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628A -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628A
KR20220077628A KR1020200166755A KR20200166755A KR20220077628A KR 20220077628 A KR20220077628 A KR 20220077628A KR 1020200166755 A KR1020200166755 A KR 1020200166755A KR 20200166755 A KR20200166755 A KR 20200166755A KR 20220077628 A KR20220077628 A KR 20220077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ack
outlet
fuel cel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조
Original Assignee
테라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7628A/ko
Publication of KR20220077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7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purging or increasing flow or pressure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35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cath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58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95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cath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1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cathode exhau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92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79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료전지 스택의 출구 냉각수 온도,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00);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200);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키는 단계(S400);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에 따라 공기과급비율(λ)을 조절함으로써 스택 내 물양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연료전지 시스템을 운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Method for operating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가 가진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기화학적 장치로서 수소와 산소를 양극과 음극에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새로운 발전 기술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작동 온도와 주연료의 형태에 따라 알카리형(AFC), 인산염형(PAGC), 용융 탄산염형(MCFC), 고체 전해질형(SOFC), 고분자 전해질형(PEMFC)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수소이온이 이동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막의 양쪽에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전극층이 부착된 막전극접합체(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반응가스들을 고르게 분포시키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체확산층(GDL:Gas Diffusion Layer), 반응가스들 및 냉각수의 기밀성과 적정 체결압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및 체결기구, 그리고 반응가스들 및 냉각수를 이동시키는 분리판(Bipolar Plat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은 적당한 수분을 함유한 상태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연료전지의 운전 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전 조건이 적당하지 않는 경우, 물이 부족한 드라이(dry) 상태 또는 수분이 너무 많은 플러딩(flooding) 상태가 나타날 수 있다.
드라이(dry) 조건의 경우 전해질막의 수분 함수율이 낮아져서 전극의 저항이 증가하여 연료전지 성능이 감소하게 되고, 플러딩(flooding) 조건의 경우에는 공기극(cathode)과 연료극(anode)에서 공기와 수소가 공극되는 채널에 물이 응축되어 정상적으로 전극에 반응 기체가 공급되지 않아 연료전지 셀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 조건이나 플러딩 조건에서 연료전지가 지속적으로 운전이 되는 경우 열화가 가속화되어 비가역적으로 스택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소연료전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스택 내에 물을 적당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운전 방법이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5-005446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택 내 물양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과급비율을 조절하는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연료전지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전지 운전 방법은, 연료전지 스택의 출구 냉각수 온도,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00);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200);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공기 필요 유량 대비 공기 공급 유량의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하기 식 1 및 식2에 따라 도출될 수 있다.
<식1>
Figure pat00001
<식2>
Figure pat00002
상기 식1 및 식2에서,
Pw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Tout_coolant는 스택 출구에서의 냉각수 온도이고,
Pexit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공기 압력이고,
Pw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P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공기 압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 출구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출구냉각수온도센서, 스택 출구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출구공기압력센서, 스택 입구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입구공기압력센서 및 스택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입구공기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0);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20);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하는 수분상태파악부(30); 및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키도록 조절하는 제어부(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공기 필요 유량 대비 공기 공급 유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하기 식 1 및 식2에 따라 도출될 수 있다.
<식1>
Figure pat00003
<식2>
Figure pat00004
상기 식1 및 식2에서,
Pw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Tout_coolant는 스택 출구에서의 냉각수 온도이고,
Pexit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공기 압력이고,
Pw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P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공기 압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에 따라 공기과급비율(λ)을 조절함으로써 스택 내 물양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연료전지 시스템을 운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판단 모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아웃 상태인 경우 판단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 방법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 방법은, 연료전지 스택의 출구 냉각수 온도,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00);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200);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키는 단계(S400); 를 포함한다.
첫재 단계에서, 연료전지 스택의 출구 냉각수 온도(Tout_coolant), 출구 공기 압력(Pexit_air), 출구 입구 공기 압력(Pin_air) 및 입구 공기 온도(Tin_air)를 측정한다(S100).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연료전지 스택의 출구 냉각수 온도(Tout_coolant), 출구 공기 압력(Pexit_air), 출구 입구 공기 압력(Pin_air) 및 입구 공기 온도(Tin_air)는 연료전지 스택에 센서를 달아 측정할 수 있다.
둘째 단계에서,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한다(S200).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은 출구 냉각수 온도(Tout_coolant)를 알면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은 기준값을 알면 구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임의적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경험적으로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은 1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하기 식 1 및 식2에 따라 도출될 수 있다.
<식1>
Figure pat00005
<식2>
Figure pat00006
상기 식1 및 식2에서,
Pw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Tout_coolant는 스택 출구에서의 냉각수 온도이고,
Pexit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공기 압력이고,
Pw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P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공기 압력이다.
상기 스택 입구에서의 수증기압(Pwin_air)은 스택 입구에서의 입구 공기 온도(Tin-air)의 포화수증기압으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이 1인 경우, 스택의 출구 냉각수 온도 (Tout_coolant)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출구 공기 압력(Pexit_air), 입구 공기 압력(Pwin_air) 및 스택 입구에서의 수증기압(Pwin_air)(입구 공기 온도(Tin-air)의 포화수증기압)를 상기 식1 및 식2에 대입하여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급과급비율(λ)은 공기 필요 유량 대비 공기 공급 유량의 비율(공기 공급 유량/공기 필요 유량)이다.
상기 공기 필요 유량은 스택의 전류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 유량은 Pww/Pw_air 가 상기 기준값이 되도록 공급과급비율(λ)로써 조절되어 스택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다. 즉, 상기 기준값에 의해 공급과급비율(λ)이 결정되고, 상기 공급과급비율(λ) 및 상기 측정된 공기 필요 유량에 따라 공기 공급 유량이 정해질 수 있다.
셋째 단계에서,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flooding) 상태 또는 드라이 아웃(dry-out) 상태인지 판단한다(S300).
예를 들어,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는, 평균셀전압에서 최소셀전압을 뺀 값이 제1 판별값 이상인 경우를 플러딩 상태로 판단되고, 초기평균셀전압 대비 현재평균셀전압이 제2 판별값 이하인 경우 드라이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판단 모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a)는 성능 곡선, (b)는 정상상태 셀전압 모식도, (c)는 플러딩 상태 셀전압 모식도인데, 정상상태의 셀전압은 셀마다 거의 비슷한 수치로 나타나는데 반해, 플러딩 상태는 소수의 플러딩 된 개별셀이 전압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의 셀만 전압이 떨어지므로 전체 스택 전압은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플러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평균셀전압에서 최소셀전압을 뺀 값이 제1 판별값 이상인 경우를 플러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판별값은 평균셀전압의 10%인 값일 수 있다.
다시 예를 들어, 상기 평균셀전압이 0.7V이고, 상기 최소셀전압이 0.3V라면, 이 둘의 차이는 제1 판별값인 0.7x0.1 값인 0.07V 보다 큰 0.4V 이므로 플러딩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아웃 상태인 경우 판단 모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a)성능 곡선, (b) 정상상태 셀전압 모식도, (c) 드라이 상태 셀전압 모식도인데, 정상상태의 셀전압 및 드라이 상태의 셀 전압은 모두 서로 비슷한 수치로 나타나지만, 전체 스택 전압은 드라이 상태가 정상상태 보다 현저하게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시동시의 초기평균셀전압 대비 현재평균셀전압이 제2 판별값 이하인 경우 드라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판별값은 초기평균셀전압의 90%인 값일 수 있다.
다시 예를 들어, 상기 초기평균셀전압이 0.7V이고, 상기 현재평균셀전압이 0.5V라면, 상기 현재평균셀전압은 상기 초기평균셀전압의 0.7V의 90%인 0.63V 이하이므로 드라이 아웃(dry-out)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는 상기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가 아닌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넷째 단계에서,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킨다(S400).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그대로 유지하여 연료전지를 운전하고,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추고,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스택 내 물양이 정상 상태로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을 1로 설정한 경우에서,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1보다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높이고 따라서 공기 공급 유량을 증가시켜서 스택 내 수분이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1보다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낮추고 따라서 공기 공급 유량을 감소시켜서 스택 내 수분이 증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과급비율은 공기 필요 유량 대비 공기 공급 유량의 비율이고, 상기 공기 필요 유량은 스택의 전류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 값이므로, 결국 공기 공급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1) 출구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출구냉각수온도센서, 스택 출구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출구공기압력센서, 스택 입구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입구공기압력센서 및 스택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입구공기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0);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20);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하는 수분상태파악부(30); 및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키도록 조절하는 제어부(40); 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센서부(10)는 연료전지 스택(1) 출구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출구냉각수온도센서, 스택 출구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출구공기압력센서, 스택 입구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입구공기압력센서 및 스택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입구공기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구냉각수온도센서는 연료전지 스택(1) 출구의 냉각수 온도(Tout_coolant)를 측정한다.
상기 출구공기압력센서는 연료전지 스택(1) 출구의 공기 압력(Pexit_air)을 측정한다.
상기 입구공기압력센서는 연료전지 스택(1) 입구의 공기 압력(Pin_air)을 측정한다.
상기 입구공기온도센서 연료전지 스택(1) 입구의 공기 온도(Tin_air)를 측정한다. 상기 입구 공기 온도(Tin_air)를 측정한 후 입구 공기 온도(Tin_air)의 포화수증기압을 구하여, 이 값을 스택 입구의 수증기압(Pwin_air)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센서부(10)에서 측정되고 계산된 수치는 설정된 기준값 하에서 공기과급비율(λ)을 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은 출구 냉각수 온도(Tout_coolant)를 알면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은 기준값을 알면 구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임의적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경험적으로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은 1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하기 식 1 및 식2에 따라 도출될 수 있다.
<식1>
Figure pat00007
<식2>
Figure pat00008
상기 식1 및 식2에서,
Pw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Tout_coolant는 스택 출구에서의 냉각수 온도이고,
Pexit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공기 압력이고,
Pw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P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공기 압력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이 1인 경우, 스택 출구에서의 냉각수 온도(Tout_coolant)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스택 출구에서의 공기 압력(Pexit_air), 스택입구에서의 공기 압력(Pwin_air) 및 스택 입구에서의 공기 온도(Tin-air)의 포화수증기압(스택 입구에서의 수증기압(Pwin_air))을 대입하여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급과급비율(λ)은 공기 필요 유량 대비 공기 공급 유량의 비율(공기 공급 유량/공기 필요 유량)이다.
상기 공기 필요 유량은 스택의 전류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 유량은 Pww/Pw_air 가 상기 기준값이 되도록 공급과급비율(λ)로써 조절되어 스택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다. 즉, 상기 기준값에 의해 공급과급비율(λ)이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공급과급비율(λ)에 및 상기 측정된 공기 필요 유량에 따라 공기 공급 유량이 정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분상태파악부(30)는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는, 평균셀전압에서 최소셀전압을 뺀 값이 제1 판별값 이상인 경우를 플러딩 상태로 판단되고, 초기평균셀전압 대비 현재평균셀전압이 제2 판별값 이하인 경우 드라이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플러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평균셀전압에서 최소셀전압을 뺀 값이 제1 판별값 이상인 경우를 플러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판별값은 평균셀전압의 10%인 값일 수 있다.
다시 예를 들어, 상기 평균셀전압이 0.7V이고, 상기 최소셀전압이 0.3V라면, 이 둘의 차이는 제1 판별값인 0.7x0.1 값인 0.07V 보다 큰 0.4V 이므로 플러딩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시동시의 초기평균셀전압 대비 현재평균셀전압이 제2 판별값 이하인 경우 드라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판별값은 초기평균셀전압의 90%인 값일 수 있다.
다시 예를 들어, 상기 초기평균셀전압이 0.7V이고, 상기 현재평균셀전압이 0.5V라면, 상기 현재평균셀전압은 상기 초기평균셀전압의 0.7V의 90%인 0.63V 이하이므로 드라이 아웃(dry-out)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는 상기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가 아닌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스택 내부 수분상태 정보가 상기 제어부(4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분상태파악부(30)에서 판단된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그대로 유지하여 연료전지를 운전하고,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추고,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스택 내 물양이 정상 상태로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을 1로 설정한 경우에서,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1보다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높이고 따라서 공기 공급 유량을 증가시켜서 스택 내 수분이 감소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1보다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낮추고 따라서 공기 공급 유량을 감소시켜서 스택 내 수분이 증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과급비율은 공기 필요 유량 대비 공기 공급 유량의 비율이고, 상기 공기 필요 유량은 스택의 전류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 값이므로, 결국 공기 공급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에서 조절된 공기과급비율(λ)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부(20)에서 공기 공급 유량을 조절하여 연료전지 스택(1)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공기공급부(20)는 연료전지 스택으로의 공기 공급 유량을 증가시켜서 상기 스택 내부 물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공기공급부(20)는 연료전지 스택으로의 공기 공급 유량을 감소시켜서 상기 스택 내부 물양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과급비율(λ)에 따라 공기 공급 유량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므로 스택 내 수분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먼저, 연료전지 스택의 출구 냉각수 온도,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기준값을 1로 정하고,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준값 1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1보다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높이고 공기공급유량을 증가시킨다. 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1보다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낮추고 공기 공급 유량을 감소시켜서 스택 내 물양을 적당히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에 따라 공기과급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스택 내 물양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연료전지 시스템을 운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연료전지 스택
10: 센서부
20: 공기공급부 수분상태파악부
30: 수분상태파악부
40: 제어부

Claims (6)

  1. 연료전지 스택의 출구 냉각수 온도,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운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공기 필요 유량 대비 공기 공급 유량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운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하기 식 1 및 식2에 따라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운전 방법:
    <식1>
    Figure pat00009

    <식2>
    Figure pat00010

    상기 식1 및 식2에서,
    Pw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Tout_coolant는 스택 출구에서의 냉각수 온도이고,
    Pexit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공기 압력이고,
    Pw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P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공기 압력이다.
  4. 연료전지 스택 출구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출구냉각수온도센서, 스택 출구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출구공기압력센서, 스택 입구의 공기 압력을 측정하는 입구공기압력센서 및 스택 입구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입구공기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출구 냉각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출구 냉각수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Pww) 대비 출구 공기의 수증기압(Pw_air)에 대한 비율(Pw_air/Pww)이 기준값이 되도록 하는 공기과급비율(λ)을 상기 출구 공기 압력, 입구 공기 압력 및 입구 공기 온도에 의해 도출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기준값으로 운전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수분상태가 정상 상태, 플러딩 상태 또는 드라이 상태인지 판단하는 수분상태파악부; 및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플러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낮춰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증가시키고, 상기 스택 내부 수분상태가 드라이 상태인 경우 상기 기준값을 높여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을 감소시키도록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공기 필요 유량 대비 공기 공급 유량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과급비율(λ)은 하기 식 1 및 식2에 따라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식1>
    Figure pat00011

    <식2>
    Figure pat00012

    상기 식1 및 식2에서,
    Pw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Tout_coolant는 스택 출구에서의 냉각수 온도이고,
    Pexit_air은 스택 출구에서의 공기 압력이고,
    Pw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수증기압이고,
    Pin_air은 스택입구에서의 공기 압력이다.
KR1020200166755A 2020-12-02 2020-12-02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 KR20220077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55A KR20220077628A (ko) 2020-12-02 2020-12-02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755A KR20220077628A (ko) 2020-12-02 2020-12-02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28A true KR20220077628A (ko) 2022-06-09

Family

ID=8198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755A KR20220077628A (ko) 2020-12-02 2020-12-02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76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59791A (zh) * 2023-05-15 2023-06-13 上海重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系统的湿度自调节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469A (ko) 2013-11-12 2015-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수분 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469A (ko) 2013-11-12 2015-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수분 조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59791A (zh) * 2023-05-15 2023-06-13 上海重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系统的湿度自调节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9957C (en) Fuel cell system
JP500398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8956776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bnormality of fuel cell system
US8257874B2 (en) Fuel cell with cooling method at start up
US8652698B2 (en) Fuel cell,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fuel cell system
JP454845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US20070122668A1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starting it
EP2950376B1 (en) Fuel cell system and fuel cell powered vehicle
CA2597570C (en) Fuel cell system with voltage detection device
EP1442493B1 (en) Fuel cell system and its startup control
US8728641B2 (en) Startup gas supply pressure control device of fuel cell system
JP200911706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220077628A (ko) 연료전지 운전 방법 및 연료전지 시스템
US1092374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JP510928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11881604B2 (en) Fuel cell system
WO2010123144A1 (en) Method of controlling fuel cell system
JP3879428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20045819A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공급 압력 설정 방법
JP201520140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714703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出力加速時における圧力制御方法
JP202304562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200020343A (ko) 연료전지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2112886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04913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