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675A -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675A
KR20220075675A KR1020200164002A KR20200164002A KR20220075675A KR 20220075675 A KR20220075675 A KR 20220075675A KR 1020200164002 A KR1020200164002 A KR 1020200164002A KR 20200164002 A KR20200164002 A KR 20200164002A KR 20220075675 A KR20220075675 A KR 20220075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haracter
social
virtual
relationship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복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5675A/ko
Publication of KR2022007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들의 계정과 가상의 소셜 계정간에 형성되는 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상 캐릭터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FOR SOCIAL COMMUNICATION USING VITUAL SOCIAL ACCOUNT FOR VITUAL CHARACTER}
아래의 설명은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는 웹상에서 이용자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형성된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개인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라 할 수 있다. 개인의 표현욕구가 강해지면서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맺게 하고, 친분관계를 유지시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점점 발달하고 있다. 웹상의 카페·동호회 등의 커뮤니티 서비스가 특정 주제에 관심을 가진 집단이 그룹화하여 폐쇄적인 서비스를 공유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나 자신, 다시 말해 개인이 중심이 되어 자신의 관심사와 개성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가상 캐릭터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상 캐릭터들에 대한 이모티콘을 제작하여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메신저에서 활용하도록 제공하거나 및/또는 가상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소셜 게임을 제공하기도 한다.
[선행문헌번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3881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들의 계정과 가상의 소셜 계정간에 형성되는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상 캐릭터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관된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의 소셜 계정과 상기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간의 연계를 통해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설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인공지능을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한 활동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활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되는 컨텐츠를 상기 가상 캐릭터와 관계가 설정된 회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활동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의 소셜 계정과 연계된 홈 또는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상 캐릭터의 리액션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액션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홈 또는 컨텐츠의 컨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결정된 리액션을 상기 가상 캐릭터의 리액션으로서 상기 홈 또는 컨텐츠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는,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가상 인적 관계,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구독 관계, 및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구독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계 추천 영역에 상기 가상 캐릭터와의 관계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추천 영역에 접근한 회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가입 시점에, 상기 가상 캐릭터를 상기 회원의 기본 인적 관계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한 활동의 빈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에 대한 친밀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에 대한 친밀도에 따라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에 대한 활동의 빈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한 활동은,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의 홈에 대한 방문,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및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리액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에 대한 활동은,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상기 회원의 홈에 대한 분석, 상기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상기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분석 및 상기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상기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리액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상 캐릭터에는 상기 가상 캐릭터의 개성으로서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가 기설정되고,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여 포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경된 카테고리가 기설정된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새로운 인스턴스간의 관계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관된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의 소셜 계정과 상기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간의 연계를 통해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들의 계정과 가상의 소셜 계정간에 형성되는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상 캐릭터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개괄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캐릭터와의 상호작용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결제 서비스, 가상 거래소 서비스, 리스크 모니터링 서비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게임 서비스, 그룹 통화 서비스(또는 음성 컨퍼런스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메일 서비스, 지도 서비스, 번역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검색 서비스,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스크린, 마이크, 스피커 등이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개괄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320)과 통신하면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320)에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320) 각각은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일례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네트워크(170))를 통해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에 접근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들이 물리적인 장치들일 수 있으며, 각각 도 2를 통해 설명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에 대응하는 서버 역시 컴퓨터 장치(200)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320)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중 적어도 일부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이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일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비회원 역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일부에 접근할 수 있으나, 비회원은 적어도 일부 서비스로의 접근 및 활용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들간의 인적 관계를 저장하는 인적 관계 데이터베이스(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원들간의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인적 관계가 존재하는 회원들의 소셜 계정들의 식별자들을 서로 연계하여 인적 관계 데이터베이스(311)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관된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들이 가상 캐릭터와 인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서로 인적 관계가 형성된 회원과 가상 캐릭터의 소셜 계정들의 식별자들을 서로 연계하여 인적 관계 데이터베이스(311)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회원들간의 인적 관계뿐만 아니라, 회원들과 가상 캐릭터들간의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각자의 개성이 부여된 복수의 가상 캐릭터들 각각에 대해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들은 인적 관계가 형성된 다른 회원들과 함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가상 캐릭터들과도 함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상 캐릭터들은 회원들 각각의 기본 인적 관계로서 자동으로 등록될 수도 있다.
한편,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가상 캐릭터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활동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가상 캐릭터 관리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캐릭터 관리부(312)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가 가상 캐릭터를 관리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0)의 기능적 표현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 가상 캐릭터 관리부(312)는 가상 캐릭터들 각각의 개성을 갖도록 인공지능을 생성하고, 생성된 인공지능이 가상 캐릭터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의 활동을 처리하도록 인공지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지능은 자체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 자신의 개성과 연관된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의 회원들과 자신의 개성에 기반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캐릭터에는 가상 캐릭터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의 홈이 생성될 수 있으며, 가상 캐릭터가 자신의 개성과 연관하여 생성하는 컨텐츠가 홈에 게시될 수 있다. 이때,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은 가상 캐릭터와 인적 관계가 형성된 회원들에게 가상 캐릭터의 홈에 게시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은 별도로 인적 관계가 형성되지 않은 회원이라도, 가상 캐릭터의 컨텐츠를 구독(팔로우)하는 회원에게 가상 캐릭터가 생성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가상 캐릭터들을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가 직접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해당 가상 캐릭터의 개성과 연관된 컨텐츠를 생성하여 등록하면,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마치 가상 캐릭터가 생성한 컨텐츠인 것처럼 가상 캐릭터와 인적 관계가 형성된 회원들 및/또는 가상 캐릭터의 컨텐츠를 구독하는 회원들에게 등록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아래 표 1은 캐릭터의 개성에 따른 관심사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 가상 캐릭터에 대한 인공지능을 생성 및 활용하는 경우, 인공지능은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 관심사에 따른 활동을 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만약,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관리자가 운영하는 경우, 관리자가 해당 가상 캐릭터의 관심사에 알맞은 컨텐츠를 포스팅하도록 컨텐츠를 생성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해당 가상 캐릭터의 소셜 계정에 대해 등록된 컨텐츠를 해당 가상 캐릭터와 인적 관계가 형성된 회원들 및/또는 가상 캐릭터의 컨텐츠를 구독하는 회원들에게 등록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No. 가상 캐릭터 관심사
1 가상 캐릭터 A 연예계 소식에 대한 컨텐츠를 포스팅
2 가상 캐릭터 B 먹거리, 맛집에 대한 컨텐츠를 포스팅
3 가상 캐릭터 C 뉴스 기사 내용에 대한 컨텐츠를 포스팅
4 가상 캐릭터 D 특정 위치와 연계한 지역 정보에 대한 컨텐츠를 포스팅
한편, 회원이 가상 캐릭터와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고, 역으로 가상 캐릭터가 회원과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이 가상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회원이 가상 캐릭터와 인적 관계의 설정을 요청하는 것, 가상 캐릭터의 컨텐츠에 대한 구독을 요청하는 것, 가상 캐릭터의 홈을 방문하는 것, 가상 캐릭터의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 및/또는 가상 캐릭터의 컨텐츠에 대해 리액션(일례로, 라이크(like) 및/또는 댓글 작성 등)을 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캐릭터 역시 회원과 인적 관계의 설정을 요청하는 것, 회원의 컨텐츠에 대한 구독을 요청하는 것, 회원의 홈을 방문하는 것, 회원의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 및/또는 회원의 컨텐츠에 대한 리액션을 하는 것 등을 통해 회원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인공지능 또는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은 회원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회원의 컨텐츠의 컨텍스트(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를 인식하여 카테고리화할 수 있으며, 카테고리에 따라 회원의 컨텐츠에 대해 적절한 리액션을 하거나 부정 행위에 대한 자기 방어(신고 또는 계정 차단 등)를 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경우, 가상 캐릭터가 회원의 홈을 방문하는 것이나, 회원의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은 가상 캐릭터를 위한 인공지능이 회원의 홈 또는 컨텐츠를 분석(컨텍스트의 인식을 위한 분석)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온라인상에서 사람과 인공지능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이미 잘 알려진 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다.이때,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회원이 가상 캐릭터와 상호작용을 하는 정도에 기반하여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친밀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들간의 친밀도를 설정하기 위해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친밀도를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캐릭터는 친밀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회원에게 상대적으로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또는 가상 캐릭터 관리부(312)은 친밀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회원에게 상대적으로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하도록 가상 캐릭터를 위한 인공지능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가상 캐릭터의 회원들에 대한 친밀도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제공된 친밀도에 기반하여 회원들과 상호작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회원이 가상 캐릭터의 개성을 설정하여 해당 회원에 대해 가상 캐릭터를 개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 1의 가상 캐릭터 A가 소셜 계정 "AAAA"에 의해 식별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상 캐릭터 A의 관심사는 "연예계 소식에 대한 컨텐츠를 포스팅"하는 것이나, 회원 1이 가상 캐릭터 A의 관심사를 "회원 1의 위치와 연계한 지역 정보에 대한 컨텐츠를 포스팅"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가상 캐릭터 A에 대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계정 "AAAA_회원 1의 식별자"라는 소셜 계정에 의해 식별되는 가상 캐릭터 A의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은 이러한 가상 캐릭터 A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위한 새로운 인공지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새로운 인공지능은 회원 1이 설정한 바와 같이 "회원 1의 위치와 연계한 지역 정보에 대한 컨텐츠를 포스팅"하도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상 캐릭터 A와는 별도로 회원 1과 인적 관계나 구독 관계를 형성하는 가상 캐릭터 A의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상 캐릭터들은 지역색을 갖도록 지역 및/또는 국가별로 다른 개성에 따라 별도의 인스턴스로 운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가상 캐릭터 B에 대해 기설정된 지역 및/또는 국가마다 서로 다른 개성을 갖는 인스턴스들이 생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국가에 대해 생성된 가상 캐릭터 B의 제1 인스턴스에 대한 소셜 계정 "BBBB_제1 국가의 식별자"과 제2 인스턴스에 대한 소셜 계정 "BBBB_제2 국가의 식별자"이 각각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캐릭터 B의 제1 인스턴스와 제2 인스턴스는 각각 서로 다른 개성이 부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국가의 회원과 제2 국가의 회원이 동일하게 가상 캐릭터 B와 인적 관계를 형성하더라도, 서로 다른 개성의 가상 캐릭터 B와 상호작용을 하게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31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4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5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관된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관된 다수의 가상 캐릭터들 각각에 대해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한 활동의 주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이거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자일 수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경우, 가상의 소셜 계정 각각에 대해 인공지능의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할당될 수 있다. 인공지능을 머신러닝을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개성으로서의 카테고리에 알맞게 학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표 1을 통해 설명한 "가상 캐릭터 A"의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는 카테고리 "연예계 소식"과 관련된 정보를 인터넷으로부터 수집하여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해당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통해 생성된 컨텐츠를 "가상 캐릭터 A"의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할 수 있다.
관리자를 활용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관리자에게 해당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제공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정보를 활동 데이터로서 입력할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20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활동 데이터에 기반하여 해당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생성된 컨텐츠를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200)는 관리자에게 카테고리와 관련된 컨텐츠를 추천해줄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활동 데이터는 추천된 컨텐츠들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성된 가상의 소설 계정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의 활동까지 가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단계(4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의 소셜 계정과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간의 연계를 통해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인적 관계 데이터베이스(311)에 회원의 소셜 계정과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서로 연계하여 저장함으로써,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는,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가상 인적 관계, 회원의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구독 관계, 및 가상 캐릭터의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구독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의 설정을 위한 일실시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계 추천 영역에 가상 캐릭터와의 관계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계 추천 영역에 접근한 회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에 기반하여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회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가입 시점에, 가상 캐릭터를 회원의 기본 인적 관계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가상 캐릭터가 회원들과 관계가 설정됨에 따라 가상 캐릭터가 단순히 자신의 개성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 및 포스팅만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들과 관계를 맺고, 자신이 생성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단계(4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설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공지능을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자로부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한 활동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활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작용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활동 데이터는 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정보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가상의 소셜 계정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 활동한 이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상호작용의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되는 컨텐츠를 가상 캐릭터와 관계가 설정된 회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기능에 따라 포스팅된 컨텐츠가 가상 캐릭터와 관계가 설정된 회원들에게 피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활동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할 수 있다. 이 경에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기본 기능에 따라 포스팅된 컨텐츠가 가상 캐릭터와 관계가 설정된 회원들에게 피드될 수 있다.
상호작용의 다른 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회원의 소셜 계정과 연계된 홈 또는 컨텐츠에 대한 가상 캐릭터의 리액션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회원의 소셜 계정과 연계된 홈 또는 컨텐츠의 컨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결정된 리액션을 가상 캐릭터의 리액션으로서 회원의 소셜 계정과 연계된 홈 또는 컨텐츠에 반영할 수 있다. 리액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이크(like) 및/또는 댓글 작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가 가상의 소셜 계정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활동하는 경우에는 관리자의 활동에 따른 리액션이 해당 회원에 대해 바로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관리자의 활동을 모니터링하여 관리자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되는 정보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활동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이처럼, 가상 캐릭터는 자신의 컨텐츠를 포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관계가 설정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다른 회원들과 공유할 수 있고, 회원의 컨텐츠에 리액션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캐릭터와의 상호작용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회원의 타임라인 화면의 예(510)로서, "가상 캐릭터 A"의 컨텐츠(520)가 피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컨텐츠(520)와 연관하여 제1 점선박스(530)와 같이 "가상 캐릭터 A"의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가상 캐릭터 A"의 프로필 이미지(54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가상 캐릭터 A"의 식별자는 해당 가상 캐릭터의 이름(일례로, 브라운, 코니, 문 등)일 수 있으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상대방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듯이, 회원의 설정에 따라 상대방의 이름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캐릭터 A"의 프로필 이미지(540)는 해당 가상 캐릭터의 모습을 포함할 수 있으나, 회원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필요 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점선박스(550)는 회원이 "가상 캐릭터 A"의 컨텐츠(520)에 대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컨텐츠(520)에 대한 회원의 반응으로서, 라이크(like)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댓글을 달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컨텐츠(520)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컨텐츠(520)에 대해 달려 있는 댓글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은 이러한 컨텐츠(520)를 선택하여 컨텐츠(520)를 시청하거나, 앞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라이크를 설정하거나 댓글을 다는 활동을 함으로써, "가상 캐릭터 A" 및/또는 "가상 캐릭터 A"의 컨텐츠(52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한편, 회원의 타임라인 화면의 예(510)에서는 제3 점선박스(560)와 같이 회원과 관계가 설정된 다른 회원 "AAA"의 컨텐츠가 피드된 예도 나타내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소셜 계정들 각각에 대해 홈 화면이 제공되듯이 가상 캐릭터에 대해서도 홈 화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회원은 가상 캐릭터의 홈 화면에 접근(일례로, 제1 점선박스(530)에 나타난 "가상 캐릭터 A"의 식별자에 설정된 링크를 통해 접근)하여 가상 캐릭터의 홈에 대한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회원의 컨텐츠들에 가상 캐릭터가 접근(인공지능의 인스턴스에 의한 접근 또는 관리자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통한 접근)하여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음을 앞서의 설명들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30) 이외에 단계들(610 및 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610 및 620)은 단계(4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회원의 가상 캐릭터에 대한 활동의 빈도에 기반하여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친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회원의 가상 캐릭터에 대한 활동은, 회원의 가상 캐릭터의 홈에 대한 방문, 회원의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및 회원의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리액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회원의 가상 캐릭터에 대한 활동의 빈도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친밀도가 더 높아지도록 친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친밀도에 따라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활동의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활동은,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회원의 홈에 대한 분석,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분석 및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리액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친밀도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활동의 빈도가 높아지도록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활동의 빈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이 가상 캐릭터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할수록 가상 캐릭터의 회원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상 캐릭터 역시 회원에 대한 상호작용의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 캐릭터에는 상기 가상 캐릭터의 개성으로서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가 기설정될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200)는 일례로 도 4의 단계(430)에서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여 포스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는 가상 캐릭터의 개성(또는 성격)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회원은 가상 캐릭터의 개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30) 이외에 단계들(710 내지 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710 내지 730)은 단계(4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카테고리는 가상 캐릭터의 개성(또는 성격)에 대응될 수 있으며, 회원의 필요 시 특정 가상 캐릭터의 개성을 자신이 원하는 다른 개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 해당 가상 캐릭터의 홈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경된 카테고리가 기설정된 가상 캐릭터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기존의 가상 캐릭터와 동일한 가상 캐릭터이나, 기존의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과는 다른 소셜 계정을 갖는 해당 가상 캐릭터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소셜 계정 "AAAA_회원 1의 식별자"라는 소셜 계정에 의해 식별되는 가상 캐릭터 A의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한 바 있다.
단계(7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회원과 가상 캐릭터의 새로운 인스턴스간의 관계로 대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원은 동일한 가상 캐릭터와 관계를 맺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해당 가상 캐릭터의 다른 인스턴스와 관계를 맺도록 변경되었으며, 컴퓨터 장치(200)는 변경된 가상 캐릭터의 인스턴스가 변경된 카테고리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활동하도록 새로운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매칭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원에게는 동일한 가상 캐릭터에 대해 생성된 변경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가 피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캐릭터 1이 카테고리 1과 매칭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회원 1이 가상 캐릭터 1의 카테고리를 카테고리 1에서 카테고리 2로 변경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카테고리 2의 개성을 갖는 가상 캐릭터 1의 인스턴스가 새롭게 생성될 수 있다. 이후, 회원 2 역시 카테고리 1의 개성을 갖는 가상 캐릭터 1의 카테고리를 카테고리 1에서 카테고리 2로 변경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카테고리 2의 개성을 갖는 가상 캐릭터 1의 인스턴스가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별도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 없이 회원 2는 이미 생성되어 있는 카테고리 2의 개성을 갖는 가상 캐릭터 1의 인스턴스와 관계를 갖도록 관계가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동일한 가상 캐릭터들에 대한 새로운 인스턴스의 생성 및 활용은 동일한 가상 캐릭터들 각각에 대해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한 인스턴스들이 생성 및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일례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동일한 가상 캐릭터가 지역 및/또는 국가별로 서로 다른 개성(일례로, 카테고리)를 갖도록 해당 가상 캐릭터의 인스턴스들이 지역별 및/또는 국가별로 생성 및 활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회원 A와 가상 캐릭터 "브라운" 및 "코니"간의 상호작용 시나리오의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가상 캐릭터 "브라운"은 먹거리나 맛집탐방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고, 관계가 설정된 회원의 생일에 먹거리를 추천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가 매칭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가상 캐릭터 "코니"는 연예인이나 연예계 소식을 포스팅하도록 학습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가 매칭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가상 캐릭터들간에도 관계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가상 캐릭터들의 타임라인 피드에 다른 가상 캐릭터들의 포스트가 공유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1) 가상 캐릭터 "브라운"이 회원 A의 타임라인 피드에 추천되어 회원 A가 가상 캐릭터 "브라운"을 구독(팔로우)하기 시작함.
(2) 가상 캐릭터 "브라운"이 작성한 포스트가 회원 A의 타임라인 피드에 노출되기 시작함.
(3) 회원 A가 가상 캐릭터 "브라운"의 포스트에 리액션(라이크 또는 댓글)을 함.
(4) 얼마 후, 가상 캐릭터 "브라운"이 회원 A를 멘션(mention)하여 "고맙다"라는 코멘트를 남김.
(5) 회원 A의 생일에 가상 캐릭터 "브라운"이 생일축하 카드를 보냄.
(6) 회원 A가 전체 공유의 포스트를 작성하여 포스팅함. 회원 A의 포스트에 가상 캐릭터 "브라운"이 리액션을 함.
(7) 어느 날 가상 캐릭터 "브라운"이 다른 가상 캐릭터 "코니"의 포스트를 피드에 공유함.
(8) 회원 A가 가상 캐릭터 "코니"의 포스트를 자주 시청하고, 리액션을 몇 번 하였더니 가상 캐릭터 "코니"가 회원 A를 구독하기 시작함.
(9) 회원 A가 가상 캐릭터 "코니"의 포스트에 "연예인 A" 말고 "연예인 B" 소식도 알려달라고 댓글을 남김. 얼마 후, 가상 캐릭터 "코니"로부터 회원 A에게 답변이 오고, "연예인 B"에 대한 포스트가 게시됨.
(10) 회원 A가 가상 캐릭터 "코니"와의 구독(관계)를 끊음에 따라 회원 A의 타임라인 피드에 연예계 소식이 줄고 다른 컨텐츠의 비중이 증가함.
이러한 (1) 내지 (10)의 시나리오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앞서 설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과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에 따른 상호작용을 위해, 인공지능을 어떻게 구현하는가, 또는 관리자가 회원의 계정에 대해 어떻게 활동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가상 캐릭터에 대응하는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들의 계정과 가상의 소셜 계정간에 형성되는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상 캐릭터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관된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의 소셜 계정과 상기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간의 연계를 통해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설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인공지능을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한 활동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활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되는 컨텐츠를 상기 가상 캐릭터와 관계가 설정된 회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활동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의 소셜 계정과 연계된 홈 또는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상 캐릭터의 리액션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션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홈 또는 컨텐츠의 컨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결정된 리액션을 상기 가상 캐릭터의 리액션으로서 상기 홈 또는 컨텐츠에 반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는,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가상 인적 관계,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구독 관계, 및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구독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계 추천 영역에 상기 가상 캐릭터와의 관계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추천 영역에 접근한 회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가입 시점에, 상기 가상 캐릭터를 상기 회원의 기본 인적 관계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한 활동의 빈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에 대한 친밀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에 대한 친밀도에 따라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에 대한 활동의 빈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한 활동은,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의 홈에 대한 방문,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시청 및 상기 회원의 상기 가상 캐릭터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리액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상기 회원에 대한 활동은,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상기 회원의 홈에 대한 분석, 상기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상기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분석 및 상기 인공지능의 인스턴스의 상기 회원과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리액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에는 상기 가상 캐릭터의 개성으로서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가 기설정되고,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여 포스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경된 카테고리가 기설정된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의 새로운 인스턴스간의 관계로 대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17.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9. 컴퓨터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관된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회원의 소셜 계정과 상기 가상 캐릭터의 가상의 소셜 계정간의 연계를 통해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과 상기 가상 캐릭터간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작용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생성된 인공지능의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에 대해 기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른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하고,
    상기 가상의 소셜 계정에 대해 포스팅되는 컨텐츠를 상기 가상 캐릭터와 관계가 설정된 회원에게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00164002A 2020-11-30 2020-11-30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5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02A KR20220075675A (ko) 2020-11-30 2020-11-30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002A KR20220075675A (ko) 2020-11-30 2020-11-30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675A true KR20220075675A (ko) 2022-06-08

Family

ID=8198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002A KR20220075675A (ko) 2020-11-30 2020-11-30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56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5091B1 (en) Social topical context adaptive network hosted system
CN110709869B (zh) 用于在聊天对话中与嵌入式应用一起使用的建议项目
US9313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vatar with variable appearance
US9589380B2 (en) Avatar-based unsolicited advertisements in a virtual universe
US11020672B2 (en) GPS tracking with map overlay
CN108605008A (zh) 用于路由消息的代理电子邮件服务器
CN108628628A (zh) 用于移动应用管理的方法和系统
KR102590492B1 (ko) 영상 채팅에 이용 가능한 평판 뱃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3341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Recommendations Based on Third-Party Opinions
US201902991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 application client
JP7252748B2 (ja) 情報推薦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20200131478A (ko) 위치를 기반으로 대화방의 가입을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3678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Users Based on Selections Made by Third Parties
CN112118115A (zh) 自动生成聊天室的方法、计算机可读介质及计算机装置
KR20210000047A (ko)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10279962A1 (en) Use of Secondary Sources for Location and Behavior Tracking
De Kare-Silver e-shock 2020: how the digital technology revolution is changing business and all our lives
KR20220075675A (ko) 가상 캐릭터를 위한 가상의 소셜 계정을 이용한 소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1383A (ko) 챗봇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과 시스템
CN109964457A (zh) 用于上下文信息显示的统一资源标识符和图像共享
KR101612895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106285A (ko)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콘텐츠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102606756B1 (ko) 전문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53486B1 (ko) 일정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9074385A (zh) 混合连接推荐流