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325A -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 Google Patents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325A
KR20220078325A KR1020200167747A KR20200167747A KR20220078325A KR 20220078325 A KR20220078325 A KR 20220078325A KR 1020200167747 A KR1020200167747 A KR 1020200167747A KR 20200167747 A KR20200167747 A KR 20200167747A KR 20220078325 A KR20220078325 A KR 20220078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unit
coupled
unit
wedg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986B1 (ko
Inventor
손인수
이상필
추상혁
최경술
김범규
박현수
조무석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9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제1 필터부가 구비되고 제1 필터부의 표면은 웨지 와이어로 형성되고, 웨지 와이어는 필터링 기능을 하는 금속 와이어 메쉬 및 와이어 메쉬를 보호하는 타공판의 기능 모두 수행할 수 있어 동일한 크기의 필터보다 처리 용량 증대 및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WEDGE WIRE SCREEN FILTER}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제1 필터부가 구비되고 제1 필터부의 표면은 웨지 와이어로 형성되고, 웨지 와이어는 필터링 기능을 하는 금속 와이어 메쉬 및 와이어 메쉬를 보호하는 타공판의 기능 모두 수행할 수 있어 동일한 크기의 필터보다 처리 용량 증대 및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발명이다.
일정장소 예를 들어, 저장조 등에 저장된 물 또는 유류와 같은 액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이 액체가 유동되는 배관을 통하여 특정한 다른 장소로 액체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한편, 이와 같은 액체를 이동시키는 대부분의 배관은 그 내부에 이동되는 액체의 성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액체에서 자생적으로 생성되거나 또는 액체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형태의 오물 혹은, 금속배관인 경우에 그 내부에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녹, 그리고 배관을 용접으로 서로 연결시킬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장시간에 걸쳐 배관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고, 결국 이와 같은 이물질들은 배관을 막히게 하는 원인이 된다.
그런데, 통상 물이나 유류를 이동시키는 배관을 시공하고 조작하기 위해서는 배관 이외에 배관의 내부로 이동되는 액체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이송되는 액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밸브 및 기타 조절밸브 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부품들은 대부분 매우 정밀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진 부품으로서 배관 내부로 이송되는 각종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고장이 나거나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의 추가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배관 내를 통과한 액체에 의하거나 배관 자체의 부식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이물질에 의한 배관의 막힘 또는 이물질에 의한 여러 부품들의 오작동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와이어 메쉬 필터를 사용한다.
와이어 메쉬 필터란 다양한 산업계에서 흡수, 여과 또는 증발에 사용하는 다양한 게이지 및 구성의 주조 와이어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양, 크기 및 구성으로 와이어 메쉬 제품이 제조되지만 고객 사양에 따라 필터를 제조할 수도 있다.
와이어 메쉬 필터는 오염 물질 또는 미세 입자에서 공기 또는 액체를 분리하는데 사용되어야 하므로 내부식성 및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종래 금속 와이어 메쉬 필터를 통해 공기를 걸러주는 과정에서, 높은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금속 와이어 메쉬 필터에 내장된 여과필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금속 와이어 메쉬 필터는 금속 와이어 메쉬의 강도가 약한 관계로 이를 보호하기 위한 금속 타공판을 금속 와이어 메쉬 안쪽이나 바깥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다.
이는, 사용 중 이물질에 의한 막힘 발생 시 금속 와이어 메쉬가 손상되어 필터링 기능을 수행치 못함으로 인하여 후단의 펌프나 고가의 기계장비가 2차적인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필터링 기능을 하는 금속 와이어 메쉬와 보호 기능을 하는 타공판의 기능을 하는 동일한 크기의 필터보다 처리 용량 증대 및 수명을 증가 시키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17-0174874
사용 중 이물질에 의한 막힘 발생 시 금속 와이어 메쉬가 손상되어 필터링 기능을 수행치 못함으로 인하여 후단의 펌프나 고가의 기계장비의 2차적인 손상을 막기 위해 필터링 기능을 하는 금속 와이어 메쉬와 보호 기능을 하는 타공판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웨지 와이어를 사용하여 동일한 크기의 필터보다 처리 용량 증대 및 수명을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는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통 형상의 제1 필터부, 제1 필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 제1 필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부, 제1 필터부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웨지 와이어가 교차되어 형성되되,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부 고정부의 하면의 일단에는 원형의 상부 그루브 홈;이 함몰되어 형성되되, 상부 그루브 홈에 상기 제1 필터부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부의 하부에 원통 형상의 제2 필터부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는 복수 개로 형성 가능하고,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가 결합되는 경우 제1 필터부의 상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1 사이드링,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를 연결하는 지점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2 사이드링 및 제2 필터부의 하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3 사이드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가 결합되는 경우, 제1 필터부의 외부에 원통 형상의 제1 프레임부가 결합되고, 제2 필터부의 외부에 원통 형상의 제2 프레임부가 결합되고,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는 분리 가능하고, 제1 프레임부 내부에 결합된 제1 필터부는 교체 가능하고, 제2 프레임부 내부에 결합된 제2 필터부는 교체 가능하다.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는 웨지 와이어가 와이어 메쉬와 타공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높은 강도의 특성을 가지며 이물질 처리 용량이 증대되고, 필터의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부 그루브 홈에 제1 필터부가 결합함으로써, 제1 필터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필터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제1 프레임부가 제1 필터부의 외부에 결합되는 경우, 제1-1 돌출부와 제1-3 돌출부와 배관의 내주면이 맞닿게 되어, 제1 프레임부의 내부에 삽입된 제1 필터부가 배관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부가 배관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프레임부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의 외부에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필터부(100)를 기준으로'일단'이라 함은 상부 고정부가 있는 부분이며, '타단'이라 함은 하부 고정부(400)가 있는 부분이다. 도 3을 기준으로 '폭 방향'이라 함은 X축 방향이고, '길이 방향'이라 함은 Y축 방향이고, '수직 방향'이라 함은 Z축 방향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는 LNG 선박 및 일반 선박에 사용되며 선박뿐만 아니라 육상용 필터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는 제1 필터부(100), 제2 필터부(200), 상부 고정부(300), 하부 고정부(400), 사이드 링(500), 제1 프레임부(600) 및 제2 프레임부(7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필터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공부가 형성된다.
제1 필터부(100)의 일단에는 상부 고정부(300)가 결합되고, 제1 필터부(100)의 타단에는 하부 고정부(400)가 결합된다.
상부 고정부(300)는 원형이며, 상부 고정부(300)의 지름은 제1 필터부(100)의 지름과 상이하여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고정부(300)를 통해 제1 필터부(100)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여과되기 때문에 상부 고정부(300)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하부 고정부(400)는 원판 형상이며, 하부 고정부(400)의 지름은 제1 필터부(100)의 지름보다 커서 단턱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필터부(100)와 하부 고정부(400)의 하측면 및 상부 고정부(300)의 상측면이 동시에 결합되므로, 하부 고정부(400)의 하측면에 원 형상의 하부 그루브 홈이 함몰되고, 상부 고정부(300)의 상측면에 원 형상의 상부 그루브 홈(310)이 함몰되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 필터부(100)와 상부 고정부(300)는 탈부착 가능하고, 제1 필터부(100)와 하부 고정부(400)도 탈부착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필터부(100)와 상부 고정부(300) 및 하부 고정부(400)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제1 필터부(100)의 세척과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하부 고정부(400)에는 복수 개의 하부 연결부(410)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하부 연결부(410)의 구성으로 본 발명이 결합되는 배관의 내부나 본 발명이 활용되는 장치의 내부와 결합할 수 있다.
하부 고정부(400)는 하부 연결부(410)에 의해 볼트나 너트로 결합될 수 있고, 그 외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탈부착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필터부(1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필터부(100)는 복수 개의 제1 와이어(110) 및 제2 와이어(120)가 교차되어 형성된다.
제1 와이어(110)는 웨지 와이어로 구성되며, 제2 와이어(120)는 웨지 와이어 및 메쉬 일 수도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120) 모두 웨지 와이어로 구성되었을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복수 개의 제1 와이어(110)는 링 형태로 하나씩 구비되어 있고, 복수 개의 제2 와이어(120)는 제1 와이어(110)의 내부에 맞닿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와이어(110)의 단면은 삼각 형상이고, 제2 와이어(120)의 단면은 역삼각 형상이므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진다.
복수 개의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120)가 맞닿아 교차되어 형성되는 경우, 제1 와이어(110)의 타단과 제2 와이어(120)의 타단이 맞닿게 된다.
이 때,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120)가 교차되어 맞닿아 형성되면, 복수 개의 슬롯(130)이 제1 필터부(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1 와이어(110), 제2 와이어(120) 및 슬롯(130)은 벤딩 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슬롯(130)이 제1 필터부(100)의 외주면에서 배수공의 역할을 하게 되어 제작이 간편하고, 자체적으로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종래에는 필터 기능을 가진 와이어 메쉬와 와이어 메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타공판을 와이어 메쉬의 외측이나 내측에 롤링한 후 겹쳐서 사용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와이어(110) 및 제2 와이어(120)는 종래의 메쉬 와이어와 달리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웨지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와이어(110)와 제2 와이어(120) 간의 접촉면이 좁다.
즉, 인접한 한 쌍의 제2 와이어(120)에 의해 형성된 슬롯(130)의 단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록 넓어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종래의 와이어 메쉬와 타공판보다 여과를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웨지 와이어가 종래의 와이어 메쉬와 타공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웨지 와이어는 용접에 의해 로드에 부착되어 종래의 와이어 메쉬보다 최소 중량으로 높은 강도의 특성을 가지며, 이물질의 막힘 현상이 적고 파손 현상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은 공간효율로 유량이 증가하며, 웨지 와이어의 단면이 역삼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종래의 필터보다 처리 용량이 증대되며, 필터의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배관 내부에 결합된 제1 필터부(100)를 도시한 것이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이다.
제1 필터부(10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배관 내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LNG 선박 및 일반 선박에 사용되며 선박뿐만 아니라 육상용 필터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1 필터부(100)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는 활용되는 필터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다.
도 3의 도시처럼, 제1 필터부(100)가 배관 내부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 상부 고정부(300)의 상측은 배관 내부의 일측과 맞닿고 하부 고정부(400)의 하측면은 배관 하부와 맞닿으며 구성된다.
제1 필터부(100)의 일단은 상부 고정부(300)의 하측과 결합되고, 상부 고정부(300)의 하측에는 상부 그루브 홈(310)이 구비된다.
상부 고정부(300)는 라운드진 형태이므로, 상부 그루브 홈(310) 또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 고정부(300)의 하부를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 필터부(100)의 타단은 하부 고정부(400)의 상측과 결합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부 고정부(400)에는 하부 그루브 홈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 필터부(100)가 상부 그루브 홈(310) 및 하부 그루브 홈에 결합함으로써, 제1 필터부(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필터부(100)는 상부 고정부(300) 및 하부 고정부(400)와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 고정부(300) 및 하부 고정부(400)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세척과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제1 필터부(100)와 제2 필터부(200)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필터부(100)의 하부에는 제2 필터부(200)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필터부(200)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필터부(100)와 동일한 형상이다.
제1 필터부(100) 및 제2 필터부(200)가 결합하면, 제1 필터부(100)와 제2 필터부(200)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사이드 링(500)이 결합된다.
사이드 링(500)은 제1 사이드 링(510), 제2 사이드 링(520), 제3 사이드 링(530)으로 구성된다.
제1 필터부(100)의 상부에는 제1 사이드 링(510)이 결합된다.
제1 사이드 링(510)은 링 형상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상부 고정부(300)와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제2 사이드 링(520)은 링 형상이며, 제1 필터부(100)의 하부와 제2 필터부(200)의 상부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 사이드 링(520)의 상부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제2 사이드 링(520)의 일단은 제1 필터부(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사이드 링(520)의 하부는 제2 필터부(200)의 상부와 맞닿는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사이드 링(520)의 하부에도 제2 사이드 링(520)의 상부와 마찬가지로 단턱이 형성된다.
제3 사이드 링(530)은 제2 필터부(200)의 하부에 결합되되, 하부 고정부(400)와 동일한 형상이다.
이러한 제1 사이드 링(510), 제2 사이드 링(520), 제3 사이드 링(530)의 구성으로 제1 필터부(100) 및 제2 필터부(20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필터부(100)와 제2 필터부(200)의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제1 필터부(100) 및 제2 필터부(200)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프레임부(600)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프레임부(600)는 제1-1 지지부(610), 제1-1 돌출부(611), 제1-2 지지부(620), 제1-3 지지부(630), 제1-3 돌출부(631) 및 제1 지지부 축(640)으로 구성된다.
제1-1 지지부(610)는 링 형태이며, 제1-1 지지부(61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제1-1 돌출부(611)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2 지지부(620)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제1-1 지지부(61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한 쌍의 제1-2 지지부(620)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3 지지부(630) 또한 링 형태로 형성되고, 제1-2 지지부(62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에 복수 개의 제1-3 돌출부(631)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지지부 축(640)은 제1-1 지지부(610), 제1-2 지지부(620) 및 제1-3 지지부(630)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되, 복수 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1 지지부(610), 제1-2 지지부(620) 및 제1-3 지지부(630)의 구성으로, 제1-1 지지부(610), 제1-2 지지부(620), 제1-3 지지부(630)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 필터부(100)와 제2 필터부(200)의 외부에 각각 제1 프레임부(600) 및 제2 프레임부(700)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프레임부(600)가 제1 필터부(100)의 외부에 결합될 때, 제1-1 지지부(610)는 제1 필터부(100)의 외주면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1-2 지지부(620)는 제1 필터부(100)의 외주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제1-3 지지부(630)는 제1 필터부(100)의 외주면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2 프레임부(700)는 제2 필터부(200)의 외부에 결합되며, 제2-1 지지부(710), 제2-1 돌출부(711), 제2-2 지지부(720), 제2-3 지지부(730), 제2-3 돌출부(731) 및 제2 지지부 축(740)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부(700)는 제1 프레임부(600)와 동일한 형상이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한다.
제2-1 지지부(710)는 제2 필터부(200)의 외주면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2 지지부(720)는 제2 필터부(200)의 외주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제2-3 지지부(730)는 제2 필터부(200)의 외주면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 프레임부(600)가 제1 필터부(100)의 외부에 결합될 때, 제1 필터부(100)의 외주면과 제1-1 지지부(610), 제1-2 지지부(620) 및 제1-3 지지부(630)가 맞닿는다.
또한, 제2 프레임부(700)가 제2 필터부(200)의 외부에 결합될 때, 제2 필터부(200)의 외주면과 제2-1 지지부(710), 제2-2 지지부(720) 및 제2-3 지지부(730)가 맞닿는다.
또한, 제1 필터부(10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제2 필터부(200)가 결합되는 경우, 제1 필터부(100)의 하부에 위치한 제1-3 지지부(630) 및 제2 필터부(200)의 상부에 위치한 제2-1 지지부(710)는 서로 맞닿아 고정된다.
제1-3 지지부(630)와 제2-1 지지부(710)가 서로 맞닿아 고정되는 구성으로 제1 프레임부(600)와 제2 프레임부(700)의 체결력이 증대되고, 제1 프레임부(600)의 내부에 제1 필터부(100)가 단단히 고정되고, 제2 프레임부(700)의 내부에 제2 필터부(200)가 단단히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배관 내부에 제1 필터부(100)와 제2 필터부(200)가 결합된 채로 삽입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제1 필터부(100)의 외부에는 제1 프레임부(600)가 결합되어 있고 제2 필터부(200)의 외부에는 제2 프레임부(700)가 결합되어 있을 것이다.
이 때, 제1-1 지지부(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1 돌출부(611) 및 제1-3 지지부(6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3 돌출부(631)는 배관의 내면과 맞닿게 된다.
즉, 제1-1 돌출부(611)와 제1-3 돌출부(631)와 배관의 내면이 맞닿고, 제2-1 돌출부(711)와 제2-3 돌출부(731)가 배관의 내면과 맞닿음으로써, 제1 프레임부(600)의 내부에 삽입된 제1 필터부(100) 및 제2 프레임부(700)의 내부에 삽입된 제2 필터부(200)가 배관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필터부(100)의 내부를 통해 이물질이 여과될 때 부식이 될 수 있어, 제1 필터부(100)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제1 필터부(100)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1 필터부(1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제1 필터부(1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제1 필터부(1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 필터부(1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제1 필터부(10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제1 필터부(1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제1 필터부(100)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제1 필터부(100)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금속 화합물 10 20 30 40 50
아민 화합물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2. 코팅층의 제조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제1 필터부(10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1 필터부(10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부식 특성의 측정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 부식 발생
×: 부식 발생하지 않음
TX1 TX2 TX3 TX4 TX5 대조군
부식 발생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 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제1 필터부,
110 : 제1 와이어,
120 : 제2 와이어,
130 : 슬롯,
200 : 제2 필터부,
300 : 상부 고정부,
310 : 상부 그루브 홈,
400 : 하부 고정부,
410 : 하부 연결부,
500 : 사이드 링,
510 : 제1 사이드 링,
520 : 제2 사이드 링,
530 : 제3 사이드 링,
600 : 제1 프레임부,
610 : 제1-1 지지부,
611 : 제1-1 돌출부,
620 : 제1-2 지지부,
630 : 제1-3 지지부,
631 : 제1-3 돌출부,
640 : 제1 지지부 축,
700 : 제2 프레임부,
710 : 제2-1 지지부,
711 : 제2-1 돌출부,
720 : 제2-2 지지부,
730 : 제2-3 지지부,
731 : 제2-3 돌출부,
740 : 제2 지지부 축.

Claims (7)

  1. 원통 형상의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
    상기 제1 필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부;
    상기 제1 필터부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웨지 와이어;가 교차되어 형성되되,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되는 것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의 하면을 따라 원형의 상부 그루브 홈;이 함몰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 그루브 홈에 상기 제1 필터부가 결합되는 것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의 하부에 원통 형상의 제2 필터부;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는 복수 개로 형성 가능한 것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사이드링;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를 연결하는 지점에 결합되는 제2 사이드링; 및
    상기 제2 필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사이드링;을 포함하는 것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의 외부에 원통 형상의 제1 프레임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필터부의 외부에 원통 형상의 제2 프레임부;가 결합되는 것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는 분리 가능한 것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 내부에 결합된 상기 제1 필터부는 교체 가능하고,
    상기 제2 프레임부 내부에 결합된 상기 제2 필터부는 교체 가능한 것인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KR1020200167747A 2020-12-03 2020-12-03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KR10264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47A KR102648986B1 (ko) 2020-12-03 2020-12-03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47A KR102648986B1 (ko) 2020-12-03 2020-12-03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325A true KR20220078325A (ko) 2022-06-10
KR102648986B1 KR102648986B1 (ko) 2024-03-18

Family

ID=8198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747A KR102648986B1 (ko) 2020-12-03 2020-12-03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330B1 (ko) * 2023-07-20 2023-10-06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배관의 이물질 여과용 스트레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720A (ko) * 1991-06-21 1993-01-16 이헌조 티브이의 좌,우 온스크린 표시방법
KR19990087706A (ko) * 1996-03-11 1999-12-27 캠벨 레이몬드 더블유 종이 펄프 스크린 실린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720A (ko) * 1991-06-21 1993-01-16 이헌조 티브이의 좌,우 온스크린 표시방법
KR19990087706A (ko) * 1996-03-11 1999-12-27 캠벨 레이몬드 더블유 종이 펄프 스크린 실린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330B1 (ko) * 2023-07-20 2023-10-06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배관의 이물질 여과용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986B1 (ko) 202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3368B2 (en) Filtration device with releasable additive
KR20220078325A (ko) 웨지 와이어 스크린 필터
EP3074108B1 (en) Coalescing filter media and use thereof
JP6750043B2 (ja) 導電性フィルター装置
EP3482112A1 (en) A flexible armoured pipe with a retaining layer of metal elongate strip
CA2207465A1 (en) Filter for subterranean use
EP06784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queous liquid containing particulate matter and a water-immiscible organic liquid
US8251230B2 (en) Notched wire, notched wire element and filtration apparatus
US8505742B2 (en) Perforated hexagon-hole tube support for synthetic screen separator
US20210222524A1 (en) System and methodology including strain filter in downhole pumps
US20090057221A1 (en) Pleated Woven Wire Filter
US20170175923A1 (en) Hydraulic actuator with spring return
KR20050063143A (ko) 포집효율이 우수한 스트레이너 필터
WO2021028848A1 (en) Separating device and use of a separating device
KR20230054559A (ko)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피로 및 신뢰성 테스트 모듈
JP2022534050A (ja) 静電気放電緩和チューブセグメントおよび静電気放電緩和チューブセグメントを含む流体回路
Totlani et al. Electroless nickel for corrosion control in chemical, oil and gas industries
TWI834081B (zh) 具有排氣核芯、靜電放電緩解或二者之過濾設備
GB2244011A (en) Gas filter elements
CN210503144U (zh) 一种船舶轮机结构散热装置
KR20230144185A (ko) Ds 카본 필터 구성요소의 제조방법
DE112019002450B4 (de) Filtersystem und filterelement mit glasfaserhaltigem filtermedium
CN212559597U (zh) 一种化工用多层废水处理装置
US20220161196A1 (en) Filter apparatus with vented core, electrostatic discharge mitigation, or both
RU2019261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3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107

Effective date: 2024022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