브젝트에서의 강조 표시 또는 지정된 메시지 표시에 대한 액션 요청을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100)는 강조 표시 또는 지정된 메시지 표시에 대한 액션 요청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상의 특정 위치에 강조 표시 또는 지정된 메시지를 특정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게스트 단말기(210)는 가상공간에서 시연되고 있는 3차원 오브젝트상에서 호스트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이나 필요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호스트 단말기(200)의 액션에 따른 반응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단말기(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단말장치(210)의 반응 정보를 VR 공간상에 표시하여 시연자 단말기(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반응 정보는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 음성 정보, 메시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단말기(200)는 게스트 단말기(210)의 반응 정보를 통해 시연을 진행함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참여자들의 반응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증강현실 상에서 3차원 오브젝트(제품에 관한 콘텐츠 정보)가 출력되는, 즉 증강현실 기반의 모바일 기기를 소지한 호스트가 가상현실이 아닌, 증강현실 상에서 동일하게 3차원 오브젝트를 제공받는, 즉 증강현실 기반의 모바일 기기를 소지한 게스트의 참여를 서버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 모두 동일하게 증강현실 상에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가상현실 상에서 3차원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즉 가상현실 기반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호스트가, 상기 3차원 오브젝트를 증강현실 상에서 제공받는 게스트의 참여를 서버에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서버에 의해 호스트 단말기 및/또는 게스트 단말기에 출력되는 3차원 오브젝트, 즉 제품에 관한 콘텐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3차원 오브젝트는, 특정 제품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오브젝트로 구성되고, 기 설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에 상응하는 3차원 오브젝트를 완성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이 자동차라고 가정한다면, 서버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서스펜션 부품, 변속 부품, 조향 부품 등에 상응하는 각각의 3차원의 부품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조립하여 상기 자동차에 상응하는 3차원의 자동차 오브젝트를 완성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자동차 익스테리어에 관한 정보를 3차원 오브젝트를 통해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자동차 인테리어에 관한 정보를 3차원 오브젝트를 통해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3차원 오브젝트는, 특정 제품의 내부 및 외관의 프로토타입 데이터를 제공하는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제품이 자동차라고 가정할 때, 자동차의 외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오브젝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한 액션 및 입력 정보에 따라서 동시에 자동차의 내부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는 3차원 오브젝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장치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제어부
200: 호스트 단말기
210: 게스트 단말기

Claims (4)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유형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호스트의 단말기의 유형에 상응하는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로부터 가상공간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로부터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의 단말기의 유형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게스트의 단말기의 유형에 상응하는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게스트 단말기에 제공되는 가상공간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상기 게스트 단말기를 통해 동시에 제공되는 3차원 가상좌표계와 상기 가상좌표계 내 위치한 상기 3차원 오브젝트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오브젝트는, 상기 제품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오브젝트로 구성되고,
    상기 호스트의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공간에 완성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4. 호스트 단말기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통신부 각각의 제품에 상응하는 3차원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의 출력을 요청받고, 상기 호스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호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3차원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로부터 가상공간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가상공간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게스트로부터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게스트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품에 관한 하나 이상의 3차원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공간상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168754A 2020-12-04 2020-12-04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9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54A KR20220079213A (ko) 2020-12-04 2020-12-04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54A KR20220079213A (ko) 2020-12-04 2020-12-04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213A true KR20220079213A (ko) 2022-06-13

Family

ID=8198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754A KR20220079213A (ko) 2020-12-04 2020-12-04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92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818A (ko) 2015-07-31 2017-02-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자간 영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818A (ko) 2015-07-31 2017-02-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자간 영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101911A4 (en) A system, device, or method for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CN109636919B (zh) 一种基于全息技术的虚拟展馆构建方法、系统及存储介质
EP3769509B1 (en) Multi-endpoint mixed-reality meetings
CN110716645A (zh)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846497B (zh) 应用于终端的呈现三维地图的方法和装置
US20110316845A1 (en) Spatial association betwe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US20210166461A1 (en) Avatar animation
CN110691010B (zh) 跨平台跨终端vr/ar产品信息展示系统
CN114237540A (zh) 一种智慧课堂在线教学互动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1464859B (zh) 一种在线视频展示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Miranda et al. A low-cost multi-use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data visualization
US20190378335A1 (en) Viewer position coordination in simulated reality
KR20220079213A (ko) 확장 현실 기반의 제품 시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704885B2 (en) Augmented reality (AR) visual display to save
De Paolis et al.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Graphics: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AVR 2019, Santa Maria al Bagno, Italy, June 24–27, 2019, Proceedings, Part II
KR102169024B1 (ko) 3차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합동 지휘통제 훈련 시스템 및 제공방법
CN114615535A (zh) 同步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Linares-Garcia et al. Framework and case studies for context-aware ar system (caars) for ubiquitous applications in the aec industry
Zhang et al. Virtual Museum Scene Design Based on VRAR Realistic Interaction under PM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N111652984A (zh) 一种沙盘演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hyan et al.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art book to promote Malaysia traditional game
Fangyang et al. 3D modeling and augmented reality
CN113253840B (zh) 多参与模式的人工现实系统
Sun Remote Assistance for Repair Tasks Using Augmented Reality
WO2022255262A1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