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493A - 약 복용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약 복용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493A
KR20220077493A KR1020200166483A KR20200166483A KR20220077493A KR 20220077493 A KR20220077493 A KR 20220077493A KR 1020200166483 A KR1020200166483 A KR 1020200166483A KR 20200166483 A KR20200166483 A KR 20200166483A KR 20220077493 A KR20220077493 A KR 2022007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edicine bag
roller
tak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478B1 (ko
Inventor
장복녀
Original Assignee
장복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복녀 filed Critical 장복녀
Priority to KR102020016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4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약 복용 시간을 놓치지 않도록 약 복용 시간에 맞춰서 약을 공급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약 복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 복용 알림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어 약봉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분리시키는 약 공급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약봉지 세팅 챔버와, 상기 약 공급부가 미리 설정된 약 복용 시각이 도래하는 순간에 하나의 약봉지만 분리시키도록 상기 약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억력의 감퇴 등으로 인해 스스로 약의 복용이 힘든 환자가 혼자서 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게 해 주면서, 또한 정해진 약 복용 유효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준비된 약을 다시 회수함으로써 잘못된 복용 시간에 약을 복용하여 초래될 수 있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 해준다.

Description

약 복용 알림 장치{Medication Reminder Device}
본 발명은 약 복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가 약 복용 시간을 놓치지 않도록 약 복용 시간에 맞춰서 약을 공급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약 복용 알림 장치이다.
약은 질병을 치유하거나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장기 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더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약은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므로 올바르게 사용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올바른 약 복용은 “처방된 용량대로, 정확한 복용법을 준수하여, 지시된 처방기간을 제대로 지키는 것” 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런데 질병에 따라서는 하루에도 2회 이상 복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고 이때 하루에 2회 이상 복용하는 약이 복용 시간에 따라 달라서 반드시 복용 시간에 맞는 약을 먹어야 하고, 다른 복용 시간의 약을 임의로 먹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증상에 대한 의심 때문에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중복된 처방전과 약을 타서 복용하면 부작용이 생기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하루동안 먹는 약도 이처럼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약을 복용해야 한다면, 특정 시간대의 약 복용을 놓치면, 다른 시간에 놓친 약을 먹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아 다음날 같은 시간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날마다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 그 중에서도 하루에 서로 다른 약을 서로 다른 시간에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약 먹는 시간과 정해진 시간에 먹는 약 종류의 체크가 약 먹을 때 마다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누구나 실수할 가능성이 있어 약을 먹지 않고 건너뛰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 경우 한번 깜빡하고 건너뛰었다고 하여 다음 복용 때 2회분 이상의 약을 한꺼번에 복용해서는 안 된다. 복용을 잊은 사실을 빨리 알았다면 바로 복용해도 좋지만, 이미 시간이 지나 다음 복용시간이 가까워진 경우에는 잊어버린 1회분은 건너뛰고 다음 복용시간에 맞춰 정해진 양을 복용하여야 한다.
단 한 번의 건너뜀으로도 건강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빠트리지 않고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노인성 질환의 경우에는 치밀하게 약을 챙겨 먹지 못하고 깜빡하는 일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에는 이런 건너뜀이 종종 발생될 수 있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약의 복용 시간에 맞춰 제때 복용하는 것과, 복용 유효 시간이 경과한 뒤에는 너무 늦게 복용하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어 이미 놓친 약은 배재해 두도록 약의 복용 시간을 관리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특히 치매환자의 경우에는 혼자서는 약의 복용 주기를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청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14938호(공개일자: 2009. 11. 25)
이에 본 발명은 기억력의 감퇴 등으로 인해 스스로 약의 복용이 힘든 환자가 혼자서 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게 정해진 시간에 하나의 약봉지를 인출해 주는 약 복용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해진 약 복용 유효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준비된 약을 다시 회수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약 복용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약 복용 알림 장치로서, 상면 패널과, 정면 패널과, 측면 패널을 포함하며, 일회 복용분의 약이 내장된 약봉지가 투입 가능한 약 공급 창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약봉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분리시키는 약 공급부와, 상기 약 공급부로부터 분리된 약봉지가 낙하되어 안착되도록 일정한 용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약봉지 세팅 챔버와 상기 약 공급부가 미리 설정된 약 복용 시각이 도래하는 순간에 하나의 약봉지만 분리시키도록 상기 약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약봉지 세팅 챔버의 바닥에는 바람직하게는 개폐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바닥의 하부에 약봉지 회수 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 수단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약봉지가 상기 약봉지 세팅 챔버로부터 상기 약봉지 회수 챔버로 낙하된다.
상기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봉지가 약봉지 세팅 챔버에 안착된 때로부터 상기 약봉지에 내장된 약의 유효 복용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개폐 수단을 가동시켜 상기 약봉지를 상기 약봉지 회수 챔버로 낙하시키는 알고리즘이 내장된 연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 패널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패널로 상기 메모리에 상기 약 복용 시각과 상기 유효 복용 시간이 입력되며,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약 복용 시각이 도래할 때 상기 약 공급부가 하나의 약봉지만 분리시켜 상기 약봉지 세팅 챔버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유효 복용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유효 복용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개폐 수단에 작동 명령을 내려 상기 약봉지가 상기 약봉지 회수 챔버로 낙하되게 제어한다.
상기 약 공급부는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어 하나의 요철마다 하나의 상기 약봉지가 탑재되게 형성되는 요철 컨베이어와, 상기 요철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요철 컨베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베이어 구동 모터로 회전되는 구동 롤러와, 구동 롤러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아이들 롤러를 양 극점으로 하여 반복 회전되는 폐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요철은 상기 구동 롤러 또는 상기 아이들 롤러 주위를 돌며 각도가 180도로 반전되되, 상기 요철이 반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요철이 일정한 각도까지 가변 될 때 상기 요철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기 약봉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요철의 단부에 접촉되는 인출 롤러가 설치된다.
상기 인출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 롤러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인출롤러 샤프트의 양 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압력 센서와 서보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요철의 단부가 상기 약봉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롤러와 접촉될 때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접촉 압력을 감지하면 상기 서보 모터가 상기 인출 롤러를 회전 구동하되, 상기 인출 롤러는 상기 약봉지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상기 요철을 형성하는 돌출 부위와 함몰 부위 중에서 상기 돌출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한 면이 수직면이고 나머지 한 면은 경사면이며 상기 함몰 부위는 바닥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약봉지는 한 변이 상기 바닥 면에 안착되고, 상기 요철 컨베이어가 가변 될 때 상기 수직 면이 상기 약봉지를 밀어서 전진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 부위의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단부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돌출 부위의 단부가 상기 약봉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롤러와 접촉할 때, 상기 인출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약봉지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약봉지와 상기 돌출 부위 간의 마찰이 상기 단부 롤러로 인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인출 롤러의 상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 패널의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단차 벽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부위가 상기 인출 롤러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상기 약봉지의 상부는 상기 단차 벽에 걸리고 상기 약봉지의 하부는 상기 단부 롤러가 밀면서 상기 약봉지의 하부를 상기 함몰 부위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단부 롤러와 상기 인출 롤러 사이에 끼인 상기 약봉지는 하부로 낙하된다.
상기 요철 컨베이어의 상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 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봉지의 상단과 마찰을 유발시키는 마찰 패드 또는 마찰 유발용 섬유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 복용 알림 장치는 기억력의 감퇴 등으로 인해 스스로 약의 복용이 힘든 환자가 혼자서 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게 해 주면서, 또한 정해진 약 복용 유효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준비된 약을 다시 회수함으로써 잘못된 복용 시간에 약을 복용하여 초래될 수 있는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해주어 노인 질환이나 치매 환자가 스스로 약을 제대로 된 처방에 따라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알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 공급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용을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바람직한 약 복용 주기를 일자 그래프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알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알림 장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내장되는 약 공급부(20)와, 약 공급부(20)로부터 약봉지(D)를 하나씩 전달받는 약봉지 세팅 챔버(40)와, 약 공급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케이스(10)가 관찰되는 방향에 따라 상면 패널(11)과, 정면 패널(12)과, 측면 패널(13)이 각각 구분될 수 있고, 상면 패널(11)과 정면 패널(12)과 측면 패널(13)이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면과 정면과 측면과 배면의 구분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명명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게 될 약 인출 창(41)이 형성된 면을 케이스(10)의 정면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케이스(10)에는 일회 복용분의 약이 내장된 약봉지(D)가 투입 가능한 약 공급 창(111)이 형성된다. 약 공급 창의 크기와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1에서는 약 공급 창(111)이 상면 패널에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후술하게 될 약 공급부(20)가 정면이나 측면 또는 배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어, 인출된 약 공급부에 복수개의 약을 장전시킨 뒤에 다시 케이스 내부로 약 공급부를 삽입시키는 형태로 약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음)
약 공급부(20)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약봉지(D)를 하나씩 인출시키는 유닛이다. 약 공급부(20)는 약봉지(D)를 하나씩 인출할 수 있는 형태의 공지된 기술 중 어떠한 것도 채택 가능하다. 공지된 기술이 아닌 경우에는 약 공급부(2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약 공급부(20)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약봉지 세팅 챔버(40)는 약 공급부(20)가 인출한 하나의 약봉지(D)가 일정한 시간 동안 보관되는 장소이다. 약봉지 세팅 챔버(40)는 일정한 용적으로 형성되며 약 공급부(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약 공급부(20)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 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격 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약 공급부(20)의 하부로부터 약봉지 세팅 챔버(40)까지 약봉지(D)를 운송하는 별도의 운송 컨베이어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음)
약봉지 세팅 챔버(40)의 정면에는 약을 복용해야 될 환자가 약봉지(D)를 인출할 수 있도록 약 인출 창(41)이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10)의 정면에는 약 인출 창(41)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약 인출 창(41)에 해당되는 부위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약봉지 세팅 챔버(40)의 정면이 케이스(10)의 정면에 해당되어 케이스(10)의 정면에 약 인출 창(4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약 공급부(20)가 미리 설정된 약 복용 시각이 도래하는 순간에 하나의 약봉지만 분리시키도록 약 공급부(20)를 제어한다. 제어부의 자세한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약봉지 세팅 챔버(40)의 바닥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수단(42,4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 내부에는 약봉지 세팅 챔버(40)의 바닥의 하부에 약봉지 회수 챔버(16)가 구비되어, 개폐 수단(42,43)이 작동됨으로써 약봉지(D)가 약봉지 세팅 챔버(40)로부터 약봉지 회수 챔버(16)로 낙하될 수 있다.
약봉지 회수 챔버(16)는 약봉지 세팅 챔버(40)에 세팅 된 약봉지를 복용자가 유효 복용 시간 동안 찾아가지 않는 경우에, 약봉지(D)가 약봉지 세팅 챔버(40)로부터 방출될 때 방출되는 약봉지(D)를 전달받는 챔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약봉지 회수 챔버(16)가 약봉지 세팅 챔버(40) 하부에 형성되고, 약봉지 세팅 챔버(40)의 바닥에는 도어 구동 모터(43)와, 도어 구동 모터(43)로 가변 되는 낙하 도어(42)가 설치되어, 유효 복용 시간이 경과되면 낙하 도어(42)가 하부를 향해 개방됨으로써 약봉지(D)가 약봉지 회수 챔버(16)로 낙하된다.
약봉지 회수 챔버(16)는 도 1과 달리 약봉지 세팅 챔버(40)의 측면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약봉지 세팅 챔버(40)의 바닥이 하부로 개방되는 낙하 도어(42)가 아니라 약봉지 세팅 챔버(40)와 약봉지 회수 챔버(16)의 경계 벽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경계 벽과 함께 수평으로 회전됨으로써 약봉지(D)가 약봉지 세팅 챔버(40)로부터 약봉지 회수 챔버(16)로 회전되는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음)
제어부는 약봉지(D)가 약봉지 세팅 챔버(40)에 안착된 때로부터 약봉지(D)에 내장된 약의 유효 복용 시간이 경과할 때 개폐 수단(42,43)을 가동시켜 약봉지(D)를 약봉지 회수 챔버(16)로 낙하시키는 알고리즘이 내장된 연산 모듈 또는 제어 모듈(34)을 포함할 수 있다.
약의 유효 복용 시간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가 도 5에서 시간을 가로축으로 하는 직선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루 동안 서로 다른 세 가지 약을 서로 다른 시간대에 복용하는 환자의 약 복용 시간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따른 약 복용 시점은 오전 8시와 오후 1시와 오후 6시로 세팅 되어 있다. 오전 8시에는 약 공급부(20)는 오전에 복용해야 할 약을 약봉지 세팅 챔버(40)로 공급한다. 약을 복용하는 환자 입장에서는 오전 8시에 공급받는 약은 오전 10시 이전까지는 먹을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오전 8시에 공급받는 약은 오전 8시에 먹지 않고 오전 9시 59분에 먹어도 부작용 없이 유효한 약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오전 8시에 공급된 약봉지(D)의 약이 만약 환자가 오전 10시까지 복용하지 않고 남겨질 경우에는 오전 10시 이후의 복용은 부작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환자가 복용하는 것을 금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오전 10시가 되는 순간 연산 모듈 또는 제어 모듈(34)은 약봉지 세팅 챔버(40) 바닥의 개폐수단(42,43)을 가동시켜 약봉지(D)가 약봉지 회수 챔버(16)로 낙하된다.
약봉지 회수 챔버(16)로 낙하된 약봉지(D)는 이후에 회수되어 다른 날의 오전 8시에 먹을 수 있도록 약 공급 창을 통해 다시 약 공급부에 장전될 수 있다. 오전 8시에 공급되는 약과 동일한 경로로 오후 1시 및 오후 6시에 공급되는 약도 각각 오후 3시와 오후 9시까지 환자가 복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약봉지 회수 챔버(16)로 낙하되어 재장전 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시간대는 하나의 예이며, 약과 질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대로 약봉지(D) 공급 시점 및 약봉지(D) 회수 시점이 도 5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낙하 도어(42)와 도어 구동 모터(43) 및 약 공급부(20)가 도 5에 도시된 시간에 따라 약봉지(D)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제어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 패널(31)과,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제어 패널(31)로 상기 메모리에 상기 약 복용 시각과 상기 유효 복용 시간이 입력되며, 상기 연산 모듈 또는 제어 모듈(34)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약 복용 시각이 도래할 때 약 공급부(20)가 하나의 약봉지(D)만 분리시켜 약봉지 세팅 챔버(40)에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연산 모듈 또는 제어 모듈(34)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유효 복용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유효 복용 시간이 경과할 때 개폐 수단(42,43)에 작동 명령을 내려 약봉지(D)가 약봉지 회수 챔버(16)로 낙하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 공급부(20)의 측면도이다. 약 공급부(20)는 정해진 시간에 단 하나의 약봉지(D)를 약봉지 세팅 챔버(40)로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공급부(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어 하나의 요철마다 하나의 약봉지(D)가 탑재되게 형성되는 요철 컨베이어(21)와, 요철 컨베이어(21)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 모터(225)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철 컨베이어(21)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구동 모터(225)로 회전되는 구동 롤러(도시되지 않음)와, 구동 롤러와 이격 되게 설치되는 아이들 롤러(22)를 양 극점으로 하여 반복 회전되는 폐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요철 컨베이어(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구동 롤러 또는 아이들 롤러(22) 주위를 돌며 각도가 180도로 반전된다. 즉 요철 컨베이어(21)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롤러(22)를 감싸고 도는 부위에서는 상기 요철이 향하는 방향이 상부에서 점차적으로 하부를 향하도록 변경된다. 참고로 구동 롤러와 아이들 롤러(22)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요철 컨베이어(21)의 가변 방향은 요철 컨베이어(21)의 상부는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이고 요철 컨베이어(21)의 하부는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즉 요철 컨베이어(21)는 도 2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다만 약 공급부(20)의 설치 방향에 따라 요철 컨베이어(21)의 회전 방향도 변경될 수 있다.
요철 컨베이어(21)가 도 2에서 아이들 롤러(22)를 감싸고 회전되는 부위에서 상기 요철(221,222,223)이 반전되며, 이 반전 과정에서 요철이 일정한 각도까지 가변 될 때 요철 사이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약봉지(D)를 사이에 두고 요철의 단부에 접촉되는 인출 롤러(231)가 마련된다.
인출 롤러(2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롤러(231)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인출롤러 샤프트(2311)의 양 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압력 센서(233)와 서보 모터(23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작용을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상기 요철의 단부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봉지(D)를 사이에 두고 인출 롤러(231)와 접촉될 때 압력 센서(233)가 약봉지(D)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면 서보 모터(232)가 인출 롤러(231)를 회전 구동 시키되, 인출 롤러(23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봉지(D)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약봉지 세팅 챔버(40)는 인출 롤러(231)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하부로 배출되는 약봉지(D)는 약봉지 세팅 챔버(40)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요철 컨베이어(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221,222,223)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을 형성하는 돌출 부위와 함몰 부위 중에서 돌출 부위는 한 면이 수직면(221)이고 나머지 한 면은 경사면(222)이며, 함몰 부위는 바닥 면(2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약봉지(D)는 이때 약봉지(D)의 형상을 이루는 네 변 중에서 한 변이 바닥 면(223)에 안착되고, 요철 컨베이어(21)가 가변 될 때 수직 면(221)이 약봉지(D)를 밀어서 전진시킨다. 경사면(222)은 약봉지(D)가 가변 되는 방향에 형성되므로, 약봉지(D)가 아이들 롤러(22)를 감싸고 도는 지점까지 이송될 때 수직면(221) 보다는 경사면(222)이 하부를 향한 경사를 더 급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약봉지(D)의 하단이 바닥 면(223)에서 보다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해준다.
약봉지(D)가 바닥 면(223)에서 보다 더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면(221)과 경사 면(222)이 만나는 돌출 부위의 단부에는 단부 롤러(224)가 설치되어, 돌출 부위의 단부가 약봉지(D)를 사이에 두고 인출 롤러(231)와 접촉할 때, 인출 롤러(231)의 회전에 따라 약봉지(D)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약봉지(D)와 요철의 돌출 부위 간의 마찰이 단부 롤러(224)로 인해 경감되어 약봉지(D)가 훨씬 수월하게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인출 롤러(231)의 상부에는 또한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패널(11)의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단차 벽(112)이 형성되어, 요철 컨베이어(21)의 돌출 부위가 인출 롤러(231)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약봉지(D)의 상부는 단차 벽(112)에 걸리고 약봉지(D)의 하부는 단부 롤러(224)가 밀면서 약봉지(D)의 하부를 요철의 바닥 면(223)으로부터 이탈시켜, 단부 롤러(224)와 인출 롤러(231) 사이에 끼인 약봉지(D)는 하부로 낙하된다.
단차 벽(112)에는 표면에 약봉지(D)와의 접촉 면에서 일정한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게 마찰력을 상승시키는 물질로 표면이 도포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약봉지(D)와 단차 벽(112) 사이에 마찰력이 상승되면 약봉지(D)는 단차 벽(112)과 접촉되어 하부로 미끄러지는 과정이 지연되고, 하부로 미끄러지는 과정이 지연되는 만큼 약봉지(D)의 하단은 바닥 면(223)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약봉지(D)가 단차 벽(112)에 밀착되어 서서히 아래로 하강하는 동안 약봉지(D)의 하단이 바닥 면(223)에서 빠져나오도록 단부 롤러(224)는 약봉지(D)의 표면을 위에서 아래로 훑으면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민다. 즉 단부 롤러(224)는 요철 컨베이어(21)가 아이들 롤러(22)의 표면을 감싸고 도는 지점까지 이동한 순간에 약봉지(D)를 하단까지 밀어서 바닥 면(223)에서부터 약봉지(D)를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상면 패널(11)의 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봉지(D)의 전진을 방해하는 전진 방해 부재(113)가 부착될 수 있다. 전진 방해 부재(113)는 약봉지(D)의 상부가 하부보다 더 앞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뒤로 젖혀지게 만드는 부재이다. 전진 방해 부재(113)는 약봉지(D)의 상부가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오른쪽으로 젖혀지게 만들 수 있는 것이라면 구체적인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2의 실시예 에서는 고운 털실이 전진 방해 부재(113)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진 방해 부재(113)가 약봉지(D)가 전진 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약봉지(D)의 상부를 젖혀지게 만들면, 약봉지(D)가 앞으로 쏠리면서 혹시라도 약봉지(D) 두 개가 동시에 하부로 인출되는 상황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전진 방해 부재(113)와, 요철 컨베이어(21)와, 요철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롤러(224)와, 인출 롤러(231)와, 단차 벽(112)은 모두 서로 상호작용 됨으로써 단 하나의 약봉지(D)가 정해진 시간에 약봉지 세팅 챔버(40)로 인출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출 모듈(23)의 사시도이다. 인출 모듈(23)은 인출 롤러(231)가 약봉지(D)와 접촉될 때 회전 구동되기 시작하면서 단부 롤러(224)와 함께 약봉지(D)를 하부로 밀어 내는 작용을 한다. 인출 모듈(23)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롤러(231)와, 인출 롤러(231)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인출 롤러 샤프트(2311)와, 인출 롤러 샤프트(2311)를 회전 구동 시키는 서보 모터(232)와, 압력 센서(233)와, 가이드(235)와, 완충 스프링(2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출 롤러(231)가 약봉지(D)와 접촉되면 인출 롤러(231)는 약봉지(D)를 인출 롤러(231) 표면에 밀착시키는 단부 롤러(224)의 압력으로 인해 살짝 뒤로 밀리게 된다.
인출 롤러(231)가 뒤로 밀리면 인출 롤러(231)와 일체로 설치된 인출 롤러 샤프트(2311)와 서보 모터(232)도 뒤로 밀리게 된다. 서보 모터(232)가 함께 뒤로 밀리면 압력 센서(233)는 서보 모터(232)가 뒤로 밀리는 동작을 감지하면 곧바로 서보 모터(232)가 작동되어 인출 롤러(231)가 회전 구동 되도록 신호를 보낸다. 이때 압력 센서(233)의 감지와 작동 신호는 제어 모듈(34)을 경유할 수 있다.
서보 모터(232)가 뒤로 밀려 가변 되면서 압력 센서(233)에 접촉 압력을 전달할 때 서보 모터(232)가 밀리면서 가변 되는 압력이 온전하게 압력 센서(233)로 전달될 수 있도록 압력 센서(233)와 서보 모터(232)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스프링(23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서보 모터(232)와 압력 센서(233)는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더라도, 서보 모터(232)가 약간이라도 가변 될 때 완충 스프링(234)에 가하는 압력이 압력 센서(233)에 바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서보 모터(232)의 가변을 안내시키는 가이드(23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알림 장치는 정수기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약봉지의 약을 정수기의 물로 바로 복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D : 약봉지 10 : 케이스
11 : 상면 패널 12 : 정면 패널
13 : 측면 패널 14 : 하부 도어
16 : 약봉지 회수 챔버 20 : 약 공급부
21 : 요철 컨베이어 22 : 아이들 롤러
23 : 인출 모듈 31 : 제어 패널
32 : 디스플레이 33 : 전원 버튼
34 : 제어 모듈 40 : 약봉지 세팅 챔버
41 : 약 인출 창 42 : 낙하 도어
43 : 도어 구동 모터 111 : 약 공급 창
112 : 단차 벽 113 : 전진 방해 부재
141 : 경첩 142 : 손잡이
221 : 수직 면 222 : 경사 면
223 : 바닥 면 224 : 단부 롤러
225 : 컨베이어 구동 모터 231 : 인출 롤러
232 : 서보 모터 233 : 압력 센서
234 : 완충 스프링 235 : 가이드
2311 : 인출 롤러 샤프트

Claims (11)

  1. 상면 패널과, 정면 패널과, 측면 패널을 포함하며, 일회 복용분의 약이 내장된 약봉지가 투입 가능한 약 공급 창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약봉지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분리시키는 약 공급부;
    상기 약 공급부로부터 분리된 약봉지가 낙하되어 안착되도록 일정한 용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약봉지 세팅 챔버; 및
    상기 약 공급부가 미리 설정된 약 복용 시각이 도래하는 순간에 하나의 약봉지만 분리시키도록 상기 약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봉지 세팅 챔버의 바닥에는 개폐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바닥의 하부에 약봉지 회수 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 수단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약봉지가 상기 약봉지 세팅 챔버로부터 상기 약봉지 회수 챔버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봉지가 약봉지 세팅 챔버에 안착된 때로부터 상기 약봉지에 내장된 약의 유효 복용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개폐 수단을 가동시켜 상기 약봉지를 상기 약봉지 회수 챔버로 낙하시키는 알고리즘이 내장된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어 패널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패널로 상기 메모리에 상기 약 복용 시각과 상기 유효 복용 시간이 입력되며,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약 복용 시각이 도래할 때 상기 약 공급부가 하나의 약봉지만 분리시켜 상기 약봉지 세팅 챔버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유효 복용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유효 복용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개폐 수단에 작동 명령을 내려 상기 약봉지가 상기 약봉지 회수 챔버로 낙하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 공급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어 하나의 요철마다 하나의 상기 약봉지가 탑재되게 형성되는 요철 컨베이어와, 상기 요철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컨베이어는 상기 컨베이어 구동 모터로 회전되는 구동 롤러와, 구동 롤러와 이격 되게 설치되는 아이들 롤러를 양 극점으로 하여 반복 회전되는 폐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요철은 상기 구동 롤러 또는 상기 아이들 롤러 주위를 돌며 각도가 180도로 반전되며,
    상기 요철이 반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요철이 일정한 각도까지 가변 될 때 상기 요철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기 약봉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요철의 단부에 접촉되는 인출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롤러는 상기 인출 롤러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인출롤러 샤프트의 양 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압력 센서와 서보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요철의 단부가 상기 약봉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롤러와 접촉될 때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접촉 압력을 감지하면 상기 서보 모터가 상기 인출 롤러를 회전 구동 시키며,
    상기 인출 롤러는 상기 약봉지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을 형성하는 돌출 부위와 함몰 부위 중에서 상기 돌출 부위는 한 면이 수직면이고 나머지 한 면은 경사면이며 상기 함몰 부위는 바닥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약봉지는 한 변이 상기 바닥 면에 안착되고, 상기 요철 컨베이어가 가변 될 때 상기 수직 면이 상기 약봉지를 밀어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위의 단부에는 단부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돌출 부위의 단부가 상기 약봉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롤러와 접촉할 때, 상기 인출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약봉지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약봉지와 상기 돌출 부위 간의 마찰이 상기 단부 롤러로 인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롤러의 상부에는 상기 상면 패널의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단차 벽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부위가 상기 인출 롤러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상기 약봉지의 상부는 상기 단차 벽에 걸리고 상기 약봉지의 하부는 상기 단부 롤러가 밀면서 상기 약봉지의 하부를 상기 함몰 부위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단부 롤러와 상기 인출 롤러 사이에 끼인 상기 약봉지는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컨베이어의 상부에는 상기 상면 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약봉지의 상단과 마찰을 유발시키는 마찰 패드 또는 마찰 유발용 섬유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알림 장치.
KR1020200166483A 2020-12-02 2020-12-02 약 복용 알림 장치 KR102561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483A KR102561478B1 (ko) 2020-12-02 2020-12-02 약 복용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483A KR102561478B1 (ko) 2020-12-02 2020-12-02 약 복용 알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493A true KR20220077493A (ko) 2022-06-09
KR102561478B1 KR102561478B1 (ko) 2023-07-28

Family

ID=8198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483A KR102561478B1 (ko) 2020-12-02 2020-12-02 약 복용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4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337A (ko) * 2011-03-15 2012-09-2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KR101214938B1 (ko) 2009-11-05 2013-01-10 양재정 약봉지 자동 배출 장치
KR20130040995A (ko) * 2013-03-11 2013-04-24 안성재 복약 도움 장치
KR20130093343A (ko) * 2012-02-14 2013-08-22 대진기술정보 (주) 약제 배출장치
KR20150001036A (ko) * 2013-06-26 2015-0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약기 및 약 지급 방법
KR20150008533A (ko) * 2013-07-15 2015-01-23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용시간 별 자동 토출기능이 있는 약통
JP2020089720A (ja) * 2018-11-22 2020-06-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モデル登録装置、薬剤向き登録装置、及び薬剤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38B1 (ko) 2009-11-05 2013-01-10 양재정 약봉지 자동 배출 장치
KR20120105337A (ko) * 2011-03-15 2012-09-25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KR20130093343A (ko) * 2012-02-14 2013-08-22 대진기술정보 (주) 약제 배출장치
KR20130040995A (ko) * 2013-03-11 2013-04-24 안성재 복약 도움 장치
KR20150001036A (ko) * 2013-06-26 2015-0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약기 및 약 지급 방법
KR20150008533A (ko) * 2013-07-15 2015-01-23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용시간 별 자동 토출기능이 있는 약통
JP2020089720A (ja) * 2018-11-22 2020-06-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モデル登録装置、薬剤向き登録装置、及び薬剤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478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419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olid Articles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5110008A (en) Dispenser adapted to isolate the dispensed objects by compression between two moveable structures
EP2672947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use medication control
KR100591519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알약 투입 감지장치
GB2465764A (en) Hand held medical dispensing device with agitating element
JP2010535683A (ja) 薬剤包装装置の自由形状錠剤の自動排出器及び錠剤供給方法
US5219093A (en) Dispenser adapted to isolate the dispensed objects by compression between two movable structures
EP3300044A1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10414576B2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WO2020147171A1 (zh) 一种用于固态药品的分药机
KR20220077493A (ko) 약 복용 알림 장치
JP4505199B2 (ja) 薬剤棚のシャッター装置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102584313B1 (ko) 자동 약 공급 장치
KR20220100150A (ko) 로터리 약통 및 스마트 약관리 시스템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US20180089924A1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JPH0223401B2 (ko)
CN111821178B (zh) 多隔室分配筒
KR102595651B1 (ko) 처방약 자동 배출 및 복약 관리 기능을 갖는 트레이 장치
KR102664319B1 (ko) 정제 연속 공급장치
KR102674834B1 (ko) 정제 자동 공급 장치용 정제로딩모듈
CA3077941C (en) Multiple compartments dispensing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