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577A - 단말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577A
KR20220078577A KR1020227009968A KR20227009968A KR20220078577A KR 20220078577 A KR20220078577 A KR 20220078577A KR 1020227009968 A KR1020227009968 A KR 1020227009968A KR 20227009968 A KR20227009968 A KR 20227009968A KR 20220078577 A KR20220078577 A KR 20220078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ell
max
power
power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아키 타카하시
히로마사 우메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2007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2Power radiated at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Frequency Range 1(FR1) 및 Frequency Range 2(FR2) 중,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인 P-Max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무시하는 것, 및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이라고 간주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

Description

단말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시스템 용량의 더욱의 대용량화, 데이터 전송 속도의 더욱의 고속화, 무선 구간에 있어서의 더욱의 저지연화 등을 실현하기 위해, 5G 혹은 NR(New Radio)이라 불리는 무선 통신 방식(이하, 해당 무선 통신 방식을 'NR'이라고 한다.)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NR에서는, 10 Gbps 이상의 스루풋을 실현하면서 무선 구간의 지연을 1 ms 이하로 한다는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무선 기술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NR에 있어서는, 밀리미터파(extremely high frequency)를 이용한 무선 통신이 검토되고 있으며, LTE(Long Term Evolution)보다도 더욱 높은 주파수대까지의 폭넓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특히, 고 주파수대에서는 전파 로스가 증대됨으로써, 해당 전파 로스를 보완하기 위해, 빔 폭이 좁은 빔포밍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 3GPP TS 38.211 V15.0.0(2017-12)
P_MAX는, 셀마다 규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현재, 3GPP의 회합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3GPP의 릴리스 15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은 것이 상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3GPP의 릴리스 16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사양의 갱신에 따라, 구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고, 갱신된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구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고 그리고 갱신 후의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에 대해, FR2의 P_MAX가 통지된 경우에, 해당 단말을 적절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필요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Frequency Range 1(FR1) 및 Frequency Range 2(FR2) 중,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인 P-Max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무시하는 것, 및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이라고 간주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구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고, 갱신된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구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고 그리고 갱신 후의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에 대해, FR2의 P_MAX가 통지된 경우에, 해당 단말을 적절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디지털 빔포밍을 수행하는 회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아날로그 빔포밍을 수행하는 회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수행하는 회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빔포밍 시의 EIRP 및 CDF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UE 능력 보고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1)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2)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3)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4)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5)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6)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7)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8)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9)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10)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11)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2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일 예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는, 적절하게, 기존 기술이 사용된다. 단, 해당 기존 기술은, 예를 들면 기존의 LTE이지만, 기존의 LTE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LTE'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LTE-Advanced, 및, LTE-Advanced 이후의 방식(예: NR 또는 5G)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LTE에서 사용되고 있는 SS(Synchronization Signal), PSS(Primary SS), SSS(Secondary SS),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RACH(Physical RACH)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기재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들과 동일한 신호, 기능 등이 다른 명칭으로 불려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중통신(Duplex) 방식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어도 좋으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어도 좋으며, 또는 그 이외(예를 들면, Flexible Duplex 등)의 방식이어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송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프리코딩 벡터가 승산된(프리코딩 벡터로 프리코드된)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소정의 가중 벡터를 수신한 신호에 승산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송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특정한 안테나 포트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특정한 안테나 포트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어도 좋다. 안테나 포트란, 3GPP의 규격에서 정의되고 있는 논리 안테나 포트 또는 물리 안테나 포트를 가리킨다.
또한, 송신빔 및 수신빔의 형성 방법은, 상기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 안테나를 구비하는 기지국장치(100) 또는 단말(200)에 있어서, 각각의 안테나의 각도를 바꾸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으며, 프리코딩 벡터를 이용하는 방법과 안테나의 각도를 바꾸는 방법을 조합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으며, 다른 안테나 패널을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복수의 안테나 패널을 합쳐서 사용하는 방법을 조합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좋으며, 그 외의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고 주파수대에 있어서, 복수의 서로 다른 송신빔이 사용되어도 좋다. 복수의 송신빔이 사용되는 것을, 멀티빔 운용이라고 하며, 하나의 송신빔이 사용되는 것을, 싱글빔 운용이라고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선 파라미터 등이 '설정된다'란, 소정의 값이 미리 설정(Pre-configure) 또는 규정되는 것이어도 좋으며, 기지국장치(100) 또는 단말(200)로부터 통지되는 무선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이 하나씩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이며, 각각 복수이어도 좋다.
기지국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셀을 제공하고,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200)의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단말(200)로 송신한다.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의해 송신되는 TPC 커맨드(Transmission Power Control 커맨드)이다. TPC 커맨드에 의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송신 전력의 절대값 또는 누적되는 값이 단말(200)에 통지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UE 능력 보고를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한다. UE 능력 보고란, 예를 들면, 송신 전력에 따른 파워 클래스(Power class, PC)이다. 단말(200)은, 어느 하나의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지를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한다. 또,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파워 클래스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가 적용된 빔포밍에 따른 상향 링크 송신 신호를 기지국장치(100)를 향해 송신한다.
도 2는, 디지털 빔포밍을 수행하는 회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빔포밍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 안테나 소자 수와 같은 수의 DAC(Digital Analog Converter)를 구비함과 동시에,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를 송신 안테나 소자의 수만큼 수행하는 디지털 빔포밍이 검토되고 있다.
도 3은, 아날로그 빔포밍을 수행하는 회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아날로그 빔포밍을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송신 신호가 DAC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다음 단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회로 내의 가변이상기를 이용하여 빔포밍을 실현하는 아날로그 빔포밍이 검토되고 있다.
도 4는,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수행하는 회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빔포밍 및 아날로그 빔포밍을 조합함으로써, 빔포밍 처리를,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와 RF 회로 내의 가변이상기의 양방으로 실현하는 하이브리드 빔포밍이 검토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빔포밍 시의 EIRP 및 CDF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단말(200)의 빔포밍 시의 안테나 특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의 빔포밍 시의 안테나 특성은, 지향성을 갖는다.
도 5의 상측 도는, 수평면의 안테나 특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의 방사에 대응되는 메인 로브와, 그 외의 서브 로브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향성을 갖는 안테나이기 때문에, 방사각에 따라 이득이 크게 변한다. 등방성 안테나 게인 0 dBi를 나타내는 점선으로부터, 메인 로브의 최대 방사까지가, 단말(200)의 지향성 안테나의 안테나 게인이 된다.
도 5의 하측 도는, 수직면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대의 방사에 대응되는 메인 로브와, 그 외의 서브 로브가 도시되어 있다. 단말(200)이 지표에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반구형의 수직면을 표시하고 있지만, 실제는 구형상으로 전력은 방사된다.
여기서, EIRP(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등가 등방 방사 전력)에 있어서의 CDF(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누적 분포 함수)를 정의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안테나로부터 구형상으로 방사되는 전력에 대해, 전력을 측정하는 시험점(test point)을, 단말을 중심으로 하는 3차원의 구형상으로 복수 마련하고, 각 시험점에 있어서의 전력을 측정하고, 각 시험점에 있어서 달성 가능한 EIRP의 비율을 누적 분포로서 플롯한 것이, CDF가 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의 안테나의 메인 로브의 최대 방사가, 피크 EIRP에 대응된다. 즉, 단말(200)의 안테나가 최대의 안테나 게인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CDF는 100 퍼센트가 되어 피크 EIRP가 달성된다. 이때, 등방성 안테나 게인 0 dBi로 나타낸 점선으로부터, 메인 로브의 선단까지가, 안테나 게인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커넥터 단에 있어서 20 dBm의 송신 전력이며, 피크 EIRP가 30 dBm인 경우, 피크 EIRP를 달성하고 있을 때의 안테나 게인은 10 dB이다. 단말(200)이, 피크 EIRP를 달성하지 않을 때, 즉, 단말(200)이, 안테나의 보어 사이트를 향해 송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7 dB 등으로 안테나 게인은 저하된다.
또, 도 5에 도시되는 단말(200)의 안테나에 있어서, CDF가 50%가 되는 EIRP를 'CDF 50% EIRP'의 파선으로 나타냈다. 이때, 등방성 안테나 게인 0 dBi로 나타낸 점선으로부터, CDF가 50%가 되는 EIRP를 달성하는 위치까지가, 안테나 게인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안테나 커넥터 단에 있어서 20 dBm의 송신 전력이며, CDF가 50%가 되는 EIRP가 24 dBm인 경우, 안테나 게인은 4 d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UE 능력 보고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단계 S1에 있어서, 단말(200)은, 송신 전력에 따른 UE 능력을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한다. 송신 전력에 따른 UE 능력으로서, 파워 클래스 및 구형상 커버리지(spherical coverage)를 나타내는 정보가 있다. 구형상 커버리지란, 도 5에서 설명한 EIRP 또는 CDF로 규정되는 구형상의 범위이다.
NR에 있어서, UE 능력의 통지에 포함되는 파워 클래스는, 예를 들면 이하의 4개가 검토되고 있다.
1) FR1 UE power class
2) FR2 UE power class
3) FR1 UE power class for EN-DC
4) FR1 UE power class for NR CA
상기에 있어서의 FR(Frequency Range)은, 주파수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FR1은, 450 MHz부터 6000 MHz에 대응되고, FR2는, 24250 MHz부터 52600 MHz에 대응되어도 좋다. 상기의 주파수는 일 예이며, 주파수대를 규정하는 주파수는 변경되어도 좋다.
상기 1) FR1 UE power class는, RF 특성에 관련되는 특징을 갖고, 밴드마다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이다. 상기 2) FR2 UE power class는, RF 특성에 관련되는 특징을 갖고, 밴드마다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이다. 상기 3) FR1 UE power class for EN-DC는, RF 특성 및 베이스밴드 처리에 따른 특징을 갖고,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이다. EN-DC란,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및 NR 쌍방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듀얼 커넥티비티이다. 상기 4) FR2 UE power class for NR CA는, RF 특성 및 베이스밴드 처리에 따른 특징을 갖고,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이다. NR CA는, NR에 있어서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이다.
예를 들면, EN-DC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는, LTE의 파워 클래스와, NR의 파워 클래스에 기초하여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LTE의 파워 클래스와, NR의 파워 클래스에서, 최대의 파워 클래스가 EN-DC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로서 규정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LTE의 파워 클래스와, NR의 파워 클래스와의 합이, EN-DC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로서 규정되어도 좋다.
EN-DC의 파워 클래스는, 단말(200)의 파워앰프 및 RF 회로의 실장에 따라, 규정돼도 좋다. 예를 들면, LTE와 NR에서 파워앰프 및 RF 회로가 공통인 경우, LTE의 파워 클래스와, NR의 파워 클래스에서, 최대의 파워 클래스가 EN-DC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로서 규정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LTE와 NR에서 파워앰프 및 RF 회로가 독립인 경우, LTE의 파워 클래스와, NR의 파워 클래스와의 합이, EN-DC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로서 규정되어도 좋다.
FR1에 있어서의 NR의 파워 클래스는, LTE와 마찬가지로 규정되어도 좋다. 즉, 밴드마다 디폴트 파워 클래스가 규정되어도 좋다. 디폴트 파워 클래스란, 미리 규정된 소정의 파워 클래스이다.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만 대응되는 경우,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디폴트 파워 클래스는 포함되지 않고, 대응되는 주파수 밴드만이 포함된다.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더해, 다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경우만, 해당 다른 파워 클래스는,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포함된다.
여기서, FR2에 있어서의 NR의 파워 클래스는, 각 밴드에 디폴트 파워 클래스를 규정하지 않고, 단말(200)의 용도 또는 특성에 따라 파워 클래스를 변경해도 좋다. 그러나, FR2에 있어서의 상세한 파워 클래스의 정의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 NR CA 또는 EN-DC용으로, 상세한 파워 클래스의 정의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특히, 셀마다 규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인 P_MAX에서, 각 RAT(Radio Access Technology)의 최대 송신 전력인 P_CMAX가, 파워 클래스 이하로 억제되고 있는 경우, EN-DC용 P_CMAX가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하, UE 능력에 관한 제1 보고 수순을 설명한다. 표 1은, FR2의 NR 각 주파수 밴드에 대해, 단말 종별마다, 디폴트 파워 클래스 및 구형상 커버리지, 추가 파워 클래스 및 구형상 커버리지가 규정되는 일 예이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도시되는 'Band number'는, 각 밴드를 식별한다. 또, 단말 종별 'UE types'는, 이동 가능한 단말(200)을 나타내는 'Mobile' 및 고정된 단말(200)을 나타내는 'Fixed'를 포함한다. 단말(200)은, 접속 가능한 밴드에 대응되는 'Band number'와, 'UE types'를 UE 능력에 포함시켜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한다.
표 1에 도시되는 'Default PC/Spherical coverage'는, 디폴트 파워 클래스 및 구형상 커버리지이며, 미리 각 밴드 및 단말 종별에 대해 규정되고, 단말(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에 UE 능력으로서 보고되지 않아도 좋다. 표 1에 도시되는 'Additional PC/Spherical coverage'는, 디폴트 파워 클래스 및 구형상 커버리지 이외에 추가되는 파워 클래스 및 구형상 커버리지이며, 단말(200)로부터 기지국장치(100)에 UE 능력으로서 보고된다.
표 1에 도시되는 제1 예는, 'Band number'가 'n256'이며 'UE types'가 'Mobile'인 경우, 디폴트 파워 클래스는 '23 dBm'이며,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0 dBm 및 CDF 20 백분위수(percentile)로 표시되고, 추가의 파워 클래스 및 구형상 커버리지는 서포트되지 않는다. 여기서,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0 dBm부터 23 dBm까지, CDF 20 백분위수로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표 1에 도시되는 제2 예는, 'Band number'가 'n256'이며 'UE types'가 'Fixed'인 경우, 디폴트 파워 클래스는 '26 dBm'이며,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3 dBm 및 CDF 95 백분위수(percentile)로 표시되고, 추가의 파워 클래스는 '30 dBm' 및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7 dBm 및 CDF 95 백분위수로 표시된다. 여기서,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3 dBm부터 26 dBm까지, CDF 95 백분위수로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으며, 추가의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7 dBm부터 30 dBm까지, CDF 95 백분위수로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표 1에 도시되는 제3 예는, 'Band number'가 'n257'이며 'UE types'가 'Mobile'인 경우, 디폴트 파워 클래스는 '23 dBm'이며,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0 dBm 및 CDF 20 백분위수(percentile)로 표시되고, 추가의 파워 클래스는 '26 dBm' 및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3 dBm 및 CDF 20 백분위수로 표시된다. 여기서,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0 dBm부터 23 dBm까지, CDF 20 백분위수로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으며, 추가의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3 dBm부터 26 dBm까지, CDF 20 백분위수로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표 1에 도시되는 제4 예는, 'Band number'가 'n257'이며 'UE types'가 'Mobile'인 경우, 디폴트 파워 클래스는 '30 dBm'이며,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7 dBm 및 CDF 95 백분위수(percentile)로 표시되고, 추가의 파워 클래스는 '33 dBm' 및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30 dBm 및 CDF 95 백분위수로 표시된다. 여기서,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27 dBm부터 30 dBm까지, CDF 95 백분위수로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으며, 추가의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EIRP 30 dBm부터 33 dBm까지, CDF 95 백분위수로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하, UE 능력에 관한 제2 보고 수순을 설명한다. 제2 보고 수순에 있어서,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만 대응되는 경우,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포함되지 않고, 대응되는 주파수 밴드만이 포함된다.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더해, 다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경우만, 해당 다른 파워 클래스는,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포함된다. 또한, FR2의 NR 각 주파수 밴드에 대해, 파워 클래스마다, 표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가 규정되어, 단말(200)은, 해당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를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포함시킨다. 또는, 복수의 파워 클래스에 공통되어,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가 규정되어도 좋으며, 파워 클래스와는 독립하여,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가 규정되어도 좋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Spherical coverage class'가, EIRP 및 CDF로 규정된다. 표 2에 도시되는 제1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1'이, EIRP가 20 dBm 및 CDF가 20%로 규정된다. 표 2에 도시되는 제2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2'가, EIRP가 30 dBm 및 CDF가 50%로 규정된다. 표 2에 도시되는 제3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3'이, EIRP가 40 dBm 및 CDF가 95%로 규정된다.
단말(200)은, 서포트하는 주파수 밴드 넘버와 함께,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를 UE 능력에 포함시켜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한다. 복수의 파워 클래스에 공통되거나 파워 클래스와는 독립하여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가 규정되는 경우, 디폴트 파워 클래스와는 독립하여,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는 UE 능력으로서 기지국장치(100)에 보고되어도 좋다.
단말(200)은, 서포트하는 주파수 밴드 넘버와 함께, 디폴트 파워 클래스 이외의 파워 클래스를 서포트하는 경우, 해당 서포트하는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를 UE 능력에 포함시켜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한다. 복수의 파워 클래스에 공통되거나 파워 클래스와는 독립하여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가 규정되는 경우, 디폴트 파워 클래스 이외의 파워 클래스와는 독립하여,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는 UE 능력으로서 기지국장치(100)에 보고되어도 좋다.
또한,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는, 표 2와 같이 EIRP 및 CDF로 규정되어도 좋으며, EIRP만으로 규정되어도 좋으며, CDF만으로 규정되어도 좋다.
표 3은,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를 규정하는 다른 예이다.
Spherical coverage class EIRP[dBm] CDF[%]
1 20 20 이상 50 미만
2 20 50 이상
3 30 50 이상
4 40 95 이상
표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가, EIRP와, 소정의 범위인 CDF로 규정되어도 좋다. 표 3에 도시되는 제1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1'이, EIRP가 20 dBm 및 CDF가 20% 이상 50% 미만으로 규정된다. 표 3에 도시되는 제2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2'가, EIRP가 20 dBm 및 CDF가 50% 이상으로 규정된다. 표 3에 도시되는 제3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3'이, EIRP가 30 dBm 및 CDF가 50% 이상으로 규정된다. 표 3에 도시되는 제4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4'가, EIRP가 40 dBm 및 CDF가 95% 이상으로 규정된다.
표 4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를 규정하는 다른 예이다.
Spherical coverage class EIRP[dBm] CDF[%]
1 20 이상 20
2 20 이상 50
3 30 이상 50
4 40 이상 95
표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가, 소정의 범위인 EIRP와, CDF로 규정되어도 좋다. 표 4에 도시되는 제1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1'이, EIRP가 20 dBm 이상 및 CDF가 20%로 규정된다. 표 3에 도시되는 제2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2'가, EIRP가 20 dBm 이상 및 CDF가 50%로 규정된다. 표 3에 도시되는 제3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3'이, EIRP가 30 dBm 이상 및 CDF가 50%로 규정된다. 표 3에 도시되는 제4 예에서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4'가, EIRP가 40 dBm 이상 및 CDF가 95%로 규정된다.
이하, NR CA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의 정의에 대해 설명한다. NR CA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는, CA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와는 별도로, NR CA의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디폴트 파워 클래스가 규정되어도 좋다.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만 대응되는 경우,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대응되는 파워 클래스는 포함되지 않고, 대응되는 밴드 콤비네이션만이 포함된다.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더해, 다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경우만, 해당 다른 파워 클래스는,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기지국장치(100)에 통지된다. 또한, NR CA에 있어서, FR1에 포함되는 주파수 밴드 및 FR2에 포함되는 주파수 밴드의 쌍방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하, EN-DC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의 정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NR CA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EN-DC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는, EN-DC의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디폴트 파워 클래스가 규정되어도 좋다.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만 대응되는 경우,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디폴트 파워 클래스는 포함되지 않고, 대응되는 밴드 콤비네이션만이 포함된다.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 더해, 다른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경우만, 해당 다른 파워 클래스는,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기지국장치(100)에 통지된다.
또한, EN-DC 밴드 콤비네이션에 있어서의 NR에서 CA가 적용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의 1)∼5)는, EN-DC 밴드 콤비네이션에 있어서의 파워 클래스의 정의의 예이다. 이하의 1)∼5)와 같이 파워 클래스를 정의함으로써, 원하는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 EN-DC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LTE의 주파수 밴드의 파워 클래스와, NR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의 총합과의 합이, 해당 EN-DC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2) EN-DC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LTE의 주파수 밴드의 파워 클래스와, NR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의 총합에서, 보다 큰 쪽이 해당 EN-DC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3) EN-DC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LTE의 주파수 밴드의 파워 클래스와, NR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에서, 보다 작은 쪽이 해당 EN-DC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4) EN-DC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LTE의 주파수 밴드의 파워 클래스와, NR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각 파워 클래스에 있어서, 최대의 파워 클래스가 해당 EN-DC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5) EN-DC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LTE의 주파수 밴드의 파워 클래스와, NR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각 파워 클래스에 있어서, 최소의 파워 클래스가 해당 EN-DC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1)∼5) 중, 어느 하나의 정의를 EN-DC 밴드 콤비네이션의 파워 클래스로서 사용할지를, EN-DC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200)에 통지해도 좋다.
이하, EN-DC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값 P_CMAX의 정의에 대해 설명한다. LTE 또는 NR에 있어서의 P_CMAX는, 이하와 같이 산출되어도 좋다.
P_CMAX(LTE)=MIN(PowerClass_LTE, P_MAX(LTE))
P_CMAX(NR)=MIN(PowerClass_NR, P_MAX(NR))
또한, EN-DC에 있어서, MCG(Master Cell Group)와 SCG(Secondary Cell Group)의 합계의 셀 그룹에서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P_MAX(EN-DC)로서 새롭게 정의한다. P_MAX(EN-DC)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개별로 단말(200)에 통지되어도 좋다.
EN-DC에 있어서의 P_MAX는, P_MAX(EN-DC)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산출되어도 좋다.
P_CMAX(EN-DC)=MIN{[P_CMAX(LTE)+P_CMAX(NR)], P_MAX(EN-DC), PowerClass(EN-DC)}
단계 S2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는, 단계 S1에서 수신한 수신 전력에 따른 UE 능력에 기초하여,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단말(200)로 송신한다.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TPC 커맨드,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등이 포함된다. 이어지는 단계 S3에 있어서, 단말(200)은, 단계 S2에서 수신한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단말(200)은, 수신한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로부터 P_MAX를 취득하여, P_CMAX를 산출해도 좋으며, 수신한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로부터 TPC 커맨드를 취득하여,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1)이다. 도 7에 있어서 새로운 파워 클래스의 정의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 종별 'UE type'과, 최소의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에서, 구형상 커버리지를 규정하는 예이다. 또한, 표 1과 마찬가지로,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만 대응되는 경우,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디폴트 파워 클래스는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도 7에 도시되는 제1 예는, 밴드를 식별하는 'NR band'가 'n257'이며 'UE type'이 'Handheld'인 경우, 최소의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21.2-25.2]'이며,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CDF가 20 백분위수이며 EIRP가 18 dBm이다. 또한, 해당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디폴트 파워 클래스이며, 최대 허용 EIRP는 43 dBm, 최대 송신 전력은 23 dBm이다.
도 7에 도시되는 제2 예는, 밴드를 식별하는 'NR band'가 'n257'이며 'UE type'이 'Handheld'인 경우, 최소의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26'이며,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CDF가 20 백분위수이며 EIRP가 21 dBm이다. 또한, 최대 허용 EIRP는 43 dBm, 최대 송신 전력은 26 dBm이다.
도 7에 도시되는 제3 예는, 밴드를 식별하는 'NR band'가 'n257'이며 'UE type'이 'FWA(Fixed wireless access)'인 경우, 최소의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36'이며,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CDF가 95 백분위수이며 EIRP가 35 dBm이다. 또한, 해당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디폴트 파워 클래스이며, 최대 허용 EIRP는 55 dBm, 최대 송신 전력은 26 dBm이다.
도 7에 도시되는 제4 예는, 밴드를 식별하는 'NR band'가 'n257'이며 'UE type'이 'FWA'인 경우, 최소의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26'이며,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는, CDF가 95 백분위수이며 EIRP가 25 dBm이다. 또한, 최대 허용 EIRP는 43 dBm, 최대 송신 전력은 23 dBm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2)이다. 도 8에 있어서 새로운 파워 클래스의 정의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 종별 'UE type'과,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에서,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를 규정하고,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가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를 별도 규정받는 예이다. 또한, 표 1과 동일하게, 단말(200)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에만 대응되는 경우, UE 능력의 시그널링에, 디폴트 파워 클래스는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도 8의 'NR FR2 UE Power Class'에 도시되는 제1 예는, 밴드를 식별하는 'NR band'가 'n257'인 경우, 최소의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21.2-25.2]'이며,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는, '1'이다. 또한, 최대 허용 EIRP는 43 dBm, 최대 송신 전력은 23 dBm이다.
도 8의 'NR FR2 UE Power Class'에 도시되는 제2 예는, 밴드를 식별하는 'NR band'가 'n257'인 경우, 최소의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36.0'이며,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는, '2'이다. 또한, 최대 허용 EIRP는 43 dBm, 최대 송신 전력은 23 dBm이다.
도 8의 'NR FR2 UE Power Class'에 도시되는 제3 예는, 밴드를 식별하는 'NR band'가 'n257'인 경우, 최소의 피크 EIRP로 규정되는 파워 클래스 'Power Class Min Peak EIRP'는, '36.0'이며, 대응되는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는, '3'이다. 또한, 최대 허용 EIRP는 55 dBm, 최대 송신 전력은 26 dBm이다.
도 8의 'NR FR2 UE Spherical Class'에 있어서,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1'은, 구형상 커버리지의 CDF가 20 백분위수이며 EIRP가 15 dBm인 것을 나타낸다. 또,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2'는, 구형상 커버리지의 CDF가 50 백분위수이며 EIRP가 25 dBm인 것을 나타낸다. 또,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 '3'은, 구형상 커버리지의 CDF가 95 백분위수이며 EIRP가 35 dBm인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3)이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MR-DC(Multi RAT DC) 시에 규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인 PEMAX, MR-DC가, 단말(200)에 상위 레이어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여기서, MR-DC는, EN-DC를 가리켜도 좋다.
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EN-DC 시의 디폴트 파워 클래스 PPowerClass_Default, EN-D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파워 클래스 3이어도 좋다.
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EN-DC 시의 디폴트 파워 클래스 PPowerClass_Default, EN-DC와 PEMAX, MR-DC에 기초하여, 최대 송신 전력 PCMAX가 산출된다.
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폴트 파워 클래스보다 높은 파워 클래스에 대응되는 단말(200)에 있어서, PEMAX, MR-DC가 통지되지 않거나, PEMAX, MR-DC가 통지되어 디폴트 파워 클래스 이하의 최대 송신 전력인 경우, ΔPPowerClass, EN-DC는, PPowerClass, EN-DC-PPowerClass_Default, EN-DC로 정의되고, 다른 경우, ΔPPowerClass, EN-DC는, 0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주파수 밴드 및 단말 종별에 결합된 디폴트 파워 클래스 또는 파워 클래스와,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를 UE 능력으로서 기지국장치(100)에 통지할 수 있다. 또,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디폴트 파워 클래스 또는 파워 클래스와, 구형상 커버리지 클래스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LTE 또는 NR의 각 RAT의 최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EN-DC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장치가 적절한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_MAX는, 셀마다 규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현재, 3GPP의 회합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3GPP의 릴리스 15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이에 반해, 3GPP의 릴리스 16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3GPP의 릴리스 16에서,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3GPP의 릴리스 15에서,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릴리스 16에 대응되는 단말(200)은, 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되는 FR2에 대한 P_MAX에 기초하여, FR2의 셀에 대해 규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말(200)이 릴리스 15의 기능을 서포트하고, 그리고 릴리스 16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100)으로부터 FR2에 대한 P_MAX가 통지된 경우라도, 릴리스 15의 기능에서는, FR2에 대한 P_MAX는 통지되지 않는 것이 상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200)은 적절하게, 통지된 FR2의 P_MAX에 기초하여, FR2의 셀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3GPP의 릴리스 15 및 릴리스 16으로 하고 있지만, 적용되는 사양은, 이 예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사양의 갱신에 따라, 구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고, 갱신된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예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양의 갱신에 따라, 구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고, 갱신된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구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고 그리고 갱신 후의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200)에 대해, FR2의 P_MAX가 통지된 경우에, 해당 단말(200)을 적절하게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필요시되고 있다.
(Alt1)
System Information Block2(SIB2)는, 셀 재선택의 정보 및 주파수 내 셀 재선택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구 사양에 있어서, SIB2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에 대한 P_MAX의 필드를 무시하고, 해당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System Information Block4(SIB4)는, 다른 주파수 사이의 셀 재선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구 사양에 있어서, SIB4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에 대한 P_MAX의 필드를 무시하고, 해당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정보 요소 FrequencyInfoUL-SIB는, 업링크 캐리어 및 업링크 캐리어에서의 송신의 기본적인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구 사양에 있어서, FrequencyInfoUL-SIB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에 대한 P_MAX의 필드를 무시하고, 해당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또, 셀마다 규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인 P_MAX의 규정을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구 사양에 있어서,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에 대한 P_MAX의 필드를 무시하고, 해당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4)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사양에 있어서, SIB2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P_MAX의 필드를 무시하고, P_MAX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대 송신 전력, 즉 단말이 해당 셀의 주파수 밴드용으로 대응되고 있는 Power class로 정의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5)이다. 도 11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사양에 있어서, SIB4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P_MAX의 필드를 무시하고, P_MAX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대 송신 전력, 즉 단말이 해당 셀의 주파수 밴드용으로 대응되고 있는 Power class로 정의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6)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사양에 있어서, FrequencyInfoUL-SIB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P_MAX의 필드를 무시하고, P_MAX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대 송신 전력, 즉 단말이 해당 셀의 주파수 밴드용으로 대응되고 있는 Power class로 정의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7)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사양에 있어서,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P_MAX의 필드를 무시하고, P_MAX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사양에서 규정되어 있는 최대 송신 전력, 즉 단말이 해당 셀의 주파수 밴드용으로 대응되고 있는 Power class로 정의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적용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Alt1의 방식에 의하면, 구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고, 갱신된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구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고 그리고 갱신 후의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200)에 대해, FR2의 P_MAX가 통지된 경우에, 해당 단말(200)은 적절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lt2)
예를 들면, 구 사양에 있어서, SIB2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을 사용 불가능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구 사양에 있어서, SIB4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을 사용 불가능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구 사양에 있어서, FrequencyInfoUL-SIB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을 사용 불가능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구 사양에 있어서,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을 사용 불가능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8)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사양에 있어서, SIB2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을 사용 불가능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9)이다. 도 15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사양에 있어서, SIB4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을 사용 불가능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1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사양에 있어서, FrequencyInfoUL-SIB에,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을 사용 불가능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양 변경의 예(1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의 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 사양에 있어서, FR2의 셀에 대한 P_MA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200)은, 해당 FR2의 셀을 사용 불가능으로 간주해야 하는 것이 규정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Alt2의 방식에 의하면, 구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고, 갱신된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구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고 그리고 갱신 후의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200)에 대해, FR2의 P_MAX가 통지된 경우에, 해당 단말(200)은 적절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장치 구성)
다음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처리 및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의 기능 구성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각각, 적어도 실시 예를 실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단,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각각, 실시 예 중의 일부의 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18은, 기지국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100)는, 송신부(110)와, 수신부(120)와, 설정 정보 관리부(130)와, 전력 설정부(140)를 갖는다. 도 18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송신부(110)는, 단말(200)로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수신부(120)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NR-PUSCH을 포함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보다 상위의 레이어의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 수신부(120)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PT-RS에 기초하여, NR-PUSCH을 복조한다. 또, 송신부(110)는, 단말(200)로 NR-PSS, NR-SSS, NR-PBCH, NR-PDCCH 또는 NR-PDSCH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송신부(110)는, 단말(200)로 각종 참조 신호, 예를 들면, DM-RS를 송신한다.
설정 정보 관리부(1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 및, 단말(200)로 송신하는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설정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단말(200)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 등이다.
전력 설정부(140)는, 실시 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장치(100)로부터 단말(200)로 송신한다. 또한, 전력 설정부(140)에 있어서의 단말(200)로의 송신에 따른 기능부를 송신부(110)에 포함시켜도 좋으며, 전력 설정부(140)에 있어서의 단말(200)로부터의 수신에 따른 기능부를 수신부(120)에 포함시켜도 좋다.
도 19는, 단말(200)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200)은, 송신부(210)와, 수신부(220)와, 설정 정보 관리부(230)와, 전력 제어부(240)를 갖는다. 도 19에 도시되는 기능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능 구분 및 기능부의 명칭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송신부(210)는, 송신 데이터로부터 송신 신호를 작성하고, 해당 송신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 송신부(210)는, 기지국장치(100)에 각종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예를 들면, PT-RS 및 해당 PT-RS에 대응되는 NR-PUSCH을 송신한다. 수신부(220)는, 각종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수신한 물리 레이어의 신호로부터 보다 상위의 레이어의 신호를 취득한다. 또, 수신부(22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NR-PSS, NR-SSS, NR-PBCH, NR-PDCCH 또는 NR-PDSCH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송신부(210)는, 기지국장치(100)에 상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부(22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각종 참조 신호, 예를 들면, DM-RS, PT-RS 등을 수신한다. 설정 정보 관리부(230)는, 수신부(220)에 의해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 설정 정보 관리부(230)는,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도 저장한다. 설정 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단말(200)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 등이다.
전력 제어부(240)는, 실시 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에 따른 UE 능력을 기지국장치(100)로 송신한다. 또, 전력 제어부(240)는, 기지국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전력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0)로의 송신에 따른 기능부를 송신부(210)에 포함시켜도 좋으며, 전력 제어부(240)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0)로부터의 수신에 따른 기능부를 수신부(220)에 포함시켜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기능 구성도(도 18 및 도 19)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복수 요소가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100) 또는 단말(200)인 무선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각각,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기억장치(1002), 보조기억장치(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1001∼1006으로 도시되는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프로세서(1001), 기억장치(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 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 기억장치(1002) 및 보조기억장치(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기억장치(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기지국장치(100)의 송신부(110), 수신부(120), 설정 정보 관리부(130), 전력 설정부(140)는, 기억장치(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한 단말(200)의 송신부(210)와, 수신부(220)와, 설정 정보 관리부(230), 전력 제어부(240)는, 기억장치(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상술한 각종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1001)에서 실행되는 취지를 설명했으나, 2개 이상의 프로세서(1001)에 의해 동시 또는 축차적으로 실행되어도 좋다. 프로세서(1001)는, 하나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어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기억장치(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 ROM) 등의 광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보조기억장치(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상술한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기억장치(1002) 및/또는 보조기억장치(1003)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매체여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100)의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는,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단말(200)의 송신부(210) 및 수신부(220)는,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및 기억장치(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의 정리)
본 명세서에는, 적어도 이하의 단말 및 통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Frequency Range 1(FR1) 및 Frequency Range 2(FR2) 중,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인 P-Max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무시하는 것, 및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이라고 간주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양의 변경에 따라, 구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고, 갱신된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구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고 그리고 갱신 후의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에 대해 FR2의 P_MAX가 통지된 경우라도, 단말은 적절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예에 따르면, Frequency Range 1(FR1) 및 Frequency Range 2(FR2) 중,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인 P-Max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무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또, 실시 예에 따르면, Frequency Range 1(FR1) 및 Frequency Range 2(FR2) 중,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인 P-Max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이라고 간주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P_Max는, System Information Block2(SIB2), System Information Block4(SIB4), 및 System Information Block1(SIB1) 중의 FrequencyInfoUL-SIB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_Max를 무시한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으로서, Power class로서 정의되는 상기 FR2용 디폴트의 최대 송신 전력을 설정해도 좋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로 간주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상기 FR1의 셀을 선택해도 좋다.
Frequency Range 1(FR1) 및 Frequency Range 2(FR2) 중,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인 P-Max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무시하는 것, 및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이라고 간주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단말에 의한 통신 방법.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양의 변경에 따라, 구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지 않고, 갱신된 사양에서는, FR2에 있어서, P_MAX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구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고 그리고 갱신 후의 사양의 기능을 서포트하지 않는 단말에 대해 FR2의 P_MAX가 통지된 경우라도, 단말은 적절하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의 보충)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개시되는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2 이상의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은 한) 적용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도에 있어서의 기능부 또는 처리부의 경계는 반드시 물리적인 부품의 경계에 대응된다고는 할 수 없다. 복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부품에서 수행되어도 좋으며, 혹은 하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처리 수순에 대해서는, 모순이 없는 한 처리의 순서를 바꿔도 좋다. 처리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100) 및 단말(200)은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기지국장치(100)가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및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단말(200)이 갖는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각각,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HDD), 리무버블 디스크, CD-ROM,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어떠한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또,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고,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SUPER 3G,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W-CDMA(등록 상표), GSM(등록 상표),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장치(100)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장치(100) 및/또는 기지국장치(10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 또는 S-GW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장치(100)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했으나,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의 조합(예를 들면, MME 및 S-GW)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단말(200)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장치(100)는, 당업자에 따라, NB(NodeB), eNB(enhanced NodeB), gNB,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판단(determining)', '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판단', '결정'은, 예를 들면, 판정(judging),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판단', '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한 것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판단', '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 '결정'했다고 간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의 전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이들의 관사는, 문맥에서 명백하게 그렇지 않은 것이 나타내어져 있지 않으면,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력 제어부(240)는, 제어부의 일 예이다. 전력 설정부(140)는, 설정부의 일 예이다. 송신부(210)는, 통지부 또는 송신부의 일 예이다. 수신부(120)는, 취득부 또는 수신부의 일 예이다. 'Band number'는, 주파수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 예이다. 'UE types'는, 유저장치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 예이다. LTE는, 제1 RAT의 일 예이다. NR은, 제2 RAT의 일 예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100 기지국장치
200 단말
110 송신부
120 수신부
130 설정 정보 관리부
140 전력 설정부
200 유저장치
210 송신부
220 수신부
230 설정 정보 관리부
240 전력 제어부
1001 프로세서
1002 기억장치
1003 보조기억장치
1004 통신장치
1005 입력장치
1006 출력장치

Claims (5)

  1. Frequency Range 1(FR1) 및 Frequency Range 2(FR2) 중,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인 P-Max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무시하는 것, 및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이라고 간주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_Max는, System Information Block2(SIB2), System Information Block4(SIB4), 및 System Information Block1(SIB1) 중의 FrequencyInfoUL-SIB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단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_Max를 무시한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으로서, Power class로서 정의되는 상기 FR2용 디폴트의 최대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로 간주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상기 FR1의 셀을 선택하는, 단말.
  5. Frequency Range 1(FR1) 및 Frequency Range 2(FR2) 중,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 전력의 설정 정보인 P-Max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서포트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FR2의 셀에 있어서의 P-Max를 무시하는 것, 및 상기 FR2의 셀을 규제된 셀이라고 간주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단말에 의한 통신 방법.
KR1020227009968A 2019-10-02 2019-10-02 단말 및 통신 방법 KR202200785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39024 WO2021064928A1 (ja) 2019-10-02 2019-10-02 端末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577A true KR20220078577A (ko) 2022-06-10

Family

ID=7533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968A KR20220078577A (ko) 2019-10-02 2019-10-02 단말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30179A1 (ko)
EP (1) EP4040864A4 (ko)
JP (1) JP7263533B2 (ko)
KR (1) KR20220078577A (ko)
CN (1) CN114557054B (ko)
CO (1) CO2022003047A2 (ko)
WO (1) WO20210649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7486A1 (ja) * 2022-02-16 2023-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UE(User Equipment)
US11895600B2 (en) * 2022-04-22 2024-02-06 Lg Electronics Inc. Maximum power re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6269A (en) * 2004-04-16 2006-01-18 Nokia Corp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EP2940830B1 (en) * 2014-04-30 2020-03-04 WITS Co., Ltd.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JP6325597B2 (ja) * 2016-05-10 2018-05-1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0531397B2 (en) * 2017-10-02 2020-0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signal and a user equipment performing the method
JP2019097044A (ja) * 2017-11-22 2019-06-2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
CN112166629B (zh) * 2018-02-09 2024-03-12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
EP3753312B1 (en) * 2018-02-15 2021-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higher frequency carriers in n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3GPP TS 38.211 V15.0.0(2017-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0864A1 (en) 2022-08-10
JPWO2021064928A1 (ko) 2021-04-08
EP4040864A4 (en) 2023-06-21
CN114557054B (zh) 2024-03-15
CN114557054A (zh) 2022-05-27
CO2022003047A2 (es) 2022-04-19
WO2021064928A1 (ja) 2021-04-08
US20220330179A1 (en) 2022-10-13
JP7263533B2 (ja)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417860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11582702B2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JP7263533B2 (ja) 端末、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9097044A (ja) ユーザ装置
WO20220273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ue) selection from among asymmetric uplink (ul) antenna panels
JP2019097043A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7450533B2 (ja) 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RU2795049C1 (ru)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связи
US20210120396A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re network apparatus
WO20220272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twork indications for selecting asymmetric uplink (ul) antenna panels at user equipment (ue)
JP2019097042A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JP7149324B2 (ja) 端末及び基地局装置
OA19815A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pparatus.
KR20210039387A (ko) 유저장치 및 기지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