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816B1 - 최대 전력 감소 - Google Patents

최대 전력 감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816B1
KR102616816B1 KR1020230052688A KR20230052688A KR102616816B1 KR 102616816 B1 KR102616816 B1 KR 102616816B1 KR 1020230052688 A KR1020230052688 A KR 1020230052688A KR 20230052688 A KR20230052688 A KR 20230052688A KR 102616816 B1 KR102616816 B1 KR 102616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hz
mpr
ofdm
allocation
allo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0756A (ko
Inventor
양윤오
마르쿠스 페테르손
이상욱
황진엽
박진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5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53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 H04L27/20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using a pair of orthogonal carriers, e.g. quadrature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 (present disclosure)의 일 개시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를 제공한다. 상기 UE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파워클래스 2 또는 3의 UE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MPR (Maximum Power Reduction)에 기초하여 전송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FR2-2에서 상기 전송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MPR은 채널 대역폭, RB (resource block) allocation,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Description

최대 전력 감소{maximum power reduction}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고속 패킷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다. LTE 목표인 사용자와 사업자의 비용 절감, 서비스 품질 향상, 커버리지 확장 및 시스템 용량 증대를 위해 많은 방식이 제안되었다. 3GPP LTE는 상위 레벨 필요조건으로서 비트당 비용 절감, 서비스 유용성 향상, 주파수 밴드의 유연한 사용, 간단한 구조, 개방형 인터페이스 및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비를 요구한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및 3GPP에서 NR(new radio)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 및 사양을 개발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3GPP는 긴급한 시장 요구와 ITU-R(ITU radio communication sector)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20 프로세스가 제시하는 보다 장기적인 요구 사항을 모두 적시에 만족시키는 NR을 성공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구성 요소를 식별하고 개발해야 한다. 또한, NR은 먼 미래에도 무선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100 GHz에 이르는 임의의 스펙트럼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communications),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을 포함하는 모든 배치 시나리오, 사용 시나리오, 요구 사항을 다루는 단일 기술 프레임 워크를 대상으로 한다. NR은 본질적으로 순방향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
5G NR에서, 단말은 최대 출력 전력 요건(또는, 요구 사항)(maximum output power requirements)을 적용하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출력 전력 요건은 Maximum Power Reduction (MPR) 값일 수 있다.
파워클래스(power class)는 NR carrier의 채널 대역폭내의 모든 전송 대역폭에 대한 최대 출력을 말하는 것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1ms)주기로 측정한다.
FR2-2대역 지원하는 단말 중 PC2 및 PC3의 단말의 단말 RF 성능 규격이 없었다.
FR2-2대역 지원하는 단말 중 PC2 및 PC3의 단말의 단말 RF 성능 규격, 즉 MPR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3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차세대 이동통신의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6은 NR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7은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단말의 전송 전력을 제한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단말의 절차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기지국의 절차를 나타낸다.
다음의 기법, 장치 및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다중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또는 E-UTRA(evolved UTRA)와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E-UTRA를 이용한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다. 3GPP LTE는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 OFDMA를, 상향링크(UL; uplink)에서 SC-FDMA를 사용한다. 3GPP LTE의 진화는 LTE-A(advanced), LTE-A Pro, 및/또는 5G NR(new radio)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구현은 주로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성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이 제공되지만,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는 본 명세서의 측면은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와 기술 중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용어와 기술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이전에 발행된 무선 통신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or B)"나 "A 및/또는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A 및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B 및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A, B 또는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or C)"나 "A, B 및/또는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A, B 및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C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는 기기 간 무선 통신 및/또는 연결(예: 5G)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 및/또는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표시된 5G 사용 시나리오는 본보기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은 도 1에 나와 있지 않은 다른 5G 사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5G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요구사항 범주는 (1)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범주, (2) 거대 기계 유형 통신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범주 및 (3)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범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은 무선 장치(100a~100f), 기지국(BS; 200) 및 네트워크(300)을 포함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의 예로 5G 네트워크를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구현은 5G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으며, 5G 시스템을 넘어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200)과 네트워크(300)는 무선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장치는 다른 무선 장치와 관련하여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작동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예: 5G NR 또는 LTE)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내며, 통신/무선/5G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로봇(100a), 차량(100b-1 및 100b-2), 확장 현실(XR; extended reality) 장치(100c), 휴대용 장치(100d), 가전 제품(100e), IoT 장치(100f) 및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장치/서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차량, 자율주행 차량 및 차량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에는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가 포함될 수 있다. XR 장치는 AR/VR/혼합 현실(MR; mixed realty)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가전 제품, 디지털 표지판, 차량, 로봇 등에 장착된 HMD(head-mounted device), HUD(head-up display)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에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안경) 및 컴퓨터(예: 노트북)가 포함될 수 있다. 가전 제품에는 TV, 냉장고, 세탁기가 포함될 수 있다. IoT 장치에는 센서와 스마트 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장치(100a~100f)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라고 부를 수 있다. UE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시스템,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울트라북, 차량, 자율주행 기능이 있는 차량, 연결된 자동차, UAV, AI 모듈, 로봇, AR 장치, VR 장치, MR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날씨/환경 장치, 5G 서비스 관련 장치 또는 4차 산업 혁명 관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AV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무선 제어 신호에 의해 항행되는 항공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장치는 가상 환경의 개체 또는 배경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장치는 가상 세계의 개체나 배경을 실제 세계의 개체나 배경에 연결하여 구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 장치는 객체나 가상 세계의 배경을 객체나 실제 세계의 배경으로 병합하여 구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장치는, 홀로그램이라 불리는 두 개의 레이저 조명이 만났을 때 발생하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입체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여 360도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 안전 장치는 사용자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이미지 중계 장치 또는 이미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장치와 IoT 장치는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이나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장치와 IoT 장치는 스마트 미터, 자동 판매기, 온도계, 스마트 전구, 도어락 또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질병의 진단, 처리, 완화,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부상이나 손상을 진단, 처리, 완화 또는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구조나 기능을 검사, 교체 또는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임신 조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치료용 장치, 운전용 장치, (체외)진단 장치, 보청기 또는 시술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는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는 카메라, 폐쇄 회로 TV(CCTV), 녹음기 또는 블랙박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테크 장치는 모바일 결제와 같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테크 장치는 지불 장치 또는 POS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환경 장치는 날씨/환경을 모니터링 하거나 예측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에는 AI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장치(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5G(예: NR) 네트워크 및 5G 이후의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예: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b-1, 100b-2)은 직접 통신(예: V2V(vehicle-to-vehicle)/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장치(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 간 및/또는 무선 장치(100a~100f)와 기지국(200) 간 및/또는 기지국(200) 간에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확립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device-to-device) 통신), 기지국 간 통신(150c)(예: 중계,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등과 같이 다양한 RAT(예: 5G NR)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장치(100a~100f)와 기지국(200)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제안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 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맵핑/디맵핑 등), 및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AI는 인공적인 지능 또는 이를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하며, 머신 러닝(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은 인공 지능 분야에서 다루는 다양한 문제를 정의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머신 러닝은 어떠한 작업에 대하여 꾸준한 경험을 통해 그 작업에 대한 성능을 높이는 알고리즘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로봇은 스스로 보유한 능력에 의해 주어진 일을 자동으로 처리하거나 작동하는 기계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 로봇을 지능형 로봇이라 칭할 수 있다. 로봇은 사용 목적이나 분야에 따라 산업용, 의료용, 가정용, 군사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로봇은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등의 다양한 물리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로봇은 구동부에 휠, 브레이크, 프로펠러 등이 포함되어, 구동부를 통해 지상에서 주행하거나 공중에서 비행할 수 있다.
자율 주행은 스스로 주행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자율 주행 차량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 또는 사용자의 최소한의 조작으로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에는 주행 중인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이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 목적지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기술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내연 기관만을 구비하는 차량, 내연 기관과 전기 모터를 함께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그리고 전기 모터만을 구비하는 전기 차량을 모두 포괄하며, 자동차뿐만 아니라 기차, 오토바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은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진 로봇으로 볼 수 있다.
확장 현실은 VR, AR, MR을 총칭한다. VR 기술은 현실 세계의 객체나 배경 등을 CG 영상으로만 제공하고, AR 기술은 실제 사물 영상 위에 가상으로 만들어진 CG 영상을 함께 제공하며, MR 기술은 현실 세계에 가상 객체를 섞고 결합시켜서 제공하는 CG 기술이다. MR 기술은 현실 객체와 가상 객체를 함께 보여준다는 점에서 AR 기술과 유사하다. 그러나, AR 기술에서는 가상 객체가 현실 객체를 보완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반면, MR 기술에서는 가상 객체와 현실 객체가 동등한 성격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NR은 다양한 5G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뉴머럴로지(numerology) 또는 부반송파 간격(SCS; subcarrier spacing)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 도시(dense-urban), 저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반송파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NR 주파수 대역은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아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주파수 범위 정의 주파수 범위 부반송파 간격
FR1 450MHz - 6000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아래 표 2와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 자율 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 정의 주파수 범위 부반송파 간격
FR1 41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여기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 NR 및 6G뿐만 아니라 저전력 통신을 위한 협대역 IoT(NB-IoT, narrowband Io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B-IoT 기술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LTE Cat NB1 및/또는 LTE Cat NB2 등의 규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M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LPWAN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eMTC(enhanced MTC)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1) LTE CAT 0, 2) LTE Cat M1, 3) LTE Cat M2, 4) LTE non-BL(non-bandwidth limited), 5) LTE-MTC, 6) LTE MTC, 및/또는 7) LTE M 등의 다양한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저전력 통신을 고려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LPW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그비 기술은 IEEE 802.15.4 등의 다양한 규격을 기반으로 소형/저-파워 디지털 통신에 관련된 PAN(personal area networks)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제1 무선 장치(100) 및/또는 제2 무선 장치(200)는 사용 예/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장치(100) 및 제2 무선 장치(200)}은(는) 도 1의 {무선 장치(100a~100f) 및 기지국(200)}, {무선 장치(100a~100f) 및 무선 장치(100a~100f)} 및/또는 {기지국(200) 및 기지국(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장치(100) 및/또는 제2 무선 장치(200)는 다양한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무선 장치(100)는 송수신기(106)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프로세싱 칩(101)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칩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칩(101)은 프로세서(1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4)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체적으로, 메모리(104)는 프로세싱 칩(10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하고,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기(106)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04)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을 구현하는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105)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0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RAT(예: LTE 또는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각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부와 교체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무선 장치(100)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무선 장치(200)는 송수신기(206)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프로세싱 칩(201)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칩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칩(201)은 프로세서(2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204)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체적으로, 메모리(204)는 프로세싱 칩(20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하고,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기(206)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4 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04)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을 구현하는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205)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2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20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RAT(예: LTE 또는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각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부와 교체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무선 장치(200)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무선 장치(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physical) 계층,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계층과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및/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통신 제어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 Processing Unit) 및 메모리 제어 프로세서의 집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M),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 등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 등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발진기(oscillator)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제어 하에 (아날로그) 발진기 및/또는 필터를 통해 OFDM 베이스밴드 신호를 OFDM 신호로 상향 변환(up-convert)하고, 상향 변환된 OFDM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에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반송파 주파수에서 OFDM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제어 하에 (아날로그) 발진기 및/또는 필터를 통해 OFDM 신호를 OFDM 베이스밴드 신호로 하향 변환(down-convert)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선 장치(100, 200)는 추가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성 요소(140)는 무선 장치(100, 200)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구성 요소(140)는 동력 장치/배터리, 입출력(I/O) 장치(예: 오디오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구동 장치 및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성 요소(14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현에서, UE는 상향링크(UL; uplink)에서 송신 장치로,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 수신 장치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현에서, 기지국은 UL에서 수신 장치로, DL에서 송신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 상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무선 장치(100)는 UE로, 제2 무선 장치(200)는 기지국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장치(100)에 연결, 탑재 또는 출시된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라 UE 동작을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라 UE 동작을 수행하도록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장치(200)에 연결, 탑재 또는 출시된 프로세서(202)는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노드 B(Node B), eNode B(eNB), gNB로 불릴 수 있다.
3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UE(100)는 도 2의 제1 무선 장치(100)에 대응할 수 있다.
UE(100)는 프로세서(102), 메모리(104), 송수신기(106),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전원 관리 모듈(141), 배터리(142), 디스플레이(143), 키패드(144),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145), 스피커(146), 마이크(147)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UE(1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102)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ASIC, 기타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DSP,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변조 및 복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의 예는 Qualcomm®에서 만든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서 만든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서 만든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서 만든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서 만든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에서 찾을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프로세서(102)를 작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4)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기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이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때, 여기에 설명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모듈(예: 절차, 기능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4)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 내에 또는 프로세서(102)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술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프로세서(102)와 통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06)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제어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전원 관리 모듈(141)은 프로세서(102) 및/또는 송수신기(106)의 전원을 관리한다. 배터리(142)는 전원 관리 모듈(141)에 전원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143)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키패드(144)는 프로세서(102)에서 사용할 입력을 수신한다. 키패드(144)는 디스플레이(143)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145)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관련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집적 회로이며, 휴대 전화나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스피커(146)는 프로세서(102)에서 처리한 사운드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147)는 프로세서(102)에서 사용할 사운드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상기 BS는 gNodeB(혹은 gNB)(20a)와 eNodeB(혹은 eNB)(20b)로 구분된다. 상기 gNB(20a)는 5세대 이동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eNB(20b)는 4세대 이동통신, 즉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한다.
각 기지국(20a 및 20b)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20-1, 20-2, 20-3)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UE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UE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UE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20)에서 UE(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UE(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UE(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UE(10)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크게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UE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 NR에서의 동작 대역>
NR에서의 동작 대역은 다음과 같다.
아래의 표 3의 동작 대역은 LTE/LTE-A의 동작 대역으로부터 전환된(refarming)된 동작 대역이다. 이를 FR1 대역이라고 한다.
NR 동작대역 상향링크(UL) 동작 대역 하향링크(DL) 동작 대역 Duplex Mode
FUL _ low - FUL _high FDL _ low - FDL _high
n1 1920 MHz - 1980 MHz 2110 MHz - 2170 MHz FDD
n2 1850 MHz - 1910 MHz 1930 MHz - 1990 MHz FDD
n3 1710 MHz - 1785 MHz 1805 MHz - 1880 MHz FDD
n5 824 MHz - 849 MHz 869 MHz - 894 MHz FDD
n7 2500 MHz - 2570 MHz 2620 MHz - 2690 MHz FDD
n8 880 MHz - 915 MHz 925 MHz - 960 MHz FDD
n12 699 MHz - 716 MHz 729 MHz - 746 MHz FDD
n20 832 MHz - 862 MHz 791 MHz - 821 MHz FDD
n25 1850 MHz - 1915 MHz 1930 MHz - 1995 MHz FDD
n28 703 MHz - 748 MHz 758 MHz - 803 MHz FDD
n34 2010 MHz - 2025 MHz 2010 MHz - 2025 MHz TDD
n38 2570 MHz - 2620 MHz 2570 MHz - 2620 MHz TDD
n39 1880 MHz - 1920 MHz 1880 MHz - 1920 MHz TDD
n40 2300 MHz - 2400 MHz 2300 MHz - 2400 MHz TDD
n41 2496 MHz - 2690 MHz 2496 MHz - 2690 MHz TDD
n50 1432 MHz - 1517 MHz 1432 MHz - 1517 MHz TDD1
n51 1427 MHz - 1432 MHz 1427 MHz - 1432 MHz TDD
n66 1710 MHz - 1780 MHz 2110 MHz - 2200 MHz FDD
n70 1695 MHz - 1710 MHz 1995 MHz - 2020 MHz FDD
n71 663 MHz - 698 MHz 617 MHz - 652 MHz FDD
n74 1427 MHz - 1470 MHz 1475 MHz - 1518 MHz FDD
n75 N/A 1432 MHz - 1517 MHz SDL
n76 N/A 1427 MHz - 1432 MHz SDL
n77 3300 MHz - 4200 MHz 3300 MHz - 4200 MHz TDD
n78 3300 MHz - 3800 MHz 3300 MHz - 3800 MHz TDD
n79 4400 MHz - 5000 MHz 4400 MHz - 5000 MHz TDD
n80 1710 MHz - 1785 MHz N/A SUL
n81 880 MHz - 915 MHz N/A SUL
n82 832 MHz - 862 MHz N/A SUL
n83 703 MHz - 748 MHz N/A SUL
n84 1920 MHz - 1980 MHz N/A SUL
n86 1710 MHz - 1780 MHz N/A SUL
하기의 표는 고주파 상에서 정의되는 NR 동작 대역을 나타낸다. 이를 FR2 대역이라고 한다.
Operating Band Uplink (UL) operating band
BS receive
UE transmit
Downlink (DL) operating band
BS transmit
UE receive
Duplex Mode
FUL _ low - FUL _high FDL _ low - FDL _high
n257 26500 MHz - 29500 MHz 26500 MHz - 29500 MHz TDD
n258 24250 MHz - 27500 MHz 24250 MHz - 27500 MHz TDD
n259 39500 MHz - 43500 MHz 39500 MHz - 43500 MHz TDD
n260 37000 MHz - 40000 MHz 37000 MHz - 40000 MHz TDD
n261 27500 MHz - 28350 MHz 27500 MHz - 28350 MHz TDD
n262 47200 MHz - 48200 MHz 47200 MHz - 48200 MHz TDD
n263 57000 MHz - 71000 MHz 57000 MHz - 71000 MHz TDD
도 5a 내지 도 5c는 차세대 이동통신의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
도 5a를 참조하면, UE는 LTE/LTE-A 기반의 셀과 그리고 NR 기반의 셀에 DC(dual connectivity)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NR 기반의 셀은 기존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즉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7a와 달리 LTE/LTE-A 기반의 셀은 5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 즉 NG(Next Generation)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위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을 NSA(non-standalone)라고 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UE는 NR 기반의 셀에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비스 방식을 SA(standalone)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NR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은 다운 링크 서브프레임을 이용하고,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 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쌍으로 된 스펙트럼 및 쌍을 이루지 않은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펙트럼은 다운 링크 및 업 링크 동작을 위해 두 개의 반송파 스펙트럼을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쌍 스펙트럼에서, 하나의 반송파는 서로 쌍을 이루는 하향링크 대역 및 상향링크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NR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NR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은 10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5ms 하프-프레임(Half-Frame, HF)으로 정의된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1ms 서브프레임(Subframe, SF)으로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분할되며,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는 SCS(Subcarrier Spacing)에 의존한다. 각 슬롯은 CP(cyclic prefix)에 따라 12개 또는 14개의 OFDM(A) 심볼을 포함한다. 보통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확장 CP가 사용되는 경우, 각 슬롯은 12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심볼은 OFDM 심볼 (혹은, CP-OFDM 심볼), SC-FDMA 심볼 (혹은, DFT-s-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NR에서의 서브프레임 유형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NR(또는 new RAT)을 위한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으로 불릴 수 있다. 도 5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NR(또는 new RAT)의 TDD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은 현재의 서브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14 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앞부분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뒷부분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심볼들은 DL 데이터 전송 또는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 따르면, 하향 링크 전송과 상향 링크 전송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고, 그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내에서 상향 링크 확인 응답(ACK / NACK)이 전송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롯 내의 처음 N개의 심볼은 D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되고(이하, DL 제어 영역), 슬롯 내의 마지막 M개의 심볼은 UL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하, UL 제어 영역). N과 M은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다. DL 제어 영역과 UL 제어 영역의 사이에 있는 자원 영역(이하, 데이터 영역)은 D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제어 영역에서는 PDCCH가 전송될 수 있고, DL 데이터 영역에서는 PDSCH가 전송될 수 있다. UL 제어 영역에서는 PUCCH가 전송될 수 있고, UL 데이터 영역에서는 PUSCH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또는 슬롯)의 구조를 사용하면, 수신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최종 데이터 전송 대기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자기-완비(self-contained) 서브프레임(또는 슬롯) 구조에서,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의 전이 과정에 시간 차(time gap)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프레임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 할 때의 일부 OFDM 심볼은 보호 구간(Guard Period: GP)으로 설정 될 수 있다.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의 지원>
뉴머롤로지는 CP(cycle prefix) 길이와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셀은 복수의 뉴머롤로지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각 부반송파 간격과 해당하는 CP 길이는 아래의 표와 같을 수 있다.
μ f=2μ15 [kHz] CP
0 15 일반
1 30 일반
2 60 일반, 확장
3 120 일반
4 240 일반
일반 CP의 경우,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Nslot symb), 프레임당 슬롯 개수(Nframe,μ slot) 그리고, 서브프레임 당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는 아래의 표와 같다.
μ Nslot symb Nframe,μ slot Nsubframe,μ slot
0 14 10 1
1 14 20 2
2 14 40 4
3 14 80 8
4 14 160 16
5 14 320 32
확장 CP의 경우, 뉴머롤로지의 인덱스를 μ로 나타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Nslot symb), 프레임당 슬롯 개수(Nframe,μ slot) 그리고, 서브프레임 당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는 아래의 표와 같다.
μ Nslot symb Nframe,μ slot Nsubframe,μ slot
2 12 400 4
<Maximum output power>
표 8의 UE 파워클래스(power class: PC)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NR 반송파의 채널 대역폭 내의 모든 전송 대역폭에 대한 최대 출력 전력을 정의한다. 측정주기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1ms)일 수 있다.
NR
band
Class 1 (dBm) Tolerance (dB) Class 2 (dBm) Tolerance (dB) Class 3 (dBm) Tolerance (dB)
n1 23 ±2
n2 23 ±23
n3 23 ±23
n5 23 ±2
n7 23 ±23
n8 23 ±23
n12 23 ±23
n14 31 +2/-3 23 ±23
n18 23 ±2
n20 23 ±23
n25 23 ±23
n26 23 ±23
n28 23 +2/-2.5
n30 23 ±2
n34 23 ±2
n38 23 ±2
n39 23 ±2
n40 23 ±2
n41 26 +2/-33 23 ±23
n48 23 +2/-3
n50 23 ±2
n51 23 ±2
n53 23 ±2
n65 23 ±2
n66 23 ±2
n70 23 ±2
n71 23 +2/-2.5
n74 23 ±2
n77 26 +2/-3 23 +2/-3
n78 26 +2/-3 23 +2/-3
n79 26 +2/-3 23 +2/-3
n80 23 ±2
n81 23 ±2
n82 23 ±2
n83 23 ±2/-2.5
n84 23 ±2
n86 23 ±2
n89 23 ±2
n91 23 ±23, 4
n92 23 ±23, 4
n93 23 ±23, 4
n94 23 ±23, 4
n95 23 ±2
NOTE 1: 파워클래스는 허용 오차를 고려하지 않고 지정된 최대 UE 전력이다.
NOTE 2: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파워클래스3은 기본 파워클래스이다.
NOTE 3: FUL_low 및 FUL_low + 4MHz 또는 FUL_high - 4MHz 및 FUL_high 내에 한정된 전송 대역폭을 참조하면 허용 오차 하한을 1.5dB 줄여 최대 출력 전력 요구 사항이 완화된다.
NOTE 4: 허용 오차 하한을 0.3dB 줄임으로써 최대 출력 전력 요구 사항이 완화된다.
UE가 대역에 대한 기본 UE 파워클래스와 다른 파워클래스를 지원하고, 지원되는 파워클래스가 기본 파워클래스보다 더 높은 최대 출력 전력을 활성화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UE 능력 maxUplinkDutyCycle-PC2-FR1 필드가 없고 특정 평가 기간에 전송된 상향 링크 심볼의 비율이 50 %보다 큰 경우 (정확한 평가주기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 이상); 또는
-UE 능력 maxUplinkDutyCycle-PC2-FR1 필드가 없고 특정 평가 기간에 전송되는 상향 링크 심볼의 비율이 정의된 maxUplinkDutyCycle-PC2-FR1보다 큰 경우 (정확한 평가주기는 1 이상 라디오 프레임); 또는
-정의된 IE P-Max가 제공되고 기본 파워클래스 이하의 최대 출력 전력으로 설정된 경우
-기본 파워클래스에 대한 모든 요구 사항을 지원 파워클래스에 적용하고 전송 전력을 설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의된 IE P-Max가 제공되지 않거나 기본 파워클래스의 최대 출력 전력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되고 특정 평가 기간에 전송되는 업 링크 심볼의 비율이 maxUplinkDutyCycle-PC2-FR1과 동일하거나 작다. 또는
-정의된 IE P-Max가 제공되지 않거나 기본 파워클래스의 최대 출력 전력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되고 특정 평가 기간에 전송되는 업 링크 심볼의 비율이 또는 maxUplinkDutyCycle-PC2-FR1이 없으면 50 %와 같다. (정확한 평가 기간은 하나 이상의 무선 프레임):
-지원되는 파워클래스에 대한 모든 요구 사항을 적용하고 전송 전력을 설정해야 한다.
<Maximum Power Reduction ( MPR ) 및 allowed Additional MPR (A- MPR )>
도 8a 및 도 8b는 단말의 전송 전력을 제한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제한된 전송 전력으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감소된 전송 전력을 통해 기지국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00)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 값이 증가하는 경우, 전송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단말(100)은 MPR (maximum output power reduction) 값을 전송 전력에 적용함으로써, 단말(100)의 송수신기(transceiver) 내부의 전력 증폭기(PA)의 선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단말(100)에게 NS(Network Signal)을 전송함으로써, 단말(100)에게 A-MPR (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을 적용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A-MPR은 기지국이 특정 동작 대역에서 동작하는 단말(100)에게 NS를 전송하여 단말이 추가적으로 전력 절감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이다. 즉, MPR이 적용된 단말은 NS를 수신하면 A-MPR을 추가로 적용하여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FR2-1(24250MHz~52600MHz)에는 다음과 같이 UE 파워클래스와 UE 타입이 가정되어 있다.
UE Power class(PC) UE type
1 Fixed wireless access (FWA) UE
2 Vehicular UE
3 Handheld UE
4 High power non-handheld UE
5 Fixed wireless access (FWA) UE
6 High Speed Train Roof-Mounted UE
7 RedCap UE
Note: RedCap variants of non-RedCap UEs are not precluded
FR2-2에도 UE 타입에 따른 동일 파워클래스를 적용할 수 있다. 즉, FR2-2 파워클래스 2는 vehicular UE 일 수 있고, 파워클래스 3은 handheld UE 일 수 있다.FR2-2에 해당하는 밴드는 표 4에 나타난 n263일 수 있다.
FR2-2인 n263 동작대역을 지원하는 단말 중 PC2 및 PC3의 단말의 단말 RF 성능 규격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개시>
현재 3GPP 표준화 단체에서는, Rel-17 FR2-2(Frequency Range 2-2: 52600MHz~71000MHz) 대역의 UE RF 규격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 파워클래스 2에 해당하는 vehicular UE와 파워클래스 3에 해당하는 handheld UE에 대한 MPR 및 기타 RF 규격에 대한 제안이다. 즉 n263을 지원하는 handheld 단말과 vehicular 단말에 대한 Tx RF 규격을 제안할 수 있다.
1. TRP (Total Radiated Power) and EIRP (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현재 UE 최대 출력 전력 제한은 FR2에 대한 최대 TRP 및 최대 EIRP로 지정될 수 있다. FR2에서 UE 최대 출력 전력 제한은 표 10에 나타난다.
Operating band PC1
(FWA)
PC2
(Vehicular UE)
PC3
(Handheld UE)
PC4
(High power non-handheld)
PC5
(FWA)
PC6
(HST Roof-Mounted UE)
PC7
(RedCap UE)
Max TRP (dBm) Max EIRP (dBm) Max TRP (dBm) Max EIRP (dBm) Max TRP (dBm) Max EIRP (dBm) Max TRP (dBm) Max EIRP (dBm) Max TRP (dBm) Max EIRP (dBm) Max TRP (dBm) Max EIRP (dBm) Max TRP (dBm)
n257 35 55 23 43 23 43 23 43 23 43 23 43 23
n258 35 55 23 43 23 43 23 43 23 43 23 43 23
n259 23 43 23 43
n260 35 55 23 43 23 43
n261 35 55 23 43 23 43 23 43 23 43 23
n262 35 55 23 43 23 43 23 43
FR2-2에 대한 EN max EIRP 및 TRP를 보장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n263에 대한 UE 최대 출력 전력 제한을 제안할 수 있다.
Maximum power level EIRP 40 dBm1
Maximum power level TRP 25 dBm
Maximum power spectral density (EIRP) 23dBm/MHz2
Note 1: Exception to 55 dBm if only fixed outdoor installations with ≥ 30 dB transmit directivity
Note 2: Exception to 38 dBm/MHz if only fixed outdoor installations with ≥ 30 dB transmit directivity
제안 1: UE maximum output power limits for n263
- PC1
Max TRP = 25dBm & Max EIRP = 55dBm for fixed outdoor installations with ≥ 30 dB transmit directivity
Max TRP = 25dBm & Max EIRP = 40dBm in other cases
- PC2
Max TRP = 25dBm & Max EIRP = 40dBm
- PC3
Max TRP = 25dBm & Max EIRP = 40dBm
2. MPR
FR2-1에서는, PC3의 Max TRP가 PC2와 동일함을 고려하여 PC3 MPR을 PC2에 적용할 수 있다. FR2-2의 경우 동일한 접근 방식을 사용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즉, 먼저 PC3에 대한 MPR에 동의한 다음 PC2에 동일한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제안 2: FR2-2 PC3 MPR을 PC2에 적용한다.
아래에서 제안하는 PC3 UE의 MPR은 PC2 UE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FR2-2 PC3 MPR의 경우, FR2-1의 합의는 다음과 같이 확장된 CBW(800MHz, 1600MHz 및 2000MHz)로 고려할 수 있다.
표 12는 초과 BW로 인한 MPR delta를 나타낸다.
MPR
Waveform Modulation 50M/100M/200M 400M 800M 1600M 2000M
DFT-s-OFMD shaped pi/2 BPSK <=X1 <=X1+Y <=X1+Y1 <=X1+Y2 <=X1+Y3
DFT-s-OFMD pi/2 BPSK <=X2 <=X2+Y <=X2+Y1 <=X2+Y2 <=X2+Y3
DFT-s-OFMD QPSK <=X3 <=X3+Y <=X3+Y1 <=X3+Y2 <=X3+Y3
DFT-s-OFMD 16QAM <=X4 <=X4+Y <=X4+Y1 <=X4+Y2 <=X4+Y3
CP-OFDM QPSK <=X5 <=X5+Y <=X5+Y1 <=X5+Y2 <=X5+Y3
CP-OFDM 16QAM <=X6 <=X6+Y <=X6+Y1 <=X6+Y2 <=X6+Y3
DFT-s-OFMD 64QAM <=X7 <=X7+Y <=X7+Y1 <=X7+Y2 <=X7+Y3
CP-OFDM 64QAM <=X8 <=X8+Y <=X8+Y1 <=X8+Y2 <=X8+Y3
표 13은 FR2-1에서의 현재 PC3 MPR 요구사항을 요약한다.
Modulation MPRWT , BWchannel ≤ 200 MHz MPRWT , BWchannel = 400 MHz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DFT-s-OFDM Pi/2 BPSK 0.0 ≤2.0 0.0 ≤3.0
QPSK 0.0 ≤2.0 0.0 ≤3.0
16 QAM ≤3.0 ≤3.5 ≤4.5 ≤4.5
64 QAM ≤5.0 ≤5.5 ≤6.5 ≤6.5
CP-OFDM QPSK ≤3.5 ≤4.0 ≤5.0 ≤5.0
16 QAM ≤5.0 ≤5.0 ≤6.5 ≤6.5
64 QAM ≤7.5 ≤7.5 ≤9.0 ≤9.0
FR2-1과 FR2-2 사이의 Max TRP 차이 2dB를 고려하면, 200MHz와 400MHz의 CBW에 대한 FR2-1 PC3 MPR을 FR2-2에 재사용할 수 있다.
MPRWT는 WT (Wideband Transmission)를 위한 MPR을 의미한다.
표 12의 800MHz, 1600MHz 및 2000MHz의 CBW에 대한 Y1, Y2 및 Y3에 대해 각각 3dB, 4dB 및 4dB를 고려할 수 있다. FR2-1에서는 400MHz의 CBW에 대해 1.5dB의 Y를 고려할 수 있다(표 13의 i) MPRWT , BWchannel ≤ 200 MHz에서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중 DFT-s-OFDM (16 QAM 및 64 QAM) 및 CP-OFDM (QPSK, 16 QAM 및 64 QAM)와 ii) MPRWT , BWchannel = 400 MHz에서 FT-s-OFDM (16 QAM 및 64 QAM) 및 CP-OFDM (QPSK, 16 QAM 및 64 QAM)의 차이). Edge RB allocation를 위한, DFT-s-OFDM을 위한 Pi/2 BPSK와 QPSK의 경우, IBE (In-band Emission)의 제한 기준을 고려하여 800MHz, 1600MHz, 2000MHz 각각의 CBW에 대해 4dB, 5dB, 5dB를 제안할 수 있다.
제안 3: FR2-2 PC3 MPR의 경우
- 100MHz 및 400MHz의 CBW를 위해
FR2-2 PC3 MPR에 대해 FR2-1 PC3 MPR 재사용
- 800MHz, 1600MHz 및 2000MHz를 위해
각각 3dB(Y1), 4dB(Y2) 및 4dB(Y3)을 MPR delta로 고려할 수 있다(표 12 참조).
Edge RB 할당의 경우 DFT-s-OFDM에서 Pi/2 BPSK 및 QPSK의 경우 각각 4dB, 5dB 및 5dB 고려할 수 있다.
위의 제안은 표 14, 표 15 및 표 16에 나와 있습니다.
제안 3a: FR2-2 PC3 MPR의 경우 표 14, 표 15 및 표 16와 같이 제안
Modulation MPRWT, BWchannel = 100 MHz MPRWT, BWchannel = 400 MHz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DFT-s-OFDM Pi/2 BPSK 0.0 ≤2.0 0.0 ≤3.0
QPSK 0.0 ≤2.0 0.0 ≤3.0
16 QAM ≤3.0 ≤3.5 ≤4.5 ≤4.5
64 QAM ≤5.0 ≤5.5 ≤6.5 ≤6.5
CP-OFDM QPSK ≤3.5 ≤4.0 ≤5.0 ≤5.0
16 QAM ≤5.0 ≤5.0 ≤6.5 ≤6.5
64 QAM ≤7.5 ≤7.5 ≤9.0 ≤9.0
Modulation MPRWT, BWchannel = 800 MHz MPRWT, BWchannel = 1600 MHz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DFT-s-OFDM Pi/2 BPSK 0.0 ≤ 4.0 0.0 ≤ 5.0
QPSK 0.0 ≤ 4.0 0.0 ≤ 5.0
16 QAM ≤ 6.0 ≤ 6.0 ≤ 7.0 ≤ 7.0
64 QAM ≤ 8.0 ≤ 8.0 ≤ 9.0 ≤ 9.0
CP-OFDM QPSK ≤ 6.5 ≤ 6.5 ≤ 7.5 ≤ 7.5
16 QAM ≤ 8.0 ≤ 8.0 ≤ 9.0 ≤ 9.0
64 QAM ≤ 10.5 ≤ 10.5 ≤ 11.5 ≤ 11.5
Modulation MPRWT, BWchannel = 2000 MHz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DFT-s-OFDM Pi/2 BPSK 0.0 ≤ 5.0
QPSK 0.0 ≤ 5.0
16 QAM ≤ 7.0 ≤ 7.0
64 QAM ≤ 9.0 ≤ 9.0
CP-OFDM QPSK ≤ 7.5 ≤ 7.5
16 QAM ≤ 9.0 ≤ 9.0
64 QAM ≤ 11.5 ≤ 11.5
또는, 마진(z)을 고려하여 표 17-19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제안 3b: FR2-2 PC3 MPR의 경우, 표 17-19과 같이 제안
Modulation MPRWT, BWchannel = 100 MHz MPRWT, BWchannel = 400 MHz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DFT-s-OFDM Pi/2 BPSK 0.0 ≤2.0 + z1 0.0 ≤3.0+ z1
QPSK 0.0 ≤2.0+ z1 0.0 ≤3.0+ z1
16 QAM ≤3.0 + z2 ≤3.5 + z2 ≤4.5 + z2 ≤4.5 + z2
64 QAM ≤5.0 + z2 ≤5.5 + z2 ≤6.5 + z2 ≤6.5 + z2
CP-OFDM QPSK ≤3.5 + z2 ≤4.0 + z2 ≤5.0 + z2 ≤5.0 + z2
16 QAM ≤5.0 + z2 ≤5.0 + z2 ≤6.5 + z2 ≤6.5 + z2
64 QAM ≤7.5 + z2 ≤7.5 + z2 ≤9.0 + z2 ≤9.0 + z2
Modulation MPRWT, BWchannel = 800 MHz MPRWT, BWchannel = 1600 MHz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DFT-s-OFDM Pi/2 BPSK 0.0 ≤ 4.0 + z1 0.0 ≤ 5.0 + z1
QPSK 0.0 ≤ 4.0 + z1 0.0 ≤ 5.0 + z1
16 QAM ≤ 6.0 + z2 ≤ 6.0 + z2 ≤ 7.00 + z2 ≤ 7.0 + z2
64 QAM ≤ 8.0 + z2 ≤ 8.0 + z2 ≤ 9.00 + z2 ≤ 9.0 + z2
CP-OFDM QPSK ≤ 6.5 + z2 ≤ 6.5 + z2 ≤ 7.50 + z2 ≤ 7.5 + z2
16 QAM ≤ 8.0 + z2 ≤ 8.0 + z2 ≤ 9.00 + z2 ≤ 9.0 + z2
64 QAM ≤ 10.5 + z2 ≤ 10.5 + z2 ≤ 11.50 + z2 ≤ 11.5 + z2
Modulation MPRWT, BWchannel = 2000 MHz
Inner RB allocations,
Region 1
Edge RB allocations
DFT-s-OFDM Pi/2 BPSK 0.0 ≤ 5.0 + z1
QPSK 0.0 ≤ 5.0 + z1
16 QAM ≤ 7.0 + z2 ≤ 7.0 + z2
64 QAM ≤ 9.0 + z2 ≤ 9.0 + z2
CP-OFDM QPSK ≤ 7.5 + z2 ≤ 7.5 + z2
16 QAM ≤ 9.0 + z2 ≤ 9.0 + z2
64 QAM ≤ 11.5 + z2 ≤ 11.5 + z2
표 17-19에서의 z1은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중 한 값일 수 있다.표 17-19에서의 z2는 {-0.5, -0.4, -0.3, -0.2, -0.1,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중 한 값일 수 있다.
100MHz와 동일한 전송 대역폭 설정 (configuration)의 경우, 표 14-16 또는 표 17-19에서 RB allocation에 대한 유효한 RB allocation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 다음 매개변수가 정의될 수 있다.
- RBStart,Low = max(1, LCRB), 여기서 max()는 모든 인수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낸다.
- RBstart,high= NRB - RBStart,Low - LCRB
표 14-16 또는 표 17-19에 속하는 RB allocation이 다음과 같은 경우, region 1 Inner RB allocation에 해당할 수 있다.
- RBStart,Low ≤ RBStart ≤ RBStart,High 및 LCRB ≤ ceil(NRB/3), 여기서 ceil(x)는 x보다 크거나 같은 가장 작은 정수입니다.
400MHz와 동일하거나 큰 전송 대역폭 설정 (configuration)의 경우, NRB는 표 20에 정의된 주어진 채널 대역폭 및 부반송파 간격에 대한 최대 RB 수이다.
SCS (kHz) 100 MHz 400 MHz 800 MHz 1600 MHz 2000 MHz
NRB NRB NRB NRB NRB
120 66 264 N/A N/A N/A
480 N/A 66 132 264 N/A
960 N/A 33 66 132 [156]
RBend 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RBend = RBstart + LCRB - 1
표 14-16 또는 표 17-19에 속하는 RB allocation이 다음과 같은 경우, region 1 Inner RB allocation에 해당할 수 있다.
RBstart ≥ Ceil(1/4 NRB) AND RBend < Ceil(3/4 NRB) AND LCRB ≤ Ceil(1/4 NRB)
모든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1에서 Ceil(1/4 NRB)사이의 길이를 갖는 LCRB 가 RBstart부터 RBend에 위치하면 region 1 Inner RB allocation에 해당할 수 있다.
모든 전송 대역폭 구성에서 RB allocation이 전술한 region 1 Inner RB allocation이 아닌 경우 Edge RB allocation에 해당할 수 있다.
연속 할당(contiguous allocation에 대한 MP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MPR max(MPRWT, MPRnarrow)
전송 대역폭 설정 (configuration)이 100MHz이고 0 ≤ RBstart < Ceil(1/3 NRB) 또는 Ceil(2/3 NRB) ≤ RBstart ≤ NRB-LCRB인 경우:
- BWalloc,RB가 1.44MHz 이하인 경우, MPRnarrow = 2.5dB
- 1.44MHz < BWalloc,RB ≤ 4.32MHz인 경우, MPRnarrow = 2.0dB
- 그렇지 않으면 MPRnarrow = 0dB.
400MHz와 동일하거나 큰 전송 대역폭 설정 (configuration)의 경우, BWalloc,RB가 1.44MHz 이하이고 0 ≤ RBstart < Ceil(1/3 NRB) 또는 Ceil(2/3 NRB) ≤ RBstart ≤ NRB-LCRB일 때 (여기서 BWalloc,RB는 RB 할당 크기의 대역폭), MPRnarrow = 2.5dB 일 수 있다.
MPRWT는 변조 차수 (modulation orders), 표 20에 나열된 전송 대역폭 설정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s) 및 파형 유형 (waveform types)으로 인한 최대 전력 감소일 수 있다. MPRWT는 표 14-16 또는 표 17-19에 정의되어 있다.
3. MPR CA
FR2-1에서는 PC3 MPR CA가 PC2에 적용될 수 있다. FR2-2의 경우 유사한 접근 방식이 제안될 수 있다.
제안 4: FR2-2 PC3 MPR CA를 PC2에 적용
FR2-2 Handheld UE (PC3) 와 Vehicular UE (PC2) 단말에 대한 일반적인 단말/네트워크 동작 및 규격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단말은 n263을 지원하는 파워클래스 3 혹은 파워클래스 2 단말임을 네트워크에게 알려줄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에게 사용할 UL CBW(channel bandwidth)와 MO(modulation order)를 알려줄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자신의 최대 전송 파워에서 해당 MPR 값만큼 전력 (power)을 줄여서 UL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해당 MPR 값은 표 14-16 또는 표 17-19와 같을 수 있다.
해당 MPR 값은 표 14-16 또는 표 17-19와 같이, RB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nner RB allocation, Region 1' 및 'Edge RB alloca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MPR값은 단말 출시전에 부합 (conformance) 테스트를 통해 검증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도면에 기재된 구체적인 장치의 명칭이나 구체적인 신호/메시지/필드의 명칭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이 이하의 도면에 사용된 구체적인 명칭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단말의 절차를 나타낸다.
1. 단말은 MPR (Maximum Power Reduction)에 기초하여 전송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2. 단말은 FR2-2에서 상기 전송전력으로 기지국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는 파워클래스 2 또는 3의 UE일 수 있다.
상기 MPR은 채널 대역폭, RB (resource block) allocation,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16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Cyclic Prefix-OFDM) 및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Pi/2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른 기지국의 절차를 나타낸다.
1. 기지국은 UE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UE는 파워클래스 2 또는 3의 UE일 수 있다.
상기 MPR은 채널 대역폭, RB (resource block) allocation,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16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Cyclic Prefix-OFDM) 및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Pi/2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일 수 있다.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서는 수행하는 동작은: MPR (Maximum Power Reduction)에 기초하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FR2-2에서 상기 전송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파워클래스 2 또는 3의 UE이고, 상기 MPR은 채널 대역폭, RB (resource block) allocation,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제공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가 저장된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저장 매체의 일부 예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개별 구성요소로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 및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SDRAM (Synchronizatio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RAM (Random Access Memory)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읽기 전용 메모리 (EE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 매체 또는 명령이나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타 매체.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코드를 전달하거나 전달하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판독 및/또는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통신 매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그 위에 저장하였다.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MPR (Maximum Power Reduction)에 기초하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FR2-2에서 상기 전송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UE는 파워클래스 2 또는 3의 UE이고, 상기 MPR은 채널 대역폭, RB (resource block) allocation,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16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Cyclic Prefix-OFDM) 및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Pi/2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를 통하여, 제안된 MPR을 적용하여 전송전력을 결정하여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현은 다음과 같은 청구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3)

  1.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로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파워클래스 2 또는 3의 UE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MPR (Maximum Power Reduction)에 기초하여 전송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FR2-2 (Frequency Range 2-2) 대역에서 상기 전송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MPR은 채널 대역폭, RB (resource block) allocation,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16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인 UE.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Cyclic Prefix-OFDM) 및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인 UE.
  4.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인 UE.
  5.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인 UE.
  6.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Pi/2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인 UE.
  7.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인 UE.
  8.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인 UE.
  9.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인 UE.
  10.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인 UE.
  11.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인 UE.

  12.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MPR (Maximum Power Reduction)에 기초하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FR2-2 (Frequency Range 2-2) 대역에서 상기 전송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파워클래스 2 또는 3의 UE이고,
    상기 MPR은 채널 대역폭, RB (resource block) allocation,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16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Cyclic Prefix-OFDM) 및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Pi/2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인 방법.
  13. 명령어들을 기록하고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e)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MPR (Maximum Power Reduction)에 기초하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FR2-2 (Frequency Range 2-2) 대역에서 상기 전송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UE (user equipment)는 파워클래스 2 또는 3의 UE이고,
    상기 MPR은 채널 대역폭, RB (resource block) allocation, 변조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16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Cyclic Prefix-OFDM) 및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Inner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 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Pi/2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4.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DFT-s-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QPSK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6.5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16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8.0 dB 이하이고,
    i) 상기 채널 대역폭은 800 MHz이고, ii) 상기 RB allocation은 edge RB allocations이고, iii) 상기 변조 방식은 CP-OFDM 및 64 QAM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MPR은 10.5 dB 이하인 비휘발성 저장 매체.
KR1020230052688A 2022-04-22 2023-04-21 최대 전력 감소 KR102616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33568P 2022-04-22 2022-04-22
US63/333,568 2022-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756A KR20230150756A (ko) 2023-10-31
KR102616816B1 true KR102616816B1 (ko) 2023-12-21

Family

ID=8841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688A KR102616816B1 (ko) 2022-04-22 2023-04-21 최대 전력 감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95600B2 (ko)
KR (1) KR1026168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4928A1 (ja) 2019-10-02 2021-04-0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1162497A1 (ko) 2020-02-14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최대 전력 감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392A1 (ko) * 2015-05-13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계타입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097116A1 (en) * 2017-11-16 2019-05-23 Nokia Technologies Oy Maximum power reduction for uplink bandwidth part for wireless networks
KR20200114758A (ko) * 2019-03-29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최대 전송 전력 조정 방법 및 장치
US11122518B2 (en) * 2019-04-01 2021-09-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pplying P-MPR and apparatus thereof
US11864126B2 (en) * 2021-08-03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allocation prioritization at full duplex user equip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4928A1 (ja) 2019-10-02 2021-04-0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1162497A1 (ko) 2020-02-14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최대 전력 감소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4-2205552*
Apple, R4-2205173, Draft CR to 38.101-2 on band n263 Tx aspects, 3GPP 서버공개일(2022.02.14.)*
R4_2205210
R4_22052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756A (ko) 2023-10-31
US11895600B2 (en) 2024-02-06
US20230345389A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089B1 (ko) 최대 전력 감소
KR102546701B1 (ko) Dc 및 nr 대역 조합에 대한 이중 상향링크 전송에 의한 자기 간섭 문제
KR20230138032A (ko) 최대 감도 저하
KR102616816B1 (ko) 최대 전력 감소
KR20240018448A (ko) 최대 감도 저하
KR102577129B1 (ko) 단말의 송신 규격
KR102589019B1 (ko) 단말의 수신 규격
KR102589020B1 (ko) 최대 전력 감소
KR102589221B1 (ko) 최대 전력 감소
KR102597993B1 (ko) 최대 전력 감소
US20230224016A1 (en) Standard for reception of a ue
US20230053264A1 (en) Maximum power reduction
KR102660884B1 (ko) 전송 전력 제어
US20220369241A1 (en) Maximum power reduction
US20230224817A1 (en) Standard for transmission of a ue
US20230309027A1 (en) Method for applying msd and apparatus thereof
EP4109982A1 (en) Maximum power reduction
CN118120300A (zh) 最大功率降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