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067A -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067A
KR20220079067A KR1020200168477A KR20200168477A KR20220079067A KR 20220079067 A KR20220079067 A KR 20220079067A KR 1020200168477 A KR1020200168477 A KR 1020200168477A KR 20200168477 A KR20200168477 A KR 20200168477A KR 20220079067 A KR20220079067 A KR 20220079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virtual gallery
gallery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인
Original Assignee
정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인 filed Critical 정규인
Priority to KR102020016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9067A/ko
Publication of KR2022007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chitectu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 작품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편집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공간 모듈 중 선택되는 선택 모듈의 종류, 선택 모듈의 배치, 선택 모듈의 연결 관계에 대한 선택 모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선택 모듈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1 가상 갤러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가상 갤러리에 전시되는 전시 작품의 배치, 크기 및 전시 작품이 전시될 액자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작품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전시 작품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2 가상 갤러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가상 갤러리의 내벽, 바닥, 천장, 소품,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3 가상 갤러리를 생성 및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Method for modular virtual gallery management}
본 발명은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공간 모듈을 배치 및 전시할 수 있는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전자 기술 및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용자에게 특정 물품을 배송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물품의 위치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특정 물품에 대한 이미지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물품을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사용자가 회화, 조각상, 사진 등의 미술품을 확인하고 감상하기 위하여 자신이 원하는 미술품이 전시되어 있는 갤러리를 직접 방문하여야 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갤러리에서 온라인을 통하여 전시되는 미술품에 대한 미술품 이미지 및 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미술품을 손쉽게 감상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온라인 갤러리는 고정된 가상 공간(프레임)에 작품을 배치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추가적인 공간을 운영하기 어렵고, 화가, 작가, 디자이너 등의 사용자가 전체 공간을 디자인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작품의 크기, 비율 등의 수정이 쉽지 않아 가상 액자의 여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공간을 직접 디자인할 수 있는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 작품을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편집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공간 모듈 중 선택되는 선택 모듈의 종류, 선택 모듈의 배치, 선택 모듈의 연결 관계에 대한 선택 모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선택 모듈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1 가상 갤러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가상 갤러리에 전시되는 전시 작품의 배치, 크기 및 전시 작품이 전시될 액자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작품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전시 작품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2 가상 갤러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가상 갤러리의 내벽, 바닥, 천장, 소품,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3 가상 갤러리를 생성 및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공간 모듈은, 각각이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방 카테고리, 문 카테고리 및 복도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2 가상 갤러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서 1인칭 시점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2 가상 갤러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공간 모듈을 이용하여 갤러리를 배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최근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전자 기술 및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용자에게 특정 물품을 배송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물품의 위치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특정 물품에 대한 이미지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물품을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사용자가 회화, 조각상, 사진 등의 미술품을 확인하고 감상하기 위하여 자신이 원하는 미술품이 전시되어 있는 갤러리를 직접 방문하여야 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갤러리에서 온라인을 통하여 전시되는 미술품에 대한 미술품 이미지 및 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미술품을 손쉽게 감상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온라인 갤러리는 고정된 가상 공간(프레임)에 작품을 배치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추가적인 공간을 운영하기 어렵고, 사용자(작가)가 전체 공간을 디자인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작품의 크기, 비율 등의 수정이 쉽지 않아 가상 액자의 여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시스템(1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서버로, 사용자 단말(200)이 참여하는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편집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공간 모듈 중 선택되는 선택 모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선택 모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시 작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전시 작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배경 정보를 획득하고,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3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 때 연계된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 등과 협업하여 SSO(Single Sign-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SO는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지고 여러 응용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인증 과정을 말한다.
사용자 단말(201, 202 등, 이하 200)은 서버(100)와의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전자 장치로, 예를 들면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시스템(10)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탑재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은 미술 작품 등을 관람하거나, 구입을 원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시스템(10)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300)는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편집 데이터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서버(100)와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베이스(300)'로 통일하여 표현되나, 각각의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00)는 클라우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가상 갤러리 생성부(130), 가상 갤러리 전시부(140), 메모리(150) 및 데이터 버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과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I/F와 동일한 타입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소정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소정의 네트워크 통신(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예: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버스(160)를 통해 서버(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석하고, 해석된 명령에 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갤러리 생성부(130) 및 가상 갤러리 전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 갤러리 생성부(130) 및 가상 갤러리 전시부(140)의 동작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가상 갤러리 생성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예를 들어, 화가, 디자이너 등)가 원하는 가상 갤러리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선택 모듈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전시 작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갤러리를 편집하여 제2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가상 갤러리를 편집하여 최종적으로 제3 가상 갤러리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 갤러리 전시부(140)는 가상 갤러리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가상 갤러리를 웹 상에 구현(전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3 가상 갤러리를 일반 사용자(관람객, 구매자 등)의 스마트폰, PC 등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시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가상 갤러리 생성부(130), 가상 갤러리 전시부(140) 등 서버(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5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버스(160)는 서버(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공간 모듈을 이용하여 갤러리를 배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시스템(10)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갤러리를 맞춤 생성하고, 이를 전시할 수 있다.
S1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시 작품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작가, 화가, 디자이너 등이 사용하는 단말이고, 해당 사용자로부터 전시, 판매를 목적으로 전시 작품을 수신할 수 있다.
S2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편집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정의된 복수의 형태를 갖는 공간 모듈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복수의 공간 모듈을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공간 모듈은 예를 들어, 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공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공간 모듈은, 각각이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방 카테고리, 문 카테고리, 복도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룸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공간 모듈 중 원하는 공간 모듈을 선택 모듈로서 선택하고, 선택된 공간 모듈 사이에 배치될 공간 모듈을 복도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공간 모듈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복도 카테고리 또는 룸 카테고리에서 선택된 선택 모듈에 배치될 문의 형상을 문 카테고리에서 선택할 수 있다.
S3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선택 모듈의 종류, 선택 모듈의 배치, 선택 모듈의 연결 관계에 대한 선택 모듈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모듈 및 선택 모듈들의 배치/연결 관계에 대한 데이터를 선택 모듈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S40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선택 모듈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가상 갤러리는 사용자의 공간 모듈 선택에 의해 구현되는 공간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S5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전시 작품의 배치, 전시 작품의 크기, 전시 작품이 전시될 액자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작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S3000 및 S4000 단계에서는 갤러리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였다면, S5000 단계에서는 "전시 작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60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전시 작품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상 갤러리를 편집하여 제2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가상 갤러리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전시 작품"의 디테일에 대한 요구사항이 반영된 가상 갤러리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S7000 단계에서, 서버(100)는 갤러리의 내벽, 바닥, 천장, 소품,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공간의 형상에 대한 정보, 전시 작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및 반영하여 제1 및 제2 가상 갤러리를 생성한 후, 기타 부수적인 사항(벽지의 종류 및 색상, 바닥의 종류 및 색상, 천장의 종류 및 색상, 의자 등 소품의 종류 및 배치, 조명의 종류 및 배치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S800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가상 갤러리를 편집한 제3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고, 이를 전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공간적인 요구, 전시 작품 자체에 대한 요구 및 배경 환경에 대한 요구를 모두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제3 가상 갤러리를 생성하고, 이를 제3자에게 공개(전시)할 수 있다.
상기 S6000 단계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1인칭 시점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2 가상 갤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내벽, 천장, 조명 등 배경 환경에 대해 결정하기 전에, 1인칭 시점으로 제2 가상 갤러리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택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더 정확한 선호 사항을 결정하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시스템(10)은, 정해진 공간(프레임)이 아닌, 사용자 맞춤형 가상 갤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작품의 수도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으로 구현됨으로 인해 추가적인 전시 공간의 확장이 용이하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서버(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서버(1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 시스템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가상 갤러리 생성부 140: 가상 갤러리 전시부
150: 메모리 160: 데이터 버스
200: 사용자 단말 300: 데이터베이스

Claims (3)

  1. 서버에 의해 구현되는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 작품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편집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공간 모듈 중 선택되는 선택 모듈의 종류, 상기 선택 모듈의 배치, 상기 선택 모듈의 연결 관계에 대한 선택 모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모듈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1 가상 갤러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가상 갤러리에 전시되는 상기 전시 작품의 배치, 크기 및 상기 전시 작품이 전시될 액자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시 작품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시 작품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2 가상 갤러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가상 갤러리의 내벽, 바닥, 천장, 소품,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배경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된 제3 가상 갤러리를 생성 및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 모듈은, 각각이 복수의 공간 모듈을 포함하는 방 카테고리, 문 카테고리 및 복도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상 갤러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1인칭 시점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제2 가상 갤러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KR1020200168477A 2020-12-04 2020-12-04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KR20220079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77A KR20220079067A (ko) 2020-12-04 2020-12-04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77A KR20220079067A (ko) 2020-12-04 2020-12-04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067A true KR20220079067A (ko) 2022-06-13

Family

ID=8198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477A KR20220079067A (ko) 2020-12-04 2020-12-04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90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3689B2 (en)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servers and device employing method
CN107645572B (zh) 用于支持多种网络寻址模式的系统、方法和装置
KR102003481B1 (ko) 가상 현실 기반 인테리어 컨설팅 서비스를 위한 가상 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80203592A1 (en) System for designing and configuring a home improvement installation
CN114998543A (zh) 数字孪生展厅的构建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0310798B2 (en) Programmable displa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screen display system
US10740949B2 (en) Multi-spectral rendering for synthetics
CN111191060A (zh) 一种3d模型实时渲染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094819A (ko) 사물 인터넷(IoT)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79067A (ko) 모듈형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CN11340727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868471A (zh) 新型设备构建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6052006A (ja) ネットワーク端末、コントロール端末、ネットワーク形成システム、端末接続プログラム、ホスト接続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ネットワーク形成方法
CN107741970A (zh) 用于对主页面进行布局的方法和装置
CN114266618A (zh) 家具的生产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20160026480A1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and method of registering new device
US106506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programming
JP2017069668A (ja) 情報処理装置
US102186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a non-inherent component to a device key of a networked device
CN103714035A (zh) 一种用于集成环境的多层软件总线结构
CN112331052B (zh) 物联网演示系统确定方法及装置
US202203181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vent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4637566B (zh) 一种多媒体资源发布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56998B1 (ko) 3d도면을 제공하는 시스템
CN113568858B (zh) 设备管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