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093A -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093A
KR20220076093A KR1020200164906A KR20200164906A KR20220076093A KR 20220076093 A KR20220076093 A KR 20220076093A KR 1020200164906 A KR1020200164906 A KR 1020200164906A KR 20200164906 A KR20200164906 A KR 20200164906A KR 20220076093 A KR20220076093 A KR 20220076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eyword
service
open market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석
신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보넥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보넥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보넥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6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093A/ko
Publication of KR2022007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3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8Query expa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판매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판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의 검색 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정보의 매칭 분석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APPARATUS FOR PROVIDING KEYWORD RANKING ANALYSIS SERVICES OF GLOBAL OPEN MARKET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경기도 글로벌스타트업 육성사업" 에 의해 지원받아 안출된 것이다.
글로벌 이커머스 마켓의 성장과 물류 및 택배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사용자는 쉽고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고, 이커머스(온라인) 마켓의 성장세는 오프라인 마켓을 추월하고 있다. 이에 많은 판매자는 온라인 마켓을 이용하여 상품 유통과 판매를 하는 상황으로 판매 상품의 최상단 노출 포인트가 판매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온라인 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키워드 검색 결과 노출되는 상품 리스팅 순서가 중요하다. 검색 결과 상품이 최상단 또는 가장 첫 페이지에 노출될 경우 유사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품의 노출 위치가 중요한 이유다. 따라서 키워드 검색 결과를 매일 수집하고, 수집된 결과를 분석하는 행위는 온라인 마켓에서 상품 판매시 필요한 일련의 과정이다. 판매하는 상품의 수량이 적을 경우 키워드 검색 결과 리스팅 작업에 대한 시간 소요가 많이 걸리지 않지만, 수량이 많아질 경우 해당 작업 시간은 상당한 시간을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린이치약” 키워드로 검색을 하는 경우 노출 되는 순서에 따라서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1개의 상품을 판매하더라도 연관 주요 키워드별로 노출이 되는 순위(페이지별 순서)를 수동으로 확인하고 노출 순위가 떨어진 경우에는 광고나 마케팅을 통해서 순위를 상승 시키기 위한 전략을 고민하게 된다.
이처럼 수동으로 키워드별로 노출 현황을 파악하는 일이 판매 상품 수량이 많아지면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져서 관련되어 투입 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 대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외부 검색 서버를 이용하여 각 판매자가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 등록한 제품별로 발생가능한 다양한 연관 검색어를 색인하고, 이에 기초한 종합적인 키워드를 자동적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한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상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키워드 기반의 상품의 노출 현황 파악 및 판매 전략 수립을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판매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판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의 검색 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정보의 매칭 분석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판매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판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제품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는 키워드 정보 크롤링부;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의 검색 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검색 결과 수집부; 상기 검색 결과 정보의 매칭 분석을 처리하는 분석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매칭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상기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 대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외부 검색 서버를 이용하여 각 판매자가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 등록한 제품별로 발생가능한 다양한 연관 검색어를 색인하고, 이에 기초한 종합적인 키워드를 자동적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한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상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키워드 기반의 상품의 노출 현황 파악 및 판매 전략 수립을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판매자의 단순 반복적인 업무 시간을 단축하고, 온라인 마켓에서의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게 하며, 판매자에게 판매 전략 및 인사이트 제공이 가능한 바,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 대한 소상공인 및 노하우가 부재한 기업들에게도 키워드 수집 자동화 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사업에서의 여러 가지 광고 지출과 영업 전략에 대한 업무 진행 후 노출 순위에 대한 히스토리 분석을 제공받을 수 있고, 추가적인 업무 전략에 대한 데이터를 히스토리화 하여 영업 전략을 고도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품과 매칭 된 검색 키워드 중 어떤 검색 키워드가 더 상품 판매에 기여를 하는지를 확인 하여 좀 더 정교한 타겟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 판매자 단말(300), 구매자 단말(400) 및 검색 서버(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는, 글로벌 쇼핑몰이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사의 서버일 수 있으며, 단일의 서버 장치이거나,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된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된 분산형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는 공개된 오픈 API를 이용한 다양한 상품 판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API 기반으로 등록되는 판매자 정보 및 상품 관리 정보에 기초한 판매 상품 정보를 등록받아 구매자 단말(400)로 공유하고, 구매자 단말(400)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판매자 단말(300) 또는 구매자 단말(400)은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로서,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한편, 검색 서버(500)는,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 등록된 제품 판매 정보에 대응하여, 제품 분류와 정보, 브랜드, 용도 등 제품 판매 정보와 관련한 검색이 가능한 연관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검색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서버(500)는 별도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네트워크 서버일 수 있으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와 연동된 글로벌 오픈 마켓 검색 서버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에서는 검색 서버(500)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검색 서버(500),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 판매자 단말(300) 및 구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간 상호간 통신을 위해 각 검색 서버(500),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 판매자 단말(300) 및 구매자 단말(400)은 인터넷 네트워크, LAN, WAN,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케이블 TV 망, WIFI, 이동 통신망 및 기타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서버(500),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 판매자 단말(300) 및 구매자 단말(400)은 상기한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300)은,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서비스 등록되면,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로부터 수집되는 판매자의 제품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정보 기반의 랭킹 분석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판매자 정보를 등록하고,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판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제품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고,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의 검색 결과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검색 결과 정보의 매칭 분석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한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를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는, 판매자 단말(300)의 판매 제품에 대응하는 키워드 검색량 확인 서비스, 오픈마켓 키워드 순위 확인 서비스, 오픈마켓 검색 상위노출 가이드 및 오픈마켓 상품명 자동 생성 또는 추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데이터는 AI 등의 다양한 분석 툴을 기반으로 분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키워드 정보 크롤링부(130), 검색 결과 수집부(140),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 인터페이스 처리부(160), 서비스 제공부(170) 및 키워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110)는,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부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이를 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판매자 단말(300) 또는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와 통신하거나, 판매자 단말(300) 또는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가 위치한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블루투스 표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 표준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판매자 단말(300)로부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판매자의 판매자 등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 관리부(190)는, 수신된 판매자 등록 정보에 따른 판매자 정보를 등록 처리하며, 등록된 판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자 관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 정보 크롤링부(130)는, 판매자 정보가 등록된 판매자에 대응하여,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사전 설정된 재고 보관 단위(Store Keeping Unit, SKU) 정보 기반의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 전체적으로 등록된 모든 판매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 정보를 검색 서버(500)로부터 크롤링 처리한다.
키워드 정보 크롤링부(130)는, 예를 들어 웹 크롤링 방식으로 검색 서버(500)의 판매 제품 정보 대응 연관 키워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웹 크롤링(Web Crawling)은 웹(Web)에 존재하는 콘텐츠(문서, 이미지, 사진 등)을 수집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HTML 페이지를 가져와 수집된 HTML과 CSS를 파싱(Parsing)하여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워드 정보 크롤링부(130)는, 파이썬(Python) 기반의 검색 요청을 검색 서버(500)로 전송하고,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여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할 수 있다. 크롤링된 키워드 정보는 키워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될 수 있다.
검색 결과 수집부(140)는, 크롤링된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 검색된 판매 제품 정보의 키워드 검색 결과를 수집한다.
검색 결과 수집부(140)는, 크롤링된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므로, 특정 판매 제품에 대한 키워드가 많아진다 하더라도, 판매자가 직접 키워드를 검색해보고 새로 입력하는 일련의 작업을 직접 처리하지 않아도 되며, 단시간에 키워드 결과 수집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는, 상기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 정보의 통계 분석 및 기계 학습 분석에 기초한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처리부(160)는 상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한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는, 제품 관련 연관 키워드 리스트와, 유입량 확인, 키워드 리스트별 제품 순위 확인, 랭킹 분석 기반 오픈마켓 상품명 자동 생성 서비스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170)는, 상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판매자 단말(300)에서는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의 판매자 정보만 사전 등록하면, 글로벌 오픈 마켓에 등록된 제품 판매 정보를 이용한 연관 키워드 도출과,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처리에 따른 키워드 리스트별 검색어 유입량 분석 등 다양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는, 검색 결과 수집부(140)에서 수집된 검색 결과 중,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하나의 메인 키워드와 매칭된 연관 키워드별 검색량과 예상 실적을 자동 분류 조회하고, 자동 분류 조회 결과를 상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는 사용자가 추가 등록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량 예측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된 예측 결과를 상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판매 제품 연관 키워드의 검색량 예측 정보를 판매자 단말(300)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각 키워드별 검색 결과는 모두 키워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 및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판매자 단말(300) 사용자는 그 결과를 키워드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검색량이 높고 노출이 잘되는 키워드로 마케팅 및 판매 전략을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는, 키워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 규정된 상품 이름 등록 규칙에 해당하는 상품명 및 키워드 조합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상품명 및 키워드 조합 정보를 상기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상품 이름 등록시의 검색 노출 결과를 높여 결과적으로 고객의 구매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70)는, 판매자 단말(300)로의 수집된 키워드 검색 결과를 대시보드 인터페이스 형태의 일별 순위 정보로 제공할 수 있으며, 판매자가 직관적으로 상품 노출 순위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80)는, 전술한 키워드 정보, 검색 결과 정보, 분석 데이터 정보, 인터페이스 정보 등의 저장 및 관리를 처리하며, 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서버(200)에 대한 전반적인 키워드 관리 데이터베이스(180)를 사전 구축하고, 판매자 단말(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데이터 마트(MART)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판매자 단말을 등록한다(S201).
그리고,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글로벌 오픈 마켓 API를 제공하는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판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제품 정보를 획득한다(S203).
이후,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 정보를 검색 서버(500)로부터 크롤링한다(S205).
그리고,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의 검색 결과 정보를 수집한다(S207).
이후,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결과 정보의 매칭 분석에 따라, 판매자 단말로 키워드 랭킹 분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09).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어 판매자 단말(300)에서 출력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 제품 정보의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에서의 분석 처리에 따라 산출되는 키워드 검색량 확인, 오픈마켓 키워드 순위 확인, 오픈마켓 검색 상위노출 가이드, 오픈마켓 상품명 자동 생성/추천 기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항목 대시보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는,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별 검색량 조회 정보를 키워드 랭킹 분석 인터페이스를 통해 판매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는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픈마켓 키워드 검색 결과 정보 또는 키워드 검색 순위 정보를 가공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부(160)를 통해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제공부(170)를 통해 판매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는 오픈마켓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상위노출에 유리한 키워드를 추천하는 가이드 정보를 가공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부(160)를 통해 생성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제공부(170)를 통해 판매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데이터 가공부(150)는, 오픈마켓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상위노출에 유리한 상품명 및 연관 키워드를 추천하는 상품명 자동 생성/추천 정보를 가공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부(160)를 통해 생성된 상품명 자동 생성/추천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제공부(170)를 통해 판매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판매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판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의 검색 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정보의 매칭 분석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메인 키워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키워드 정보를 이용한 웹 크롤링을 처리하여, 상기 메인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분석 서비스는, 상기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별 검색량 정보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분석 서비스는, 상기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별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내 검색 순위 정보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분석 서비스는, 상기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에 기초한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내 검색 상위노출 가이드 정보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분석 서비스는, 상기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에 기초한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내 상품명 자동 생성 또는 추천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7.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판매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판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판매 제품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는 키워드 정보 크롤링부;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에서의 검색 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검색 결과 수집부;
    상기 검색 결과 정보의 매칭 분석을 처리하는 분석 데이터 가공부; 및
    상기 매칭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로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수집부는,
    상기 판매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메인 키워드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메인 키워드 정보를 이용한 웹 크롤링을 처리하여, 상기 메인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관 키워드 정보를 크롤링하는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분석 서비스는, 상기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별 검색량 정보 서비스를 포함하는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분석 서비스는, 상기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별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내 검색 순위 정보 서비스를 포함하는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분석 서비스는, 상기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에 기초한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내 검색 상위노출 가이드 정보 서비스를 포함하는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분석 서비스는, 상기 메인 키워드에 대응하는 연관 키워드에 기초한 상기 글로벌 오픈 마켓 네트워크 내 상품명 자동 생성 또는 추천 서비스를 포함하는
    키워드 기반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00164906A 2020-11-30 2020-11-30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76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06A KR20220076093A (ko) 2020-11-30 2020-11-30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06A KR20220076093A (ko) 2020-11-30 2020-11-30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93A true KR20220076093A (ko) 2022-06-08

Family

ID=8198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06A KR20220076093A (ko) 2020-11-30 2020-11-30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0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3668B2 (en) Contextual searching via a mobile computing device
CN101999121B (zh) 推荐信息评价装置及推荐信息评价方法
US20190019203A1 (en) Method for providing marketing management data for optimization of distribution and logistics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42047B1 (ko) 정형 및 비정형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111167A (zh) 一种确定推荐对象的方法和装置
KR20130011257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상품 정보 추천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N106233316A (zh) 利用产品和服务评论
CN109155041A (zh) 提供与社交图相关联的基于旅行或促销的推荐
KR20120078837A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CN113077317A (zh) 基于用户数据的物品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085567A (zh) 商品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介质
CN111914188A (zh) 推荐目标用户的选择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0674391A (zh) 基于大数据的产品数据推送方法、系统和计算机设备
KR20210032691A (ko) 네트워크 기반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1991308B1 (ko) 오픈마켓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US20080071553A1 (en) Generation of Commercial Presentations
CN102831526A (zh) 一种针对在线交易应用的商品搜索排序的方法和系统
KR102347539B1 (ko) 수입 판매를 위한 정보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903183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7541355A (zh) 商品信息展示方法及展示系统
KR20220076093A (ko) 글로벌 오픈 마켓의 키워드 랭킹 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5839B1 (ko) 오픈마켓 창업 지원 방법 및 시스템
CN103577601A (zh) 数据获取方法和装置
KR20220076094A (ko) 글로벌 오픈 마켓 기반의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2055080A (zh) 区域数字经济的物联网服务方法、装置和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