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069A - Container for waste sorting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waste sor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069A
KR20220076069A KR1020200164855A KR20200164855A KR20220076069A KR 20220076069 A KR20220076069 A KR 20220076069A KR 1020200164855 A KR1020200164855 A KR 1020200164855A KR 20200164855 A KR20200164855 A KR 20200164855A KR 20220076069 A KR20220076069 A KR 20220076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door
disposed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주호
지수환
김범수
정은진
오대연
최성원
정영훈
윤석민
Original Assignee
윤주호
지수환
김범수
정은진
오대연
최성원
정영훈
윤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호, 지수환, 김범수, 정은진, 오대연, 최성원, 정영훈, 윤석민 filed Critical 윤주호
Priority to KR102020016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069A/en
Publication of KR2022007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52Materia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2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분리 수거통으로서, 일측으로는 상기 재활용품이 투입되는 투입홀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일정 높이로 배치되는 본체; 상기 재활용품 표면의 물품 정보 인식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재활용품의 재질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 도어가 개방되는 도어부; 제1 내지 제n 단위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품을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부로는 상기 본체가 배치되고, 하부로는 상기 수거부가 배치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수거부 사이에 상기 도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 상기 수거부 및 상기 도어부의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리 수거통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container for collecting recycled materials to be input by materi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input hole in which the recyclables are put in is formed on one side, an open lower part, and arrang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n articl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on the surface of the recycled article and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f the recycled article; a control unit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cognition unit; a door unit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the door unit including first to n-th unit doors, wherein one selected one of the first to n-th unit doors is open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collection unit including first to n-th unit collection units, and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recyclables discharged through the door unit according to materials; and a frame in which the main body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 collecting unit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 doo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llecting unit, and the main body, the collecting unit and the door unit are maintained in an arrangement state. It provides a separation container comprising a.

Description

분리 수거통{Container for waste sorting}Separation bin{Container for waste sorting}

본 발명은 분리 수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재질에 따라 분리 및 수거할 수 있는 분리 수거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ion container capable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input recyclables according to materials.

최근에는 쓰레기를 재활용하도록 하는 정책이 제시되고 있으며, 각 가정에서도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와 소각이나 매립을 할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하고 있다.Recently, a policy to recycle waste has been proposed, and each household separates recyclable waste from waste to be incinerated or landfilled.

또한, 매점이나 공공장소 등에서는 많은 양의 쓰레기를 일일이 분리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재활용 쓰레기통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재활용 쓰레기통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등으로 되는 수납부가 구비되어 있는 쓰레기통이 대부분이다.In addition, separate recycling bins are provided in shops and public places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separating large amounts of garbage one by one. Most of these recycling bins are generally trash bins provided with a plastic storage unit.

쓰레기통을 통하여 수거된 재활용품의 활용을 위해서는 수거된 재활용품을 폐지류,유리병류,캔류,플라스틱류,금속류, 의류 및 기타 물질 등으로 선별한 후, 선별된 품목별로 해당 품목의 재생 공장으로 넘겨져 재생된다.In order to utilize the recyclables collected through the trash can, the collected recyclables are sorted into waste papers, glass bottles, cans, plastics, metals, clothing and other materials, etc. .

여기서, 플라스틱류는 PE, PP, PC 등으로 보다 세분화될 수 있고,금속류도 주석, 일반 철, 알루미늄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재활용품의 재활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스틱류는 PE, PP, PC 등 세분화하여 분리 수거되는 것이 필요하고, 금속류도 그 재질(알루미늄, 철, 주석 등)별로 세분화하여 분리 수거해야할 필요가 있다.Here, plastics may be further subdivided into PE, PP, PC, and the like, and metals may also be subdivided into tin, general iron, aluminum, and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the recycling rate of recyclable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collect plastics such as PE, PP, and PC, an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collect metals by subdividing them by material (aluminum, iron, tin, etc.).

그러나, 재활용품 수거 시 품목별로 세분화하는 작업은 경험 있는 인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재활용품의 분리수거 및 재활용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work of subdividing recyclables by item is done manually by experienced personn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and money are consumed in the separate collection and recycling of recyclables.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0389933호를 예시할 수 있다.The prior art fo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ified by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8993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활용 가능한 물품을 재질별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분리 수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ion container that can separate and collect recyclable articles by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물품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QR 코드를 인식하고, QR 코드에 기재되어 있는 재질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분리 수거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QR cod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article, and by using the material-related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QR co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e container that can separate and collect recycled products by material.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분리 수거통으로서, 일측으로는 상기 재활용품이 투입되는 투입홀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일정 높이로 배치되는 본체; 상기 재활용품 표면의 물품 정보 인식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재활용품의 재질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 도어가 개방되는 도어부; 제1 내지 제n 단위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품을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부로는 상기 본체가 배치되고, 하부로는 상기 수거부가 배치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수거부 사이에 상기 도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 상기 수거부 및 상기 도어부의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리 수거통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container for collecting recycled materials to be input by separating them by material. On one side, an input hole into which the recycled materials are put is formed, the lower part is open, and the main body is arranged at a certain height. ;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n articl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on the surface of the recycled article and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f the recycled article; a control unit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cognition unit; a door unit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the door unit including first to n-th unit doors, wherein one selected one of the first to n-th unit doors is open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collection unit including first to n-th unit collection units, and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recyclables discharged through the door unit according to materials; and a frame in which the main body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 collecting unit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 doo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llecting unit, and the main body, the collecting unit and the door unit are maintained in an arrangement state. It provides a separation container comprising a.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power using sunlight.

상기 물품 정보 인식 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 코드(bar code)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may include a QR code or a bar code.

상기 투입홀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가 단속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put hole may be interrupt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가 경사면을 이루며 배치되는 역다각뿔 형태일 수 있다.The door unit may have an inverted polygonal pyramid shape in which the first to n-th unit doors form an inclined surface.

상기 단위 도어의 밑변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회전 동작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부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edge of the unit door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dge of the main body by an actuator that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상기 단위 도어의 개수와 상기 단위 수거부의 개수는 서로 대응할 수 있다.The number of unit doors and the number of unit collection units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수거부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 각각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to n-th unit collection parts may be disposed under each of the first to n-th unit door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물품 표면의 QR 코드를 인식한 후, QR 코드에 기재되어 있는 재질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함으로써,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과정에서 시간과 수고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ecognizes the QR code on the surface of the article, and then uses the material-related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QR code to separate the recycled products by material, thereby saving time and money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recycled products by material.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effo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수거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어부와 수거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수거통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door unit and the collection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수거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수거통(100)은 본체(110), 인식부(120), 제어부(130), 도어부(140), 수거부(150), 프레임(160),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한다. 1, the separation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recognition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door unit 140, a collection unit 150, a frame ( 160 ), and a power supply unit 170 .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의 분류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main body 110 is made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provides a space for sorting recycled products to be inputted to the inside.

본체(110)의 일측으로는 분리 대상인 재활용품이 투입되는 투입홀(112)이 소정 크기로 형성된다.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 input hole 112 into which a recycling object to be separated is pu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여기서, 투입홀(112)은 후술하는 인식부(120)에 의해 재활용품의 투입이 인식되었을 때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재활용품이 아닌 일반 쓰레기의 투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hole 112 is configured to be opened when the input of recyclables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input of general waste other than recyclables is prevented.

또한, 본체(110)의 하부는 개방 형성된다. 본체(110)의 하부로는 후술하는 도어부(140)가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is formed open. A door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

또한, 본체(110)는 후술하는 프레임(160)에 의해 소정 높이로 배치되고, 그 배치 높이가 유지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a frame 1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rrangement height is maintained.

한편, 본체(110)의 일측으로는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의 관리 시 개방되는 소정의 개방도어(114)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 predetermined open door 114 that is opened when managing the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may be disposed.

인식부(120)는 본체(110) 일측으로 배치되어, 재활용품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물품 정보 인식 코드를 인식한 후, 물품 정보 인식 코드가 나타내는 재활용품의 재질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The recognition unit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recognizes the product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recycled product,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f the recycled product indicat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여기서, 물품 정보 인식 코드는 QR 코드를 포함한다. Here, the product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includes a QR code.

QR 코드는 가로와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코드로서, 소정 물품의 표면에 인쇄되어 물품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있다. A QR code is a code that can store information in two direction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a predetermined product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QR 코드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QR code is a well-known technology,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QR 코드를 인식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인식부(120)는 바코드(bar code)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recognizes a QR code,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 bar code according to the user's need.

제어부(130)는 인식부(120)에서 출력되는 재질 관련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도어부(14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후술하는 도어부(140)가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door unit 140 in response to the material-related signal output from the recognition unit 120 . One of the plurality of unit doors included in the door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opened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30 .

또한, 제어부(130)는 도어부(14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할 때, 투입홀(112)이 개방될 수 있도록 투입홀(112)로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when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door unit 140 , the control unit 130 preferably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input hole 112 so that the input hole 112 can be opened.

제어부(130)는 본체(110)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main body 110 .

도어부(140)는 본체(110) 하부에 배치되어,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된다.The door unit 140 is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110 and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30 .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어부(140)는 역사각뿔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door unit 14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inverted pyramid shape.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실시예에서, 도어부(140)는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는 각각 동일한 크기의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unit 140 includes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Here,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are each formed in the shape of an isosceles triangle having the same size.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는 그 밑변이 본체(11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와 본체(110) 하부의 4 모서리 간의 연결 부위에는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액츄에이터(144A, 144B, 144C, 144D)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10 . Here,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s that ro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30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10 . , the third and fourth actuators (144A, 144B, 144C, 144D) are preferably interposed.

그리고,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는 본체(110)의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하여,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 각각의 꼭지각은 본체(110)의 중심축 상에서 서로 접하며,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를 포함하는 도어부(140)는 역사각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And,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142D) ar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110,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142D), respectively, the apex angle The silver body 11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central axis, and the door unit 140 including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has an inverted pyramid shape.

수거부(150)는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도어부(140)의 개방에 따라 본체(110)에서 배출되는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수거한다. The collection unit 150 is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110 , and collects recyclable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unit 140 by material.

수거부(15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단위 수거부를 복수로 포함한다. The collecting unit 15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ollecting unit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open top.

단위 수거부의 개수는 단위 도어의 개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수거부(150)는 제1 내지 제4 단위 수거부(152A, 152B, 152C, 152D)를 포함한다.The number of unit collection unit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unit doors.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lection unit 150 includes the first to fourth unit collection units 152A, 152B, 152C, and 152D.

제1 내지 제4 단위 수거부(152A, 152B, 152C, 152D) 각각은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 각각의 하부에 배치된다.Each of the first to fourth unit collecting units 152A, 152B, 152C, and 152D is disposed under each of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어부와 수거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door unit and the collection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단위 수거부(152A, 152B, 152C, 152D)는 2x2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제1 내지 제4 단위 수거부(152A, 152B, 152C, 152D)의 상부에는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가 제1 내지 제4 단위 수거부(152A, 152B, 152C, 152D)의 대각선 상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to fourth unit collecting units 152A, 152B, 152C, and 152D are arranged in a 2x2 matrix form, and are disposed above the first to fourth unit collecting units 152A, 152B, 152C, and 152D.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are disposed on the diagonal of the first to fourth unit collecting units 152A, 152B, 152C, and 152D.

상기와 같은 배치에 의해 제1 단위 도어(142A)가 개방되면, 소정 물품이 제1 단위 수거부(152A)를 통해 수거될 수 있고, 제2 단위 도어(142B)가 개방되면, 소정 물품이 제2 단위 수거부(152B)를 통해 수거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unit door 142A is opened by the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article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first unit collecting unit 152A, and when the second unit door 142B is opened, the predetermined article is removed. It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2 unit collection unit 152B.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도어와 단위 수거부가 각각 4개로 설정되어 있어, 투입되는 물품의 분류가 4종류만 가능하지만, 분류 가능 종류의 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분류가능한 물품의 개수에 대응하여 단위 도어와 단위 수거부의 개수도 증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unit door and the unit collection unit are set to 4, only 4 types of input are possible, but the number of types that can be classified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lso, the number of unit doors and unit collection units may be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number of items that can be classified.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6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로드를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160 is formed by connecting rods made of a metal material to each other.

프레임(160)의 상부로는 본체(110)가 배치되는 제1 공간(162)을 제공하고, 제1 공간(162) 하부로는 도어부(140)가 배치되는 제2 공간(164)을 제공하며, 제2 공간(164) 하부에는 제1 내지 제4 단위 수거부(152A, 152B, 152C, 152D)가 배치되는 제3 공간(166)을 제공한다. A first space 162 in which the body 110 is disposed is provid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160 , and a second space 164 in which the door unit 140 is disposed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62 . and a third space 166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unit collection units 152A, 152B, 152C, and 152D are disposed below the second space 164 is provided.

전원 공급부(170)는 본체(110)의 상부로 배치되는 태양 전지 판넬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7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전원을 출력한 후, 이를 인식부(120), 제어부(130)와 도어부(14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70 includes a solar cell panel disposed above the body 110 .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output a predetermined power using sunlight and then supply it to the recognition unit 120 , the control unit 130 , and the door unit 140 .

또한, 전원 공급부(170)는 일반 전원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unit 170 is configured to use a general power source toge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는 투입물품(예를 들어 소정의 음료캔 또는 생수통 등)을 인식부(120)에 근접시켜, 인식부(120)가 투입물품 표면의 QR 코드를 인식하도록 한다. First, the user brings the input product (eg, a predetermined beverage can or water bottle, etc.) close to the recognition unit 120 so that 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QR code on the surface of the input product.

인식부(120)는 투입홀(112)을 통해 투입되는 물품의 표면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한 후, 재질에 관련된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Th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QR cod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article to be put through the input hole 112 , and then outputs a signal related to the material to the controller 130 .

제어부(130)는 인식부(120)에 의해 소정 물품의 재질에 관련된 인식 동작이 이루어지면, 투입홀(112)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When a recognition operation related to the material of a predetermined article is performed by the recognition unit 120 , the controller 13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pen the input hole 112 .

여기서, 제어부(130)는 금속류, 플라스틱류, 종이류, 비닐류 등, 투입되는 물품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 중 물품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단위 도어로 출력하도록 기 설정되어 있다.Here,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article, such as metal, plastic, paper, vinyl, etc.,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corresponding to the article. It is preset to output to the unit door.

따라서, 제어부(130)는 인식부(120)의 출력 신호에 따라 투입되는 물품을 금속류, 플라스틱류 등으로 구분한 후, 제1 내지 제4 단위 도어(142A, 142B, 142C, 142D)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도어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classifies the inputted goods into metals, plastics, etc.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recognition unit 120 , and the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unit doors 142A, 142B, 142C, and 142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unit door of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단위 도어의 개방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6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ning of the first unit do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투입홀(112)을 통해 투입되는 물품이 인식부(120)에 의해 금속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30)는 제1 단위 도어(142A)에 연결된 제1 액츄에이터(144A)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단위 도어(142A)가 개방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recognition unit 120 that the article input through the input hole 112 is metal, the controller 1130 controls the first actuator 144A connected to the first unit door 142A. By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unit door 142A is opened.

제1 단위 도어(142A)의 개방에 의해 투입되는 물품은 제1 단위 수거부(152A)로 수거된다. The article input by opening the first unit door 142A is collected by the first unit collecting unit 152A.

사용자는 이후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며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할 수 있다. The user may then repeat the above process and separate the recyclables by material.

이후, 재활용품이 금속류, 플라스틱류 등으로 분리 수거되었다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하여 분리수거할 수 있다. Thereafter, if recyclables are separated and collected into metals, plastics, etc., the user can separate and collect them as follows.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수거통(100)을 별도로 준비하고, 별도 준비된 분리 수거통은 철, 알루미늄, 주석 등 금속류를 세분화하여 분리수거하도록 한다. 이후, 기존의 분리 수거통의 제1 단위 수거부(152A)에 의해 수거된 재활용품을 별도 준비된 분리 수거통의 투입홀을 통해 투입하면, 금속류로 분류된 재활용품을 보다 세분화된 재질별로 분리수거할 수 있다. The user separately prepares a separate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parately prepared container for separate collection of metals such as iron, aluminum, and tin is subdivided and collected. Thereafter, if the recyclables collected by the first unit collection unit 152A of the existing separation container are put through the input hole of the separate container, the recyclables classified as metals can be separated and collected by more subdivided materials.

사용자가 PP, PC, PE 등으로 플라스틱류를 세분화하여 분리수거하도록 설정된 분리 수거통을 준비한다면, 플라스틱류로 분리 수거된 재활용품을 투입홀을 통해 투입하며 PP, PC, PE 등의 재질로 세분화하여 분리수거를 수행할 수 있다. If the user prepares a recycling bin set to separate and collect plastics by subdividing them into PP, PC, PE, etc., put the recyclables separated and collected as plastics through the input hole and subdivide them into materials such as PP, PC, PE, etc. collection can be carried ou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물품 표면의 QR 코드를 인식한 후, QR 코드에 기재되어 있는 재질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함으로써,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과정에서 시간과 수고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ognizes the QR code on the surface of the article, and then uses the material-related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QR code to separate the recycled materials to be input by material, so that the tim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recyclables by material and effort is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분리 수거통 110: 본체
120: 인식부 130: 제어부
140: 도어부 150: 수거부
160: 프레임 170: 전원 공급부
100: separation container 110: body
120: recogni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door 150: collection unit
160: frame 170: power supply

Claims (8)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재질별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분리 수거통으로서,
일측으로는 상기 재활용품이 투입되는 투입홀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일정 높이로 배치되는 본체;
상기 재활용품 표면의 물품 정보 인식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재활용품의 재질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단위 도어가 개방되는 도어부;
제1 내지 제n 단위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재활용품을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부로는 상기 본체가 배치되고, 하부로는 상기 수거부가 배치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수거부 사이에 상기 도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 상기 수거부 및 상기 도어부의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리 수거통.
As a separation container that separates and collects recycled materials to be inputted by material,
a main body having an input hole in which the recyclables are put in one side, an open lower part, and arrang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n article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on the surface of the recycled article and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f the recycled article;
a control unit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cognition unit;
a door unit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the door unit including first to n-th unit doors, wherein one selected one of the first to n-th unit doors is open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collection unit including first to n-th unit collection units and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recyclables discharged through the door unit according to materials; and
a frame in which the main body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the collecting part is disposed on the lower part, the door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llecting part, and the main body, the collecting part and the door part are maintained in an arrangement state. Separation bins inclu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 수거통.
According to claim 1,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separation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power using sun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보 인식 코드는 QR 코드 또는 바 코드(bar code)를 포함하는 분리 수거통.
According to claim 1,
The product information recognition code is a separate container including a QR code or a bar code (bar c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홀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는 분리 수거통.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hole is a separation containe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가 경사면을 이루며 배치되는 역다각뿔인 분리 수거통.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part,
The separation container of the inverted polygonal pyramid in which the first to n-th unit doors are arrang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도어의 밑변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회전 동작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부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 수거통.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ottom of the unit door is
A separation contain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dge of the main body by an actuator that rot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도어의 개수와 상기 단위 수거부의 개수는 서로 대응하는 분리 수거통.
7. The method of claim 6,
The number of unit doors and the number of unit collection units correspond to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수거부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n 단위 도어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리 수거통.
8.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first to n-th unit collection units,
Separation container disposed under each of the first to n-th unit doors.
KR1020200164855A 2020-11-30 2020-11-30 Container for waste sorting KR202200760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55A KR20220076069A (en) 2020-11-30 2020-11-30 Container for waste sor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55A KR20220076069A (en) 2020-11-30 2020-11-30 Container for waste sor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69A true KR20220076069A (en) 2022-06-08

Family

ID=8198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855A KR20220076069A (en) 2020-11-30 2020-11-30 Container for waste sor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06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750B1 (en) * 2023-11-24 2024-04-08 김태윤 Smart recycling waste separ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750B1 (en) * 2023-11-24 2024-04-08 김태윤 Smart recycling waste separ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561B1 (en) Automatic separation garbage can using sound recognition
CN207182487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intellectual beverage bottle recycling machine
US5398838A (en) Rad recycle bin
KR102056183B1 (en) Collecting Apparatus of Recycled Product
CN110697285A (en) Garbage classification and recovery device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12623562B (en) Bottle article classification and recovery method
CN108313579A (en) Automatic classification dustbin
CN208199474U (en) A kind of garbage reclamation sorter
CN107716526B (en) Garbage classification processing device
KR20220076069A (en) Container for waste sorting
CN208560477U (en) One kind of multiple class recyclable rubbishes intelligent recycling machine with compensation
CN111667635A (en) Beverage vending machine capable of achieving classified recycling
CN105270728B (en) A kind of beverage bottle recycling machine
CN109178706A (en) A kind of intelligent garbage bin
CN110316486A (en) A kind of wisdom dustbin
CN113697318A (en) Household garbage classification barrel with garbage classification guiding function
CN112687048A (en) Renewable resource recycling equipment and method supporting exchange function
TWI707812B (en) Smart resource recycling bin
CN211109162U (en) Paid recovery device for express packages
KR100562934B1 (en) A separate garbage collection dustbin
CN211140414U (en) Garbage classification and recovery device
CN209225868U (en) Intelligent waste product recyclable device
CN214731633U (en) Garbage classification throwing device based on intelligent identification
CN214731544U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classification garbage bin
CN2594203Y (en) Automatic classific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dust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